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행문제개선을 위한 팀제도입 사례연구

        박성민(PARK, SUNG-MI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미래교육학연구 Vol.21 No.2

        90년대 중반이후 수행의 결함과 수행향상을 위해 교육 및 훈련이외의 해결방법을 모색하려는 관점이 새로운 관심을 끌고 있다. 실제로 수행문제 해결을 위한 수행공학적 해결방법(Intervention)은 매우 다양하다. 최근 많은 대학조직과 공기업조직이 팀제 도입을 실행했거나 검토 중인 곳이 많다. 하지만 실제 팀제 도입은 조직차원의 수행문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 수행분석 결과를 토대로 팀제도입을 조직차원의 해결방법으로 선정한 H대의 사례를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수행문제의 개선을 위해 팀제도입이 필요한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직도 많은 대학조직 및 공기업 조직들이 팀제도입에 대해 혼란을 겪고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수행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팀제도입이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 팀제도입에 대한 좋은 정책적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 연구방법은 H대 수행개선을 위한 베어링포인트사 컨설팅 팀에 합류하여 4개월 동안의 프로젝트의 참여ㆍ관찰사와 구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심층분석 방식을 택하였다. 그 결과 조직차원의 H대 수행문제로는 책임경영체제의 미비와 중간계층의 비대화로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의 지연, 부서 이기주의 팽배, 고객중시를 위한 신속하고 탄력적 현장대처 능력의 결여, 전문성이 부족한 업무 수행 등이 발견되었다. 4개월 동안의 연구기간 동안 H대 수행문제 개선을 위해 수행공학적 해결방법으로 조직개발 해결방법 중 하나인 팀제도입이 필요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그 결과 팀제도입은 H대 고객들이 원했던 이전보다 책임감 있고 빠른 업무처리 등의 수행문제 개선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H대의 효과적인 팀제도입을 위해서는 팀제지원을 위한 인사시스템의 변화와 H대의 조직상황에 맞는 팀제 설계와 운영방식이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models i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and HRD fields. However, most of selected solutions were focused on individuals rather than organization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urvey on adapting team system and organizational planning which was presented by Rosenberg. As a matter of fact, many organizations in Korea has to introduce the team system in order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operation with flexibility and elasticity. The hierarchy structure, Korean' s traditional organizational type has been a barrier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many ways. As one of the solution for these problems from several intervention, organizational design can be selected. A study on the performance problem analysis for H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s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is organizational design is key intervention for the organization and their organizational design was focused on the team system which enables efficient oper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As a result, H University has achieved performance improvement such as better speed and efficiency. The team system is modem organizational design tool to satisfy the organization efficiency and individual's needs at the same time, in which enables all group members' competencies and develops combination of their capacity and motivation to higher-level knowledge.

      • KCI등재후보

        성인지적 ‘팀제’운영과 여성주의 리더십의 역할

        양민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7 여성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팀제의 도입과 운용이 여성 리더십에 어떤 제한성과 가능성을 노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성별 인식과 여성주의 가치를 매개로한 성인지적 팀 운영을통해 팀제의 권력 균형과 민주화,그리고 여성주의 리더십의 가능성을 모색해본다.이러한 작업은 도입과 변형 그리고 폐기의 순환적 과정 속에서도 부단히 지속 확산되고있는 일반적인 사회 조직 형태로서의 팀제를 여성주의적 리더십과 민주적 권력 균형의 관계 속에서 재고찰하여 팀제 조직을 중심으로 한 여성의 활동영역과 역량을 확장해보고자 하는 탐색적 시도로써의 의미를 갖는다. 팀제 조직은 명령과 통제가 중앙을 축으로 일원화되어 있는 전통 조직과 달리 독자적인 유기체로서의 성격을 갖는다.전통 조직과 다른 팀제의 개방적 요소들은 조직내 여성 권력의 확장에 긍정적인 조건들을 마련하는 반면에,현실적인 운용에 따라여성들의 조직 활동과 리더십의 발현에 있어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즉,팀구성원이 성차별적 가치관과 문화를 공유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관계를 맺는다면,팀조직 내의 리더십과 권력 구조도 여성 배타적인 성격을 갖게 되며,팀제가 ‘조건화’하고 있는 유연한 권력 구조의 개방성은 여성들에게 무의미한 또는 오히려 위악적인 것이 될 수 있다.반면 팀제의 이러한 상황적 변수가 팀 구성원들의 여성주의적 인식및 가치지향과 만나게 되면 여성주의 리더십의 발현이 가능해지며,팀제 내의 권력균형도 민주적으로 확보해낼 수 있는 것이다. 팀제가 여성주의적으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성과위주의 기능적 관점을 벗어나 가치관과 관계성,그리고 상호작용의 과정을 포괄하는 문화적 측면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또한 팀제가 조건화하고 있는 권력적 평등성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팀장과 팀원 서로 간의 성별 인식의 도모와 공유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teamorganization affect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women's leadership. It alsosought the possibilities of power balance, democratization, and feminist leadershipthrough the gender-sensitive team management that holds gender perception andfeminist values as intermediaries.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expand the domainof activity and capability of women involved in team organization by reexaminingthe team organizations as common and constantly growing socio-organizations. Team organizations, unlike traditional organizations where order and controlare emphasized, hav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ce. Liberty of teamorganizations ideally provides positive conditions for the expansion of feministpower within those organizations, yet may have some limitations by management. If individual team members share sexist perspectives and cultures andengage in social relationships, then the leadership and power structure within a teamcan be unfavorable to women, and that renders the flexible power structures of teamorganization meaningless or possibly harmful for women. Nonetheless, if thesesituational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s are ideally integrated with individual teammembers’ acknowledgment of feminism, it becomes possible to achieve bothfeminist leadership and power balance within team organization democratically. In order to grasp the feminist meanings of team organizations, attentionsmust be paid to cultural perspectives that include sense of values, relationship andinteractions rather than the functional viewpoints based solely on achievements. Toactualize power balance within team organization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gender perception be well perceived among a team leader and members.

