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지연(Lee, Ji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의 체험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현재의 그 경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발전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발행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1993년부터 2013년까지 출간 된 중학생(교) 대상 체험학습 관련 논문 총 111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마련한 다섯 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목적 측면에서, 체험학습 이론 및 방법론 개발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가장많았다. 둘째, 연구주제에서는 체험학습 방법 및 모형 구안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체험학습의 평가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는 미미하였다. 셋째, 체 험학습 유형과 관련하여, 교과연계형에서는 기술․가정, 사회과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교실 밖 체험에서는 문화 및 역사와 사회 체험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넷째,활동내용과 관련해서는 실습 활동에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방법 측면에 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연구 과제로, 체험학습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 소개 및 논의 확대, 체험학습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확대,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의 체험학습 활성화, 체험 학습 활동내용의 다양화, 질적연구 및 혼합연구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 involving experiential learning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experiential learning. Towards this end, 111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experiential learning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201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nalysis criteria: research purposes; themes; experiential learning categories covering curriculum subjects and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outside classroom;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alysis of the article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research purpose, the most frequently shown concerned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ies and methodologies. Second, with respect to research themes, studies on the formul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ologies and models ranked high among the analyzed articles. Third, with regard to experiential learning categories,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Social Studies’ were the curriculum subjects that most frequently employed experiential learning. Also, ‘culture and history’ and ‘social’ experiences ranked high as types of experience outside the classroom. Fourth, in terms of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practice’, including operating, making, testing, and physically exercising, showed high frequency. Fifth,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ology, most of the research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xperiential learning are suggested and discussed: expansion of introduction and discussion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methodology;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vitaliz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n various curriculum subjects; diversification of activity types; greater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 KCI등재후보

        초등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동향 분석

        김영환 교육혁신학술위원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들이 어떻게 수행되어 왔는지를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향후 초등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과 과제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발행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등재 후보지를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 95편을 대상으로 아홉 가지 준거에 터해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체험활동 논문은 2010년 이후 2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연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둘째, 제1연구자의 직업별로 보면, 교수와 교사가 높았고 연구원, 대학원생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 보면, 5-6학년, 3-4학년의 비율이 월등히 높고, 다음으로 교사와 문헌 순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저학년의 시수가 제일 높음에서 불구하고 연구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목적별로 연구 비율을 보면, 효과검증이 다수였다. 다섯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에서 실험연구와 조사연구가 높게 나타났고 질적연구와 이론연구는 낮았다. 여섯째, 교육과정과 연계 여부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가 가장 높고 일반교과 연계 활동과 비 교육과정에서 체험 활동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일곱째, 체험활동의 형태에 따른 구분에서 학습형태는 고학년의 참여가 높고 활동형태는 저학년의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교 내 활동이 3배 정도 높았으나 일반교과활동은 학교 내/밖의 비율이 비슷하고 비 교육과정에서의 활동은 야외에서 활동이 조금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결과 항목이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를 다룬 정도에 따라 연구자의 체험활동에 대한 부정적 요소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문제점에 대한 언급보다는 대체로 효과나 장점에 대한 언급이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with the research analysis of related articles from 2009 to 2015. For this, a total 95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rom KRI registered and semi-registered journals. The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elementary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articles have increased almost twice compared to those of 2010. Second, by the type of researchers, the highest contributors are professors and teache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are the next group. Third, by the target audiences of the research, 5-6 graders and 3-4 graders are the biggest. Fourth, on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most of them are for check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own methodologies or theories. Especially, teachers tend to do this the most. Fifth, on the research method, most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by experiments and surveys. Sixth, the 4-6 graders students participate more in the activities rather than those of 1-3 graders. Seventh, most of the activities are done inside of schools, especially the curriculum related ones, However, the non-curriculum related ones are happening a little more outside of schools. Lastly, the attitude of the researchers are mostly positiv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 KCI등재

