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학교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향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을 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일차 자료로서 초등 교사들이 가장 신뢰하는 자료이다. 또 장차 교단에 서고자 준비하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자료이다.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의 중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2007년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과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수행하기 위해 먼저 제4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를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근거로 하여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결론으로 다음과 같은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재의 해설 부분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지도서에서 제재의 구성과 수업 계획이 중복되는 부분을 정리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실 현장에서 도덕과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하도록 한다. 셋째, 교수·학습 지도안의 양식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차시 교수·학습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is a first resource material 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 on when they are going to study about teaching- learning in moeal educaion. Also many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 We may find some desirable developmental points of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from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4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2007 year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we have to develop the quality on explanation of the unit. Second, we ought to structure and lesson plan of unit in order to help the class lesson practically. Thir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plan. Fourth, we must to develop the lesson plan, so teachers can know the flow about period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 도덕과에서의 시민성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

        박대호(Daeho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원한 평화』에 나타난 Kant의 견해에 입각하여 초등 도덕과에서의 시민성 항양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 도덕과에서의 통일교육, 그리고 Kant의 영원한 평화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여, ‘정치와 도덕의 일치’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Kant의 논의가 도덕적 시민의 형성 문제와 관련된다는 점, 또 도덕과를 통한 통일교육이 가변적인 정치적 상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에서 벗어나는 방안을 시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초등 도덕과에서 통일교육이 가진 어려움을 앞의 논의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초등 도덕과를 통한 통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Kant의 논의는 현실 정치의 문제에 도덕의 문제가 간과되는 경우 언제나 ‘정치적 시민’, 혹은 ‘정치적 도덕가’라는 결과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 여기에 비추어 보면, 도덕과교육은 통일의 문제를 ‘평화’라는 보편적 가치에 입각하여 취급할 필요가 있으며, 영원한 평화를 지향하는 ‘도덕적 시민’의 형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도덕과를 통한 통일교육은 도덕과수업의 성격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결론 통일교육이 도덕과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원한 평화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지향할 때 교화의 문제에서 벗어난 수업, 나아가 학생들의 인지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수업이 가능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citizenship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Kant's view on perpetual peace. Method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s well as Kant's literature on perpetual peace, this study reveals that Kant's discussion centered on the issue of ‘the unity of politics and morality’ i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a moral citizen, and suggests a way to escape from the problem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not free from political circumstances. Next, the difficult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analyz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an alternative approach is presented, an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suggested. Results Kant's discussion shows that when the problem of morality is overlooked in the problem of real politics, it always results in a ‘political citizen’ or ‘political moralist’. Moral education needs to deal with the issue of unification based on the universal value of ‘peace’, and should focus on the formation of ‘moral citizens’ who aim for perpetual peace. In particular, if unification education is to be done through teaching, it needs to be done in a way that fits the nature of instruction. Conclusions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elementary moral education needs to aim for universal values such as perpetual peace, and when aiming for that, it is possible to teach that is free from the problem of indoctrination and that can cause a change in thinking.

      • 초등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안 연구

        권혁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평가의 개략적 개념과 한창 화두로 떠올랐던 수행평가에 관해 살피고, 이러한 평가가 초등 도덕과에서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오늘날 학교 현장의 초등 도덕과 평가의 실태가 어떠한지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초등 도덕과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 평가 준거 등을 차례로 탐색하였다. 초등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 안은 도덕과 공식 목표와 실제 목표가 일치되도록, 환원주의 평가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객관주의의 오류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변종현 ( Jong Heon Bye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공식적인 학교 통일교육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과정의 통일교육은 일반적으로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북한과 통일문제를 가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과가 바로 도덕과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의 토대로서 학생들의 통일의지와 통일역량을 함양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 글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과정까지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내용체계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 북한 및 통일문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요소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 basic foundation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general,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 is relying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official subjects. It is the moral education that playes the most critical role for unification education among various elementary school subjects, which can help to stimulate the will for Korean Unification and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Unification.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and suggest some ideas to activat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contents for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sequence and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ry to magnify the function of making elementary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unification-related issues.

      • KCI등재

        연구논문 : 초등학교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 내용 선정 연구

        김은수 ( Eun Soo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5 윤리교육연구 Vol.0 No.8