      • 성과지향 조직운영 방안 연구

        박충훈,라휘문 경기연구원 2008 정책연구 Vol.2008 No.8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경기도는 스피드 행정, 작지만 강한 조직, 긴급 상황에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대응과 성과 지향의 유연한 조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기도가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팀제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요약 연구목적의 충족을 위하여 먼저 이론적인 논의를 통하여 팀제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조직운영차원, 업무성과차원에서 다양한 변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팀제의 운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조직문화가 효과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직문화적 변수들을 도출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조직운영차원, 업무성과차원 모두 7점 만점에 3-4점대의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조직문화 역시 팀제의 도입효과가 창출되는데 용이한 관계지향형 문화와 혁신지향형문화가 나타난 것이 아니라 과업지향형 문화와 위계지향형 문화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성숙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먼저 절차적 요건을 충족하였는가와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유형의 결정시 과의 특성분석 후 팀 유형을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장의 선정에서는 팀의 목표와 성격에 따라 팀장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경력에 차이가 있는 바, 이와 관련된 정밀한 분석이 있어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별로 적정규모의 인력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업무량을 산정한 후 업무량별로 적정규모의 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이 부족하여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팀의 비전설정 및 제시 노력과, 권한관계의 설정노력, 개인의 능력 및 경력수준을 고려한 업무분장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정책건의 경기도에서 도입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팀제 도입의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아직 팀제의 도입효과가 창출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경기도가 팀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절차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ⅰ) 팀유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과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팀의 유형별 특성을 연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ⅱ) 팀장의 선정 시에는 팀의 목표와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ⅲ) 팀원은 업무량에 근거하여 적정규모가 배치되어야 한다. ⅳ) 팀의 비전을 설정한 후 제시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어야 한다. ⅴ) 권한관계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ⅵ) 마지막으로 개인의 능력 및 경력수준을 고려한 업무분장이 실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팀제를 도입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ⅰ) 먼저 팀제에서의 팀원들은 독립된 업무를 스스로의 책임 하에 처리하여야 한다. ⅱ) 다음으로는 직책과 직급을 분리하여 운영하여야 하고 팀장에게 인사권을 부여하여야 하며, 집단보상의 비중을 증대하여야 한다. ⅲ) 동시에 사무실의 좌석배치 등은 개방형으로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검찰조직에 대한 팀제 도입의 효과성 분석 : 예견된 실패 혹은 변화의 가능성?