        가상체험전시 서비스 모델 방법론 연구

        이재익(Jae I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국가 전략산업(IT, CT, BT, ET, NT, ST)중 하나인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성장으로 인해현재, 전시산업의 성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가상체험전시의 연구 분야는 유비쿼터스 컨버젼스 스마트 환경에서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디지털화된 가상공간의 전시물 모바일, 웹서비스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문화 체험이라는 트렌드에 부합하여시청각 장치 및 각종 센서를 이용해 가상 전시물과 상호 작용하면서 체험형 전시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등의 전시물 및 관련 문화 상품 개발과 활용에 기폭제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가상체험 전시의 서비스모델의 연구를 통해 전시관 전시물의 디지털 콘텐츠화와 관련문화산업의 클러스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화 산업에서 유비쿼터스컨버젼스 스마트 패러다임에 기반 하는 새로운 문화콘텐츠 서비스 패러다임과 가상체험전시의 개념, 특히 가상공간, 가상체험, 가상전시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가상체험전시가 가지는 기술적, 매체적 특성에 대한 연구, 그리고 가상체험서비스의 콘텐츠가 되는 국내외 가상체험전시 사례연구를 병행하여 가상체험전시의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본 연구의 기본 접근으로는 "연구의 이해-규명- 해석"이라는 3단계의 기본 연구개발 프로세스와 그다음 단계인 해석-전환-작용의 단계에서 가상체험서비스의 콘텐츠의 주 내용이 되는 전시관의 전시물에 대한 현황 조사 및 가상체험전시물에 대한 사용성평가와 요구사항 평가 등의 연구를 통해 최종 연구목표인 가상체험전시 서비스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제시된 서비스 모델은 향후,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등의 미래 발전 비전의 표본 모델 및 방향성 정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로는 첫째, 가상체험전시 분야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방법론을 제공하여 가상체험전시에 대한 담론 형성과 학제간 융합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이 연구 결과는 신 가치 창출 및 블루오션으로서의 가상 체험 전시 및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향후, 가상체험전시에 대한 문화콘텐츠 비즈니스와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과의 융합 서비스 모델의 도출을 통하여 각 산업간 융합에 도 기여할 것이다. 이 외에도 통합적인 디지털 문화상품 기획 및 개발능력을 갖춘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 기획 및 개발에 필요한 전문 인력의 양성에도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측된다. Exhibition industry is continuously grow because of the growth of culture technology, one of the national strategic industry (IT, CT, BT, ET, NT, and ST), Because the research area of especially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does not have any limitation in ubiquitous convergence smart environment of digitalized virtual space of mobile of the article of exhibition and web-service, the research area can have characteristic experience exhibition correlated with virtual articles on exhibition by using audio-visual instrument and various sensors. In this study, digital contents of articles of exhibition and cultural industry derived from the contents are tried to build up by the research of service model about articles of internal and external museums, art galleries, and science museum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the related cultural products The service model of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s will also be tried to developed by the combined study for service paradigm of new cultural contents based on ubiquitous convergence smart paradigm in the area of digital cultural industry, the concept of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theoretical study for virtual space, virtual experience, and virtual display, and the research about technical and media properties and the contents of virtual experience service in this study. The basic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are 3-step research development processes of understanding of the study-investigation-interpretation and then investigation about articles on exhibition and evaluation for usability of virtual experience at the stage of virtual service interpretation → conversion → effect. The final target of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ose evaluations. The service models of suggested virtual exhibition are expected to give massive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model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vision for museums, art galleries and science museums The research results and anticipated effects are follows: first, discourse on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an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s by the suggested new methodology for service model for the research in the area of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are anticipated. Second,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and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s of related industry by the research about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service model as for the creation of new value and blue ocean. Third, those will also contribute to the convergence among various industries by deduction of the convergence service model among culture content business, multimedia hardware, and software industry for virtual experience exhibition In addition to above results and effects, there will be synergic effect for the education for experts with design and developmental ability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new content service.

