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행 경영평가시스템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용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1

        현행 은행경영실태평가 모형은 CAEL의 계량지표 14개와 비계량지표인 경영관리부문 및 시장리스크에 대한 민감도를 고려하여 경영실태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계량지표 변수간의 다중공선성이 발생할 경우 부실은행의 예측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경영평가모형이 은행의 경영성과를 얼마나 정확하게 평가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14개의 계량지표로는 다중공선성 문제로 인해서 부실예측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밝혀내고, Backward selection기법으로 현행평가모형에서 유의성이 높은 평가지표와 거시경제지표를 추가로 투입할 경우 경영평가모형의 부실예측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입증 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경영실태평가모형에서는 부실예측력이 44.4%에 불과하나 현행평가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만을 적용한 평과결과 부실예측력이 66.7%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의변수만을 적용한 평가모형에 추가로 거시경제변수를 적용한 평가에서는 부실예측력이 8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은행의 경영실태평가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거시경제변수를 고려하여 평가할 경우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 Bank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depends on Sensitive for market risk and management administrative area that is involved 14 CAEL’s measuring index and Non-measuring index. But, estimate ability of insolvent bank can be decrerse when multicollinearity occurs between measuring variance happens. Hereupon, I verified that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model availability, how is evaluating exactly management performance of bank. As a result, revealed that insolvent estimate power is low because multicollinearity happens between 14 indicators. And proved that insolvent estimate power can be rise in case of apply that level of significance is a high variable and Macro-economy Variable selected through Backward selection technique. Insolvent estimate power is not more then 44.4% in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model but insolvent estimate power increases by 66.7% according to result that apply significance level high variable statistically. Together, insolvent estimate power appeared very high by 88.9% which apply in significance level high variable and selected Macro-economy variance. Therefore, this study shows macro-economy variable is the most effective to evaluate Bank management.

      • 문법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강여순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본고는 교육 현장에서 문법과 관련하여 어떻게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학교 현장의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 인문계 남녀공학 고등학교의 심화 선택 '문법'과목을 대상으로 하여 문법 평가의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평가의 목적은 학습 목표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이며 수행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이다.그리고 평가의 원리는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질을 잘 관리하여 평가하는 것이다.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문법'과목의 평가를 분석하는 기준으로 교육과정의 요구와 평가 문항의 질에 초점을 두었다. 문항이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와 내용,교육 방법과 평가의 유의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문항의 난이도와 문항반응분포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지필 평가는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에 충실하게 평가하였으므로 타당도 있는 평가가 실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러나 교육 목표 중 '지식'과 '기능'에 대한 평가는 실시되었으나,'태도'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였다. 그리고 평가 문항의 난이도 조절이 잘 되지 않았고,오답으로서의 매력이 부족한 답지가 많아 문항의 질이 다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행평가 분석을 통해서는 남녀 학생들 발화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학습자들의 실제 발화와 관련된 문제점,지도해야 할 부분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지필 평가와 수행평가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지필 평가에서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도 수행평가를 통해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문법 과목의 평가 실태를 분석하고 추출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 평가에서 수행평가를 적절히 활용하고 비중을 높여 학습 의욕을 고취해야 할 것이며, 둘째, 문법 교육의 목표에 '태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감안하여 '태도'영역에 대한 평가를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지필 평가와 수행평가의 결과를 충분히 분석하고 활용하여 피드백 해 주어야 할 것이며, 넷째, 평가 문항의 질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문법 평가의 개선은 문법 교육의 계획과 실행 부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1

