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애착도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인식 차이 : 폐광지역 7개 시·군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이한나(Lee, Hanna),이원학(Lee Wonhak),김승희(Kim, Seunghee),김선주(Kim, Sunju)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지역 주민의 애착도 형성요인이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유형별 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지역개발사업 사업추진을 위한 방향성 설정에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지역애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 나타난 지역정체성, 지역의존성, 사회적친분 항목을 구성하고 지역상실감 항목을 추가하여 폐광지역주민의 지역애착도 항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항목은 5점 라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지역애착도를 토대로 폐광지역 주민의 지역애착도 형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돤 지역애착도 형성요인을 변수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폐광지역주민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 간 폐광지역에서 이루어진 개발사업의 성과와 「폐특법」 2차 연장의 시효만료로 인하여 2025년 개발사업 중단 시의 파급영향을 측정하였다.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개발사업의 성과와 파급영향의 범위는 교통, 경제, 정주·환경, 보건·복지, 문화, 교육부문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사업의 성과는 추진된 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로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만족도 항목에서 1점은 개발사업에 대해 전혀 만족하지 않음이며, 5점은 개발사업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하였다. 폐광지역 개발사업 중단 시 영향력 항목의 경우 1점일 경우 폐광지역 개발사업이 중단된다고 하여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 5점일 경우 폐광지역 개발사업이 중단될 경우 매우 영향을 미침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Residents of abandoned mine areas share emotional and functional attachments based on their lives in the area. It has experienced the revival of the coal industry and is proud of its contribut ion to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compression growth period.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eeling of loss due to the rapid economic decline. Moreover, concerns and concerns about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ut in abandoned mine areas, such as anxiety that development projects will no longer be carried out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second extension of the Abandoned Mine Area Act in 2025, and the sluggishnes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performed so far to hav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act that residents of abandoned mine areas have special feelings for the area, and the perception of development projec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attachment to the area.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cluster type according to the local attachment level of the residents of the abandoned mine area, targeting the residents of 7 abandoned mine areas nationwide,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by type.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and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ject of the residents of the abandoned mine area at this point, an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abandoned mine area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 KCI우수등재

        폐광지역 변화와 폐특법 개정방안 연구

        김영미,이원학,김승희,장희순,김선주 한국정책학회 2022 韓國政策學會報 Vol.31 No.1

        In 1995,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a temporary law to promote economic growth in abandoned mine areas that had been economically depressed since the adoption of the Coal-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of 1989. That is the Special Act on the As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 Areas (henceforth, ADAMA). On March 9th, 2021, the ADAMA’s sunset clause was expanded from 2025 to 2045 through a partial amendment after the approval of the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on February 26th, 2021. The purpose of ADAMA was to licens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asinos for the residents in the region (KangwonLand) and raise financial resources through it to secure a local development fund (Abandon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for the economic revival of the region. This allowed seven cities and counties in abandoned mine areas to attract more than 3 trillion Korean won, making it possible for them to carry out many projects that had been difficult to implement, such as improving SOC, maintenance of roads and underdeveloped urban districts,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industry.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made by municipal governments, population drainage continues to grow, losing almost 70% of the region’s entire population. In this situ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region will be come extinct, and its process can be accelerated overtime due to ADAMA’s temporary legal status. This further raises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amendments to the law in the futur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s conducted. As of now, about 25 years have passed after the enactment of ADAMA, we need a study to analyze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the investment from holistic and legal perspectives. After examining majo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vestment made in the abandoned mine areas, this study offers three suggestions for amending ADAM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imilar laws in more advanced regions. First, we need to remove the sunset clause for ADAMA. Second, there need to be safe methods to secure the Abandon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Third, we need to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that oversees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 order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the abandoned mine areas, there need to be continued amendments to ADAMA in the future. 정부는 석탄산업합리화정책(1989년)으로 인해 침체된 폐광지역 경제 진흥을 위하여 한시법인 「폐광지역 개발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폐특법)」을 1995년 제정하였다. 이번 2021년 2월 26일 국회 상임위 통과 후 일부개정(2021.3.9.)을 통해 폐특법의 시효는 2025년에서 2045년까지 연장되었다. 폐특법의 핵심은 폐광지역 경제를 회생할 수 있도록 내국인 카지노(강원랜드) 설립・운영 허가와 함께 이를 기반으로 지역개발 재원(폐광지역개발기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2019년까지 폐광지역 7개 시군에 약 3조 원 이상의 재원 투입을 가능하게 하여, 광산도시의 특성상 기업 유치에 취약했던 도로・SOC, 시가지 정비, 대규모 리조트 조성 등 대체산업 발굴을 위해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70% 가까운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폐특법의 한시성 등이 여전히 존재함으로 인해 지역 소멸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잔존하고 있어, 추가적인 법 개정의 필요성은 지역사회에 매우 중요한 현안 이슈이기 때문에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폐특법 제정 후 약 25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지역투자 성과 및 한계점을 총체적인 분석과 법제도 측면에서 이를 진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폐광지역 투자 전후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고, 보다 선진적인 타 지역의 유사법률 비교 분석을 통해 폐특법의 주요 개정방안 3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폐특법의 기간 폐지다. 둘째, 폐광지역개발기금의 안정적 확보 방안 마련이다. 셋째는 지역개발 정책을 총괄하는 거버넌스 체계 확립이다. 폐광지역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법률안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폐광지역발전을 위한 폐광산 활용방안 연구: 지하 데이터센터 및 공공체육시설로의 운용성 평가