      • 아시아 청소년 진로체험활동 국제비교 연구Ⅱ

        김현철,백혜정,이지연,선애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 각국 청소년의 진로체험활동 현황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아시아 국가들의 진로교육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청소년 진로체험활동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아시아 주요국의 진로체험활동 관련 사회환경을 분석하고, 한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체험활동 참여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년도에는 아시아 10개 지역이 참가하는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여 각국의 진로체험활동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진로교육 활성화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2012년 PISA 조사결과에서처럼 아시아 국가들간의 비교에서도 대체로 진로체험활동의 양이 많은 나라가 직업역량도 높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로체험활동이 활발한 나라들은 더 양호한 사회문화적, 교육적 환경이 진로체험활동의 양과 질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진로체험활동 경험이 많지 않고, 관련한 공공정책의 규모가 작거나 효율적으로 추진하지 못하는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이란과 같은 아시아 국가의 경우에는 진로체험활동의 기회도 부족하고, 진로역량계발에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진로체험활동의 양이 진로역량과 비례한다고 해서 진로체험활동의 양이 반드시 진로역량계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평균적인 경향일 뿐이다. 한국과 일본은 홍콩, 대만, 싱가포르보다 더 많은 진로체험활동을 제공하고, 그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직업역량도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되지만, 한국과 일본 그리고 홍콩, 대만, 싱가포르의 두 그룹 중 어느 그룹의 진로교육이 더 효과적인지를 가늠하기 어렵다. 한국과 일본은 진로체험의 양은 많으나 교과활동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반면 홍콩, 대만, 싱가포르는 교과 통합적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교과와 경험이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경향을 보인다. 결국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취학율이 높은 대중교육사회인 한국, 일본, 싱가포르, 대만, 홍콩은 진로체험활동 중심모델과 교과통합형 모델로 나뉜다. 진로체험활동 중심인 한국과 일본의 경우, 체험의 양에 비해서 역량의 수준이 높지 않은 것은 교과 통합적인 접근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진로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진로체험활동의 질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과통합적인 접근을 통해서 교과와 경험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두가지가 모두 가능하다면, 진로체험활동은 더 좋은 진로교육의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제언은 결국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의 청소년 진로체험활동정책을 활성화하고 내실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진로교육을 위한 지역생태계 조성, 교사들의 진로교육 역량 제고, 컨설팅 추진 및 지역 전문인력 간 학습조직화, 진로교육을 위한 지역생태계 조성 필요성에 대한 가치 공유, 일선학교에서의 통합적인 진로교육추진, 진로센터의 체질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아시아 진로교육연구와 진로교육활성화를 위한 아시아 국가간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으로는 아시아 국가간 연구네트워크 구축, 2017년 국제학술회의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협력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reer education trend of Asian countries and draw an improvement plan for South Korean students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each Asian country. To this end, the study in year 1 analyzed social environment of major Asian countries in terms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conducted a survey on Korean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year 2, the study hel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by inviting 10 Asian countries, and collected and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ir career experience programs. Based on that, the study proposed measures to boost career counseling. As in the 2012 survey result of the PISA, this study found that Asian countries providing many career opportunity options also tend to have high vocational competence. The favorable sociocultur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ose countries seem to have positively affecte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contrast, other nations such as India, Indonesia, Pakistan and Iran that have few public policies for career experience and fail to efficiently implement such policies were found to have a lack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areer activities and negatively affect developing career competencies as well. Even if the amount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proportional to career capabilities,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amount always has a positive impact on fostering career capabilities without fail. The findings were just the average tendency. South Korea and Japan offer mor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than Hong Kong, Taiwan and Singapore, and show higher vocational capabilities subsequently obtained from such opportunit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group of the countries have more effective career path education. The amount of career experience was high in South Korea and Japan, but the career activities were mostly run separately from curricular activities. In contrast, the curriculum and activity programs in Hong Kong, Taiwan and Singapore were more closely interconnected through an integrated academic approach. These five countries with high school enrollment ratio of 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have two types of education models - one that focuses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 other that emphasizes integrated curriculum. South Korea and Japan with a focus o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had relatively low career capabilities compared to their input amount of experience because they might have difficulties in taking an integrated curricular approach. In other words,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s important for high-quality career education, but systematically connecting curriculum and experience is also equally important. If both goals can be met,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will be able to serve as a better tool of career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made largely two policy proposals. First, it suggested measures to invigorate and enrich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f South Korean youths. To this end, it proposed creating a regional ecosystem for career education, enhancing teachers career education capability,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 readiness among consultants and experts across the regions, sharing value on the need for forming the regional ecosystem, seeking integrated career education by schools and improving fundamentals of career centers. Second, it suggested establishing a joint research network for Asian countries in a bid to vitalize cross-border exchanges and cooperation, while forging a sustainable research cooperation system based on research outcome of the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 KCI등재