        박준휘 ( Jun-hwi Park ),이민호 ( Min-ho Lee ) 대한범죄학회 2017 한국범죄학 Vol.11 No.2

        본 연구는 지난 2013년 시범적으로 추진된 검찰청 형사부 조직에 대한 팀제 도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있다. 즉, 정부조직 중권위적이며 경직적으로 평가되는 검찰조직에 대해 팀제 도입을 통한 조직 변화의 노력이 어떠한 성과를 가져왔는지 분석함으로써 향후 검찰조직은 물론 정부조직 전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조직 내 의사소통의 활성화나 자기계발의 확대 등의 긍정적 변화가 일부 확인되나, 전반적으로 팀제 도입 이후 조직환경 요인에 대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검찰조직의 팀제 운영이 실질적이지 못했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팀제 도입에 따른 조직효과성 분석에서, 업무실적 및 구성원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모두 팀제 도입에 따른 사건처리 수준 등 조직성과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반면검사실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팀제 검사실 이용자가 단독제 검사실 이용자에 비해 직원들로부터 존중감을 더 느끼고 있으며, 불쾌감이나 불안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This study conducts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the team system for the criminal department of Korean Prosecutors`Office which was carried out as a pilot project in 2013. It aims to analyze major issues regarding the outcomes of introducing the team system for the Prosecutors`Office which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authoritative and formal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o look for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limited changes for encouraging self-improvement and facilitating of communication were partly found, but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the team system was not carried out practically and meaningful changes were not confirmed. According to work performance and members survey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eam system, it points out negative aspec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fter introducing the team system. However, according to a survey, visitors of prosecution team office felt more respected and experienced less displeasure compared to those of other individual prosecutor office.

      • 외국의 팀제 운영사례를 통한 정부부문의 팀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대근(Kim Dae Geun)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지역혁신연구소) 2012 한국균형발전연구 Vol.3 No.1

        정보화, 세계화 흐름 속에서 스피드 경영이 우선시됨에 따라 기업은 신속하면서도 현장중심의 의사 결정을 강조하고, 기술개발, 고객제일주의, 우수인재 확보 등으로 대내외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특히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서 팀제 도입을 추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부터 팀제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1997년 IMF를 커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현재는 보편적인 조직형태로 정착되었다. 한편 신승국(1997: 60)은 미국의 경우 뉴욕증권소의 조사에 의하면 500명이상의 종업원들을 가진 기업 중 32%가 생산성향상을 위한 조치사항 중에서 가장 효과를 보았던 것은 팀제인 것으로 평가한 연구(Batton, 1982)처럼 팀제가 미국에서는 아주 우수한 조직구조로서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팀워크를 중시하는 팀제의 특성으로 인해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일본에서도 팀제가 충분히 통할 수 있는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 대부운의 기업들에서 팀제는 보편적인 조직구조가 되었다. 반면 정부부분의 경우 팀제의 성과에 대해 부정적 견해와 긍정적 견해로 양분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팀제가 민간에서 유래된 제도임을 감안하여 미국, 일본, 우리나라의 민간부문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정부부문에서도 팀제가 원활하게 정착되어 효율적인 조직구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연구결과 미국과 일본, 우리나라의 경우 팀제도입 배경에는 대체로 비슷하나 팀제 도입 시 각 국가, 각 기업이 처한 여건을 고려하여 각 부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입함으로서 팀제의 부작용을 최소하여 원활하게 정착되었던 것이다. 즉 상층부의 지시에 따라 획일적인 도입이 아닌 업무를 중심으로 단계별로 도입하였던 것이다. As speed management is prioritized in the flow of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companies have emphasized quick and field-oriented decision. Also they have made an great efforts to ensure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customer orientation, excellent people. Especially team system was introduced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ase of Korea, stating from 1980, team system was introduced in earnest over the course of the IMF in 1997 and now is established as a universal form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New York Stock Place, 32 percent of companie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think of the team system as the most effective ac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Also it is evaluated that the team system can be fully utilized in even Japan collective orientated. Thus in most of today's corporate, team system has become a common organizational structure. In other hand, in case of the government sector, the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f team system have been divided into two parts which are a negative and positive opinion. Therefore,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Korea's private sector, the plans for government sector need to be sought which can fulfill a role as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udy,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eam-based system is generally similar to each country in the United States, Japan, Korea but team system in each country was settled smoothly with minimal side effects by considering differently the circumstances faced by each company, each country and by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each department. In other words, team system was introduced step by step through focusing on the functions rather than the instructions of the leaderships.

      • 외국의 팀제 운영사례를 통한 정부부문의 팀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대근 ( Dae Geun Kim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2 한국균형발전연구 Vol.3 No.2

