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체 근로자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분석

        정용권,김진모 한국산업교육학회 2009 산업교육연구 Vol.1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근로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경력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현재 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경력개발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기업의 분위기․환경에 관한 현재 수준이 가장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바람직한 수준은 현재수준과 비교 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경력개발 요소 중에서 기업의 분위기․환경에 관하여 요구 되는 바람직한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을 위한 기업의 분위기․환경에 관 한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기업 근로자들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정보반영에 관한 요구와 프로그램 설계 및 수정에 참여하고 자 하는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자기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과 경력개발 프로그램 관리자에게 적절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제도, 경력개발에 따른 적절 한 보상체계에 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근속 년수별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와 직위별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개인 잠재력에 관한 정보의 반영에 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 요소를 제외한 경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는 근로자의 근속 년수와 직위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 났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기초하여 후속 연구로서 ① 요구분석을 토대로 경력개발 프로그 램에 반영시킬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연구, ② 기업체 근로자의 성별․산업분야․기업 의 유형 등에 따른 보다 다각적인 형태의 요구분석 연구, ③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한 근로 자의 경력개발 요구분석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examining the needs of i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that the employees recognized currently was lower than average.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 was the lowest level.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the desirable level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was much higher than its current level that was lower than the average.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 of the desirable level, which was the lowest currently, was the highest. Third, comparing the desiring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between major companies and middle or small sized compan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employees at major companies want to participate to design and revise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more than employees at middle or small size companies. They also want more to reflect their information that is along with Career implementation. On the other hand, employees at middle or small sized companies want to find out their potential ability and they are likely to have a system that prompts manager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They also want a proper compensate system according to Career Development. Fourt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different priority of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according to different position of the career and the working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ere should be a continuing study about choos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it should be based on needs analysis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A following study about many-sided needs analysis of the program is also need to be studied, according to employees sex and the various fields of industry.

      • KCI등재

        한국 여대생의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

        박세아 ( Se A Park ),주영애 ( Young Ae Ju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2