        아동의 실개천 놀이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노혜진,최경숙,조형인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실개천에서 놀이체험을 통하여 경험하는 놀이 의미를 심층적으로 알아 가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Max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을 적용하여 아동들의 생활세계를 4개의 실존체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 신체성은, 오감으로 만나는 새로운 세계로의 체험, 두 번째,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의 시간성은, 생물들의 신비로움에 몰입되어 시간의 흐름을 모름, 세 번째,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의 관계성은, 아동-아동 간에는 자연물을 형상화한 놀이 감으로 게임을 재현하는 관계, 아동-성인·노인 간에는 옛이야기를 전해 듣는 재미에 빠져드는 체험,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의 공간성은, 기후의 변화로 실개천 놀이터의 의미를 달리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실개천을 보호하고 복원하여 교육현장으로 제공하는 성인, 노인, 부모, 또한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교사들에게 아동들의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을 통하여, 자연이 주는 새로운 교육체험에 대한 의식의 전환과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meaning of play as experience by examining children’s experience of playing in a small stream. Using Max Van Manen's phenomenological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children’s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ism. First, children’s corporeal play experience in a small stream was viewed as experiences of meeting a new world with the five senses. Second, the temporal play experience in a small stream was regarded as being immersed in the wonders of nature so that children were lost track of the time. Third, the relationship of play experience in a small stream was counted as an experience of playing a game with natural objects resembling stones among children, and an experience of getting to know the old storie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Lastly, the spatiality of play experience in small stream was appeared as an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the new meaning of the environment because the place where children were playing was broken out due to drought. Analyzing the children's play experience in a small strea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opportunities to reflect and change one’s view on new educational experiences in nature especially for people who protect and restore the stream in order to provide it as for an educational space and those who study about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에 관한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에 개재된 논문, 총 124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7년 이후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교과 교육을 내실화하고 대양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인성교육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관련 논문이 꾸준히 관련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둘째, 체험학습의 유형은 시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생태체험과 문화역사체험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체험학습의 유형 중에, 초등학생 시기에 진로발달 측면에서 직업진로체험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험학습을 다양한 활동 집단, 교류방법, 내용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연구 대상은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을 대상으로 삼는 비율이 높았는데, 연령이 어릴수록 체험학습이 학생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저학년 대상의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연구방법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사례연구, 개발연구,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Literature review provides an analysis of relevant experience learning researches in elementary school. These findings of this research help improve experience learning researches by providing basic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ster's theses,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A total of 124 researches reported from 1997 to 2009 were analyzed. The following six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irsthand experience activities are useful to make curriculum for human nature, so related researches has been constantly reported from 1997. (2) Natural ecology experience program and culture experience program were most frequently researched. (3) Job experience programs are significant for career development, but related researches didn't studied enough. (4) Experience Learning researches should be examined from various groups, interchange methods, and contents. (5) Senior classes were more studied than lower classes in spite that experience study are more effective for the younger people, so the researches for lower classes should be performed more. (6) Survey study and experimental study were mostly used as research methods, case study, developmental study should be studied more.