        김형걸,김강희,빈상현,우원식,차종문,현창욱 대한지질공학회 2023 지질공학 Vol.33 No.4

        폐광산은 자원의 고갈 및 산업환경의 변화로 인해 폐쇄된 유휴공간이다. 이러한 폐광산의 지하공간은항온성, 차광성, 보안성과 같은 고유 특성을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로의 재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지하공동의 재활용 방안 가운데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센터 및 폐광지역 주민복지를 증진시키는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해외 폐광산 내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현황 및 지하공간의 이점을 활용한 데이터센터 운용기술을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폐광산 종류별 지하공간 규모를 고려하여 공공체육시설 중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복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생활체육시설로 선택된 12개 종목에 대해 경기장 설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폐광산 지하공간의 데이터센터 및 공공체육시설로의 활용은 단순히 산업유산의 재활용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과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andoned mines represent unused space resulting from resource use and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s. Efforts are underway to repurpose such underground spaces, leveraging their unique attributes of temperature stability, shading, and security.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operating high-demand data centers and public sports facilities as potential recycling options for abandoned mine spaces. The status of data centers located in abandoned mines abroad was examined, including their operational technology capitalizing on the advantages of underground spaces. Considering the varying sizes of underground spaces in different types of abandoned mine in South Korea, the suitability of installing facilities for 12 different sports was evaluated for potential contributions to the health and welfare of local residents. The utilization of abandoned mine spaces as data centers and public sports facilities is expected to not only recycle industrial heritage but also to allow new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폐광지역의 오염현황 및 환경관리 전략

        정재춘(Jae-Chun Chung),이무춘(Moo-Choon Lee) 유기성자원학회 1997 유기물자원화 Vol.5 No.1

        현재 우리나라에서 휴· 폐광된 광산수는 약 500 여개가 념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휴· 폐광된 광산은 경관의 저해 벚 분진발생,중금속에 의한 토양,지하수 벚 하천오염,산성광산 배수의 생선,지반붕괴 동 안전사고의 위험 등의 환경문제를 안고 있다. 국내에서 조사된 일부 휴 • 폐광된 금속광산의 오염현황을 보면 폐석 방치,침출수,갱내수의 유출,인근 하천 벚 토양의 중금속 오염,시셜물의 붕괴위험을 안고 있는 폐광산이 상당히 발견되고 있다. 휴 · 폐광된 광산의 관리대책으로서는 법규를 정비하여 토양환경보전법에 광산지역의 토양오염기준 복원기준 등이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광산폐수,폐기물을 적절히 처리해야 하며 지반침하대책 빚 폐광의 지하공간 활용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잭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휴 • 폐광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오염복원순위의 설정,재원 및 전문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There are approximately 500 abandoned mining sites in Korea. Abandoned mines cause various environmental and safety problems such as landscape damage, soil, groundwater and stream pollution by heavy metal, acid mine drainage and soil eros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significant numbers of mines caus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 For a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abandoned mines, the Soil Pollution Control Act should include the regulation concerning soil pollution and recovery standards of the abandoned mines. Also, comprehensive survey about abandoned mines, setting-up of the recovery priority, finance for clean-up are necessary.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폐광지역 키워드 분석: 온라인 뉴스 기사와 댓글을 중심으로

