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교과 수행평가의 방법 및 도구의 타당화에 대한 고찰

        오수학(Oh Su Ha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0 No.3

        수행평가의 방법 및 도구의 활용이 학교현장에서 증가되어 감에 따라 이들 방법과 도구의 개발 및 사용과정에서 질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 되어가고 있다. 타당화는 수행평가의 방법 및 도구의 질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타당화 논리에 의하여 적용되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질 관리의 측면에서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의 타당화 문제를 다루었다. 즉, 체육교과 수해평가 방법과 도구의 질 관리는 타당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논리를 정당화하였다. 체육교과 수행평가 방법과 도구의 질 관리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타당화 논리로서 전통적 개념의 타당화 논리, 구인 타당화의 논리, 내적 타당화이 논리, 외적 타당화의 논리, 가설검정을 이용한 타당화 논리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체육교과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의 타당화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체육교과에서 수행평가 방법이나 도구의 개발에서부터 활용에 이르기까지 잘 관리의 관점에서 타당화 논리를 탐색함으로써 현장 활용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in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or instruments in physical education is being greatly increasing. With several approaches, the quality control of methods or instruments can be conducted in various domains. Of those domains, this study attempts especially to develop the quality control system of assessment method and instruments based on validation. First, the functions of quality control in assessment activity are discussed including three parts: 1) an introduction to the perspectives toward quality control, 2) the applicable areas of quality control, and 3) various methods and validation techniques of quality control. Second, the rationales of quality control are indicated. Finally, several aspects of validation are suggested: traditional validation, construct validation, internal validation, external validation, and quasi-experiment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간의 관계에서 타인에 의한 타당화 매개효과

        장애경,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타인에 의한 타당화가 우울, 불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타인에 의한 타당화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해봄으로써 우울, 불안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상담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요인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들은 전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02명이었다. 평가염려 완벽주의,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우울, 불안, 각 변인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타인에 의한 타당화가 평가염려 완벽주의, 우울, 불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 과 Kenny(1986) 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우울, 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타인에 의한 타당화도 우울, 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 타인에 의한 타당화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를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학생의 우울, 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하여, 변화가능한 개인의 내적 신념인 타인에 의한 타당화를 다루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axamined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exiety for suggest eliments in college students counseling, validation from others as a mediator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anxiety. Reseafch participants were 302 college student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mediation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among maladaptive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 indicat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lation between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and anxidty and depression, validation from others indicati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xiery and depression. Also, validation from oth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partially mediated the validation from others between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and anxiety. The resutl suggest that it is treatment of validation from others is efficient for down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colldge stude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담자의 타당화 수준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유성경,김창대,홍세희,권경인,한영주,윤정숙,윤정순,손난희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erceived Validation Scale (PV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o assess counselor's validation level perceived by clients. The concept and the level of validation was suggested by Linehan (1993). A total of 105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literature review.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items were validated by 2 counseling professionals. The readability of each item was checked. The final 18 items of the PVS were developed, an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VS were examined through the study with 259 actual clients. The PVS demonstrated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six-factor construct, which was the best fit to the six-levels of the validation model theoretically proposed by Linehan (1993). The validity of the PVS was verified with Outcome Questionnaire 30 (OQ-30), Empathic Understanding subscale (EUS), Counselor Rating Form (CRF-S), Test of negative social exchange (TENSE).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e future studies of the PVS were discussed. Linehan(1997)이 제안한 상담자의 타당화(validation) 수준을 내담자가 평정하는 상담자의 타당화 수준 평가 척도(Perceived Validation Scale: PVS)를 개발하였다. 타당화란 내담자와 내담자의 반응에 내재된 본질적인 의미와 이해가능성, 즉 타당성을 발견하고 이를 내담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문헌 질적 분석을 통해 총 10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뒤, 대학생 이상 성인 내담자 259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총 18 문항을 선정하였다. PVS는 내적일관성, 시간적 안정성을 갖추었을 뿐 아니라, Linehan(1997)이 제안한 6요인구조를 지지하였다. 또한, 타당화 수준을 고려하여 생성한 변수 PVS-D는 공감적 이해 소척도(EUS), 상담자 평정척도(CRF-S)의 기존 도구에 비해 상담성과를 보다 잘 설명하였다. PVS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직몰입 구성개념의 개념화와 타당화:은행의 정규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안정원,이순묵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 3요소 모형(Allen & Meyer, 1990)의 심리측정 및 개념화와 관련한 주요 문제들을 검토하고, 한국 직장인들의 조직몰입 개념을 확립하기 위해, 국내 은행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조직몰입 구성개념의 내적 구조를 파악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조직몰입 개념화의 방향과 연구 가설을 수립하고, 측정도구를 구성하였다(정서적 및 지속적 몰입: 3요소 모형의 문항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 규범적 몰입: Jaros, 2007의 6문항 사용). 분석을 위해 총 519명의 응답 자료에 대하여 은행 구성원들의 조직문화 인식을 검토한 후, 무선 할당을 통해 각각 290명과 229명의 독립된 2개의 자료 집단을 구성하였다. 290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ESEM)을 사용하여 조직몰입 구성개념의 내적 구조를 검토하였고(연구1), 229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교차타당화를 실시하였다(연구2). 분석 결과, 은행재직자들이 생각하는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의 단일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이 경험적으로 타당함이 입증되었고 측정을 위한 10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그동안 한국 직장인을 표본으로 3요소 모형의 일반화가능성을 검토하고 구성개념 타당도 문제를 제기한 연구들은 있었지만 관련된 후속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구와 다른 국내의 조직문화 특성을 반영한 조직몰입의 개념화 및 타당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의 은행 조직을 대상으로 시도된 본 연구는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기에 충분하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몰입 차원의 경험적인 타당화, 조직몰입 개념으로서 정서적 차원의 의미 확장, 조직문화적 측면에서 몰입 개념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내적 구조의 개방적 분석(ESEM 사용)을 통한 방법론적 강점을 지닌다.