        각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서비스 매너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대학생의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매너 교육 프로그램과 강사 자질, 교육 시스템과 관련하여 대학생들의 요구도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1012년 3월 19일부터 3월 21일까지 S여대와 D여대에서 배포, 회수한 총 265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12.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측치 4부를 제외한 총 261부가 연구결과 활용되었다. SPSS 12.0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기관, 교육기간, 자격증반 개설시 수강여부, 자격증 취득시 취업활용여부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희망취업직종별, 매너교육이수여부, 아르바이트 및 직장생활경험여부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강사자질, 교육시스템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자격증반 개설시 수강여부, 자격증 취득시 취업활용여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를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Amos 18.0을 사용하여 교육프로그램, 강사자질, 교육 시스템 각 변수에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에 의한 경로계수를 제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여대생들의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에는 교육시스템이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이 유의도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강사자질은 유의하지 않았다. 매너교육 이수여부는 교육프로그램과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으며, 아르바이트 및 직장생활 경험여부는 교육 시스템과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여대생은 서비스매너 교육 기관에 대하여 대학 내 관련 과목 개설(28.7%)에 대한 요구하였고 교육 희망 기간에 대한 응답은 4주 과정(55.5%)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으며 서비스 매너 교육과 관련한 자격증(예: CS 리더스 국가공인) 과정이 대학 내 특별 과정으로 개설된다면 수강할 의사가 있다(50.6%)라고 응답하였다. 여대생의 희망취업직종별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서비스· 마케팅직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고객응대(p<.05)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강사자질은 PPT 능력 제작 (p<.01)이 뛰어나고 다양한 실무 경력과 연수경험, 매너를 전공하고 관련국가자격증과 석·박사 학위를 소지한 전문성(p<.05)을 요구하였다. 서비스·마케팅직을 희망하는 대학생은 서비스 매너와 관련한 자격취득이 용이(p<.05)한 교육시스템을 요구하였으며 대학 내 서비스 매너 관련 과목 개설(p<.05)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서비스 매너 관련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도움이 될 것(p<.05)이라고 응답하였다. 한편, 연구·사무직을 희망하는 대학생은 서비스 매너와 관련한 심화 자격증반이 개설될 경우 수강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p<.01). 여대생의 매너 교육 이수 경험 여부별 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매너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교육시스템(p<.001)과 교육프로그램(p<.01)에 대한 요구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으며, 매너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교육시스템(p<.05)에 대한 요구도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었음을 확인하였다. 매너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매너 관련 심화 자격증이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p<.05). 한편 매너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대인관계(p<.001), 고객응대(p<.01), 글로벌문화(p<.05) 순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또한 교육자와 수강자간의 교류(p<.01)를 갖춘 교육 시스템을 원하였으며 교육평가시스템과 교육 컨텐츠(p<.05) 및 교육이수과정의 행정시스템(p<.05)과 관련한 요구도가 높았다. 아르바이트 및 직장 경험 여부별 여대생은 교육시스템과 서비스매너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하위영역 교육프로그램, 강사자질, 교육시스템과 관련하여 유의한 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한편 직장생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교육시스템과 관련한 세부변수에 대한 유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교육자와 수강자와의 교류(p<0.05), 교육이수시간(p<0.05), 교재 및 교육 컨텐츠(p<0.05), 자격취득의 활용도(p<0.05), 교수 이수과정의 행정시스템(p<0.05)에 대한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한 변수는 글로벌문화(p<0.01)에 대한서비스 매너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도출되었으며 강사자질은 전문가적 이미지(p<0.05)를 가진 바른 품성(p<0.05)을 요구하였다. 직장경험이 없는 대학생은 서비스 매너 관련 자격증반이 개설될 경우 수강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본다면, 여대생은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매너 관련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고 용이한 교육행정시스템과 대인관계, 고객응대, 글로벌문화 컨텐츠를 강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각 대학은 관련 과목을 개설하여야 하며 PPT 능력 제작이 우수하고 다양한 실무 경력과 연수경험, 매너를 전공하고 관련국가자격증과 석·박사 학위를 소지한 전문성을 갖춘 교수자를 선별하여 수강자와의 교류를 강화한 멘토-멘티 관계 형성의 교육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demand among korea university students for the education of service & manners being implemented in many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the demand of korea university students in relation to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program,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for the demand of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among korea women’s university students, the educational system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1 and also the educational program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p<.01.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s was not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letion of manners education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demand for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while working part time or full time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demand for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Regarding the institute of service & manners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28.7%) asked for the opening of related subjects within the university. About the desired period of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55.5%) wished to have 4-week course, and 50.6%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if the courses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s education (ex: national certificate for CS leaders) is opened as a special course within the university. The greater part of the students demanded to be able to get a job in service and marketing job category, and the highest demand was for an education program for dealing with customers (p<.05). The instructors were required to have a good ability in the production of PPT files (p<.01, various practical career, training experience and good manners with a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 and master``s or doctorate degree in related areas, and professionalism (p<.05.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wished to have a job in service and marketing area asked for an educational system which will make it easier to acquire a qualification certification related to service & manners (p<.05), and also the opening of the subjects related to service & manners (p<.05). They also answer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getting a job if they acquired a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s (p<.05). In the meantime,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wished to have a job in research and office work sai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if an intermediate course for the acquisition of a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s is opened (p<.01). To look at the demand for service & manners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did or did not complete the manners education,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system (p<.001) and the educational program (p<.01)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t completed the manners education, while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system (p<.05)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manners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not completed the manners education responded that the intermediate qualification certificates related to manners will be helpful to job finding (p<.05). Meanwhile, the woman’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completing the manners education had a high demand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p<.001), dealing with customers (p<.01) and global cultures (p<.05). They also wanted an educational system that provided the exchang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p<.01) and many asked for an educational evaluation system, educational contents (p<.05)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for the educational courses. It was confirmed that working part time or full time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the educational system and service manners educations. However, no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related to the general sub-category educational programs, quality of instructors, and the educational system.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who had working experience had significance in the specific variables related to the educational system. There were meaningful demands for the exchang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p<0.05), the hours of education (p<0.05), textbook and educational contents (p<0.05), usage of the acquired certifictes (p<0.05),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educational courses (p<0.05). The service & manners education about global culture (p<0.01) was found meaningful i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a professional image (p<0.05) with a good personality were required for the quality of instructors. The students who had no working experience responde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if a qualification course related service & manners is opened (p<0.05).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korea women’s university students are demanding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that can make it easier to acquire a qualification certificate related to service & manner helpful to job finding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inforce personal relations, dealing with customers and contents of global cultures. Therefore, korea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open such subjects and select the teachers who have a good ability in the production of PPT files, various practical career, training experience and good manners with a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 and master``s or doctorate degree in related areas, and professionalism ir order to equip themselves with an educational system that can reinforce the exchanges with the students and form a mentor-mentee relationship.