        최근의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 고교학점제, 교사별 학생평가, 대입전형에서의 수시 비율의 확대 등에 의해 교실 단위의 학생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는 최신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와 성취평가제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포함하여, 최신 학생평가와 관련된 역량을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역량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총 1,307명의 교사가 응답에 참여하였다. 이 중 300명의 교사의 응답을 척도 타당화를 위해 사용하였고, 나머지 1,007명의 교사 응답을 바탕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는 평가시행(α=0.919), 평가계획 및 도구개발(α=0.913), 윤리성 및 법적절차 준수(α=0.938), 결과환류(α=0.876),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급에 따라, 교사의 교육 경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실태조사를 하였다. 초등 교사가 모든 요인에서 다른 학교 급 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역량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고,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역량을 인식하고 있었다. 남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은 모든 요인에서 초중고 모두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교육 경력별로는 경력이 오래될수록 자신의 역량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최근 학생평가 정책에 대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보면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된 항목들이 성취평가와 관련된 항목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The importance of student assessment in the classroom has been increasing due to recent trends and polices on student assessment, and so h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In this study, a self-report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is composed of 18 items including the latest student assessment polices: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standard-based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The survey using the scale was conducted online and a total of 1,307 teachers participated. Among the responses, the responses of 300 teachers’ were used to validate the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ose of 1007 teacher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the scale consists of four factors: administering student assessment (α = 0.919), developing assessment (α = 0.913), ethics and legal process (α = 0.938), and feedback and usage for assessment results (α = 0.876). With the developed scal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ies were highest in all factors followed by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n high school teachers’. Also, there were no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all four factors. According to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longer the teachers have served, the higher they think their competencies are. Regarding the recent student assessment policies, the mean of the item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was higher than those related to the standard-achievement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 담당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실태

        김이배,이상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기술 담당교사들의 수행평가 이해도와 단원별 수행평가의 유형에 따른 활용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모집단인 전국의 중학교 3,051개교 중 비례 유층 표집에 의해 94개교를 표본학교로 결정한 후 표본학교의 기술 담당교사에게 질문지를 발송하여 65개교에서 112부를 회수하여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수행평가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특성에 따라 χ2(카이자승)검증을 하였다. 수행평가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횟수와 반영비율에 따라 χ2(카이자승)검증을 하였으며, 평가 단원 및 수행평가 유형에 대하여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의 정의에 대해 92.0%, 수행평가의 특징에 대해 83.9%, 수행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71.4%, 수행평가가 다른 평가와의 차이점에 대해 90.2%의 교사가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수행평가의 유형에서 ‘자기평가표의 의미’는 87.5%, ‘자기평가표의 특징’은 75.0%, ‘포트폴리오의 의미’는 81.3%, ‘포트폴리오의 특징’은 74.1%, ‘완제품 평가의 의미’는 86.6%, ‘완제품 평가의 특징’은 71.4%, ‘면담의 의미’는 67.0%, ‘면담의 특징’은 68.8%, ‘관찰의 의미’는 73.2%, ‘관찰의 특징’ 은 61.6%의 교사가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수행평가의 반영비율은 2회 이하가 76.7%, 21~30%를 반영하는 비율이 68.8%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수행평가의 단원과 유형을 보면 1학년의 경우 ‘도면읽기와 그리기’ 단원이 45.4%, 유형으로는 ‘실험․실습’이 52.3%로 나타났다. 2학년의 경우 ‘제품의 구상과 만들기’ 단원이 64.3%, 유형으로는 ‘실험․실습’이 50.7%로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 ‘전자제품 만들기’ 단원이 50.0%, 유형은 ‘완제품 평가’가 32.5%, ‘실험․실습’이 25%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chnology Teachers' Understanding and Actual Util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in Korea. The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program had a lot of problems. Many schools did not have sufficient number of evaluation materials and only have repeated applying the same methods of assessment from the 6th educational program. The fact that assessment time was short, target students were too many,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without solid understanding, teachers' knowledge on the assessment method was lacked exemplifies elements of the problem.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paper was to examine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figure of its application depending on different manual training class teachers in junior high school. Among the 3,051 junior high schools in the nation, I chose 94 schools based on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s the test schools and sent out surveys to the manual training class teachers. Adopting the SPSS WIN program, I analyzed the 112 surveys that were returned from the 65 schools. In order to find out how well teachers understood ab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I set the level of significance at 5% and I have done χ2 verific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assessment was applied, I have done χ2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sts implemented and the level of its reflection. I also have used cross analysis to figure out the evaluation units and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understood about the defin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92%, character of it 83.9%, need for it 71.4%,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assessment from other evaluations 90.2%. Second, in regard to the forms, the teachers had understandings on 'self-evaluation checklist' 87.5%, 'characters of self-evaluation checklist' 75%, 'portfolio' 81.3%, 'characters of portfolio' 74.1%, 'evaluation of finished product' 86.6%, 'characters of the finished product' 71.4%, 'counseling' 67%, 'characters of counseling' 68.8%, 'observation' 73.2%, and 'characters of observation' 61.6%. Third, compared to 69.8%, 21~30% of teachers had performance assessment at least twice a year. Compared to 66.7%, 21~30% of teachers had performance assessment at least four times a year. Regarding to units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he assessment, 65% of the 7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Reading and Drawing the Floor Plans' and 52.3% of the 7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55.5% of the 8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Product Design and Making' and 50.7% of the 8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55.6% of the 9th grade teachers used the unit of 'Making Electronic Products' and 32.5% of the 9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amination finished examination and 25% of the 9th grade teachers had an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s.

