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 수급 추계에 따른 초등교원 적정 양성 규모 연구

        이광현 ( Kwang Hyu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수급 현황을 진단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수 추계, 초등교사 수 추계, 그리고 퇴직 교사 수 추계를 통해서 신규 채용 초등 교사 수요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원할 한 초등교사 수급을 위한 초등교사양성기관에서 양성, 배출해야 할 적정 초등교사 인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초등교사 수 추계에 사용된 기준으로는 OECD 평균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수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2025년도까지 현재의 초등교사양성기관의 입학정원인 3,846명이 유지된다면 심각한 초등교사 부족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예측 방법론에 따라서 차 이가 있지만 10년 동안 연 평균으로 매년 최소 900여명에서 많게는 2천여 명까지도 교사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수적인 기준에 의한 초등교사 신규 채용 수요를 적용했을 때에 도 현재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입학정원을 현재보다 최소 900명이상을 증원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수급을 1:1로 맞춘다면 현재의 3,846명에서 대략 4,750백여 명 이상으로 증원시킨 후 향후 매년 교사 수요 추계를 통해서 입학정원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중도탈락율과 초등교사양성기관 학사관리의 엄정성 등이 강화되는 것 등을 고려한다면 양성인원을 10%정도 여유 있게 양성해야하며 이 경우 4,750백여 명 이상보다 10%정도 더 많은 최소 5,200여명 이상으로 초등교사양성기관 신입생 정원을 증원시킬 필요가 있다. 즉, 당분간 현재의 3,846명보다 최소 1,400여명 이상의 초등교사양성기관의 신입생 정원 증원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This study estimates the future demand of new elementary teacher hires based on the projected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 retirement. Based on the future demand of new teacher hires, we provide appropriate number of graduates from universities granting elementary teacher license. We use OECD average ratio of students to teachers and class size for the projection criteria.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rious shorta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expected if current number of 3,846 graduates is maintained. Projection result shows that 900 through 2,000 elementary teacher shortage is expected on average yearly. Thus, at least universities granting elementary teacher license need to increase number of graduates from 3,846 to 4,750. Considering drop out rate of teachers univers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10% more graduates. Thus, at least 5,200 future elementary teachers need to be trained and graduated every year.

      • KCI등재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남용,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toward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service and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bove the average.’ Secondly,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necessity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3.89 and 3.70 respectively, which means they perceived high enough on the level of necessity on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termined based on calculat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in the study, was in the followings :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methods and process of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whil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n the followings : ‘sorts and utilizing the plants’,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and so on. 이 연구는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내용별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 함수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현재 자신 수준은 보통(3점)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에서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실습 자체가 곤란하다 점과 교사 자신의 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경험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향후 필요 정도에 대해 초등교사는 3.89로, 예비 초등교사는 3.70으로 높음(4점)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는 ‘식물’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 체험’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리치 공식을 통한 교육요구도와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한 우선순위 선정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교사는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애완동물 돌보기’,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의 종류와 이용’,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 등이 우선적으로 신장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 탐색

        정진철,김재호,방재현,남중수,정지은,이현민,임소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 특성 및 현황 분석,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 도출, 셋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변화 방향 도출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선행연구의 종합 및 분석을 통해 크게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여 총 11개의 직무를 제시하였으며 직무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운영의 방향 또한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고 11개의 직무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직무에서 진로전담교사와 학교관리자, 담임교사의 역할과 협력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lacement and role of elementary career teachers.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o derive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ird, to derive the chang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then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expert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ggesting 11 tasks of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ividing a total of 11 tasks into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ird, proposing the roles and cooperation plans of career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principles in each job.

