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리적환경과 치유요소를 고려한 치매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 평가도구 연구

        조주영,이효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치매환자를 위한 법적시설인 전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치매노인들이 생활하는 공간 내 물리적 환경이 치유적 역할과 질적 삶 영위를 유지하기 위해 건축계획적으로 일정수준을 유지하도록 평가하는 도구개발이 목적이다. 앞으로의 치유환경으로 개선될 환경을 위해 물리적 환경에 치유적 지표가 접목되어 두 가지 측면이 함께 측정되고 판단될 수 있는 평가도구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중심으로 치매노인이 입소하여 생활하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심신이 호전되거나 또는 유지되는 치유환경으로서의 건축적인 접근된 환경을 개발된 도구를 광주전남지역, 서울지역, 국외인 일본의 사례시설을 조사하여 각각을 평가하였다. 미국에서 개발되어지고 노인시설의 치료적 환경평가부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구인 TESS와 연계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개발된 평가도구가 치유환경 평가도구로서 각 각의 치유환경으로서의 부분별 상관성 및 차이점을 통하여 연구한 평가도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환경 스트레스 관점의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유효과 연구

        오지영,박혜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This study analyzed the healing effect of the design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stress, which is one of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By examining the objective healing effects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and systematic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hases. Firstly, three environmental stress theories (Attention Recovery Theor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Environmental Stress Model) were examined to review the academic basis of which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has been derived and developed. Second, we analyzed 16 previous research on the design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and used them as an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Thirdly, 11 foreign studies that proved the healing effects of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rough objec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as an analysis framework, and the basis for applying design elements in constructing healing environment was prepar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eal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rom Lazarus's psychological stress theory and Ulrich's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one of the noninvasive healing tools that affect stress reduction. Second,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could be divided into 15 factors and categorized a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mentioned and studi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of nature-friendly, aesthetic, and openness. Third,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healing effects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were related to natural affinity and aesthetics, and it was found that the visual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could affect the actual stress reduction. 본 연구는 환경심리학 내용 중 하나인 환경 스트레 스 관점으로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유효과를 문헌 및 이론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객관적 치유효과를 고찰함으로서 계획적이고 체계적 인 치유환경 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환경 스트레스 이론 3가지(주의회복이론, 진화심리이론, 환 경스트레스 모델)를 고찰하여 치유환경의 이론적 개 념의 근거가 어떤 관점에서 파생되고 발전되어 왔는 지 학문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치유환경 디 자인요소에 대해 고찰한 국내외 선행연구 16건을 분 석하여 본 연구의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세 번째는 치 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유효과를 객관적 연구방법으 로 증명한 11건의 국외연구를 고찰하여 분석틀로 파 악하고 치유환경 구성 시 디자인요소의 적용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치유환경 개념은 라자러스의 심리학적 스 트레스 이론, 얼릭의 진화심리이론에서 발전된 것으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비침습적 치유도구 중 하나로 활용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치유환경 디자인요소는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총 15가지 요소로 정리하였으며, 자연친화성, 심미성, 개방성 순서로 선 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유효과를 고찰한 선행연구에서는 자연친화성, 심미성과 관련된 연구사 례가 대부분이었으며, 치유환경의 시각적 요소가 실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치유환경요소 분석을 통한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임종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경제성장을 통해 도시화,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에서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의식 수준은 높아지고 있지만, 사회의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함께 정신적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법으로 물질적인 충족감보다는 심리적인 만족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는 치유환경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치유환경 유형에 대한 재분류를 통해 치유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심리적 환경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2010년 전후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치유환경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기존의 유형과 요소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심리적 환경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결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심리적 환경의 요소로 공유 및 적용 가능한 요소를 도출한 결과, 물리적 환경의 구체적인 요소에서는 자연요소, 접근성, 개방감, 조망, 안전성, 소음조절, 색채/재료/질감, 공간감, 길찾기 등이 도출되었다. 이 요소들은 물리적인 환경의 구체적인 요소로 구분되지만, 사용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며, 치유적인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공간을 인식하고 느낄 수 있는 1차적 요소로서 인지적 측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심리적인 요소로도 활용 가능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심리적 환경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요소는 프라이버시이며, 다음으로 쾌적성, 가정적인 환경, 안정감, 친근감, 영역성을 들 수 있다. 이는 공간에서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적 환경의 구체적인 요소에서는 사회교류, 커뮤니케이션, 휴게공간, 활동 및 취미공간, 사회적 접촉을 들 수 있으며, 행태적 환경에서는 사회적 촉진작용, 능동적 활동지원, 상호촉진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행동에 있어서 심리적인 측면이 작용함을 의미하며, 사회적 교류 및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치유환경 유형과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심리적 환경과 공유 및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기존 심리적 환경의 요소들과 함께 사용자들에게 공간을 인지하고, 사회적 관계성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치유환경에서 심리적 환경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치유공간의 지속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다감각자극 환경요소로서‘편안함’을 중심으로-