        최윤서 ( Yunseo Choi ),노승국 ( Seungkook Roh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온라인 뉴스 기사와 뉴스 이용자의 댓글에 나타난 폐광지역의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보도된 22,735건의 온라인 뉴스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NetMiner 4.0을 분석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폐광지역에 관한 이슈는 ‘강원랜드’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둘째, 폐광지역과 관련된 뉴스 기사는 지역적 관점에서 지역개발, 지원사업 등이 논의되었다. 셋째, 폐광지역 지역발전 논의에서 ‘균형발전’이 등장하였으나 다른 키워드에 비해 영향력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폐광지역을 국가균형발전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폐광지역 7개 시군을 연계한 균형발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끝으로, 강원랜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폐광지역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강원랜드를 활용한 지역 이미지 개선과 함께 지역진흥에 부합하는 전략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andoned mine areas in online news articles and user commen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2,735 online news articles report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20 were collected and Netminer 4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ssues related to the abandoned mine areas were focused on “kangwonland”. Second, articles for the abandoned mine area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projects as a regional perspective. Third, the concept of “balanced development” was exposed along with other words in the regional development of the abandoned mine areas, but it was not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evelopment strategy to link the seven cities and counties of the abandoned mine areas for inducing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inally, A negative view of kangwonland directly affects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abandoned mine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ocal image using kangwonland and to prepare a strategic plan suitable for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강원도 폐광지역 도시브랜드 포지셔닝 - 정선, 태백, 영월, 삼척을 중심으로 -

        김소영,이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9

        폐광지역은 사람들의 인식에 아직도 쇠락한 도시와 낙후된 인프라, 도박의 도시라는 어두운 이미지로 각 인되어 있다. 이는 도시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시키 기보다는 시설 투자와 재정지원에 중점을 준 지원책 의 한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오늘날 지자체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에서 도시브랜 드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 으나 폐광지역의 도시 브랜딩은 그 어느 지역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도약기에 들어선 폐 광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에 맞는 브랜드 전략 수립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광 이후 급속도로 쇠퇴한 강원도 4개(정선, 태백, 영월, 삼척) 폐광지역의 중장기 핵심과제에 따른 브랜드 포지셔닝 분석 모형을 통해 각 지역의 특색과 정체성,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콘텐츠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별 브랜드 포지셔닝의 방향성이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브랜드 구축보다 는 환경과 기반시설 투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기존 사업의 방향성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폐광 지역의 도시브랜드 포지셔닝은 ‘폐광’의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한 시도로 활용되어야 하며, 각 지역별 컨셉에 맞는 스토리텔링 개발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 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For most people, abandoned mine areas are still imprinted with a dark image of a declining city, underdeveloped infrastructure, and a city of gambling. This can be said to be due to the limitations of support measures that focused on facility investment and financial support rather than changing the image of the city. Today,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develop and revitalize urban brands, but urban branding in abandoned mine area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any other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above all to establish a brand strategy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abandoned mine areas that have entered a new leap forward. In this study, four Gangwon-do regions (Jeongseon, Taebaek, Yeongwol, Samcheok) that declined rapidly after the abandoned mine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region's unique content were derived through the brand positioning analysis model according to the mid- to long-term core tasks of the abandoned mine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brand positioning by region was different, and this was analyzed that it was due to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business that focused on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investment rather than brand construction. Therefore, urban brand positioning in abandoned mine areas should be used as an attempt to escape the image of "closed mine," and the brand image should be built through storytelling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regional concept.

