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학습 탈동기 요인 연구

        박은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motivating factors influencing EFL learner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also aimed to identify whether an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according to gender, the year of study, and students’ majors. Methods For this purpose, 14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used a survey for data collecti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individual variables. Results Difficulties in learning English and social pressure on English were found to be the major demotivating factor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difficulties of writing and speaking in English were the most demotivating factor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the year of study, and students’ majors. Female students were more demotivated than male students. On the year of study, freshmen and juniors were more demotivated than sophomore and seniors. The pressure on English test scores was the demotivating factor to students studying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The difficulty of English speaking was the demotivating factor to students studying nature sc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university students were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pandemic in terms of English learning and achievement. Identifying demotivating factors in learning English can help educators to be more efficient in process of English teaching. In order to prevent students from being demotivated, educ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English curricular. 목적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성공적인 영어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탈동기 요인을 이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대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탈동기 요인을 조사하고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소재 A 대학교 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정보, 영어학습 기초조사, 영어학습 탈동기 영역,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영어학습 탈동기는 자신감 부족, 영어학습의 어려움, 외적 동기 부족, 영어학습 방법에 대한 불만, 사회적 분위기, 영어권 문화 및 영어권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총 6개 요인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검증,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주요 탈동기 요인은 영어학습의 어려움과 영어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였다. 영어학습의 어려움과 관련해서는영작문과 영어회화가 가장 높은 탈동기 요인이었다. 영어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일정 점수를 넘어야한다는 압박감과 무조건공부해야하는 학습 부담이 가장 높은 탈동기 요인이었다. 탈동기 요인은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탈동기가 높았으며, 1학년과 3학년이 다른 학년보다 탈동기가 높았다.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일정점수를 넘어야한다는 압박감이 탈동기 요인이었으며, 자연계열 학생들은 영어로 말할 때 생각대로 되지 않는 이유가 탈동기 요인이었다. 결론 영어학습 기초조사 결과를 통해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은 대학생들의 영어학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위해영어가 필요한 현실을 놓고 볼 때 대학은 학생들의 영어학습 탈동기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영어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년별, 전공계열별 탈동기 요인을 분석해 영어수업을 운영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영어수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탈동기 요인 및 변인별 양상 연구

        홍종명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otivation factors and patterns according to learners’ variable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arning burde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de motivation and ‘teacher factor’ had the lowest effect among seven demotivation factors. Chinese learner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influenced by Korean language itself, which is an unfamiliar foreig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eacher factor’ seems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motivation,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y’s argument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luency-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while, the difference of gender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showed that male students tend to be more motivated than female students. The phenomenon of demotivation according to ‘Korean fluency’ is getting more advanced as it goes up to advanced level of Korean. This phenomenon has a high correlation with another variable ‘duration of study abroad in Korea’. For Chinese learners, the longer the learning period and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more attention is needed to maintain the motivation.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탈동기 요인과 학습자 변인에 따른 양상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척도를 재구성하여 총 3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7개의 탈동기 요인 중 ‘학습부담’이 탈동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교사요인’은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낯선 언어인 한국어 자체로 인해 학습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선행연구들의 주장과는 달리 ‘교사요인’은 탈동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창성 중심의 한국어교육의 특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습자 변인에 따른 탈동기 양상 중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탈동기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에 따른 탈동기 현상은 고급 단계로 올라가면서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현상은 또 다른 변인인 ‘한국 유학기간’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학습 기간이 길고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동기 유지를 위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동기 향상을 위해서는 탈동기 요인 분석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 연구