        김미선,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후기산업 사회로의 진입과 급변화로 현대인들은 정신적, 신체적, 육체적으로 심한 스트레스에 의해 장애 현상을 겪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이후 강제적인 활동의 제한과 소통의 제한은 개인적 고립과 정서적 갈등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치유 공간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확대되었으며 치유공간에서 편안함을 느끼며 마음의 위로와 치유를 받고자 하는 현대인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치유공간을 이용했을 때 치유공간의 어떤 디자인 요소가 다감각자극 환경요소로써 편안함에 영향을 주는지와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문 조사를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하여 결과를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치유공간 디자인 요소와 다감각자극 환경으로써 편안함에 대해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여 특성을 추출한다. 둘째, 치유공간을 방문해 본 일반인을 표본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 조사와 통계분석을 한다. 셋째, 통계분석을 통해 치유공간 디자인 요소 중 편안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요인 분석하고 치유공간의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정도’의 영향을 분석한다. (결과) 연구 결과 치유공간은 치유공간 디자인 요소인 물리적 환경요소, 사회적 환경요소, 심리적 환경요소, 기능적 환경요소, 인지적 환경요소로 분류했고 다중회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편안함’과 사회적 환경요소와 인지적 환경요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물리적 환경요소와 심리적 환경요소, 기능적 환경요소는 편안함에 있어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공간에서 편안함은 만족을 통해서만 지속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만족이 없이는 지속이용 의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설문 조사 및 통계분석 결과 치유를 위해서는 치유공간 디자인 요소 중 물리적 환경요소와 심리적 환경요소, 기능적 환경요소가 만족이 되었을 때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일반인을 통해 도출했으며, 각 변수의 평균 검증 결과 사회적 환경요소에 해당하는 커뮤니티 활동이나 시설관계자의 능동적인 지원은 치유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 대상의 치유 공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인 현실에서 일반인까지 확대했다는 의미 있는 결과와 근거를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치유공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치유환경디자인 연구 경향 -국내 선행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담정 ( Tan¸ Jing ),신윤진 ( Shin¸ Yoon J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현대인들은 건강에 점점 더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건강 회복을 돕는 치유환경도 주목을 받게 되었다. 특히 치유환경디자인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유환경디자인 연구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3년부터 2020년 6월까지 한국 국내 석·박사학위논문과 국내 학술지(KCI)논문 중 치유환경디자인에 관한 논문 127편을 선정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치유환경의 개념과 요소 분석, 논문 개수,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내용, 연구 범위, 연구 대상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치유환경디자인은 이용자의 관점에서 치유환경과 소통하는 매개체다. 즉 환경디자인을 통해 치유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치유환경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를 포함한다. 둘째, 논문 개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2012년에는 거의 배로 급증하였다. 셋째, 초기에는 의료기관, 요양원 등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 이었으나 후반부에는 의료기관 이외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연구 논문이 증가하며, 이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넷째, 사례분석에 기반한 연구 방법이 전 단계에 걸쳐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연구 내용은 주로 치유환경 디자인의 건축적 공간 요소에 관한 것이다. 여섯째, 연구 범위는 병원을 중심으로 하며, 내부 공간 계획에 집중되어 있다. 일곱째, 연구 대상은 전기, 중기, 후기에 각각 다른 변화를 보인다. 치유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심리적·사회적 요소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s modern people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health, the healing environment, which helps them recover, has also drawn attention. In particular, research on healing environmental design i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127 papers on healing environment design from 2003 to June 2020 among Korean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Korean journal (KCI) papers to analyze the data. Research includes the concept and elemental analysis of the heal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paper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research contents, scope of research, and subjects of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ing environment design is a medium that communicates with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it enhances the healing effect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 healing environment include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Second, the number of papers increases year by year. In particular, the number nearly doubled in 2012. Third, most of the research involved in medical institutions, nursing homes, etc. initially, but in the second half, research papers on a variety of spaces other than medical institutions increase, and subsequent rises and falls are repeated. Fourth, research methods based on case analysis dominate the entire stage. Fifth,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mainly about architectural spatial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design. Sixth, the scope of the study is centered on hospitals and is focused on interior space planning. Seventh,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 different changes in the early, mid and late periods. Research on healing environment design i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d further research on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A Study on Public Design Applicability Through Extraction of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JonghoonLim ( 임종훈 ),JeannyLim ( 임진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Background and Purpose) The paradigm of the urban environment is also shifting as it is undergoing rapid urbanization. In this process, various social problems are exposed, and the public space, emphasizing the functional aspect in the existing urban environment, has limitations in meeting the needs of the