      • KCI등재

        1인칭 체험연구의 배경과 특징 탐색

        이영국(Young-Kuk Lee),안양옥(Yang-Ok Ah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1인칭 체험연구는 자문화기술지와 셀프스터디와 같이 연구자 자신의 체험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1인칭 체험연구의 기피자와 비판자들에게 1인칭 체험연구의 유용론을 펼치는 데 있으며, 1인칭 체험연구의 유용론은 자문화기술지와 셀프스터디의 형성 배경과 특징을 제시하는 것으로 했다. 1인칭 체험연구의 배경에서는 자문화기술지와 셀프스터디의 태동과 성장에 대한 측면을 밝혔고, 1인칭 체험연구의 특징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도적 추출’(purposeful sampling)을 통해 1인칭 체험연구의 대표적 문헌들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1인칭 체험연구의 세 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나의 존재를 성찰하며 세계와 대상의 의미 파악하기’이며, 둘째는 ‘타인과 협력하며 개방적 태도 유지하기’이고, 셋째가 ‘나의 아픈 현실을 드러내며 성장하기’이다. 마지막 부분에는 1인칭 체험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First-person"s lived experience research is a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autoethnography and self-study, which includes data analysis and data collection on the basis of researcher"s own lived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suade critics of first-person"s lived experience research to accept its usefulness. The assertion of its usefulness is not saying different thing, but letting those who don"t know it understand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one. On behalf of unveiling the backgrounds of first-person"s lived experience research, the beginning and growth of autoethnography and self-study were described. However, its characteristics were unveiled through analyzing representative texts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so that 3 characteristics were disclosed. First character is “Reflecting My Be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ld and Things.” Second character is “Collaborating with Others and Keeping on Open Mind.”Third character is “Describing My Vulnerabilities Based on Being at Present and Keeping on Seeking Growth.”At last, some ideas for getting over the limits of first-person"s lived experience research were examined.

      • KCI등재

        남성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김선영,황경애 한국코칭학회 2015 코칭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로 연구방법을 통해 남성 상담자와 내담자 총 4인의 상담관계 체험을 분석함으로써 그들 체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연구 질문 의 인터뷰 축어록을 사용, 이러한 질적 연구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3명과의 세미나를 통한 삼각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첫째, 내담자(상담자)와의 상담전반의 인상 둘째, 치료동맹의 형 성 셋째, 내담자(상담자)와 상담전반의 어려움 넷째, 내담자 변화에 대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점 다섯째, 내담자(상담자)와의 관계체험을 통한 통찰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 분석하 였다. 첫째, 남성 상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은 다음과 같다. 남성 상담자는 상담 초기에 부담, 걱정이 있었지만, 내담자와의 상담관계를 통해 내담자의 변화를 보게 되면서, 상담자 자신에 대한 자 각과 통찰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상담자 자신의 삶의 변화를 체험하였다. 둘째, 내담자의 상담관계 체험은 다음과 같다. 내담자는 과거의 상처로, 상담 초 남성 상담자 에 대해 경계적 모습을 보이나, 남성 상담자와의 관계 체험을 통해, 자기 삶의 긍정적 변화를 체험, 상담자와의 관계, 상담자에 대한 인식이 변화, 이 변화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체험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male counselors’ and clients’ relationship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riangulation including verbatim phenomenological interviews with male counselors and clients, interviewing reports, and a seminar with 3 experts. Interviewing questions were written out in phenomenolog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male counselors’ and clients’ relationships. Five structural elements were 1) the clients’ (and counselors’) impressions of counseling sessions, 2) the formation of a therapeutic union, 3) the clients’ (and counselors’) difficulty, 3) the perspective of the clients’ transformations, 5) insight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clients’ (male counselors’)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le Counselors: burden & anxiety (in early sessions)→awareness & insight about counselors (themselves)→transformations in their lives. 2) Clients: because of past wounds, wary looks→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male counselors→ positive transformations in their lives→ transformations in relationships with counselors and recognition about counselors→ these transformations continue until now.