      • KCI등재

        외국 검사도구의 번역 및 타당화 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과 정의적 영역의 검사도구를 중심으로-

        장봉기 ( Bong Gee Jang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측정이론과 문화 간 비교연구에서 제시하는 검사지 번역 및 타당화 절차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어교육 연구에서 수행되고 있는 동기 관련 검사지 번역 및 타당화의 현황과 쟁점을 살피는 것이다. 관련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총 8단계로 요약된 번역 및 타당화 절차가 마련되었다. 이 단계는 기존의 연구에서 자주 간과되었던 번역 준비, 역번역, 인지적 인터뷰, 포커스그룹, 예비연구 등을 두루 포함하였다. 이 단계를 바탕으로 수집된 관련 연구를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변역 및 타당화된 국어과 동기관련 검사도구는 총 10종이었고, 특히 MRQ가 가장 빈번하고 반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세부적 절차와 관련하여 인지적 인터뷰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역번역 절차가 가장 두드러지게 생략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문가 검토와 예비연구 또한 좀 더 적극적으로 시행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최근 국어과 정의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증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관련 연구의 동향과 쟁점을 분석하고 검사도구 번역 및 타당화를 위한 종합적인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견고한 방법적 토대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importance of applying multiple validation procedures to translating and using motivation instru-ments in literacy research. I reviewed highly recommende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validation of research instruments and established an eight-step guideline. This guideline in-cludes multiple validation procedures such as seeking conceptual defi-nition, using forward/backward translation processes, adopting group translation methods, conducting cognitive interviews and focus groups, encouraging written feedback on the survey, and using feedback on items from experts. This guideline was used to evaluate literacy motivation instrument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language. Results showed that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 (MRQ) was translated most frequently by four researchers and was identified as the most widely used motiva-tion measure in literacy research in Korea. Cognitive interviews, focus groups, and back translation were often not conducted and this lack of methodological rigor created some major issue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ose translated instruments.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s of motivation studies in literacy,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methodological sensitivity and complexity in translating and validating motivation instrument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태승,이동혁,고윤경,서희주,김혜윤,천재운 한국진로교육학회 2023 진로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로메타인지의 구성개념에 근거하여 예비문항 60개를 구성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총 3명(박사 3명)에게 검증하였다. 이후 중·고등학생 3명에게 안면타당도를 검증하고 반영하여 수정된 문항으로 중·고등학생 400명씩 2회에 걸쳐 총 800명에게 문항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60문항에서 20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2차 조사는 중·고등학생 400명에게 실시하여 최종 18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항의 타당화를 위하여 중·고등학생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도구로는 메타인지 척도(State Metacognition Inventory; SMI), 진로개발역량검사 중 진로설계역량 척도를 활용하였다. 타당화를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중·고등학생 진로메타인지 척도가 안정적인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의 전체적인 모형 적합도는 Bartlett 구형성 검증 χ2 = 1422.025(df=153, p<.000) CFI는 .941, TLI는 .930으로 상대적 적합도 지수에서 현실적으로 적합함이 검증되었다. 절대적 적합도 지수 RMSEA는 .058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Cronbach’s α는 계획 .82, 평가 .85, 조절 .79, 모니터링 .90으로 모든 요인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89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대학생 진로메타인지 척도의 구성개념이 중·고등학생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고등학생용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활용한 다양한 진로 분야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생용 진로메타인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의 의의와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velops and validates a career metacognition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For this purpose, 60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career metacognition,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total of 3 experts (3 doctors). Afterwards, face validity was verified and reflected on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 preliminary survey to select question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00 students twice, with 4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ach, using the revised questions. Data from 400 people in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were