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구조주의적 서사의 조건 고찰: 배수아의 『멀리 있다 우루는 늦을 것이다』(2019)를 경유하여

        이인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3 사이 Vol.35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poststructuralist narratives while analyzing Being Far away, Uru will be late (Bae Su-ah, 2019). Therefore, this thesis first advocates the narrative theory of post-structuralism. However, while analyzing Bae Su-ah’s recent novel, Being Far away, Uru will be late, you will also be able to explore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author’s novel language. And you will explore these revealing that this novel shows the maturity of the writer’s post-structuralist orientation. The topographical map of the discourses that refer to “post” is usually not arranged. Among thes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s the most ambiguous. Therefore, rather than exploring the so-called “postmodern condition” as an ambiguous conception of criticism, this thesis will establish the new post-structuralist conditions of narrative based on Derrida’s post-structuralist philosophy, Saussure and Jacobson’s linguistics, and Freud and Lacan’s psychoanalysis. The work that this paper specifically performs is the following three. The first is to closely connect the language structure to the post-structuralist world-view by specifying the language structure of the unconscious that is woven through metaphor and metonymy. This will further contrast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second is to apply structural narratology to post-structuralist philosophy and linguistics to identify post-structuralist language at the level of narrative rather than everyday language. Third, by analyzing Bae Su-ah’s text, which is the epitome of such a narrative, it contributes to polishing the language of criticism that can analyze such a novel. 이 논문은 멀리 있다 우루는 늦을 것이다 (배수아, 2019)를 들여다보면서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서사의 조건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먼저 포스트구조주의 서사론을 표방한다. 하지만 배수아의 최근 단행본, 멀리 있다 우루는늦을 것이다 를 분석하면서 작가의 소설 언어의 중요한 특징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소설이 작가의 ‘포스트’한 지향의 성숙을 보여주는 점을 밝힘으로써다. ‘포스트’를 운위하는 담론들의 지형도는 대개 ‘정돈’되어 있지 않다. 실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부터 그렇다. 이 논문은 혼란에 쌓인 비평적 개념으로서 이른바 ‘포스트모던의 조건’을 탐색하기보다 (포스트)모던한 언어의 조건을일정하게 규명한 데리다의 포스트구조주의 철학, 소쉬르와 야콥슨의 언어학,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기반으로 포스트구조주의적 서사의 조건을 새롭게 정초할 것이다. 이 논문이 특별히 수행하는 작업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는 은유와 환유로직조되는 무의식의 기표 구조를 구체화함으로써 이를 포스트구조주의적 세계관에밀접하게 접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도 한층 대조할것이다. 둘째는 포스트구조주의 철학과 언어학에 구조주의 서사학을 적용해 일상언어보다 정세한 서사의 수준에서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언어를 규명하는 것이다. 셋째는 이러한 서사의 전형을 배수아의 텍스트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런 소설을분석할 수 있는 비평 언어의 연마에 일조하는 것이다.

      • KCI등재

        보편을 다시 무대에 올리며, 보편의 상 아래에서 말하기 - ‘탈진실’ 시대 진리 개념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재구성을 위한 정치철학적 시론 -

        배세진(Sejin Bae)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4 신학과 학문 Vol.40 No.-