      • KCI등재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

        윤규원,김문섭,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del of needs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social needs as well as personal needs. The overall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 questionaire based on six mode clas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vented in order to apply to program development. Secondly, a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evaluate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simultaneously. Thirdly, t-test, needs analysis of Borich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As a result, there showed the categories of education which are high in both personal and social needs, whereas a category like certification program is higher in social needs rather than in personal needs. The results represent the necessities of promoting programs which are high in social needs even if there is no personal needs. Therefore the needs survey and the needs analysi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not only personal needs but also social needs.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 중 요구분석 단계에서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주요 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평생교육 6진 분류체계에 근거한 질문항목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셋째, 재구성하여 개발한 요구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생교육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를 모두 고려한 요구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격인증과 같은 개인적 요구도는 낮지만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요구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대변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요구 조사 설문방법과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평생교육기관들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한다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설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김연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조사를 통해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우울감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시, S시, H시 4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328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과 함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X²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요구와 관련하여 프로그램필요성과 우울감소에 관한 도움을 기대하는 정도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참여의사는 긍정적인결과를 얻었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술기법과 재료에 대한 요구에서 기법은전체적으로 ‘만들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료는 전체적으로 ‘크레파스’가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시전략에 관한 요구로는 ‘평일 오후’, ‘1시간 30분 이내’, ‘주 2회’, ‘총 12회기’, ‘교육 ․ 미술활동 ‧ 집단토론’ 중심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senior citizen's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through request investigation. For this purpose,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28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who uses4 senior welfare centers at A town, S town, and H town.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an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request on gender and age, request on X²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program development turned out to be surelyneeded. participate actively, participation rate will be raised over all age withsystematically-developed depression reduce program. Moreover, participants' program satisfactionrate can be improved based on acquired cooperation and resources of related institutes, and thatcould be gained in high expectations of reducing depression. Second, related to request on arttechniques and materials, depend on age and gender. but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ing theprogram. Third, related to strategy of enforcement, ‘weekday afternoon’, ‘within 1 1/2 hours’,‘twice a week’, ‘total of 12 sessions’, ‘education․art activity․group discussion’ were the mostcommon, and statistically. Therefore, senior citizen's 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isneed to developed and enforced in full consideration of these facts.

