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太極問」의 太極에 관한 고찰

        손흥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There is a doubt about 『Gubongjip(龜峯集)』 Vol.3 「TàiJíwèn(太極問)」’s original author, but the contents’s self have good reference for the school of Yulgok’s the theory of LǐQì and TTàiJí. In this article. I consider 「TàiJíwèn」’s author is Gubong Song Yikpil(宋翼弼. 1534~1599), and I will study his philosophical thought in there. For this purpose first, I researched about the concept of Wújí(無極) and TàiJí(太極), and there inter-relationship. Gubong said that Wújí and TàiJí are the eternal substance, and the genuine of Wújí is just TàiJí. Next,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àiJí and LǐQì. Gubong regarded TàiJí that is Lǐ, Lǐ and Qì is “one, but it's where Two(一而二), two and, as one”. Lǐ and Qì is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不相離), not mix together(不相雜)”. Lǐ have the ability of the communication, Qì have the limitations, also Lǐ and Qì they forming the diversity and unification in nature. Lastly, I studied the Moving and stopping of Yīn·Yáng(陰陽) in Gubong’s philosophy. He explained the Moving and stopping of Yīn·Yáng is the principle of TàiJí, and that is the mandate from Heaven(天命). In this study, I sought after the Gubong’s Concept of TàiJí have another Characteristic with Zhūxī(朱熹. 1130~1200) and Lǐěr(李珥. 1536~1584), and how we can utilize “the TàiJí” in modern viewpoi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 need developing Korean bland using the draw a TàiJí(太極) symbol. 『구봉집(龜峯集)』 권3의 「태극문(太極問)」은 원작자가 누군가에 대한 진위 문제는 있지만, 그 내용 자체로 조선중기 율곡학파의 태극관(太極觀)과 리기관(理氣觀)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태극문」의 저자를 구봉(龜峯)으로 보고, 그 속에 담긴철학사상을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의 개념과의 상호관계를알아보았다. 구봉은 무극과 태극이 차제(次第)없는 하나의 실체이며, 무극지진(無極之眞)이 곧 태극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는 태극과 리기(理氣)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봉은 태극이 곧 리(理)며, 리(理)와기(氣)는 ‘하나면서 둘이며, 둘이면서 하나’라는 ‘불상리 불상잡(不相 離 不相雜)의 관계이며, 리(理)는 소통성을 가지고 기(氣)는 국한(局 限)성을 가져 다양성과 통일성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기인 음양(陰陽)의 ‘움직임과 정지(靜止)함’, 즉 동정(動靜)에 대한 구봉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구봉은 음양이 움직이고 정지하는 원리를 태극으로 설명하고, 이러한 동정의 원리가 천명(天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구봉의 태극관(太極觀)은 주희(朱熹)나 이이(李珥) 와 다른 독창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태극을 현대적 의미로 활용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세계화시대의 국제경쟁에서는 국가의이미지와 그 이미지브랜드의 상품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한국을대표하는 문화적 국가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면 이 태극(太極)이 가장의미 있는 내용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任聖周의 各具一太極에 대한 새로운 해석