        본 논문은 현재 우리가 처한 탈진실 상황을 현행 논의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비판하기 위해 진리와 보편 개념을 포스트-구조주의적으로 재구성하는 정치철학적 행보를 취한다. 이는 다음의 네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첫째, 현재의 탈진실 상황을 진단하는 것을 넘어서, 이러한 탈진실 상황을 비판하는 담론들 또한 비판적으로 진단한다. 이러한 비판적 진단의 결론은 현재의 탈진실 상황을 비판하는 담론들이 영미 분석철학을 피상적으로 오해한 바에 근거한 속류화된 명제적 진리관에 따라 인지주의적인 방식으로 진리를 취급한다는 것이다. 둘째, 진리를 참의 차원으로 환원하는 이러한 시도를 비판하기 위해, 프랑스 역사인식론에 기반한 진리-역사-주체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삼각형 즉 포스트-구조주의적 진리관을 재구성한다. 포스트-구조주의적 진리관은 진리를 참의 차원으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진실의 차원으로까지 고양시킨다. 셋째,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의 보편에 관한 사유에 의거해 이 진리-역사-주체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삼각형을 보편의 삼각형으로 규정한다. 발리바르는 철학사에 의거함으로써 스피노자-비트겐슈타인, 헤겔-마르크스, 콰인-벤야민의 사유로부터 다의적 보편성, 갈등적 보편성, 번역으로서의 보편성이라는 보편성의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해낸다. 넷째, 이러한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진리와 보편 개념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 즉 진리와 보편의 기준의 자의성이라는 문제를 취급하기 위해 들뢰즈-니체적인 거짓의 용기에 대한 사유를 발리바르가 추수하는 구조로서 현행성의 철학에 의거해 비판한다. 이러한 네 단계를 거친 뒤 이에 기반해 본 논문은 탈진실 상황에서 진리와 보편을 지식인의 견지에서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지 규정한다. 본 논문의 목표는 진리와 보편을 현행 논의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사유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탈진실 상황을 넘어설 지적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study takes the politico-philosophical approach of reconstructing the concepts of truth and the universal in a poststructuralist way in order to criticize our present situation of post-truth. This approach takes the following four steps. First, beyond simply diagnosing the present post-truth situation, it also critically analyzes the various discourses that criticize the post-truth situation. The conclusion of this critical diagnosis is that the discourses which criticize the present post-truth situation treat truth in a cognitivist way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itional conception of truth, which is based on a superficial misunderstanding of Anglophone analytic philosophy. Second, in order to criticize these attempts to reduce truth to the dimension of the true, it reconstructs the post-structuralist triangle of truth-history-subject based on French historical epistemology, i.e. the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truth. The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truth does not reduce truth to a dimension of the true but elevates it to the dimension of truth itself. Third, it defines this post-structuralist triangle of truthhistory-subject as the triangle of the universal, based on the post structuralist philosopher Étienne Balibar’s reflections on the universal. Through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Balibar deduces three qualities of universality - equivocal universality, conflictual universality, universality as translation - from the thoughts of Spinoza-Wittgenstein, Hegel-Marx, Quine-Benjamin. Fourth, in order to address the objection that can be raised against the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truth and the universal, which is the problem of the arbitrariness of the standards for truth and the universal, it criticizes the Deleuze-Nietzschean reflection on the courage of the false, based on Balibar’s philosophy of actualityas- structure. Lastly, it reflects on how truth and the universal ought to be thought of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tellectuals in this post-truth situation. In the en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theoretical key to overcoming our current post-truth situation, by thinking about truth and the universal in a different way from current discourses.

      • KCI등재

        프랑스 이론과 사이버네틱스

        이택광(Taek-Gwang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4 비평과이론 Vol.29 No.1

        본 논문은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더 나아가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알려지고 수용된 전후 프랑스 철학 또는 이론과 사이버네틱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이버네틱스는 새로운 프랑스 이론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는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고, 포스트구조주의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런 사이버네틱스로 대표되는 통제기술에 대한 대응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프랑스 이론을 둘러싼 오해와 편견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현상을 낳은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와 다시 마주해야한다. 본 논문은 프랑스 이론을 전후 마국 중심으로 전개된 사이버네틱스 기술에 대한 성찰을 통해 등장한 하나의 지적 운동으로 보면서, 그 이론적 맥락을 사이버네틱스라는 키워드를 통해 다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런 새로운 고찰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 논리로 해석하든, 모더니즘의 연장선으로 해석하든, 근대성의 쇠퇴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한 새로운 인식론으로 해석하든, 1950년 이후 사이버네틱스에 대한 대항테제로 등장한 프랑스 이론의 계보를 재서술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프랑스 이론과 그 효과라고 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과거 시대의 유물로서 역사의 연대기 속에 묻혀서는 안 되며, 오히려 현재의 현실을 형성하고 있는 역사적 유산으로서 새롭게 검토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netics and the post-war French philosophies or theories known and embraced as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cybernetic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Lévi-Strauss’s structuralism, which was the cool of the new French theory, and that poststructuralism or postmodernism was a response to the technologies of control represented by cybernetics. From this perspective, the misconceptions and prejudices surrounding French theory must be confronted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that gave rise to the phenomenon of postmodernism. This paper looks at French theory as an intellectual movement that emerged out of the reflection on cybernetic technologies in the post-war period centred on the Maginot Line and revisits its theoretical context through the keyword cybernetics. This new examination will allow us to rewrite the genealogy of French theories that emerged after 1950 as a response to cybernetics, whether postmodernism is interpreted as a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as an extension of modernism, or as a new epistemology inevitably resulting from the decline of modernity.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rgues that French theory and its effect, postmodernism, should not be buried in the annals of history as relics of a bygone era but should be recognized as a historical legacy shaping our present reality and should be re-examined.