      • KCI등재

        생명보험회사 경영실태평가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이경룡,이호철 한국보험학회 2005 保險學會誌 Vol.70 No.-

        본 연구에서는 금융감독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생명보험회사의 경영실태평가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FY1998~2002 기간 동안 생명보험회사의 재무자료를 로지스틱모형, MDA모형, 인공신경망모형에 적합시킨 결과 현행모형의 부실예측력이 각각 54.5%, 45.5%, 58.3%로 매우 낮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현행경영평가제도에서 기업내부의 재무변수들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중공선성 등의문제가 존재하여 부실예측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현행 모형에서 유의변수를 선정한 후 경제성장을, 주가수익을 등의 거시경제변수를 함께 각 모형에 투입한 결과 부실예측력이 IS.7%p 높아지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생명보험회사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할 경우 기업내부의 재무변수이외에 거시경제변수 등의 외변수도 함께 고려해야 적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predictability of th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model us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or the financial soundnes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and to develop a new and improved model. To this end, the authors examine the predictability of the current evaluation model using three different statistical models (i.e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multidiscriminant analysis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ased on 5 years of data from 1998 to 2002. The results show that insolvency predictions by the current evaluation model are only 54.5%, 45.5%, and 58.3%, respectively for the three statistical models. The major reasons for the low level of predictability are due to two factors: (1) the current evaluation model uses only internal financial variable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and (2) there is a high multicollinearity among the variables. Subsequently, to improve the management evaluation model, problems within the current model must be addressed. As such, the authors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9 quantitative variables contained within the models, and select several significant variables to decrease the multicollinearity. These variables are included in the new model with various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economic growth rate, inflation rate, unemployment rate, interest rate, etc. The final model, which contains the selected significant internal financial variables and several significant external macroeconomic variables, shows relatively high insolvency prediction ratios. This indicates that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financial insolvency for life insurance companies, the management evaluation model should include not only internal financial variables but also external macroeconomic variables.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