        洪正根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9 No.-

        朱子는 태극을 천지만물에 존재와 변화의 근본원리로 내재되어 있는 매우 지극한 리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때의 태극을 전체적인 측면의 統體一太極과 개체적인 측면의 各具一太極으로 구분하였다. 주자의 통체일태극과 각구일태극에 대한 논의는, 전체적인 측면의 통체일태극의 관점을 강조하느냐, 개체적인 측면의 각구일태극의 관점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상호 다른 해석이 나을 수 있는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었다. 외암(李柬)은 통체일태극의 관점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는데 비해, 녹문(任聖周)은 각구일태극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그는 각 존재자들이 그 존재에 각기 알맞게, 그러나 존재자 상호간에는 서로 다르게 성을 내재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성이 바로 각구일태극이라고 하였다. 녹문은 30대 중반 이전까지는 외암의 학설을 지지하고 따랐다. 녹문이 각구일태극을 기질과 불리의 관계로 보는 관점은 각구일태극과 各一其性을 모두 기질과 불리관계로 보는 면으로 이어졌으며, 더 나아가 각구일태극과 각일기성을 동일자로 인식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녹문의 관점은 외암뿐만 아니라 남당(韓元震)과도 다른 것이었다. 외암과 남당은 각구일태극과 기질을 不雜의 관계로 설정하고 있었다. 외암과 남당은 모두가 각구일태극을 기질과 부잡의 관계로 설정하면서, 이를 통해 人物性同의 측면을 확보하고 있다. 녹문이 각구일태극과 기질의 관계를 不離의 관계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人物性異의 측면을 확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녹문은 각구일태극과 기질의 不離관계를 바탕으로 人物性異의 본연지성의 측면을 확립하고, 각구일태극과 통체일태극과의 동일성을 바탕으로 人物性同의 본연지성의 측면을 구축하였다. Zhu Xi sees the Great Ultimate is the ultimate pattern that underlies changes and existence of myriad things. He calls whole aspect of the Great Ultimate whole embodied single great ultimate, whereas call particular aspect of it each embodied Great Ultimate. Regarding discussion about dual aspects, there can be divergence of arguments according to its emphasis. Oeam(李柬, 1677-1727) had a position to emphasize the whole aspect. Oeam thought each beings embodies single Great Ultimate as each embodied Great Ultimate. Nokmun(任聖周, 1711-1788) had a position to stress on particular aspect. He thought each beings have their due and particular natural tendency. This natural tendency entailed each embodied Great Ultimates. Nokmun supported Oeam until his mid thirties. His new idea was possible when he saw continuity of disposition with each embodied great ultimate. Continuity of disposition with each embodied Great Ultimate was developed into continuity with particular natural tendency and finally concluded to identify each embodied Great Ultimate with particular natural tendency. His position became different from Oeam as well as Namdang (1682-1751) in that they just saw continuity of each embodied Great Ultimate with disposition.

      • KCI등재

        ‘太極’論의 패러다임 轉換에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그 해소 - 朱熹와 王夫之의 ‘太極’論을 중심으로 -

        김진근 한국동양철학회 2019 동양철학 Vol.0 No.52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various Taegeuk theories from Zhou Tunyi, 周敦頤; Zhuxi, 朱熹 and Wang Fuzhi, 王夫之. To begin with, until Zhou Tunyi published Taiqitushuo, 太極圖說, in eleventh century, the theory was negligence despite of the fact that this theory is undoubtedly important for scholars in modern eastern philosophy. Second, the impact of Taiqitushuo in the field was not from Zhou Tunyi, the original author, but from Zhuxi, the later interpreter.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Zhuxi did not deliver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heory. He transformed the meaning of the theory based on his own perspectives which is libonlon, 理本論. This caused two major issues for us to understand Taiqitushuo. The first issue is that it is difficult to clarify the meaning of giving a birth, 生 in the theorem of dichotomous status in Taiqi, 太極生兩儀. The other issue is that 太極生兩儀 would be explained as li giving birth to qi, 理生氣 due to the fact that Taegeuk is a whole of lis, 理一體. These issues were revealed in scholars of Joseon. The last point of this study is that Wang Fuzhi’s Taegeuk theory could be a resolution of these issues. Wang Fuzhi argued his own explanation of Taegeuk theory by succeeding the Zhangzai’s, 張載 qi monism. Chapter two, three and four will discuss these points respectively in this study. 이 논문에서는 周敦頤로부터 朱熹, 王夫之에 이르는 ‘태극’론을 다루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동아시아 철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서 ‘태극’론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상식으로 통하는데, 동아시아철학사에서는 11세기에 이르러 周敦頤가 『太極圖說』을 발표함으로써 비로소 부각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이후 동아시아철학사에서 ‘태극’론이 주요 논제가 된 것은 『태극도설』의 저자인 주돈이의 영향력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주희의 영향력에 의한 것이었다. 그런데 주희는 주돈이의 원본 『태극도설』을 그대로 부각시킨 것이 아니라 자신의 철학적 관점인 理本論 패러다임으로 전환시켜버렸다. 그 결과 우리가 『태극도설』을 이해하는 데서 두 가지 난점을 초래하였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太極生兩儀’에서의 ‘生’ 字를 처리하는 것이 난감하다는 것과 태극이 理一體이기 때문에 ‘太極生兩儀’라 하면 ‘理生氣’라 하는 난점이 제기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논란이 이후 조선의 철학자들에게서 여실하게 드러났다. 셋째, 왕부지의 ‘태극’론에서는 주희에 의해 초래된 위의 두 가지 난점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張載의 氣一元論을 계승하며 氣哲學을 집대성한 것으로 알려진 왕부지는, 이미 이 두 가지 난점을 의식하며 자신의 ‘태극’론을 펼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문제를 II, III, IV章으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 삼원태극이었다