      • KCI등재

        탈식민주의인가, 후기식민주의인가: 김남주, 그리고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 20년에 대한 단상

        황호덕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1 No.-

        The research filed of postcolonialism in Korea spans about twenty years when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related concepts and books. Limiting the history of postcolonialism within the studie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period encompasses about fifteen years. This paper focuses on the various practices of translation related to postcolonialism over the past two decades and the achievements of scholarly research. Studies on postcolonialism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poststructuralism,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in the Third World, and psychoanalysis o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n contrast, the practices of postcolonialism in Korea was adopted as one of several methodologies that criticize modernity, nationalism, and the rules of nation-state, and that finally have overcomethe centro-homogenous writing and cognition on Korean history. In the conceptual mapping, postcolonialism has been translated into post/colonialism(Tʻalsingminjuŭi), postcolonialism(P'osŭt'ŭk'olloniŏllijŭm or Pʻosŭtʻŭkujojuŭi), or post-colonialism(Hugishingminjuŭi)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resistance, ambivalence, and continuity. Post/colonialism by emphasizing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is the translation that precisely includes the aim of overcoming(Tʻal) modernity, such as nation-states or colonialism. The translation of postcolonialism conveys ambivalence that includes historical practices and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and the actual lives and complicated practices of the colonized country on the other. Postcolonialism was chosen as a neutral term in order to combine the poststructuralism theory with the radical ideas of tri-continental’s resistance and the subaltern studies. Lastly, Post-colonialism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rder, experience and cultural mores of the colonized continues to be linked to the liberated country’s system and consciousness and culture. However, such practices of translation and writing could not overcome a kind of ‘memory regime’ that is strongly embedded in each East Asian states. As a result, the translingual, transnational and translational practices were conducted as either trans-macroscopic or trans-microscopic discourse, such as systematic analysis of the order of imperial history or the psychoanalysis of colonialism in Korea. In addition to the current flow of global modernity, the national memory regime belonging to mass-cultural representation tends to privatize or appropriate academic achievements likes the discovery of (post)colonial ambivalence. In this context, postcolonial studies are in a difficult position because scholars decipher their mission to re-articulate the criteria of the social sphere while carrying out their practical performance as critic, translators, and fighters. Hence, this paper describes the difficulties that postcolonial studies face, focusing on a new analysis called for in the study of Kim Nam-ju and post-Kim Nam-ju.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는 해당 개념의 번역 및 관련 서적의 번역사로 보자면 약 20년, 한국근대문학연구사에 국한해 보자면 약 15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지난 20년 간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번역과 학문적 성과를 ‘postcolonialism’ 개념의 번역적 산종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이론 및 문제의식의 상속 관계와 관련해 유로 아메라칸적 맥락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이 포스트구조주의의 번역과 제3세계 서벌턴의 재현 및 (후기) 식민지 지성 정신 분석과 연동되어 있음에 비해, 한국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근대성 비판, 민족주의 및 국민국가 비판의 과정에서 일국문화사를 극복하는 방법론으로 채용되었음을 논하였다. 한국의 포스트콜로닌얼리즘은 각각 저항, 양가성, 지속이라는 세 맥락에서 각각 탈식민주의, 포스트식민주의 또는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후기식민주의 등으로 번역되었다. 탈식민주의라는 번역적 실천은 주로 “근대 (국민국가/식민주의) 극복”을 목적으로 했기에 ‘탈식민화(decolonization)’라는 과제를 뚜렷이 발산했다.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경우에는 역사적 경험과 전망을 아우르는 말로 사용되는 한편, 식민지의 삶과 실천이 지닌 양가성을 강조했다.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이론을 트리컨티넨탈의 저항 ‘경험’과 서벌턴 연구라는 급진적 ‘시각’ 속에 종합하려 할 경우 이 중립적 용어가 선택되곤 했다. ‘후기식민주의’는 식민지 경험이 제도와 의식 차원에서 장기지속되었다는 가정 아래, ‘해방’ 후 문화의 식민지적 기원을 함축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실천들은 강고하게 자리자은 기억 체제(memory regime)를 극복하지 못한 채, 서발턴의 상황에 대한 유물론적 접근이나 제국사라는 큰 질서에 대한 제도 분석, 혹은 식민지성의 정신분석과 같은 초거대, 초미시 담론에 귀착되곤 했다. 국가 단위의 기억 체제가 학문적 성과를 사취/전유하는 작금의 상황과 글로벌 모더니티 속에서 이제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연구는 비평가, 번역가, 투사라는 실천적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한편, 사회적 장소 ‘내부’에 그어진 분할선들을 다시 그려나가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필자는 이를 김남주와 포스트 김남주 다음에 놓인 새로운 요청으로 암시해 보았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에 내재된 서구중심주의 비판