users. These problems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an urban environment that meets use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healing environment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to propose the feasibility of their applications to public design through the extraction of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Method) In Chapter 2,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and the trends of the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3, we reconstructed the healing environment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4, we derived concrete elements according to reclassified healing environment types,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In Chapter 5, w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nine types of existing healing environments derived based on frequency were reclassified a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behavioral environment. First, among the types of healing environments,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objectiv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concrete elements like pathfinding and accessibility have the same meaning as “accessibility” in public design evaluation items. Second,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is an intrinsic factor. Concrete elements derived from this type of healing environment include privacy, comfort, habitability, and intimacy. Third, the social environment holds an objective and its related factors. Concrete elements derived from this type of healing environment include social interaction, communication, sociality, public sphere, system, regulation, and program. Fourth, the behavioral environment is an external factor, and its concrete elements include information exchange,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interaction. (Conclusions) Natural factor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an effect of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users which infers it is essential in obtaining healing effect of the users.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it is found tha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ing concepts are applied by providing a space for users, based on the element of comfort.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creating the space where the community can be activated is highly important. This can be applied as a vital component in public design which emphasizes publicnes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user-center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in healing environments, and its value is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s to public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도시환경에 대한 패러다임도 변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표출되었으며, 기존 도시환경에서 기능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공공공간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심리적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를 가져왔으며, 사용자 요구에 맞는 도시환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치유환경의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치유환경 요소 추출을 통한 공공디자인 적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장에서는 치유환경의 개념 및 선행연구의 동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치유환경 유형의 재구성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재분류한 치유환경 유형에 따른 구체적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한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빈도순으로 도출한 9개의 기존 치유환경의 유형을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행태적 환경으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치유환경 유형 중 물리적 환경은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요소로 이들 요소들 중 길찾기와 접근성은 공공디자인 평가항목에서의 접근성과 그 의미가 같다. 둘째, 심리적 환경은 내현적인 요소로서 치유환경에서 도출한 구체적인 요소로는 프라이버시, 쾌적성, 거주성, 친근감 등이 있다. 셋째, 사회적 환경은 객관적이고 관계적인 요소로서 치유환경에서 도출한 구체적인 요소는 사회교류, 커뮤니케이션, 사회성, 공적영역, 제도, 규정, 프로그램 등이 있다. 넷째, 행태적 환경은 외현적 요소로서 치유환경에서 도출한 구체적인 요소로는 정보교환, 환경적응성, 상호작용 등이 있다. (결론) 물리적 환경에서 자연요소는 사용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환경에서는 쾌적성을 기반으로 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과 함께 치유적 개념이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환경과 행태적 환경에서는 커뮤니티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공성이 강조되는 공공디자인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치유환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치유환경의 요소들을 공공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다감각자극환경 기반의 치유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미선 ( Kim Misun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초고령화 사회에 들어오면서 정신적, 신체적 장애 현상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치유공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치유공간은 인간의 몸과 감각의 통합 작용을 통해 신체적 행동과 심리적 변화를 동반한 복합적인 치유가 이루어져야 하는 활동을 수용하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치유 공간 디자인을 위한 특성으로서 다감각자극환경의 요소를 적용하여 치유공간의 디자인 계획에 새로운 가능성 및 기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치유의 개념과 다감각자극환경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의한다. 둘째, 치유공간 디자인 요소와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에 대해 선행 연구와 문헌을 통해서 공간구성과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들을 추출하여 평가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분석모형을 통해 치유공간 디자인 중 노인 요양원과 노인 주택을 중심으로 선진사례를 선정하여 치유공간 디자인과 다감각자극환경과의 관계성을 해석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와 특성을 검증하여 본연구의 의미를 확인한다. (결과)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을 둔 삶의 질의 문제는 현대인이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려고 하는 욕구와 같다.