      • KCI등재

        구동독광산 구조개편 사례를 통해 본 통일 이후 북한 폐광지역 지원방안

        임윤구,정대교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problems that will arise in North Korea's abandoned mine areas after unification, in comparison to the case of former East German mine restructuring after German unification, as well as to search rational policy to mitigate the social and economic chaos that will result from mine closure. In 1990, an attempt by Unified Germany to transit former East German state-owned mines to some private sectors failed, and the number of mining closures increased due to poor management. Former East German mines were affected by uncontrolled mining pollution and a policy of production reduction due to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local economic situation in the mining areas had deteriorated with a high unemployment rate. The Unified German government halted its privatization strategy and established the public corporations to rehabilitate mine damage through gradual restructuring while also initiating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When the Korean Peninsula is unified, North Korean miners will face higher production costs, strict environmental controls, and finally production cuts.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North Korean mines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minimizes the negative economic impact on the local people, based on an unbiased review from a qualified mining institution. A mid- to long-term assistance plan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North Korea's mining industry, and mine damage should be managed under a strict inspection of contamination. The abandoned mine areas in North Korea will be transformed into a new place of peace culture if the distinctive cultural contents of a mining area are established while preserving the historical heritage of North Korean mines. 이번 연구는 독일 통일 후 구동독광산의 구조조정 사례 분석을 통해 통일 이후 북한 폐광지역에 발생할 수있는 문제점들을 예측하고 폐광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혼란의 최소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0년 통일 독일은 대외매각을 통해 구동독 국영광산의 민영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경영악화로 운영을 중단하는 광산이 급증했다. 구동독광산은 환경문제와 온실가스 규제 강화에 따른 감산 정책으로인해 추가적인 타격을 받았으며 광산 지역의 치솟는 실업률로 인해 주민들의 삶의 기반은 붕괴하게 되었다. 독일 정부는 광산의 민영화를 중단하고 공기업을 설립해 단계적인 광산 구조조정과 함께 광해복구와 도시재생 사업을 동시에 추진했다. 향후 남북한이 통일될 경우 북한지역 광산도 생산원가 급등, 환경규제 강화, 생산감축압박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북한광산의 구조개편은 광업 전문기관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사회의 경제적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북한 광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지원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광산지역 오염실태에 대한 정밀 진단과 함께 광해복구사업도 병행되어야 한다. 북한광산의 역사적 유산의 보존과 함께 광산지역 고유의 문화콘텐츠가 개발된다면 북한의 폐광지역은 새로운 평화문화의 공간으로 변모될 것이다.

      • KCI등재

        폐광산주변 토양의 환경영향해석을 위한 수학적 접근

        김광태 ( Kwang Tae Kim ),강미아 ( Mee A Kang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3

        폐광산 인근의 토양과 광미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중금속과 강산성의 배수가 주요한 원인물질이다. 이러한 오염원들은 인근의 토양까지 오염이 확산되어 결국 사람에게 건강상 유해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폐광산을 대상으로 이들의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중금속 오염수준예측을 위한 수학적 접근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폐광산으로부터의 거리와, pH 및 산화환원전위(ORP)의 경시변화를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성을 방정식으로 도출하였다. 대상으로 한 폐광산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보였으나, 60일간의 실험기간동안 변화되는 pH와 ORP는 초기의 pH와 ORP를 기준으로 할 때, 변화율이 0.95~1.03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기의 pH와 ORP를 기초로 폐광산 인근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중금속류의 용출정도를 예측하여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접근방법은 다른 폐광산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거 또는 제어 대상인 중금속류의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reason of the pollution caused by soils and tailings located at discussed mines is heavy metals and AMD(acid mine drainage). Human health is affected by these pollutants which are spreaded from the abandoned mines. In this study, we try a mathematical approach to predict the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caused by the surrounding soils of abandoned mines. The new approach is established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and pH, ORP. The change of pH and ORP can be described by the rate of initial values to experimental values. We demonstrate a realistic possibility of the mathematical approach to assess an environmental impact from disused mines cause the rate range is 0.95 to 1.03 for 60 days. Therefore our proposed approach will be useful as a few promising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heavy metals in many mines.

      • KCI등재

        토양 및 광미의 용출실험을 이용한 폐광산오염수준의 모니터링

        강미아 ( Mee A Kang ),김광태 ( Kwang Tae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3

        국내에서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폐광산으로부터의 중금속오염도 모니터링사업을 위해 토양 중의 중금속 함양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중금속의 오염도 수준은 토양 중의 농도 뿐 만 아니라 이들의 용출 및 이동에 의한 오염도 확산에 의한 평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이 심한 폐광산 인근의 토양과 광미를 대상으로 용출시험을 실시하여 8개 중금속의 용출 수준을 파악하였다. 2개 지점에서의 시료를 대상으로 한 결과, Pb, Cd 및 Mn의 용출거동이 유사하였고, Cu와 As의 용출거동이 유사하였다. Zn의 경우에는 다른 중금속과 달리 45일간의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용출이 발생하였으며, 높은 농도(40 mg/kg)로 검출되었다. 이것은 아연의 총함유량이 많은 것과 토양중에서 이온상태로 쉽게 용출되는 ORP의 조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중금속의 용출에는 pH 뿐 만 아니라 산화환원전위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폐광산 관리에 있어서는 중금속의 함유 농도 뿐 만 아니라 이들의 산화환원전위도 함께 조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기초로 화학형태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용출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광산 유래의 중금속으로부터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The contents were investigated by the monitoring survey from the soils and tailings caused by numerous abandoned mines in Korea. Cause heavy metals due to abandoned metal mines are raising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s. But it is an important key such as a leaching and a transfer mechanism to evaluate contamination levels caused by abandoned mines. In this study the column test was carried in order to calculate a leaching level from soils and tailing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leaching of Pb, Cd and Mn was expressed with similar behaviors and that of As and Cu was expressed with similar behaviors. For Zn, the leaching behavior was shown a serious leaching level with 40 mg/kg during the 45days. This was explained by Zn high contents of soils Zn in a natural world and ORP conditions where the leaching of Zn was occurred easily. Hence it was necessary that the survey of ORP was a key as well as total contents for the management of abandoned metal mines. We could estimate the chemical forms of heavy metals using the physical index such as ORP and pH and reduce the risk from heavy metals caused by abandoned metal mines.