        최일성(CHOI Il-S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5 정치사상연구 Vol.21 No.2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관을 중심으로 그것의 서구중심주의적 성격을 밝힌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말 거의 동시대에 등장한 탈식민주의적 지적 흐름과 더불어 서구중심주의적 패권과 그 폐해를 비판하면서 서구적 이성 및 진보 개념에 대한 비판을 역설하였다. 그런 이유로 역사학분야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전략이 전일적 관념을 강조해 온 서구적 모더니즘과 결별함으로써 서구중심주의적 역사관을 극복할 수 있는 주요한 이론틀이라는 입장이 개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관을 추론하면서 그것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의 서구중심주의가 내재해 있음을 지적한다. 첫째, 어떠한 형태의 비판적 역사이론도 허용하지 않는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비서구사회의 미래지향적 변혁이나 개혁을 가능하게 만드는 역사이론은 불가능해진다. 둘째, 역사의 변화를 주도할 비판적・개혁적 주체를 해체시킨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장하는 권력의 해체는 서구적 입장에서는 업악적 권력층에 대한 해체로 이해될 수 있으나, 비서구적 입장에서는 해방을 위해 투쟁할 비판적・개혁적 주체에 대한 해체를 의미한다. 셋째, 역사적 맥락을 거부하는 이른바 몰역사성의 한계를 드러낸다. 이러한 입장은 결국 비서구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지배, 종속, 착취 등과 연관된 역사적 맥락을 간과하게 만든다. 넷째, 비서구사회가 당면한 역사적 실재를 보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비서구사회에 고질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고통의 연속성을 드러내는데 부적합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포스트모더니즘은 자신들이 비판하고자 했던 서구중심적 모더니즘의 역사관을 오히려 새롭게 양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western centric characters inherent in postmodern historical view. It seems that the postmodernism have criticised the western centric hegemony with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 flow, Postcolonialism in particular. In that reason, several historians have voluntarily accepted the postmodern research method known as ‘deconstructivism’ as an emancipatory discourse to rise above the modern historical perspectives. However this paper analyzed and revealed four aspects of western-centrism in its historical view as follows: First, the postmodernism do not allow any critical theory of history by which a future-oriented transformation or reform of non-western societies may possible. Secondly, the postmodernism tends to deconstruct the critical or reformist non-western subjects who are able to lead to a historical change in their society. The deconstruction of power would be in fact associated with the repressive power in western sense, but in non-western sense with the emancipatory one. Thirdly,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s there is a tendency to overlook non-western historical context concerned with their subordination or exploitation. Finally, the postmodernism do not want to see the historical reality of non-western societies in which the continuity of pain is usually chronic. In these respects the postmodernism could be also considered as a western centric theory.

      • KCI등재

        크라우스의 기호사각형을 통해 바라본 포스트-미디엄의 조건, 그리고 그 확장된 이해

        이현진(Lee, Hyun Jean) 서양미술사학회 201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9 No.-