      • KCI등재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

        정호진,이종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 culture discourse on physical education and their exercise practice. The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ration organization data, education organization and group publication data, media and press data and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an archaeololgy discourse analysis in Foucault(1969), In so doing, a discourse theory is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e thesis can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how are the object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objects are formed by the surfaces of emergence, the structure of authority that defines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instance of limitatio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 grilles of specification. Second, how is the status of the subject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he status is determined by the status of subject, the legitimate places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locations institute of subject, the social situa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situation of subject. Third, how are concept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concepts are formed by the forms of sequence, the forms of coexistence, the interaction of bases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alue and by the procedures of intervention. Fourth, how are the strategie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strategies are formed by the incompatibility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points of diffraction, the economy of the discursive constell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value culture discourse betwee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other elementary subjects. Fifth,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 culture discourse on physical education and their exercise practi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Instead, the teachers' exercise was only for their health and there was detachment between the two.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구조와 그 담론에 참여하는 교사의 운동실천 현상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푸코(Foucault)가 그의 저서『광기의 역사』에서 전개되어 이후『지식의 고고학』에서 보다 구체화하여 언급한 그의 고고학적 탐구들에 방법론적 기초를 부여한 담론형성규칙의 네 차원 ― 대상의 형성, 주체의 위치, 개념의 형성, 전략의 형성 ― 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담론의 질서』이후의 저서들에서 언급한 지식-권력 ― 서로가 서로를 산출한다는불가분의 관계 ― 을 중심으로 그 담론에 참여하는 교사의 운동실천 현상을 밝히고자 한다. 자료수집은행정기관 자료, 교육기관 및 관련 단체 발간 자료, 미디어 및 언론보도 자료,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Foucault(1969)에 의해 형성된 고고학적 담론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담론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대상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대상은 초등체육 가치의 내용들: 출현의 표면, 초등체육의 가치를 규정하는 권위구 조: 제한의 심급, 초등체육 가치의 사회문화적 배경: 특이화의 그물 등에 의해 형성된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주체의 위치는 어떠한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주체는 초등체육의 가치를 말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받은 사람들: 주체의 지위, 초등체육의 가치가 말해지는 합법적인 장소들: 주체의 제도적 정위, 초등체육의 가치가 말해지는 사회적 상황: 주체의 상황 등에 의해 위치 지워진다. 셋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개념은 초등체육 가치 근거의 내용들: 계기의 형태들, 초등체육 가치 근거들의 관계: 공존의 형태들, 초등체육 가치 근거들의 상호작용: 간섭의 과정 등에 의해 형성된다. 넷째, 초등교사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전략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전략은 초등체육 가치의 양립불가능성: 회절점들의 규정, 초등체육의 가치에서 양립불가능성이 나타나는 이유: 언설적 별자리의 경제학, 초등체육과 타교과의 가치문화 담론의 관계: 언설적 형성들과의 관계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섯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의 관계는 “체육에 대한 가치인식과 운동실천은 관계가 없다(체육교육의 운동가치와 관련짓지 않는다).”, “내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할 뿐이다(체육에 대한 가치문화가 의식화되어 있지 않다).”, “체육에 대한 가치 문화와 운동실천의 괴리현상은 초등체육 가치문화 담론을 표상한다.”로 나타난다.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 탐색

        고재천(Ko, Jae 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한 초등교사특성들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G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재학생 23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연구대상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54개의 최종진술문들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범주화하여 평가한 뒤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을 개인-조직 차원과 교사-학생 차원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인식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요인은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학생들을 사랑하고 존경받는 교사, 전문성을 갖추고 잘 가르치는 교사, 인품과 자질이 뛰어난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3개의 군집별 중요도는 학생들을 사랑하고 존경받는 교사, 전문성을 갖추고 잘 가르치는 교사, 인품과 자질이 뛰어난 교사의 순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들은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준다’, ‘학생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 ‘학생들을 열정적으로 가르친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요인은 교사의 인품과 자질함양, 학교에서 전문적인 능력 발휘, 학생들과의 원만한 관계 형성 등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요인은 일반교사들과 초등학생들이 인식한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요인들과 거의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우수한 초등교사들의 특성요인들 중에서 학생들과의 관계 형성과 관련된 특성들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 연구는 우수한 초등교사의 특성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실제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technique of concept mapping.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tems of eff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as perceived b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 data and concept maps taken from interviews with 23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final statements were reduced to 54, and the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 final statement lis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to estimate dimensions in the extracted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d the individual-organization dimension and the teacher-student dimension in two different dimensions. Second,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an effective school teachers in 3 clusters. First was that the teacher loved students and was respected from them; second, that the teacher had the expertise and taught the students excellently; and lastly, that the teacher had good personality and qual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lated with the cultivation of personal characters and qualities, the exercise of professional skills in school, and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students.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imilar to gener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characteristics. And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was more highly evaluated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han other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 연구