        우실하 동양사회사상학회 2003 사회사상과 문화 Vol.8 No.-

        ‘태극太極’에 대해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음과 양이 어우러진 태극 곧 ‘음양태극陰陽太極’을 떠올린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음양태극 대신에 흔히 ‘삼태극三太極’ 혹은 ‘삼원태극三元太極’이라고 불리는 문양이 많이 사용된다. 한·중·일의 경우 사용되는 태극의 모양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전통 북(鼓)의 표면에는 ‘태극’이 장식되어 있는데, 중국의 전통 북에는 음양태극이 그려져 있고, 한국과 일본의 북에는 삼태극/삼원태극이 그려져 있다. 상·주·춘추·전국 시대에 이르는 고고 유물이나 악기에는 삼태극 도형이 대단히 많이 보이는 데 반해서 음양태극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상·주·춘추·전국 시대의 각종 고고 유물에서도 삼태극이 그려져 있다면, 도대체 중국에서는 언제부터 삼태극이 음양태극으로 바뀐 것일까? 이 글에서는 고대의 동양에서 태극이란 삼태극을 의미하는 것이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한서』 「율력지」에는 “태극원기는 셋을 함유하면서 하나가 된다”(太極元氣, 函三爲一)는 삼태극 관념이 보이고, 이것은 한나라와 삼국 시대 그리고 당나라 시대까지도 보편적인 태극 이해의 방식이었다. 그러나 태극을 삼태극으로 이해하던 관념은, 송대宋代 주렴계의 태극도설太極圖說 이래로 음양 2기만을 포함하는 음양태극 관념으로 변화된다. 이와 더불어 이 글에서는 이런 삼태극 관념이 동북방 샤마니즘의 ‘3수 분화의 세계관’의 산물이라는 점도 밝혀놓았다.

      • 人身의 太極에 관한 考察

        尹暢烈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0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13 No.1

        對太極的內容和在人身內應將何處看作太極的問題進行了考察, 得到了如下結論. 1. 太極最早在周易繫辭傳中由孔子將太極提示爲八卦生成的基本原理, 之後, 兩漢到唐代的這一期間內, 認爲太極是創造萬物的原始的混沌之氣, 中央元氣, 沒有分化爲陰陽的氣的槪念, 當時被解釋爲宇宙間最初的渾然一體的元氣的思想占了主流. 2. 周敦頤作太極圖說, 最初提示了無極的槪念, 之後, 以朱子爲代表, 宋代的性理學者將太極解釋爲萬物中的窮極之理, 最初將太極解釋爲理. 3. 韓東錫繼承了金一夫的三極說, 以三極的變化原理說明了太極.. 孫一奎, 趙獻可, 張介賓等主張命門說, 堅持命門爲太極, 認爲這命門位于太極的本體水起作用的腎臟之間, 同統制水火, 推動人體生命力的源泉, 因此與哲學上所論及的太極的槪念有類似之處. 4. 黃元御主張的中氣爲太極說 認爲太極乃創造生命的根源之氣, 創造之後也不斷供給生命 力的中氣具有太極的屬性. 在這一点上可以解釋爲水土合德之空的位置, 對此還有待進一步的考察. 5. 邵同珍主張的脾胃太極說認爲脾爲十土, 爲生命統一的基礎, 因此應把它認爲是無極爲妥. 6. 邵康節主張的心爲太極說認爲萬物中每一物都是一个太極, 具有太極的屬性, 心在五行中屬火, 爲發動光明之處, 因此以三極的原理來看, 以五土將太極水進行分裂, 至七火的皇極的位置及統治幷主宰萬物的君主之位. 7. 唐宗海主張的未分之卵爲太極之說, 將太極比喩爲鷄卵的原始物質, 卵核等, 但精子與卵子相結合, 尙未進行分裂的狀態爲原始的渾淪之物, 爲將分化爲陰陽之處, 因此本人認爲將其定爲太極的想法最爲貼切.