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시키고, 소통의 장으로서 삶을 재생,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치유를 위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감각자극환경 요소를 확장성, 반복성, 상호관계성, 시간성, 몰입성으로 나누었고, 치유공간 디자인의 요소는 물리적 환경요소, 기능적 환경요소, 인지적 환경요소, 사회적 환경요소, 심리적 환경요소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치유공간 디자인과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었으나 자연환경 요소는 아직도 부족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결론) 미래의 치유 디자인은 웰빙(Well-being) 비전에 지향점을 두고 진정한 삶의 의미와 가치 표현을 위한 공간으로서 치유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치유를 위한 공간 디자인에서 필요한 요소와 다감각자극환경의 특성이 골고루 반영 되었을 때에 진정한 치유의 공간으로서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향후 치유공간 디자인을 위한 유의미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 Purpose) Contemporary society is burdened by excessive stress and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along with the transition into an ultra-aging socie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heightened interest in healing spaces. The healing space is a place for activities that seek to produce holistic healing, that is, physical,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actions engaging the human body and sens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in the design of healing spaces by applying the elemen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o create a healing space design that provides psychological comfort. (Method)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healing and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this study proposed an evaluation and analysis model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hrough consideration of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in connection with healing space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space design and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by selecting advanced cases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elderly housing in the healing spac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model, and examined the meaning of this study by verifying specific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Results) Human dignity is a key component in determining quality of life and the importance given to protecting human dignity while designing contemporary spaces reflects the desire of contemporary people to pursue well-being. Research on healing space design should be continued to restore human dignity and create spaces that encourage human connection and easy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elements were divided into extensibility, repetition, interrelationship, temporality, and immersion, whil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healing space design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functional, cognitive, soci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elemen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healing spac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were well reflected, but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were found to be still insufficient. (Conclusion) The healing design of the future should focus on well-being and posit the healing space as a healer that supports individuals in finding the meaning of life and expressing their emotions. Spatial design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s a true healing space will be achieved when the elements necessary for healing space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are evenly reflected.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data for healing space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서관 공간의 치유적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노영희,김윤정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library and propose measures to create a healing environment in the library. Through this, the library will become a ‘healing place for the soul’, a space where people who are hurt for various reasons can heal the hearts. In addition, the library can be a healing space that can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and make changes. For this purpose,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applicable to the library were derived and based on this, the library healing environment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brarians express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library,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healing environment was rated higher tha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the librarians need to raise the awareness of heal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 professionalism in order to revitalize library healing environment. The librarians should offer the users the pleasant and comfortable and secure spaces. In addition, the library should provide a variety of healing programs by topic and user, and promote the fact that the library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herapeutic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치유적 환경을 평가하여 도서관에 치유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서관은 다양한 이유로 상처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인 ‘영혼의 치유소’가 될 것이며, 아울러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변화를 줄 수 있는 치유의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치유환경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도서관 치유환경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사서는 도서관 치유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치유환경의 물리적 환경이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도서관 치유적 환경 활성화를 위해 사서는 치유환경에 대한 인식 함양과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며, 이용자가 도서관의 쾌적한 환경을 이용하며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에서 다양한 주제와 대상으로 치유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용자가 도서관에서 치유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령화시대에 있어 신경과학적 요소와 치유환경구축