analyzed and 20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60 questions. Afterwards, a second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4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inal 18 questions were selected. To validate the final selected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validation tools, the State Metacognition Inventory (SMI) and the career design competency scale from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est were used. Validation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th career metacognition scale had a stable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The overall model fit of the career metacognitive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was Bartlett test of sphericity χ2 = 1422.025 (df=153, p<.000), CFI was .941, and TLI was .930, which was verified as realistic fit based on the relative fit index. The absolute fit index RMSEA was .058, showing good fit. In addition, Cronbach’s α was found to be good for all factors, with planning at .82, evaluation at .85, control at .79, and monitoring at .90, and Cronbach’s α for all questions was found to be .89.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the college student career metacognition scale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was similarly applied to middle·highschool stundents, especial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 career metacognition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was developed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which is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scope of future research in various career fields using the career metacognition scal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areer metacognition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신해(Hwang, Sheen-Hai),김민진(Kim, Mi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어휘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는 정서어휘 선정, 검사도구 시안 개발, 검사도구 타당화의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정서어휘 선정 단계에서는 검사도구 문항을 구성하기 위한 정서어휘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서용어를 수집하고, 전문가 협의와 어휘 등장 빈도를 고려해 유아의 수준에 적합한 정서 범주별 주요 정서어휘를 선정하였다. 검사도구 시안 개발 단계에서는 선정된 정서어휘를 그림 문항으로 제작하고, 제작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 시안에 대한 2차례의 예비검사를 진행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에 대한 통계적 방법과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시안을 구성하였다. 검사도구 타당화 단계에서는 최종 시안을 사용하여 본검사를 진행하고 수집한 결과에 대해 Rasch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3개의 연습문항과 75개의 본문항으로 구성 된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를 확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가 측정도구로서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and validate the emotional vocabulary acquired by young childre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tool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selection of emotional vocabulary, development of examination questions, and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First, based on a literature analysis, emotional vocabulary was defined and discrimination criteria were set. In consideration of experts consultation and the frequency of vocabulary appearance, the emotional vocabulary for the developing measurement was selected. Second, two preliminary tests were conducted to develop the measurement draft, and the measurement was develop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by experts. Finally, for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he main test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by applying the Rasch model. Through the process the emotional vocabulary measurement was composed of 3 practice questions and 75 body ques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table measuring tool for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n emotional vocabulary.

      • 수행평가 타당화 논리의 탐색

        裵浩栒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논총 Vol.6 No.-

        학교 현장에서의 수행평가의 보편화에 따라 수행평가 방법 및 절차의 질적 항상 노력이 필요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수행평가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요청되는 수행평가 전반에 관한 타당화 논리를 모색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수행평가가 중래의 평가에 비하여 그 양호도 및 건전도가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는 관점에서 교사 중심의 타당화 노력이 요청되는 바, 평가 대상 및 평가 내용, 평가활동자체 또는 평가 시행 과정,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에 관한 타당화를 위하여 심리검사 개발 및 활용 논리, 교육목표 분석 및 계열화 논리, 실험연구 논리, 질적 확신논리, 그리고,평가적 판단논리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수행평가의 여러 단계의 특성을 나타내는 다앙한 근거자료를 활용하는 다각적인 타당화 관점이 복합적으로 요청된다.