      • KCI등재

        현행 정부기(政府旗)의 태극(太極)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정부기’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국기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근본적인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현행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의 바탕은 ‘음양태극도’인지 ‘삼일태극도’인지가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1)‘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 3가지 색을 사용하고 있어서 언뜻 보기에는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 같지만 면 분할이 3등분 되어 있지 않고, (2) ‘진한 파랑’과 ‘선명한 빨강’을 하나로 묶어서 ‘흰색’과 비교해보아도 음양태극도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면 분할이 비대칭적이다. 둘째, 역사적으로 발견되는 모든 태극 관련 도상들은 모두 음양 흑은 천지인 삼재(三才) 사이에 균일한 면 분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음-양, 혹은 천-지-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우위에 있거나 한 것이 아니라 이 둘 혹은 셋의 기(氣) 사이의 어울림과 조화를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정부기가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하였든, 삼일태극도클 바탕으로 하였든 균등한 면 분할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1) 태극도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태극도라고 볼 수 없으며, (2)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셋째, 현행의 정부기 디자인이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면적의 분할로 볼 때 ‘진한 파랑’, ‘횐색’만으로 표현되었어야 하며, (2) ‘진한 파랑’과 ‘흰색’이 음양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분할된 면적은 당연히 같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3) 중간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라는 철학적 의미와 연결된 아무런 의미도 없다. 넷째, 현행 정부기 디자인이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의 면 분할이 3등분으로 균등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 ‘진한 파랑’의 꽁무니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의 한 중앙에서 보면 독자적으로 배당된 면적도 없이 ‘진한 파랑’ 부분에 결들여져 있어서, (3) 삼일태극도로 볼 수도 없다. 다섯째,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기는 그간 태극, 음양태극, 삼일태극 등에 대한 여러 학문 분야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전혀 참고조차 하지 않고 디자인된 그야말로 “어느 한순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정부 차원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국가나 정부를 대표하는 상징들이 더이상 이런 식으로 디자인되어서는 안 된다. ‘The government flag’ is another flag us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iary.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currently in use has many fundamental problems.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basis of the Taegeuk design of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 or the ‘Samil Taegeukdo(三一太極圖)’. This is because (1) the three colors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are used, so it seems to be based on the Samil Taegukdo at first glance, but the face is not equ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2) the face is asymmetrical beyond the Yinyang Taegeukdo. Second, all historically discovered Taegeuk-related drawings are divided evenly between Yinyang or chcon-ji-in(天地人) Samjae(三才). This is because either the yin-yang, or the Samjae, is not superior, but symbolizes the harmony between these two or three. Whether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based on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or the ‘Samil Tacgeukdo(三一太極圖)’, there is no equal division of the plane. Thus,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not (1) fundamentally Taegeuk, but (2) it is only artificially made. Third,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1) it should have been expressed as ‘dark blue’ or ‘white’ in terms of area division, (2) if ‘dark blue’ and ‘white’ symbolize yinyang, then (3) ‘clear red’ in the middle means nothing. Fourth,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Samil Taegukdo(三一太極圖)’, (1) the face division of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should be evenly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or (2) ‘dark red’ is independently allocated from the center of Taegeukdo, (3) so It may not be considered to be the extreme of ‘Samil Taegukdo’. Fifth, in conclusion,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only an artificially designed design that is designed without re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schola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on Taegeuk, Yinyang Taegeuk, and Samil Taegeuk. The current government flag should be review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symbols representing the state or government should no longer be designed this way.