        노지화(Roh Jihw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환경에 의해 인간의 삶은 영향을 받고, 환경을 통해 치유가 가능하다. 인간과 환경사이의 상호관계를 논하는 치유환경에 대한 기본개념은 초고령사회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본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이다. 고령자를 위한 거주 및 복지환경계획은 지금까지 살아온 익숙하고 정든 지역(Aging in Place)에서 계절을 느끼고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는 치유환경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져야할 것이다. 경쟁 속에서 지치고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행복한 건축 공간 찾기는 인간존중의 가치와 함께 치유환경으로서의 건축학과 신경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과의 접점에서 다시 한 번 그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보고, 건축의 복지에 대해 고령자의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자복지시설의 건축 환경디자인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정보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디자인 지침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고령자의 쾌적한 치유환경구축의 필요성과 함께 복지에 대한 다양한 인식적 재고와 함께 신경건축학(NeuroArchitecture)의 소개와 함께 행복이 삶의 바탕이 되는 건축공간에 대해 논하고자한다. 특히 물리적 환경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환경적 영향을 받는 고령자를 중심으로 치유 공간적 관점에서 건축계획은 어떻게 적용되고 설계되어야하는지 기본적으로 고찰한다. 본 논문은 자연이나 자연과 같은 프로세서를 가진 것에 선천적으로 인간이 끌리는 본능을 도시환경 설계디자인에 표현하기 위해 시도된 자연친화설계요소(Biophilic Design)를 포함하여, 치유환경이 되기 위해 건축공간 및 형태에 신경건축학이 어떻게 반영되어 표현될 수 있는지를 고찰해보고, 추후 고령자복지시설 및 주거시설의 건축계획및 설계방안에 대한 기초적 담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Human beings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 and they can be healed through the environment. The residential and welfare environment plan for the elderly should be dealt with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ng a healing environment that senses the seasons and stimulates the human senses in the familiar and homely area that they have lived so far (Aging in Place). In finding the happy architectural space for contemporary people who are tired of competition and busy living day by day,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its meaning and value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new discipline of NeuroArchitecture as a healing environment together with the value of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consider the welfare of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systematic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for architectural environment design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provide clues that can be used as a design guideline. In particular, we will basically consider how the architectural plan should be applied and designed from a healing spatial point of view, focusing mainly on the elderly who are most sensitive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euroArchitecture can be reflected and expressed in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in order to be a healing environment, including Biophilic Design, which has been attempted to express instincts inherent in human beings to be attracted to nature or having processors similar to nature in urban environment design, and provide a basic discourse on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method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산림치유 환경유형에 따른 부정적 스트레스 유발감정의 치유효과 분석 : 계절별 방문횟수별

        이종명(Lee, Jong Myu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5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들은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감정(불안감, 우울감, 분노감, 짜증감, 불쾌감)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업들의 많은 교육프로그램 중 산림치유 환경유형(치유센터 프로그램, 치유데크로드, 금강송전망대, 솔향치유숲길, 명상정원, 운동공간, 음악환경, 동물원)의 산림치유프로그램과 계절별, 산에 가는 횟수에 따른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요소를 분석함으로서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산림치유 기업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총 3가지로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스트레스 유발감정에 따른 산림치유 환경유형 분석결과 솔향치유숲길에서 불안·우울·분노·짜증·불쾌가 가장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유발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계절에 따른 산림치유 환경유형의 치유효과 분석결과 스트레스 유발감정 중 불안과 불쾌를 감소시키기 위한 산림치유 환경유형은 봄·가을보다 여름·겨울에 실행하였을 때 우울과 분노, 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여름·겨울보다 봄·가을에 실행하였을 때 스트레스 유발감정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유발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산에 가는 횟수에 따른 산림치유 환경유형의 치유효과 분석결과는 스트레스 유발감정 불안·우울·분노·짜증·불쾌가 산에 가는 횟수에 있어서 거의 안 가는 것보다 산림치유환경에 1년 1회 이상 방문하였을 때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relieve stress, companie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through many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is a forest healing program (Healing Center Program, Healing Deck Road, Geumgang Transmission Observatory, Solhyang Healing) among many educational programs of companies to reduce the emotions (anxiety, depression, anger, irritability, and discomfort) that cause stress in modern people. Forest healing company education program that reduces the stress of modern people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reduce the most stress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space in the forest road, meditation garden, exercise space, music environment, zoo) In order to help maximize the company s performance through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ways.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cording to the stress-inducing emotion, it was found that the anxiety, depression, anger, irritation, and discomfort were most reduced in the Solhyang Healing Forest Roa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aling effect of the seasonal forest healing program to heal stress-induced emotions, the forest healing program to reduce anxiety and discomfort during stress-induced emotions was characterized by depression and anger when executed in summer and winter rather than in spring and autumn. In order to reduce irrit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reducing stress-induced emotions when executed in spring and autumn rather than in summer and winter.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ealing effect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o go to the mountain to cure the stress-induced emotion is that the forest-healing environment is less than the stress-induced emotion of anxiety, depression, anger, irritation, and unpleasantness. When it was visited more than once a year, it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