        홍종명 ( Hong Jong-myung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9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탈동기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학습자 변인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부담’과 ‘시험요인’이 베트남인 학습자 탈동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유학생활의 경제적 부담도 동기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과정 이외의 요인도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변인에 따른 차이로는 먼저 성별에서는 여학생들의 탈동기 경향이 다소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탈동기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숙달도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탈동기 현상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유학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탈동기가 약해지다가 2년 이상이 되면 다시 탈동기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기간이 길어지고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학습 동기에 관한 고려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otivational factors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who are recently increasing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learners' variables. As a result, 'learning burden' and 'test factor'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earner demotiv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it seems that Korean language, which is an unfamiliar language, has a great influence on demotivation. On the other hand, Vietnamese learners are influenced by the economic burden of studying abroad. Therefore, factors other than learning process need to be considered. As one of learners’ variables, the gender showed that female students' tendency to de motivation was somewhat stronger and the difference of demotivation according to age did not appear much. In the Korean proficiency test, it was shown that the demotivation became stronger as the proficiency improved. As the period of study abroad in Korea increases, the demotivation of the students become weaker and more demotivated again when they are over 2 years. For Vietnamese learners, the longer the learning period and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more need to consider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서울 공립 중학교 영어 교사의 교수 탈동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장혜영(Jang, Hye-Yeong),김준구(Kim, JoonK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공립중학교인 S중학교의 영어교사들이 탈동기(demotivation) 되는 과정을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영어교사의 탈동기 요인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김태영과 조 아라(2018)의 연구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영어교사의 동기유발 요인과 탈동기 요인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당수의 탈동기연구들이 영어교사의 탈동기 요인을 단순히 추출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그이면의 심층적 의미와 영어교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내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ology)을 통해 탈동기와 관련한 영어교사들의 실제경험과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 현상의 의미에 대해 깊이 있게 천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자 3명을 각각 3월부터 4월까지 2번씩 만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의 공립 중학교에 근무하는 영어교사들은 교사의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 일들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길 때, 매년 변화하는 환경, 수업에서 소극적인 학생들의 태도, 교권침해 문제에 의해서 크게 탈동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otivating processes of the English teachers working at S public middle school in Seoul. There have been a plethora of studies on factors that demotivate English teachers. Kim and Cho (2018) conducted a comprehensive meta-study on the topic and explicitly presented a list of factors that motivate and demotivate English teachers.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English teachers’ demotivation concentrated mainly on extracting factor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has been limi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perceived limitation, this study adopte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pproach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sought to focus on lived experiences and voices of the English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glish teachers are likely to become demotivated by the situation where they are required to focus most of their resources on work that does not match their identity,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students’ passive attitudes in classes.

      • KCI등재

        교환학생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연구

        정진현 ( Jinhyeon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는 외국인 교환학생의 한국어 학습에서의 탈동기 경험을 조사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개선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focus group)을 활용하여 이들의 탈동기 경험과 인식, 요구사항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교환학생들은 교수 방법이나 선택 가능한 한국어 수업의 부족,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한국어 학습 탈동기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어 학습 탈동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설문조사와 같은 정량적인 방법이 활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교환학생이라는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탈동기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며 국내 교환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환학생의 한국어 학습 및 탈동기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선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motivational experiences of foreign exchang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o use the result to find solu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focus group was used for interviewing exchange students’ demotivational experiences,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about studying in universiti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exchange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due to the teaching methods, the lack of selectable Korean classe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In the meantime, studies on demotiv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have mainly us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survey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factors of demotivatio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addi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exchange students,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exchange students in Korea by examining their demotivational experiences. Based on this stud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exchange students can be improved.

      • KCI등재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 및 불안감 양상: 학년, 지역, 수준을 중심으로

        장진철(Jang, Jin-chul),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 불안감의 학년별, 지역별, 수준별 양상을 탐색하고 이 요인들이 영어과 기초 학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총 266명의 초등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2018학년도 기초학력 평가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분석에서 탈동기 요인은 4∼5학년에서 점차 상승하다가 6학년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동기 요인과 불안감 요인은 학년별 차이가 없었다. 지역별 분석에서 농촌지역 학습자는 영어 학습 불안 요인 4개 중 3개에서 도시지역 학습자보다 높았다. 수준별 분석에서 높은 수준의 학습자는 동기 요인 4개 중 3개에서 낮은 수준 학습자보다 높았고, 낮은 수준의 학습자들은 탈동기 요인 8개 중 4개, 불안감 요인 4개 모두에서 높은 수준 학습자보다 높았다.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 불안감이 영어과 기초학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불안감이 동기나 탈동기보다 영어과 기초학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기와 탈동기가 서로 정반대의 개념이 아니라 서로 다른 개 념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초등영어수업에서 학습자의 불안감을 줄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demotivation and anxiety. By using the 3-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266 students (96 in 4th grade, 81 in 5th grade and 89 in 6th grade) were surveyed. It was found that 5th grade students demotiva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grades. However there wasn t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and motivation factors among grades. Students from rural area had a higher level of English learning anxiety than students from urban area in 3 out of 4 anxiety factors. Students having higher English proficiency had a higher level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 2 out of 4 motivation factors. Also, students having lower English proficiency had a higher level of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4 out of 8 demotivation factors) and Anxiety (in all four anxiety factors). English learning anxiety has more influence on English proficiency than motivation and demotivation. The findings imply that motivation, demotivation is not opposite concept. Also, English teacher should modify the teaching and evaluation style considering students English learning anxiety.