      • KCI등재

        태극 전통문양의 현대화를 통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연구

        이성규 ( Lee Sungkyu ),구수민 ( Koo Sum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40 No.-

        글로벌 현대사회에서 전통문양은 민족의 시대적·정신적 가치가 깃들어 있는 상징적 표현의 문화요소로 타문화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특히나 감성 문화중심의 시대에서 문양은 다양한 문화상품에 여러 형태로 표현되고, 패션과 문화의 융합에서는 트렌드와 유행의 감성에 발맞추어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의 접근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 문양의 특성을 살려 경쟁력을 갖춘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양 중에서 태극문양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하여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다가가 국내·외적으로 크고 작은 행사에서 우리나라의 이미지를 알릴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에 응용하여, 기존의 태극 이미지에서 벗어난 새로운 느낌의 패션문화상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태극문양은 국가 이미지 형성에 좀 더 치중하여 주도적인 역할이 되는 우리나라의 문양으로 음과 양으로 하늘과 땅을 의미하며 회전되거나 교차하는 역동적인 이태극(二太極)의 음양태극(陰陽太極)문양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이태극의 상징적인 의미와 미적 가치를 재조명하면서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감성적인 패션문화상품으로 태극문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여 태극문양의 현대적 활용과 발전 가능성을 도모하고자 패션문화상품 7점을 제작하였다. 작품에서는 태극문양의 미적 가치와 조형미를 지속해서 창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유물에 표현된 태극 문양을 현대적 감성 디자인으로 변형하여 새로운 표현기법과 젊은 감각을 표현하고자 핑크 색감을 넣어 전통미와 현대미의 융합적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재킷·블라우스·티셔츠·원피스의 의류와 스카프·앞치마·가방의 잡화에 태극문양을 표현하여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기존의 태극문양이 가진 전통적인 무게감과는 다른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감성과 문화중심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태극문양을 차별화된 패션문화상품으로 제시함으로써 세계 시장에 태극문양 문화상품을 선보이는 기회가 확산되어 우리나라의 이미지를 알리고자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n a global modern society, traditional culture is a cultural component of symbolic that contains the period and spiritual values of the people and is unique to other cultures. In the era of emotional culture, culture is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various cultural products, and in fashion and cultural fusion. However, we don’t have enough cultural fashion product design that contains Korean unique symbolic characters. In this study, the Taegeuk mark was reinterpreted with the modern sensibility to present a new way of feel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Taegeuk image by applying it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can approach Korea naturally in everyday life and promote Korea at events, both at home and abroad. In particular, the Taegeuk mark was the most dynamic Korean symbol that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image, representing the sky and the earth with yin and yang. In redeliberating the symbolic meaning and aesthetic value of the Korean Taegeuk, we have made seven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promote the modern use and development of Taegeuk culture by developing and producing designs that actively utilize Taegeuk culture as emotional fashion cultural products. It was designed to create an aesthetic value and a figurative beauty of the Korean national flag. To express the new technique and youthful sensibility by transforming the Taegeuk symbol expressed on the relics into a modern emotional design, the color of pink was added to create a fusion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beauty. By expressing the taegeuk mark in the clothing, scarf, apron, and bag of the jacket, blouse, shirt, dress, dress, and dress, the design direction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aegeuk mark. In this study, we want to present Taegeuk culture as a differentiated fashion cultural product in line with our sensibility and the changing cultural age, thereby promoting our image in the global market.