      • KCI등재

        한국판 PCI 검사1)의 타당화 연구 : 국내 직무장면을 중심으로

        서동기,김예실,유대열,임다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의 5요인을 기반으로 한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ventory(PCI) 검사를 한국판으로 타당화 하는 것이다. PCI는 서 구 직무 장면에서 성격이 업무성과를 예측하는 것을 입증한 검사로서, 기업조직과 학계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컨설팅 업체 및 바이오벤처회사 직원 145명을 대상으로 PCI 검사를 타당화 하였다.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통하여 번안타 당도를 확보하였고, 중간 수준 이상의 내적일치 신뢰도 및 5요인 12하위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상사가 부하직원의 과업수행 및 조직시민행동 을 평정하게 하여 이를 준거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성격의 5요인에서는 원만성이 과업수행 및 제안활동을 정적 으로 예측하고, 성실성이 대인지향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향성은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안정성은 과업수행, 대인지향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12요인에서 보면, 자 신감이 과업수행, 제안활동, 대인지향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보다 완성도 있는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ventory (PCI) in Korean version. PCI which is proved to predict performances inWesternwork settings has been actively used in business organizations and academia. In this study, the PCI was validated for the subject of 145 consultants and bio-venture employees in Korea. The translation validity was obtained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sse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construct of the 5 factors and 12 sub factors were confirmed.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in-role behavior and OCBwith supervisor ratings was obtained by regression analysis. In the 5 factor of personality, Agreeableness predicted in-role behavior and voice in the positive way, and Conscientiousness predicted toward individuals OCB and toward the organization OCB in positive way. On the other hand, Extroversion predicted toward the organization OCB in negative way, and Emotional Stability predicted in-role behavior, toward individuals OCB and toward the organization OCB in negative way. In the sub 12 factors, Self Confidence predicted in-role behavior, voice, toward individuals OCB, and toward the organizationOCB as negativel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were discussed and proposals formore complete researchweremade.

      • KCI등재

        청소년문화의집 평가모형 타당화와 정책적 함의

        김형주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This paper's purpose is to investigate validity and implications of policy in youth culture center. In this study, first, it reviews theoretical literatures on the conceptual grounds for institutional evaluation, evaluation projects for youth culture center, and related studies in youth center. Second, it is investigate validity of evaluation model(total evaluation domain 6, sector 14, indicators 31) of youth culture center. Sample size is 241 in field staff 193 and related expert 48. Results of analysis of validity are that it is the valid evaluation model(73.8%). Validity level of this model is over all more than 3 validity point. And it is also over all 3 validity point in evaluation application(applying easiness). Third, implications of policy in this study are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evaluation purpose with policy direction, to bridge the gap in difference of regions and type of management agent, and to make full use of evaluation results for youth culture centers. 본고의 목적은 청소년문화의집의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시설운영의 체계적인 질 관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기관평가적 측면에서 구안된 청소년문화의집 평가모형을 타당화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관평가의 개념적 의의를 살펴보고, 청소년수련시설종합평가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의집 평가사업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의 대상으로 삼은 평가모형은 청소년문화의집 평가를 위한 6개 평가대영역, 14개 평가중영역, 31개 평가지표로 설계되었다. 타당화를 위한 조사대상은 청소년문화의집 운영책임자 193명, 관련전문가 48명으로 총 241명이며 온라인을 활용한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타당화 분석결과 평가대영역은 73.8%가 타당하다고 나왔으며, 평가중영역의 타당성은 5점 만점 기준으로 최소 3.85이상으로 분석되었다. 31개의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모든 지표에서 보통수준의 타당성을 나타내는 3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의 평가수행상의 수월성을 의미하는 평가용이성에서는 모든 지표에서 3점 이상의 타당성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정책적 함의로는 평가의 기본방향과 평가목적의 명확성 확보, 지역간․시설운영유형간 격차 해소, 평가결과의 실효적 활용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