      • KCI등재

        토익집중 프로그램에 참가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탈동기 연구

        이해련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연구 Vol.64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ir grade, English proficiency, and English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are 86 students who attended a three-week intensive TOEIC program. A questionnaire survey and mock TOEIC sco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1)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second grade students’ instructional motiv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grade, and among the demotivation factors, the second grade participants’ learner factor, in-class environmental factor and out-of-class environmental factor were found to have a higher mean differenc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English proficiency but the lower English profici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emotivation in the learner factor than that of the upper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levels between groups in the TOEIC score improvement, and 4) while employment was the main motivation for TOEIC study, the difficulty of studying TOEIC vocabulary, grammar, and listening was the primary source of demotivation. Also, some suggestions for remotiva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한국 대학교 원어민 강사들의 영어 교수 탈동기 요인

        임혜미(Hyemi Lim),김태영(Tae-Young Kim)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 근무하는 원어민 영어 강사들의 탈동기 요인에 대해 이들의 성별, 대학 전공, 학위, 교수경력에 따라 분석하였다. 4년제 대학에 재직중인 총 122명의 원어민 영어 강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분석 결과 남성 강사보다 여성 강사들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전공에 따라서는 예술 관련 전공자들이 탈동기 스트레스 구인 중 과중한 업무 구인에서 타 전공보다 높은 수준의 탈동기를 나타냈다. 셋째, 학위에 따라서는 학생들과의 관계 구인에 있어서 박사 학위 소지 원어민 영어 교사들이 더 높은 수준의 탈동기를 나타냈다. 학사 학위 소지 영어 원어민 강사들은 지식의 부족 구인에서 높은 탈동기를 나타냈다. 그리고, 교수경력에 따른 분석 결과 1-2년의 교습 경력을 지닌 영어 강사들이 과중한 업무와 지식의 부족 구인에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어민 강사 채용 과정에서 더욱 체계적인 채용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영어 혹은 교육학을 전공한 원어민 영어 강사를 채용할 필요 역시 존재한다. In this study, the demotivation factors of native English instructors at univers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gender, major, educational degree, and teaching career. A total of 122 native English-speaking instructors from four-year universities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based on gender showed that female native instructors expressed more stress in their work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according to major, the instructors majoring in art showed a higher level of demotivation in the components of overwork. Also, these instructors perceived a higher level of demotivation in the components of insufficient self-efficiency than those majoring in English. Third, based on educational degree, native English instructors with doctoral degrees showed a high level of de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Native English instructors with bachelor’s degrees showed demotivation in the category of the lack of knowledge. Finally, an analysis based on teaching career reported that the instructors with one or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exhibited more stress in the components of heavy work and the lack of knowledge.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the recruitment system for native English instructors should be systematic, and it is necessary to hire native English-speaking instructors who majored in English o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strengthen training for native English-speaking instructor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유아 영어 강사들의 교수 동기 및 탈동기