        최금진(Choi Keum jin),권성연(Kwon Soung youn),김은정(Kim Eun jeong),박일수(Park Il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 체제로서 운영되는 강의평가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 A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실태와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강의평가문항의 적절성, 강의평가(운영 및 결과활용)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A대학 126명 교수의 설문지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등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결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확인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강의평가 방법의 타당성과 강의평가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과목에 대한 흥미, 강좌 난이도, 교수의 열정 요인 순으로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강의평가 문항 가운데 상호작용 및 수업참여, 수업방법 및 매체, 교재 및 학습자료 등 주로 방법적인 측면의 문항을 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수업을 통해 향상된 역량 정도, 학습내용과 분량, 평가방법의 적절성 문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넷째, 강의평가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강의평가 참여자로 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수 자신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기말 강의평가 1회 실시, PC 및 모바일 접속을 통한 온라인 강의 평가 방법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강의의 질 제고에 초점을 둔 강의평가, 담당 교과목 교수에게만 평가결과 공개, 강의평가 결과가 낮은 교원에게 교수법 연수 실시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주요 이해 당사자인 교수의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or’s perception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for educational qual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professors in A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e, the relevance of questionnaires and the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A total of 12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were asked questionnaire of perception on course eval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interested in and checked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but their preception of validity of evaluation method and reliability of course evaluation result were low. Second, students’ interest in a cours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make course evaluation, and difficulty of a course, professor’s passion were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on course evaluation. Third, among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s,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engagement during the class, instructional method and media, text book and teaching material were relevant questions, however, the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through the course, the composition and quantity of the course content, evaluation method in a course were perceived as irrelevant.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 of questionnaire depending on the lecture type was preferred. Fourth, more than half of the professors regarded student as the most appropriate course evaluation, and the next was professor himself. Implementing course evaluation once per semester, complementary mobile evaluation method, Focusing on the quality improvement, undisclosed evaluation result except oneself, were preferred to improve course eval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by analyze the perception of professor, important stakeholder of course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교사의 지필평가의 역할 및 실태에 대한 인식 조사

        박현주 ( Park Hyunj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과 정기고사 지필평가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학교 과학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평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 계획, 문항 개발, 채점, 결과분석 및 피드백, 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 교사들은 평가를 선발과 학생의 능력 이해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수업 또는 교수학습 방법 개선의 피드백을 위한 역할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문항은 과학교사들이 분담하거나 교사의 건공별로 나누어 출제하였다. 과학교사들은 모두 평가틀을 작성하였고, 지필평가 문항유형의 비율은 선택형70과 서술형 30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서술형 문항은 담당 과학교사가 직접 채점하였고, 선택형 문항은 컴퓨터 채점으로 진행되었다. 과학 교과의 채점 도우미가 있는 중학교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교사들은 학급간 과학평가의 평균 점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학습 구성원인 학생의 차이와 수업 분위기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 섯째, 정기고사 지필평가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것은 과학교사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출제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 평가 문항 제작을 위한 교사의 평가 연수 제공, 교사간의 논의와 협의, 학교 시험 문항에 대한 저작권 등으로 나타났다. 지필평가를 위한 교육적 시스템 구축 및 환경 개선, 교사의 평가 연수 참여 등 지필평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및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middle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f role of student’s evaluations, teachers’ responses to students evaluations, developing assessment items, grading, and feedback. A total of 157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ience teachers seemed to understand that the objectives of the evaluations was for students to score and grade their teachers’ performance. The teachers had passive views on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the evaluations in terms of improving their teaching. Seco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divided and developed examination items according to their majors. They all created a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examination, and the majority of the proportion of examination items were multiple choice and short essay questions; 70% to 30%, respectively. Third, the short essay items were scored by the science teachers, while the multiple choices items were scored by computer. There were few scoring assista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urth,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average score of science assessment on their classes were the quality of students and learning atmosphere. Fifth, science teachers needed a proper evaluation environment, such as enough time to develop assessment items, in-service teachers training on evaluation and assessment, and cooperation system among science teachers.

      • KCI등재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김진희(Kim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사에 경남에 소재한 A대학의 교수 156명이 참여하였으며, 약 2주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 내용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운영 경험, 정착화 방안에 관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었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의 실태는 전반적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양보다는 전공과목에서, 1학년과 4학년보다는 2학년과 3학년 과목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반면 과정중심평가 교과목 경험이 전혀 없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높았다. 과정중심평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의 수행 과정을 평가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정중심평가 실시함에 있어, 교수의 과도한 평가 업무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또한 교수들이 과정중심평가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수업과 평가에 전념할 수 있는 교수 업무 환경 조성을 꼽았다.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professor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15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ver two weeks for this study.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awareness, experiences, and establishment method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professor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showed that they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of process-based assessment and that they greatly agreed on the need for process-based assess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was conducted across the board, and that it was conducted more in specialized major subjects than in liberal arts subjects, and more for second and third year classes than for first and fourth year classes. On the other hand, when professors that had no experience with process-based assessment subjects were asked why they do not have process-based assessment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xperience showed that professors were assessing the overall performance process of students and that they were continuously making assessments. In addition,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excessive work burdens related to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perceived to be the greatest hurdle, and the cultivation of a work environment for professors that allows them to solely concentrate on classes and evalu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 KCI등재