      • KCI등재

        국내 전형적 금은 및 비 (base) 금속 폐광산지역의 중금속 오염특성

        전효택(Hyo-Taek Chon),안주성(Joo Sung Ahn),정명채(Myung Chae J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extent and degree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 draw general conclusions on the fate of toxic elements derived from mining activities in Korea. Eight abandoned mines with four base-metal mines and four Au-Ag mines were selected and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surveys in those areas were discussed. In the basemetal mining areas, the Sambo Pb-Zn-barite, the Shinyemi Pb-Zn-Fe, the Geodo Cu-Fe and the Shiheung Cu-Pb-Zn mine, significant levels of Cd, Cu, Pb and Zn were found in mine dump soils developed over mine waste materials, tailings and slag. Furthermore, agricultural soils, stream sediments and stream water near the mines were severely contaminated by the metals mainly due to the continuing dispersion downstream and downslope from the sites, which was controlled by the feature of geography, prevailing wind directions and the distance from the mine. In the Au-Ag mining areas, the Kubong, the Samkwang, the Keumwang and the Kilkok mines, elevated levels of As, Cd, Cu, Pb and Zn were found in tailings and mine dump soils. These levels may have cause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those elements in stream sediments and waters due to direct discharge downstream from tailings and mine dumps. In the Au-Ag mines, As would be the most characteristic contaminant in the nearby environment. Arsenic and heavy metals were found to be mainly associated with sulfide gangue minerals, and mobility of these metals would be enhanced by the effect of oxidation. According to sequential extraction of metals in soils, most heavy metals were identified as non-residual chemical forms, and those are very susceptible to the change of ambien conditions of a nearby environment. As application of pollution index (PI), giving data on multi-element contamination in soils, over 1.0 value of the PI was found in soils sampled at and around the mining areas.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폐광산지역의 주변 환경오염 양상을 평가하고 독성 중금속 원소들의 거동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 이를 위해 국내의 전형적인 비 (base) 금속 광산과 금은 광산 4 개 지역을 각각 선정하여 환경오염 조사결과를 상호 비교 , 검토하였다 . 비금속광산으로서 삼보 Pb-Zn- 중정석 , 신예미 Pb-Zn-Fe, 거도 Cu-Fe 및 시흥 CuPb-Zn 광산지역의 광미 및 슬래그 등 폐기물에서 유래된 토양에서 상당한 수준의 Cd, Cu, Pb 및 Zn 의 함량이 나타났다 . 또한 광산 하부지역 주변 농경지 , 하상퇴적물 및 하천수에서도 지속적인 분산의 영향으로 심각한 오염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광산으로부터의 거리 , 풍향 , 지형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 구봉 , 삼광 , 금왕 및 길곡 금은광산지역에서도 광미 및 광산 폐기토양에서 As, Cd, Cu, Pb 및 Zn 의 높은 함량이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하부유출로 하상퇴적물 및 하천 수의 오염을 유발하고 있었다 . 금은광산지역에서 비소가 특징적인 환경오염 원소로 나타났으며 중금속원소와 함께 황화 광물에서 비롯되어 산화영향에 따라 그 이동도가 증진될 수 있다 . 토양시료의 연속추출 분석결과 대부분의 중금속은 비잔류성 형태로 존재하며 주변 환경조건의 변화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오염지수의 적용결과 폐광산 토양에서 1.0 이상으로 중금속원소들의 복합적 오염양상을 나타내었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