        포스트-미디엄 조건에 대해 논하는 크라우스의 글 중 가장 최근 발표된 저서에는 ‘확장된 영역으로서의 미디엄’을 살피기 위한 기호사각형 분석이 추가된다. 기호사각형은 크라우스가 다른 미술비평 주제에서도 미술사적 분석이 아닌 객관적이고 철학적 비평을 위한 구조주의적 분석을 시도하기 위해 종종 사용해 온 도구이다. 가장 대표적으로 확장된 장으로서의 조각 (1979)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현대 조각의 흐름을 파악하고 확장된 조각의 영역을 되짚고자 기호사각형을 사용하였다. 『시각적 무의식』(1994)에서는 모더니즘 시각성의 본질에 대해 구조주의적 분석을 시도키 위해 기호사각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확장된 영역으로서의 미디엄을 위한 기호사각형은 그동안 그가 개진해 온 포스트-미디엄을 이해하는데 보다 구조적인 관점을 제공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크라우스는 한동안 포스트-미디엄 조건에 대해 분석하고 미디엄을 재고안하고자 시도하며, ‘미디엄’이라는 과거 용어의 사용을 거부한 채 ‘기술적 지지체’라는 표현을 대체 사용하고, ‘미디엄은 기억’이라는 확장된 주장을 펼쳐왔다. 이를 위해 그는 기호사각형에서 ‘기억’과 ‘망각’의 복합항 조합에 미디엄을 위치시키고, ‘망각’과 ‘망각-아님’에 ‘기술적 지지체’를 위치시킨다. 또한 ‘기억-아님’과 ‘망각-아님’의 중립항에 ‘설치’를 놓고, ‘기술적 지지체’ 반대편에 ‘키치’를 놓음으로써, 그가 여러 차례 거부감을 드러낸 바 있으며, 포스트-미디엄 상황을 촉발시키는 요인으로서 논하는 설치에 대한 입장을 구조화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라우스가 펼친 기호사각형을 통한 논의의 의미와 목적을 살피는 가운데, 기호사각형을 통한 포스트-미디엄 논의를 따라 분석해가며, 이 접근이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되짚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크라우스가 시도한 미술사 및 비평적 분석의 흐름 안에서 포스트-미디엄은 이들과 어떤 맥락적 유사성 혹은 차별성을 가지는지 살핀다. Discussing the post-medium condition, Krauss explores ‘the medium as expanded field’ through a semiotic square. A semiotic square is a tool used to apply structuralists’ view on the subject. It is used to grasp how modern sculpture has expanded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in Sculpture in the Expanded Field (1979), and again to articulate how Modernist art develops two different fields of visions in The Optical Unconscious (1994). The square for the medium also provides a structured view to understanding Krauss’s idea of post-medium. As she has used ‘technical support’ and “the medium is ‘memory’” to articulate the medium, we can trace the ‘medium’ on the complex axis of ‘memory’ and ‘forgetting,’ and her view of ‘installation’ on the neural axis in the square. And it also allows us to understand more how ‘technical support’ and ‘kitsch’ are related to medium and installation respectively. Examining Krauss’s notion of the post-medium, this paper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Krauss’s approach and discusses how her new semiotic square shares the contextual similarity or difference with her previous ones.

      • KCI등재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양은정 ( Eun Jung Yang ),정의숙 ( Eui-sook Jung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1