      • 주자학과 토미즘

        소병선(So Byung-Se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동서사상 Vol.12 No.-

        주자학과 토미즘의 철학적 유사성은 두 철학의 동일한 전제에서 기원한다. 이 전제는 주자학과 토미즘이 우주만물의 제일원인으로서 태극과 신을 상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토미즘에서의 신은 위격적인 우주의 창조자이지만, 주자학에서의 태극은 토미즘의 신처럼 위격적인 존재는 아니다. 우주만물이 각각 태극과 신으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주자학과 토미즘이 바라보는 세계구조 또한 유사하다.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태극과 신으로부터 리와 존재를 분여받았다. 하지만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기와 본질의 다름에 의해 차등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우주만물 중에서 인간은 가장 빼어난 존재자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기와 본질이 다른 어떤 존재자보다도 좋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태극과 신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한 가족이나 다름없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이러한 만물이 선하다고 간주한다. 왜냐하면 태극과 신이 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세계에는 분명히 악이 존재한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이 악을 선의 결핍으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주자학과 토미즘은 인간이성이 이 세계의 모든 존재자들은 인식하고, 존재와 선을 일치시키려고 노력하는 하는 이성적 의지의 철학이다. 즉 주자학과 토미즘은 실재론적 이성주의의 철학이다. The similarity of Chutzuism and Thomism has originated from the same philosiphical presupposition of two philosophies. This pilosophical presupposition of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s the First Cause of Universe. But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Chutzuism and Thomism, because God is the Personal Being as the Creator of Universe in Thomism,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is not the CreatOr of Universe in Chutzuism. Nevertheless the Great Ultimate(太極) included in the Heavenly God(上帝) implicitely. Accordingly,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re the Absolute and the Ulitimate Being. All things in this world have the similar structures, because they originate from The Great Ultimate(太極) or God as the First Cause. Therefore all finite beings originate from the Infinite Being. Accordingly, all things are given esse or li(理) from God or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yet all things varies respectively as the degree of essentia or chi(氣) given by the First Cause. So, there are the various beings in this world. Nonetheless all things in this world ate the only Family.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human reason as the esssentials of human. So two philosophies could expla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by human reason. In this world,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all things and all beings as good. And the goodness of these all things and beings has originated from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For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s the greatest goodness gave their goodness to all things and all beings respectively. And yet there is evil necessarily in this world. Chutzuism considered this evil as the defect of Ch"i(氣), and Thomism considered this evil as the privation of the good or the privation of being. Therefore according to Chutzuism and Thomism, nature is good, but evil is never nature because of the privation of the good. Chutzuism and Thomism are the philosophies of the rational will that they cognize being, and then go for the good. Namely, Chutzeism and Thomism are the realistic intellectualism.

      • KCI등재

        太極의 體·用의 개념을 통해 본 여헌 장현광의 易學觀 -자연학에서 도덕학으로-

        엄진성(Uhm jinsu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4 No.-

        이 연구는 태극의 체·용 개념을 통해 장현광 철학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것을 통해 그가 지향한 바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울 둔다. 장현광의 태극의 체·용 개념 개념은 기존 주자학에서는 볼 수 없는 그만의 독창적 해석이다. 이 개념은 「계사전」의 “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 八卦定吉凶 吉凶生大業”을 그 출처로 한다. 장현광은 易有太極에 대해 ‘역이 태극에서 나왔다.’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때의 易은 음양의 변화이며 동시에 『주역』을 뜻한다. 그는 聖人이 『주역』을 지은 까닭은 그것을 통해 뭇 인간에게 세계를 설명하고 그 올바른 직분과 대업을 알게 하기 위함이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모두 태극의 체와 태극의 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마치 접힘과 펼쳐짐의 관계처럼 하나의 대상의 상태의 변화일뿐 두 개의 범주 혹은 서로 다른 개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장현광이 주장하는 태극의 체와 용은 결국 一이며 그렇기에 太極一元論의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장현광은 태극의 체·용을 사용함으로써 자연계에서 태극이 본체로서의 태극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만사만물의 원인을 태극에서 찾음으로써 자연스럽게 만변만화의 변화와 작용을 태극에 포섭시켰으며, 이로써 더는 음양에 수반하지 않고도 자연계에서 태극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게끔 했다. 끝으로 우주론을 관통하는 인간의 직분에 대한 논의이며 동시에 인간이 어떻게 성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聖人之學을 목적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e of Janghyonkwang philosophy through concept. Jang Hyun-kwang s concept of 太極之體·用 is his own original interpretation, which cannot be seen in the existing Neo-Confucian studies. This concept is the source of 易有太極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 八卦定吉凶 in the 繫辭傳 . Regarding the concept of 易有太極, Jang`s interprets it as 易 came from 太極(Taichi). And then 易 is a 陰陽 (yinyang) change, and at the same time it means I-Ching. He says the reason 聖人 wrote I-Ching is to explain the world to all human beings and know their right one s duty and great work. And all of these structures are done through 太極之體·用. This does not mean two categories or different substances, as if the relationship between folding and unfolding is just a change in the state of one subject. Therefore, 太極之體·用, which Jang claims, is, after all, 一 and therefore, can be interpreted in the form of 太極一元論. Furthermore, by using 太極之體·用, Chang naturally recruited the change and action of nature to 太極 by maintaining 太極 s status as a substance in the natural world and at the same time finding the cause of all things at 太極. It allowed us to secure 太極`s status in the natural world without relying on 陰陽 anymore. Finally, it is a discussion of one s duty to penetrate cosmolog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聖人之學 is the purpose of how humans can be 聖人(saints).