      • KCI등재

        보건계열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김희경,김명은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보건계열 재학생의 비교과 교육의 방향성 제고와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 체계 구축을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보리 치 요구도 분석과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와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리치 요구도 분석 상위 10위 내 프로그램에는 ‘자격증’, ‘진로탐색’, ‘해외봉사’, ‘제2외국어’, ‘취업교육’, ‘재능기부’, ‘영어, ’컴퓨터 활용‘, ’국 내봉사‘, ’전공 융·복합학습‘이 포함되었다.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에서의 우선순위는 ‘자격증’, ‘진로탐색’, 취업교육‘, ’해 외봉사, ‘영어’, ‘국내봉사’, ‘제2외국어’, ‘재능기부’, ‘컴퓨터 활용 순이었다. 보리치 요구도 분석과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 을 접목하여 총 9개 프로그램이 도출되었으며 우선순위로는 ‘자격증’, ‘진로탐색’, ‘해외봉사’, ‘제2외국어’, ‘취업교육’, ‘재능기부’, ‘영어’, ‘컴퓨터 활용’, ‘국내봉사‘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보건계열 재학생은 취업 및 봉사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게 도출되어. 향후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반영한 교육이 필요하며, 대학 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보건계열 재학생들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체계를 갖춰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direction of extracurriculular education for health students and to establish and systematic extracurricular education and operation system. The needs and prioritie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of health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Borich’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priorities of extracurriculular programs according to Borich's needs, the top 10 programs included ‘certification’, ‘career exploration’, ‘overseas service’, ‘second language’, ‘employment education’, ‘talent donation’, ‘English’, ‘computer utilization’, and ‘major convergence learning’. As a result of priorities by apply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certification’, ‘career exploration’, ‘employment education’, ‘foreign service’, ‘English’, ‘domestic service’, ‘second foreign language’, ‘talent donation’, and ‘computer utilization’ was included. A total of nine programs were derived by combining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priorities were ‘certification’, ‘career exploration’, ‘overseas service’, ‘second foreign language’, ‘employment education’, ‘talent donation’, ‘English’, ‘computer utilization’, and ‘domestic serv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health students had a high needs for comparison programs for employment and volunteer programs, so universities should reflect this and establish a comparison program operation system for health students.

      • KCI등재

        부모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박혜진,김용영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분석과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1) 부모교육을 지원할 센터 운영, (2) 부모교육 프로그램 에 대한 인식, (3)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4) 공간 활용, (5)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요인을 도출하여 설문 내용을 작성하였다. 충주시 소재 A초등학교의 2학년 및 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및 운영에 요구되는 사항을 5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23개의 설문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 모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센터 운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교육내용을 강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을 토대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학부모 요구를 반영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개발 및 운영한 후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성과 분석 및 환류의 필요성을 향후 연구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overall recognition analysis and demand survey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explore ways to promote parent educ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cluding five factors and 23 items : (1) operating a center to support parent education, (2) perception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3) developing a parent education program, (4) utilizing space, and (5) program operation and evalu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on the parents of second and fourth 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in Chungju. The result showed that parents are positive about the operation of the center, which can provide professional support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There was also a great demand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ntent of parents’ ro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demand analysis of existing parent education. Furthermore, the need for performance analysis and feedback was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directions after the actual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ed the demand of parents.

      •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기술강화 음악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연구

        김희진(Heejin Kim),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0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조사를 통해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기술강화 음악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소년축구선수가 겪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과 약점, 유소년축구선수와 지도자가 요구하는 심리기술 프로그램, 중재 구성에 대한 기준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소년축구선수 심리기술프로그램의 도입과 질적 향상을 위해 현장 유소년축구선수와 지도자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심리기술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요구조사에는 유소년축구선수 62명과 축구지도자 5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심리기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요구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적 어려움은 스트레스, 불안, 긴장, 대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의 비중이 높았다. 스포츠 심리기술 약점으로는 불안조절과 팀 응집력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유소년축구선수지도자는 유소년축구선수의 스트레스 완화 및 팀 응집력 향상, 중도 포기 예방을 위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중재 구성에 관해서는 경기와 훈련 일정이 없는 시간에 시행할 수 있는 단기·집단프로그램으로 개입되기를 원하였다. 그리고 심리기술 음악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 90% 이상의 유소년축구선수가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와 함께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기술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주는 시사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및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a music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ntensify the psychological skills of youth soccer players based on demand survey.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lucidated not only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weakness of youth soccer players but also the criteria for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and intervention configuration that are required by both youth soccer players and coaches. Furthermore, it also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that youth soccer players and coaches on the ground recognize as a necessity in order to implement the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for youth soccer player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A total of 62 youth soccer players and 6 soccer coaches participated in the dem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9 through bot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o verify their demand on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are as follow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from stress, anxiety, ten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ccounted for a high rate in youth soccer players. Anxiety control and cohesion were identified as a weakness in sports psychological skills. The coaches requested supports for youth soccer players to alleviate stress, enhance cohesion and prevent giving up in the middle of career.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intervention, they wanted a short-term group intervention program so that they can perform it during the off-season that has no match and training schedules.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demand survey on the music intervention program for psychological skills, over 90% of youth soccer players responded that they need such a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discussions further on the implication of program development for intensifying the psychological skills of youth soccer players as well as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평생학습 프로그램 요구분석: 성인학습자와 교육 제공자의 요구 차이