        공지윤(Jiyun Gong),김태영(Tae-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교육을 하며 영어학원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영어 강사, 한국인 이중 언어 강사, 그리고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서 영어 수업을 실시하는 파견 강사의 교수 동기 강화요인과 감소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 참여자 6인의 교수 동기 및 탈동기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유아 대상 영어학원에 근무하는 원어민 영어 강사 2명, 한국인 이중 언어 강사 2명 그리고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서 영어 수업을 실시하는 유아 영어 파견강사 2명을 대상으로 사전면담 1회, 반구조 면담 3회를 실시하였다. 사전면담과 반구조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3단계 절차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그리고 선택코딩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심층면담 결과로, 유아 영어 강사들의 교수 동기는 참여 강사 6인의 개인별 차이가 발생하는 반면 탈동기는 영어강사의 유형별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교수 동기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개인적 요인으로 교수 동기의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탈동기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근무기관의 환경과 서로의 업무가 상이함에 따라 직업 유형별로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 수업을 실시하는 영어 강사들의 근무 환경의 개선과 국가적 차원에서 강사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영리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영어학원 및 파견 업체의 영어수업 방식을 국가에서 관리하고 체계화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enhance and decrease the teaching motivation of native English instructors who teach English to young children, Korean bilingual instructors, and dispatched instructors who teach English at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each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among the six participants. Methods One pre-interview and three semi-structured mai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native English instructors working at an English academy for young children, two Korean bilingual instructors, and two dispatched English instructors who teach English at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pre-interview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from Grounded Theory. Results The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the teaching motiv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nglish instructors differed among the six participating instructors, while the demotiv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teacher group. In addition,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eaching motivation was a personal factor, and it appeared different based on each instructor’s purpose of teaching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as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demotivation, idiosyncratic results were derived for each teacher group as the environment of the three groups’ working condition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English instructors who teach English to young children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teacher managemen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an active role in introduc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English academies and dispatching companie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변화 추이와 탈동기⋅재동기 연구

        이인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ing motivation charts and retrospectiv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between six and 18 months of living in Korea, but were remotivated in their third year of learning Korean. Newly discovered demotivation factors include advanced course topics in language institutions, difficulties adjusting to life in Korea during the early stages of studying abroad, taking online course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wo foreign languages simultaneously. Remotivation factors included communication with native speakers, improvements in learning conditions, and the use of out-of-class self-regu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programs that aim to predict and alleviate the demotiv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help them to remotivate. 본고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의 변화 및 탈동기의 재동기화 과정을 동기 변화 차트 및 회고적 면담을 통해 살피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학습 탈동기를 관리하여 재동기화하도록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부 유학생들의 한국어 동기는 한국어를 학습한 지 1.5년이 된 시점에서 가장 낮았으며 2년과 3년 시점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시점은 1년이 언어교육원 4급 정도에 이르러 학습 부담을 느끼게 되는 시점이며, 코로나 19로 인한 상황의 영향이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대체로 한국어를 학습한 지 3년 정도 되는 시점에서는 재동기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본고에서 나타난 탈동기 요인은 다양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학습 환경 및 학습 경험 요인 등이 나타났다. 반면 그 하위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유사 문법 등으로 인한 학습 부담, 수업 방식의 변화, 교재의 주제가 그 하위 요인으로 나타났다. 수업 및 학습 환경과 같은 상위 요인들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자주 언급된 요인인 또한 학습 경험의 하위 요인인 학습 자신감 결여, 시험 불안 등도 선행 연구에서는 그 구체적인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과거 주로 언어교육원 등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 후 학부 유학을 시작하는 것과 달리 학부 입학 후 한국어를 처음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식이 한국어 학습에 대한 부담과 불안감을 주어 한국어 학습의 주요 탈동기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전공 학습 요인, 학습 환경 요인 중 비대면 수업의 영향, 기타 학습 여건 중 유학 초기 적응과 휴학 역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탈동기 요인이었다. 본고에서는 재동기 요인을 의도되지 않은 재동기 요인과 학습자의 의도된 재동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재동기 요인에는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교사, 동료, 학습 여건의 개선, 도구적 요인, 성적 향상과 성취감, 이전 외국어 학습 경험이 나타났다. 재동기 전략으로는 수업 밖에서의 자기 조절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내 자기 조절, 인지적·정의적 조정, 목표에 집중하기, 학습의 필요성 인식 등의 전략도 활용되었다. 유학생들은 스스로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기회를 만들어 재동기화 하는 전략을 취하였으며 한국인이 다수 수강하는 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것과 같은 자신만의 재동기화 전략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재동기 전략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었다.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학생의 학업 지속 및 학습의 질 향상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