      • KCI등재

        「태극도」 연구의 새로운 탐색 -‘구「태극도」’의 존재와 의의를 중심으로-

        이대승 ( Lee Dae-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본 글은 「태극도」 연구에 대한 새로운 탐색의 일환으로 『육경도』 등에 수록된 ‘구(舊)「태극도」’(‘역유태극도(易有太極圖)’)의 존재와 그 의의를 고찰하였다. 「태극도」는 주희에 의해 이학(理學)의 핵심문헌으로 선창된 이래로 다양한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도상의 유래 문제는 송대 역학의 핵심 사안 중 하나다. 도상 유래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태극도’와 관련된 도상과 진단 계열 역학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돈이 「태극도」 이전에 있었다고 기록된 ‘구「태극도」’는 진단-범악창-유목 계열의 역학과 관련된 도상으로 주목된다. 이에 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태극도」는 송대에 「계사전」의 ‘역유태극’장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결과로 나타난 ‘역유태극도’로서, 진단 계열의 역학사상 일부를 보여준다. 연구의 축적과 검증이 좀 더 필요하지만, 구「태극도」는 진단-충방-목수 계열에서 전해진 도상으로서 주돈이 「태극도」 저술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히 열려 있다. 구「태극도」는 송대 도서학에서 ‘태극도’와 관련된 도상이자 진단 계열의 역학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As part of a new search for the study of ‘Taijitu,’ this article considered the existence of ‘Old Taijitu’ (‘Yiyoutaijitu’ 易有太極圖) in Liujing Tu and its significance. A variety of issues have been discussed since ‘Taijitu’ was spearheaded by Zhu Xi 朱熹 as the core literature of Lixue 理學. In particular, the issue of the origin of the diagram is one of the key issues of Yixue 易學during the Song Dynasty. In order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diagram,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on the diagram related to ‘Taijitu’ and the Yixue interrelated Chen Tuan. In this regard, ‘Old Taijitu’ recorded prior to Zhou Dunyi’s ‘Taijitu’ is noted for its Yixue interrelated the school of Chen Tuan - Fan Echang - Liu Mu. The results of this consideration are as follows. The ‘Old Taijitu’ is the result o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Yiyoutaiji’ 易有太極 chapter in on the Book of Changes in the Song Dynasty, showing some of the Yixue of the Chen Tuan school. Although the accumul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are more necessar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ld Taijitu’ was related to Zhou Dunyi’s ‘Taijitu’, which was led by the school of Chen Tuan - Chong Fang 种放- Mu Xiu 穆修. ‘Old Taijitu’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ushuxue 圖書學during the Song Dynasty, a design related to ‘Taijitu’ and a reference to the Chen Tuan line of Yix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