        정보화, 세계화 흐름 속에서 스피드 경영이 우선시됨에 따라 기업은 신속하면서도 현장중심의 의사 결정을 강조하고, 기술개발, 고객제일주의, 우수인재 확보 등으로 대내외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특히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서 팀제 도입을 추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부터 팀제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1997년 IMF를 커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현재는 보편적인 조직형태로 정착되었다. 한편 신승국(1997: 60)은 미국의 경우 뉴욕증권소의 조사에 의하면 500명이상의 종업원들을 가진 기업 중 32%가 생산성향상을 위한 조치사항 중에서 가장 효과를 보았던 것은 팀제인 것으로 평가한 연구(Batton, 1982)처럼 팀제가 미국에서는 아주 우수한 조직구조로서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팀워크를 중시하는 팀제의 특성으로 인해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일본에서도 팀제가 충분히 통할 수 있는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 대부운의 기업들에서 팀제는 보편적인 조직구조가 되었다. 반면 정부부분의 경우 팀제의 성과에 대해 부정적 견해와 긍정적 견해로 양분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팀제가 민간에서 유래된 제도임을 감안하여 미국, 일본, 우리나라의 민간부문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정부부문에서도 팀제가 원활하게 정착되어 효율적인 조직구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연구결과 미국과 일본, 우리나라의 경우 팀제도입 배경에는 대체로 비슷하나 팀제 도입 시 각 국가, 각 기업이 처한 여건을 고려하여 각 부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도입함으로서 팀제의 부작용을 최소하여 원활하게 정착되었던 것이다. 즉 상층부의 지시에 따라 획일적인 도입이 아닌 업무를 중심으로 단계별로 도입하였던 것이다. As speed management is prioritized in the flow of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companies have emphasized quick and field-oriented decision. Also they have made an great efforts to ensure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customer orientation, excellent people. Especially team system was introduced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ase of Korea, stating from 1980, team system was introduced in earnest over the course of the IMF in 1997 and now is established as a universal form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New York Stock Place, 32 percent of companie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think of the team system as the most effective ac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Also it is evaluated that the team system can be fully utilized in even Japan collective orientated. Thus in most of today`s corporate, team system has become a common organizational structure. In other hand, in case of the government sector, the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f team system have been divided into two parts which are a negative and positive opinion. Therefore,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Korea`s private sector, the plans for government sector need to be sought which can fulfill a role as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udy,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eam-based system is generally similar to each country in the United States, Japan, Korea but team system in each country was settled smoothly with minimal side effects by considering differently the circumstances faced by each company, each country and by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each department. In other words, team system was introduced step by step through focusing on the functions rather than the instructions of the leaderships.

      • KCI등재

        팀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행정자치부에 도입된 팀제를 중심으로

        김태룡,안희정 한국행정학회 2006 韓國行政學報 Vol.40 No.4

        The Effects of Team Syste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e-Ryong Kim & Hee-Jeong Ah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 team. The variables of a team introduced to government organizations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variables analyzed are restricted to structur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t are restricted to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responsiveness. The result shows that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affected by an evaluation system and a personnel system in institutional factors, and efficiency is affected by structural change and conflict coordination in structural factors. Moreover, responsiveness is affected by a personnel system.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need improvement considering the performance of a government organization. The improvement needs adaptability in securing justice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and in a personnel system, in considering communications, and conflict coordination. Room is left for consideration that it is only possible to achieve these factors by the application of the team. 본 연구는 정부조직에 도입된 팀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팀제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구조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을 설정했으며, 조직성과를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효과성, 능률성, 대응성 요인을 설정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 조직성과 중 효과성요인에는 제도적 측면에서 평가제도와 인사제도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능률성요인에는 구조적 측면인 구조변화와 갈등관리가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외에 대응성에는 인사제도요인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조직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팀제의 구조적 변화와 제도적 변화가 모두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평가제도나 인사관리의 공정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여 순응도를 높이는 것이나, 의사소통 및 갈등조정을 원활하게 하는 기재의 확보 또한 필요하다. 그러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팀제의 도입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고려의 여지가 있다. [주제어: 팀제, 조직성과, 조직개혁]

      • KCI등재

        정부부처 내 신뢰와 공정성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대별 팀제문화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이혜림 ( Healyim Lee ),이효주 ( Hyojoo Lee ),박성민 ( Sungmin Par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2

        본 연구는 한국 중앙 공무원들의 상사신뢰, 동료신뢰, 인식된 절차공정성이 조직신뢰를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 수준 신뢰와 조직 수준 신뢰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상사신뢰와 동료신뢰를 조직신뢰와 같은 수준에서 분석하여, 조직 내 대상 별 신뢰 간의 위계성, 역동성 등을 간과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신뢰를 상사신뢰와 동료신뢰의 결과변수이자, 궁극적으로 조직몰입을 제고시키는 매개변수로 가정하여 신뢰 간의 역동성을 규명하고, 관리적 차원에서 조직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세대 간 팀제문화 인식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신뢰와 조직몰입 사이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함으로써 세대 간 차별화된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개의 정부소속 부처에 종사하는 50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된 절차공정성과 동료신뢰는 조직 수준 신뢰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사신뢰는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지 않았다. 또한, 팀 기반 문화에 대해 세대 간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중앙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제도적 함의와 세대별로 다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pervisor trust, co-worker trust, and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on Korean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team-based culture on the link between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did not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trusts because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were analyzed at the same level. Based on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et up a research model taking organizational trust as the mediating variable. It played the role of outcome variable for supervisor trust, co-worker trust, and procedural fairness; it also acted as the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there were generation gap differences between in their 20s and 30s and 40s and 50s to identify team-based culture and its moderating effects so that the requirements for differentiated approaches could be suggested. The data for the research model comprised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505 officials in 15 government ministri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and co-worker trust had positive (+)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meanwhile, supervisor trust had no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estingly,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levels among the different generation groups regarding team-based culture. Based on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discussed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n public officials.