        본 연구는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대표적인 철학자로 거론되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철학적 사유와 더불어 춤문화연구를 통해 춤학문의 범위를 넓힌 수잔 리 포스터(Susan Leigh Foster)의 포스트구조주의 담론을 통해 춤학문과 역사 속에서 간과되었던 한국 대중춤 연구의 방법을 새롭게 마련하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다시 쓰고자 하는 일고찰(一考察)이다. ``대중``이란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고, ``대중춤``에 관한 언급 또한 사회 안에서 자주 이슈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중춤 연구의 주목을 통해 춤 연구의 패러다임을 확장시키는 것은 현재의 우리 모습을 춤으로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제II장에서는 포스트구조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인 질 들뢰즈의 ``리좀``의 철학적 사유와 춤문화 연구를 통해 춤추는 몸의 영역을 확장한 미국학자 수잔 리 포스터가 제시한 순회학문 (Ambulant Scholarship)의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대중춤의 사유모델 및 연구방법론을 그들의 담론에서 찾고자 했다. 제 III장에서는 사회, 정치, 문화 및 역사와의 연계 속에서 몸의 다양한 담론을 형성한 춤문화연구에 영향을 준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대중문화연구(Popular Cultural Studies) 및 대중예술(Popular Arts)과의 연계를 통해 대중춤의 범주, 속성 및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제 IV장에서 한국 대중춤의 유형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포스트구조 주의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춤 연구의 체계를 잡고 그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 문화연구에 기반 한 대중문화 및 대중예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대중춤의 유형, 범주 및 특징을 정립하고, 포스트구조주의의 철학적, 미학적, 사회문화적인 담론들과의 연계 속에서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The steps and patterns of popular dances tend to reflect the values and attitudes of society in the 20th century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popular dance which is based on the postsructuralist approahces.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popular dance in conjunction with the philosophical, aesthetic, and sociocultural discourse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Deleuze-Guattarian philosophy of the body and Susan Leigh Foster``s ``Ambulant Scholarship" in consideration of the popular dance as a critical inquiry. In Anti-Oedipus,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analyzed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with body and desire in which explain the individual integrity and internal relation of beings in the society. Susan Leigh Foster examines the dancing body as a primary text such as "writing body" and "written body" which means embodied-cultural practice. Foster pointed out the "Ambulant Scholarship" which means the conception of body as tangible physicality transporting psychological and social values likewise popular dance. Thoses two philosophical discourses enable to expand the range of bodily actions and endeavors that deserve our attention in the cultural practices. Second, this study has proceeded after classifying popular dance into a type of dance that has been most frequently addressed in connection with media and dominant culture. Third, this study attempt to re-write the bodily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s and meanings overlooked in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is necessary (1) to extend the paradigm by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popular dance,`` which have been classified as a neglected view on the traditional scholarship in dance, (2)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popular dance by understanding aspects of changes i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r dance in Korean society, and (3) to promote the social influence and status that dance has by examining the features of popular dance past and present.

      • KCI등재

        포스트구조주의 언어학의 알레고리적 서사, 『에세이스트의 책상』(배수아, 2003) 연구

        이인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7

        이 논문은 『에세이스트의 책상』(배수아)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이 소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 즉 언어에 대한 서술자의 에세이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언어학을 추구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이 소설이 이런 언어학을 알레고리화 하는 서사임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결국 이 알레고리적 서사가 내포하고 있는 염세주의적인 세계관까지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소설에서 내부의 타자성이 아니라 ‘외부에서 주체를 관통하는 무수한 타자성’이, 모던하다기보다 포스트모던한 서술적인 주체성을 형상화했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을 계승한다. 하지만 이 논문은 소설이 모던한 주체의 현전을 해체하는 포스트모던한 국면보다 이 현전의 기반이 되는 구조주의의 보편구조까지도 벗어나는 포스트구조주의적인 국면을 읽어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한 언어 기표들의 구조적인 ‘소묘’가 내포하는, 이 소설의 염세주의적인 세계관까지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소설 언어에 관한 작가의 자의식을 가장 판명하게 노정한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배수아의 “소설 쓰기” 스타일 자체를 상호텍스트적으로 탐색하게 할 주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이 논문이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재독하면서 특별히 통찰하는 점은 기본적으로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M이라는 인물이 체현하는 음악적인 보편구조를 탐색하는 점이다. 둘째는 M이 체현하는 음악적인 보편구조와, 에리히가 체현하는 민족언어의 공모관계를 탐색하는 점이다. 셋째는 ‘나’가 체현하는 언어적인 보편구조를 통찰하는 점이다. 이 구조들을 대비함으로써 이 논문은 결국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소설)언어의 보편구조를 만드는 기표들의 ‘소묘’가 세계의 무상성이라는 기의를 배태한다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이는 배수아의 소설언어와 염세주의적 세계관을 이론적으로 정초함으로써 향후 작가론을 심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탈구조주의적 수업설계를 통한초등실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 방안 연구