        한민아,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코칭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교사 스스로자신이 갖춘 교사역량의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예비요인 및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교육․코칭을 전공한 전문가 10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코치자격증을 가진 초등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2회 실시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33문항의 2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초등교사 245명의 예비설문 과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칭마인드셋 역량, 자기이해 역량, 관계형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성장촉진 역량의 5가지 구성요인과 42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초등교사 530명의 본조사 설문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 코칭역량 42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이 결여되는 문항 8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최종 34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최종 문항은 코칭마인드셋 역량 6문항, 자기이해 역량 7문항, 관계형성 역량 5문항, 의사소통 역량 7문항, 성장촉진 역량 9문항으로 총 5가지 역량과 34개 문항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empirical tools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coaching programs and coaching-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extract preliminary factors and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expert interview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2 questions were selected. Afterwards, a survey of 5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and finally, 5 competencies including 6 coaching mindset competencies, 7 self-understanding competencies, 5 relationships-building competencies, 7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9 questions for growth promotion and 34 questions were determined. The coefficient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mpetencies and question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ble.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김미경,김성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내적, 외적요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각 구성 요인 간 차이를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전남에 소재한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초등특수교사와 일반학급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각각 150명을 무선표집 하였다.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장을 통해 학교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를 300부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248 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 t검증실시를 통해 두 집단의 내, 외적인 직무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직무만족도는 두 교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내적 직무만족도는 초등특수교사 집단과 초등교사 집단 간의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외적 직무만족도조사에서는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특수교사 집단이 초등교사 집단보다 내적 직무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 직무만족도에서는 두 집단의만족도에 차이가 없었다.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다양한 만족도 욕구 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참가자의 협력학습 경험을 통한 체육교과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신기철,송지환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6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협력학습 경험을 통해 체육교과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독려와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J 지역의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5명을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설문지와 참여관찰 및 심층 면담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는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초등학교 체육수업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수업 나눔과 소통을 통해 협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경험하면서 체육교과 전문성을 신장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축적된 체육교과 전문성을 토대로 연수를 계획하고, 운영하면서 체육교과 내용과 방법적 지식을 심화하고, 집단지성을 통해 체육교과 전문성을 공유·확산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 물적, 행·재정적 자원을 활용한 체육교육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결론: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협력학습 경험이 연구 참여 교사 개인의 체육교과 전문성을 넘어 초등체육교과의 활성화와 발전에 기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독려하고 활성화하기위한 교육 및 행정 관계 기관의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운영 실태 연구

        이도연 ( Lee¸ Do Yeon ),임희정 ( Ihm¸ Heej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운영 실태,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빈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정, 변량 분석의 통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영어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의 문제점, 초등학교 영어교과전담제 개선방안 등을 면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영어교과전담제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의 기준으로 영어전담 경력이나 영어지도 전문성을 고려하기보다 외부적 요인을 고려하여 영어전담을 배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역과 학교 규모에 따라 운영 실태가 다르고 일관적이지 않게 운영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영어교과전담제에 대한 교사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선호하는 이유로, 담임 업무 경감, 교재연구 시간의 단축 등의 이유를 꼽았다. 또한,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선호하지 않은 이유로 자신의 영어 전문성 부족을 이유로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 문제점으로 교과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은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 교재교구 및 전용시설 부족, 일정한 배정 원칙 없이 관리자가 임의로 영어교과전담 교사를 배치함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영어교과전담제 개선을 위해 교과전담교사 배치기준의 재정립, 교과전담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지원, 영어교과전담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수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 영어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혀진 영어 교과전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영어교과전담 교사 배정원칙을 마련하여 초등영어 교육 현장의 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nglish teacher system for elementary schools has been managed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o develop the syst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10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of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variance analysis. In-depth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schools have operated the English teacher system, and there was a problem in assigning English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considering English-only experience or English teaching expertise as a criterion for assigning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that the operating conditions were different and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school size.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nglish teacher system, the reasons for preferring a dedicated teacher were the reduction of the homeroom work and the shortened study time for textbooks. The result also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English proficiency was the reason teachers did not prefer to be dedicated to the subject. Lastly, as a problem with the assignment of teachers, there was a high rate of assignment of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that did not consider subject specialization,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dedicated facilities, and that administrators randomly assigned teachers in charge of English subjects without a fixed assignment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establishment of the assignment criteria for subject teachers, support fo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teachers, a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