        사회의 정보화가 진전되면 될 수록 정보윤리의 위상은 그만큼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정보윤리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증가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상 도덕과를 비롯한 여타의 교과에서 정보윤리와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높아진 정보화와 그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들의 윤리관이나 가치 기준 및 행위 규범의 확립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만족시킬 만한 수준에 도달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초등 도덕과의 경우 초등학생들의 건전한 인성 및 도덕성 함양과 21세기 민주시민 양성이라는 교육적 목적을 감안해 볼 때, 정보윤리 교육은 도덕과를 구성하는 하나의 새로운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체제 하에서 정보윤리 교육은 주변적 요소로 머물고 있으며, 그 양적·질적 측면에서 열악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상당히 복합적인 요소를 안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덕과에서 정보윤리 교육의 내실화 및 교육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초등학생들이 온라인 상에서 보이고 있는 다양한 비도덕적 및 일탈적 행태를 감안해 볼 때,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의 내실화 및 체계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나마 교육 내용의 정련화를 기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덕과 교육의 총괄 목표 내에서 정보윤리 교육 목표 설정과 이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 내용들 중 필수적인 교육 내용을 선정을 위한 이론적·실제적 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의 정련화 및 체계화를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서 그 교육 내용 선정에 있어 일련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 Today digital informationization rapidly changes our life style and environment, especially informationization of society brings about various kinds of effects. While it provides us with technical benefits in many fields, it causes various side effects to our everyday life and society. For example, many people accmulate various kinds of knowledge through the internet, play computer on-line games and communicate their minds and thoughts in cyberspace. On the contrary, there are many kinds of dangerous and deleterious factors in it. And therefor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started to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education. First of all, troublesome matter is related with 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y were only the weak in cyberspace. But recently they, so called ``choding``, become on-line bad boys, so netizen make ``anti choding`` to resist them and reprove their impolite manners and deviant behaviors. After all curriculum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at takes aim at cultivation of moral character and moral development begins to stress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But now tha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s not enough to overcome insufficiency of quality and quantity in current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is view point I intend to establish a series of standards for selecting its contents as a first step to refine and restructur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curriculum of elemantary moral education on this study.

      • KCI등재

        화상강의의 ‘실재감(presence)’ 제고를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사례연구 - ‘초등도덕과교육2’ 강좌를 중심으로 -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1

        본 연구는 화상강의에서 중시되는 ‘실재감’ 제고를 위해, 교육대학 ‘초등도덕과교육2’ 강좌에서 소통·협력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던 교수-학습 사례를 탐구한 것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도입된 비대면 화상강의는 인간-인간의 관계가 아닌 인간-기계-인간의 관계가 특징이다. 연구에 의하면, 대면환경과는 다른 화상강의의 성공 여부는 ‘실재감(presence)’에 달려 있다고 한다. 실재감이란 ‘어딘가에 존재하는(being there) 느낌’을 의미하는데, 가상공간에서의 경험을 설명하며 시작된 개념이자 이론이다. ‘초등도덕과교육2’ 강좌는 예비교사들에게 수업능력과 더불어 수업철학, 인성과 가치관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미래학자들은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교육은 4C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g), 창의성(creativity), 의사소통(communication)과 협력(collaboration)이 그것이다. 현재 초등학교에 다니는 M-세대들은 거리두기와 마스크 쓰기의 보편화로 관계 맺기와 소통을 어려워하는데 예비교사들은 교단에서 이들을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에게 소통·협력의 경험은 필수적이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연구자는 화상강의를 염두에 두고 초등도덕과교육2 강좌에서 소통·협력을 중심으로 실재감 제고를 위해 교수-학습 과정을 구상하여 실시하였고, 본고는 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우선, 실재감이 무엇인지 파악한 후, 강좌목표와 화상강의 구상, 이를 토대로 이루어진 교수-학습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강의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화상강의에서 ‘소통·협력의 가능성’의 의의와 ‘기계와의 조화’의 한계를 찾아보았다. 결론에서는 도덕과 교육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어떻게 뉴노멀-새로운 표준-을 찾아야 할지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학생들의 학습실재감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강의성찰과 강의평가 내용은 되도록이면 그대로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conducted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2" lecture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o enhance the presence that matters in video lectures. The non-face-to-face video lecture in a pandemic situation is related to a human-machine-human relationship. According to research, the success of video lectures depends on the existence of the presence. The sense of presence means the feeling of being there. It is a theory that started by explaining experiences in a virtual space. The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2 lecture is a course that fosters teaching skills, teaching philosophy, character, and values for pre-service teachers. Futurists emphasize that education content should include communication, coope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elements to deal with social change. M-generations currently in elementary school have difficulty in friend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due to non-face-to-face situation and mask use. Prospective teachers should educate them after they become a teacher. Therefore, the experie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s essential and important to them. Therefore,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se points and designed, conducted, and analyzed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2 course. First of all, after grasping what the sense of reality is, the course objectives and video lectures were designed. Based on this,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analyzed.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video lecture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the students' lecture evaluation. In conclusion, how to move towards a new normal-a new standard in a society where morality and education are changing is suggested. In order to vividly show the learning reality of students, the contents of lecture reflection and lecture evaluation were presented as-is.