      • KCI우수등재

        팀제도입에 따른 조직루틴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귀영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1

        팀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팀제도입에 따른 성과의 변동을 중심으로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팀제 전후를 단절적으로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방식은 조직환경의 변화와 팀제로 인해 변화된 조직구성원 간 관계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해석과 그에 따른 행동변화를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팀제도입이후 조직변화를 결재와 보고과정을 중심으로 명시적 측면과 실행적 측면의 조직루틴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공유인식틀의 형성, 인식의 단순화, 과거의 정당화라는 조직구성원들의 해석과정에서 나타나는 명시적 측면과 실행적 측면의 조직루틴 간 괴리를 밝히고 있다. 본 논문은 조직구성원들의 해석과정과 비공식 관행들을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접방법을 활용함으로써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팀제 중심의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조직에 관한 연구

        백승옥(Baek, Seung O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교육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운영조직이 기존의 관료조직 속에서, 즉 비수업형 조직 속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고 수업형 조직인 팀조직을 도입할 것을 시사하는 연구를 하였다. 먼저 제 Ⅱ장에서는 중학교조직의 특성을 관료조직과 사회체제조직, 공동체조직의 세 가지로 나누어 파악하였고 제 Ⅲ장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조직을 수업조직과 비수업조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현행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조직은 본연의 교육활동인 교수지도조직보다는 행정업무위주의 비수업조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Ⅳ장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조직의 재구조화로서 팀조직을 개관하였고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oday we're living in the world of knowledge-based society that information power, the ability to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decides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and an individual. Knowledge-based society is a global world that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because human can produce and practice knowledge through education.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is based on instructional system. The 7th Curriculum has been applied since 2000, starting in elementary school (from 2001 in middle school and 2004 in high school). The goal of this Curriculum is educating students as self-initiative, creative individuals to cope with the knowledge-based 21st century and be a leader in a globalized world. These goals were supposed to be achieved through instructions and classes. To successfully accomplish these goals, school organization should be also based on self-initiation and creativity. For the good management of school organization, eventuall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school system of instructional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into team system that each team unit takes control of its own work, create changes and keeps up with them itself, staying out of the non-instructional activities like orders or control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 local government, and a school. In current schools, however, the 7th Curriculum is being practiced more through non-instructional activities, carrying out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like classes. Two systems of instruction-related and non-instruction related like curricular parts, grade-system, official division-system, are all mixed up and have been raising questions about the expected results of school management. The present mixed system of instruction and non-instruction tends to focus on doing administrative orders and meet the needs from the upper-level organizations. As a result, teachers' educational potentials end up carrying out top-down official works. These bureaucratic top-down system is no longer right or efficient for the 7th Curriculum. Social needs for the change of school system from non-instructional to instructional are growing. Colleges or businesses are already adopting and making the most of the system. This team system that has been proving the effect already can be also adapted to school, especially, of the 7th curricular system. This study is analyzing the 7th Curriculum in a bureaucratic system, and suggesting to introduce instructional-activity prioritized team system. I studied bureaucratic, social, community systems of current middle school, and analyzed into instructional system and non-instructional system. To develop a model of school management system, I randomly sampled 22 middle schools, one public and one private out of every Education District in Seoul, and analyzed their organizations, and tried to apply a team system used in colleges and businesses into middle school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current school system is non-instructional. In the managerial perspective of students, teachers, and a school, most parts are top-down from external upper-level organizations. Actually the self-regulations and creativity of students, teachers, and the school are not involved. Second, I tried to develop a team system, which is instructional activity-oriented. Third, I'm offering suggestions that middle school system should be changed into a team system that is already being generalized in high schools, colleges, and furthermore businesses. Since middle school is a stepping stone to high school and college, their systems should be linked and related together. Therefore, the below are presented in this study. Present middle school systems were following a sample curriculum from the Seoul Educational Office, where official work division is apt to be more important than instruction division. In those situations, education in its true sense, is hardly possible. 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