        윤지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PAE) based o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ISD) which orient to Post-Structuralism. For this porpose, the theories of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ere reviewed, and the affects on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SD, and instructional methods were analysed. Post-Structuralism in education was critically answered to “structure” concept using Deconstructionism thought by Jaques Derrida, Post-Modernism discourse, Social-Constructivism, and ISD on ‘Soft Systems Theory’.As results, two major results were founded. First, ISD on Practical Arts Education(PAE) consists of methodological factors, constructive factors, contextual factors, which interact through the strategies of “diffrance” and “scaffolding”. Second,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PAE moved on the continued arrow of Structuralism-Poststructuralism based on 12 guidelines regardless any types or models. Therefore, without well-structured knowledge and previouslly designed systematic instruction, the meaningful and valuable instruction can be rea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에 미친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적 경향을 탐색함으로써 탈구조주의적 가정을 지향하는 초등실과교육의 교수설계의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는 교수방법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구조주의는 실증주의·객관주의·경험-분석적 패러다임·행동주의·인지적 구성주의에 의존하며 명증성, 객관성, 전체성, 탈주체성, 이항대립, 가시성, 논리성, 적확성, 효율성, 예측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교육에서도 이러한 가정은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부분에 오랫동안 강력한 영향을 주어왔으며, 그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분석적 패러다임, 경성체제 교수설계이론, 경직된 교수방법의 활용 등에 반영되어왔으며 실과교육에서도 이러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탈구조주의적 교육관의 반론은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포함하여 특히 Jacques Derrida를 비롯한 해체적 사고의 방법, 교육에 관한 포스트모더니즘 담론, 사회적 구성주의, 연성체제 교수설계이론 등을 빌려 구조 개념에 도전한다. 연구 결과 탈구조주의적 초등 실과 수업설계의 중요 요소들은 크게 방법적 요소들, 구성적 요소들, 맥락적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연과 scaffolding의 전략에 의존하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의미를 구성한다. 실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은 수업 설계의 요소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특정 모형이나 방법과는 상관없이 12가지 기준에 의해 구조주의적 수업 방법과 탈구조주의적 수업 방법의 연속선 상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포스트 시대 질적 연구방법론의 경향과 논리 : 해체와 생성의 패러다임

        유혜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6

        이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통칭되는 우리 시대의 여러 "포스트" 사조들이 질적 연구방법론의 사상적 토대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 이 사조들의 핵심 사상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최근 질적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유아교육 연구를 위한 연구 논리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질적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의미의 이해는 의미 개념을 어떠한 관점으로 보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의미론의 관점을 실증주의, 현상학, 구조주의를 포함하는 전통적 사조의 의미론과, 이에 대비되는 후기구조주의 및 탈구조주의를 포함하는 포스트사조 의미론으로 나누고, 각각의 관점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위한 함의를 개발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1990년대 초에서 현재에 이르는 질적 연구방법론의 발전과정을 전통적인 실증주의적 시기, 해석주의 경향과 장르혼합의 갈등기, 초학제적 접목을 통한 해체와 생성의 시기로 나누고, 그 속에서 일어난 여러 방법론적 쟁점들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에 근거하여 포스트 시대 질적 연구의 논리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탈중심화 현상과 주변부 목소리 듣기, 의미의 입체적 장(場) 및 중층적 맥락 중시, 갈등과 긴장, 역동적 흐름 강조, 공동참여와 행위적 실천 강조, 민주적이고 협동적인 관계성 강조, 형식의 해체와 자유로운 실험적 재구성이다. 이와 같은 포스트 사조의 연구 논리들은 아직 실증주의의 거대담론적 지배에서 자유롭지 못한 유아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를 위해 그 주제 영역의 확장과 연구 형태 및 글쓰기의 변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동등한 관계 촉진, 텍스트중심의 연구 풍토와 경험적 현실계의 간극 해소 등에 기여하면서 유아교육 현실의 실천적 변혁을 지향하고 있다. I attempt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research logic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understanding the core ideas of many so-called "post-" streams of thoughts. This is because "post-" streams of thoughts provide the basic philosophical ground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s the initial step I outline the perspectives of the four major perspectives on the concept of "meaning" in relation to their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hich are firstly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that include positivist, phenomenologist, and structuralist perspectives, and secondly the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thinkers such as Deleuze and Derrida. With such knowledge I analyze the overall stages of the development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ince the 1900s into three categories: The traditional positivist period; the interpretivist trend and the blurred-genre period; and lastly the period of "deconstruction" and "becoming" through transdisciplinary connections among social sciences, humanities, and qualitative research. This allows me to draw the essential research logic from the latest development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to discuss them into six following themes: The decentering phenomena and the listening to the voices of peripheral groups; the emphasis on the multi-layed context and multi-dimensional field of meaning- construction; the focus on the conflicts and tensions among participants, and the dynamics of research process; the collaborative participation in the research situation and action-oriented praxis; the democratic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nts; and lastly the de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the experimentation of writing and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