      • KCI등재

        초등도덕과 임용시험의 출제 경향 및 문항 분석

        이재호(Lee Jae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도덕과의 지도역량을 평가하는 임용시험의 출제 경향과 문항을 분석하고 개선과제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도덕과 임용시험의 출제 내용 및 범위 설정의 문제를 검토한 다음, 최근 10년간(2007년~2016년)의 초등도덕과의 출제 경향 및 문항을 양적, 질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하여 문항 개선의 과제 및 문항 개발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초등도덕과의 임용문항 개선을 위한 과제 및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초등도덕과의 출제 내용 및 범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둘째는 초등도덕과 문항의 질적차원을 고려할 때 2차, 3차 사고를 요하는 문항 또는 종합적 사고를 요하는 문항의 출제가 필요하다. 셋째는 특정 영역 및 내용에 편중되지 않는 고른 출제 문항의 개발이 필요하며, 넷째는 도덕과교육과의 관련에 비추어 도덕교육의 이론에 대한 안목을 평가할 수 있는 발전적인 문항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는 초등도덕과의 문항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and ques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cus on moral subject items and to search for improvement tasks. To carry out this tasks, this study searched for the problem of setting of contents and scope in moral subject items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concentrating on the questions of the past 10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questions in the moral subject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revise contents and scope of the questions in moral subject items. Secondly, consider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it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questions that require secondary, tertiary, and comprehensive thinking.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tems which are not concentrated on specific domain and conten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volutional items that can evaluate the view of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in light of the relation of moral subject education. Fifth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in moral subject items.

      • KCI등재

        제7차 초등 도덕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안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3 윤리교육연구 Vol.0 No.4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제7차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고, 또 무엇을 보완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 도덕 수업의 효율화를 위해 어떤 노력들이 초등 현장의 내·외에서 있어야 할 지에 대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 초점을 둔 것은 두 가지로서, 하나는 초등 도덕교육의 위기와 위상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 이며, 다른 하나는, 초등 도덕교육의 현 실태는 어떠하며, 만약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보완해 볼 수 있겠는가? 이다. 초등 도덕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봄에 있어 초등학교 ``안``의 문제와 ``밖``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미래 지향적인 초등도덕교육의 발전 방안으로서, 초등 도덕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정당화 근거를 확보하여 초등 도덕교육의 위상 제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의 원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활용 능력을 갖추기, 학교 도덕교육을 저해하는 전반적인 교육체제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roper ways how to accomplish the goal of moral teaching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7th moral curriculum. To the end, First, I analysed how the 7th moral curriculum is practised, what are difficulties and what is sup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s. While analysing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 found that all the members of school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didn`t consider the moral teaching as a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y. This recognition connected, therefore, closely ``the crisis of moral education``. This paper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how is connected between the crisis of moral education and the present posi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other is what i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nd if any, what is the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eff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 approached two ways, that is, ``in`` and ``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former means the management of moral curriculum, the latter moral environment of home and community as the supporter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s the proper ways for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I proposed the producing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ationale of moral education, the promotion of knowledge and using ability in moral teaching and improvement of bad environment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곽영근(Young Kuen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법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이솝우화』의 개별 우화와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우화 정보와 이유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도덕교육에서 도덕 발달의 형식성을 추구하기 위해 『이솝우화』를 통한 주요 학습 질문과 간략한 활용 방안을 예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 202편, ‘타인과의 관계 영역’에서 85편,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에서 46편, ‘자연과의 관계 영역’에서 25편의 관련을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19가지 내용 체계 질문과 성취기준에 연결될 수 있었다. 또한 『이솝우화』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인 ‘성실’, ‘배려’, ‘정의’, ‘책임’과 이에 더해 ‘성윤리’의 측면에서 주의해야 할 192개의 우화를 추출하고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도덕교육의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을 위해 우화별로 도덕적 질문을 제안하고, ‘늑대와 개’ 우화를 선정하여 도덕 발달의 형식적 접근으로 활용한 일부 예시를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 오랜 기간 도덕 이야기 자료로 활용되어 온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에 의한 접근,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비도덕적 요소에 대해 주의를 가져야 할 것이며, 향후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논의를 전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tilization of Aesop's Fables in moral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individual fables of Aesop’s Fables by link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reasons for fables to be careful when using Aesop’s Fable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pursue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in moral education, I tried to illustrate major learning questions and simple utilization measures through Aesop’s Fables. Results Aesop’s Fables were related to 202 in the “Relationship with oneself” section, 85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46 in the “Relation with Society and Community” section, and 25 in the “Relation with Nature” section, which is the content system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tail, Aesop’s Fables could be linked to 19 content systems of ques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from Aesop's fables, I was able to extract 192 fables to be careful about in terms of “sincerity”, “consideration”, “justice”,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core values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exual ethics”. And, moral questions for each fable were proposed for an approach to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Finally, I was able to select ‘Wolf and Dog’ fable and present some examples of using them as a formal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Conclusions Aesop's Fables, which has been used as a moral story resource for a long tim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story material for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forms. However, caution should be taken regarding non-moral elements, an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on specific utilization strategi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