        일반 초 ․ 중 ․ 고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평가 실태 분석

        서선진,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일반 초․중․고에 완전 통합된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평가가 어떻게 이 루어지를 알아보고 그들을 위한 교육평가 지원의 실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합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 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상당수는 초·중·고 전 과정에서 비장애 또래들과 동일한 평가유형 에 참여하고 평가의 내용과 기준도 동일하게 적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행평가의 방법 은 초등과정에서는 관찰에 의거한 평가가, 중등과정에서는 교사제작 평가지를 활용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교육평가의 결과 처리 역시 비장애 또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이들 의 평가 참여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나 인정점 처리 등의 방식도 활용되고 있었다. 특수교사는 이 학생들에게 거의 직접 교수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조정 등의 지원 제공 역 시도 이 학생들에게 해당사항 없다고 답한 경우가 과반을 넘었다. 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평가 지 원 사항을 결정할 때 장애 유형이나 정도, 보호자의 의견 순으로 반영하고 있었고, 과정에 따라 중시하는 요소에 대한 응답 순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들은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 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평가 방안으로 일반학교의 평가 체제를 유지하면서 평가조정을 제공하는 형태가 적절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초․중․고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 육대상자의 교육평가 실태의 의미와 유의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examine how educational evalu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fu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executed by school levels. Nine hundreds and thirty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answered this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fully inclusive classe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s as the same as those of their nondisabled peers and were applied by the same evaluation criteria and scoring system.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many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full inclusion placement rarely provided evaluation-related supports including test accommodations. Lastly, the IEP teams made evaluation decisions mainly considering a student’s disability types and degrees, his/her parental opinions and/or present performance level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u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 KCI등재

        기업의 평가역량구축 실태와 개선방안

        송영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7 No.2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EvaluationCapacity Building (ECB) in for-profit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ways ofimproving ECB. Based on this framework, a questionnaire including five dimensions,such as assumptions and motivations, capacity, resources, practice and utilization wasdevelop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rganizational members of large Koreancorporation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etc. were employed for the data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the overall status of ECB in largeKorean corporations is relatively weak. In order to improve ECB, more systematicmultilevel efforts for ECB are needed. Human, financial and material resources forECB need to be enhanced,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diversified. Inaddition, processes, activities, and approaches for ECB need to be employeddepending on the context, culture and values of each organ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0대 대기업의 평가역량구축에 대한 실태 분석을 하고, 평가역량구축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기업의 평가역량구축 실태를 분석하기위한 분석틀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기업의 평가역량구축 실태는 어떠한가? (3)우리나라 기업의 평가역량구축을 위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가정 및 동기, 역량, 자원, 실무, 활용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태 분석틀을 개발한 후 우리나라 30대 대기업 소속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섯 곳의 기업집단 소속 총 106명의 조직원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설문결과는 일원변량분석, t검정, 상관분석 등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결과, 가정 및 동기, 역량, 자원, 실무, 활용의 모든 영역에서 보통정도 수준을 나타내어 우리나라 30대 기업집단의 평가역량구축이 확립되거나,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라 하겠다. 평가역량 강화 및 평가역량구축의 확립을 위해선 평가를 위한 인적·물적 자원을 확충하고, 평가 결과의 활용을 다양화하며, 조직의 목적, 문화, 특성, 풍토 등을 반영하는 보다 더 다차원적이고 체계적인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