        김은경,전예니,배현경,조대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2 평생교육 · HRD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 및 교육 제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평생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평생교육 교·강사 및 교육 담당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대연(2009)이 제안한 요구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요구가 높은 우선순위 프로그램은 외국어 프로그램, 4차산업혁명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인문·교양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 제공자의 평생학습 프로그램 요구가 높은 우선순위 프로그램은 4차산업혁명 프로그램, 경제·경영 프로그램, 자격증(컴퓨터) 프로그램, 가정·생활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인학습자 및 교육 제공자의 요구분석 결과 공통의 제1우선순위 프로그램으로 4차산업혁명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의 흐름과 교육환경을 반영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대학의 고효과 프로그램 학생 요구 분석 : 서울 소재 H 대학 사례

        장명희(Myung-Hee Jang),조성범(Sungbum Cho),정소미(So-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운영하는 고효과 프로그램의 중요도 및 참여도 간 학생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소재 H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326명의 고효과 프로그램별 중요도와 참여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K-NSSE(학부교육실태조사)에서 제시한 고효과 프로그램 목록을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학생들이 인식한 고효과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참여도에 대해서 t-검증과 IPA가 차례로 수행되었다. 결과 먼저, t-검증을 통해 고효과 프로그램별 중요도와 참여도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요한 것에 비해 참여 정도가 낮다는 학생 인식이 모든 고효과 프로그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PA를 통해, 고효과 프로그램의 학생 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1) ‘지속 유지’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멘토링, 튜터링을 통한 도움 받기’, 2) ‘인식 개선’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으로는 ‘학습 공동체’,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신입생 세미나’, ‘멘토, 튜터, 서포터즈, 학생회 활동’, 3) 장기적 관점에서 ‘점진 개선’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는 ‘교수와의 연구 프로젝트 참여’, ‘지역사회 프로젝트’, 마지막으로 4) 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는 ‘산업현장 참여 프로젝트’, ‘6개월 이상 국제 교류 프로그램’, ‘고학년 대상 통합적 학습 활동’이 포함되었다. 연구대상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고효과 프로그램의 학생 요구 정도는 전공계열, 성별,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교육에서 고효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udent perception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of high-impact practices(HIPs) of university.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26 students of H University in Seoul,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in each HIPs was analyzed for the students. The list of HIPs of K-NSSE was use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for each HIPs was examined through t-test.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n participation was low compared to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HIPs. The analysis results are priorities for student’s demand of HIPs through IPA as follows; 1) programs that need to be ‘continued’ : ‘mentoring and tutoring’, 2) programs that require ‘improvement of awareness’: ‘Learning Community’, ‘Freshman Orientation’, ‘First-Year Seminars’, and ‘Mentor, Tutor, Supporters, Student Council Activities’, 3) Programs that require ‘gradual improve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Service Learning’, and 4) programs that required ‘intensive improvement’ at this time: ‘Internships’, ‘Study Abroad Program’, and ‘Capstone Courses and Projects’.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HIPs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HIPs in university.

      • KCI등재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 S대학교를 중심으로

        민혜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들의 실정에 맞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교 교수 190명을 대상으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교수개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교수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수들은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는 다소간 동의했으나,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들은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학생참여를 증진시키는 교수방법 및 학문·학과 특성을 반영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잘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 프로그램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프로그램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업개선을 위해서 대학 차원에서는 강의개발을 위한 TA를 지원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고, 센터 차원에서는 동료교수들과의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원의 강의영역이나 재직연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센터가 비교적 일정 조정이 용이한 개인이나 소규모 인원 대상의 교육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강의영역이나 재직연수와 같은 교원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개발 프로그램 및 관련 제반 여건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들 간 교수법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