      • KCI등재

        ICT 활용 체험학습 연구동향 분석

        김선영(Sun Young Kim),김영환(Yong Hw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ICT-applied experiential learning system while analyzing research trend analysis related to ICT and experiential learning in Korea. For this objective, 75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om RISS published from 2000 to 2014. The major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last 14 years, the number of research on ICT-applied experiential learning has increased steadily. Second, the sociology related subjects are the most popular field of research. Third, mos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was done inside of school rather than outdoor activities. Forth, among ICT types, leaning content was mostly used. Fifth, for experiential learning, most of the ICT was designed in presentation style. It was recommended to utilize ICT for divergent experiential learning, to adapt ICT-based experiential learning to more outdoor related activities, to do more research for developing better ICT devices for the experiential learning, and to make sustainable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한 체험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계 속 증가하고 있는 체험학습과 ICT의 효과적인 연계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학술지 논문 75편을 대상으 로 다섯 가지 분석 준거에 의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체험학습에서 ICT를 연계한 ‘ICT 활용 체험학습’의 양이 2004년 이후 계 속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과목별로는 역사·문화·사회과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 다. 셋째, ICT활용 체험학습은 주로 학교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숫자는 계 속 증가하고 있지만 교외환경에서 그 활용은 ‘06년 이후 미미했다. 넷째, ICT 개발 유형별로는 학습자들의 학습진도관리가 가능한 학습자관리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가상체험과 시뮬레이션등이 가능한 체험형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험학습 활동에 자료를 제공 및 생산하기 위한 ICT 활용 유형으로는 제시 형과 상호작용형이 같은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연 구 과제로,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 ICT 활용 체험학습 활성화, 교내뿐 아니라 현장 체험 활동의 활성화, 체험학습의 특성을 고려한 ICT관련 하드웨어 요소 연구 활성 화,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자료의 생산과 관리 지원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 였다.

      • KCI등재

        열반 체험의 해석학적 - 현상학적 연구 - 아잔 차(Ajahn Chah)의 열반 체험을 중심으로 -

        윤동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essential meaning-structures of the living experiences of nibbāna through a hermeneutic - phenomenological study of it from early Buddhism. This paper thereby goes beyond the text - and logic - bound limitations of prevalent existing studies of nibbāna.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Buddhism as practice and Buddhism as theory could be mutually connecte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methodology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in the field of Buddhist studies. Nibbāna i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concept, but also the ultimate practical goal in early Buddhism.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research on nibbāna has been very limited. This is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nibbāna that focuses only on its scriptures, languages, and logical arguments. However, nibbāna lies beyond ordinary human logical - cognitive abilities. In other words, existing research on nibbāna is committing a fundamental categorical error of applying a logical-rational methodology to a research topic which is beyond logic and rationalit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nibbāna-experiences from early Buddhism has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doctrines of early Buddhism related to nibbāna are shortly reviewed. Then, a kind of hermeneutic-phenomenological research on some living experiences of nibbāna is conducted. Through a research on such living experiences, we can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vivid reality of nibbāna (In this way, w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xt- and logic-based existing studies on nibbāna). To this end, we take up the experiential data on nibbāna written by a noble Thai monk Ajahn Chah. Conducting a hermeneuticphenomenological study on such data, we grasp the essential meaning-structures of nibbāna. Then, the validity of such essential structures is again corroborated by the documented universality of the nibbāna-experiences drawn from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as well as from the latest Buddhist studie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essential structures are discovered: (1) nibbāna is the state in which the mind (subject) is separated from the objects; (2) nibbāna is pure awareness; and (3) nibbāna is absolute emptiness (suññata). That is, nibbāna, phenomenologically speaking, can be regarded as a ‘transcendental discernment’ that is unaffected by secular perception. 본 논문은 초기불교의 ‘열반(nibbāna)’에 대한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의 문헌적·논리적 연구방법의 한계를 벗어나, 열반 체험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불교의 ‘실천적 수행’으로서의 영역과 ‘이론적 학문’으로서의 영역을 연결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불교학연구 일반에 있어서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열반’은 초기불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궁극적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열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논란이 많다. 이는 인간의 일상적 인지능력을 넘어서는 열반을, 문헌과 언어와 논리만으로 연구하려는 기존 연구의 내재적 한계에 기인한 것이다. 즉, 연구대상과 연구방법간의 근원적인 범주의 오류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불교의 ‘열반’의 특성을 찾아내기 위해, ‘열반’에 대한 초기불교의 교설을 검토하고, ‘열반의 체험’에 대한 일종의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진행한다. 체험연구를 통해 문헌적·논리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생생한 ‘열반’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 방법으로 태국의 고승 아잔차(Ajahn Chah)의 열반 체험을 기술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학적-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진행하여, 열반 체험의 본질적인 구조를 파악한다. 이후 연구결과인 본질적 구조의 타당성을 체험의 보편성, 문헌적 타당성, 이론적 신뢰성의 측면에서각각 검토함으로써 보강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본질적 구조가 발견된다. (1) 열반은 마음(주체) 에서 대상(객체)이 분리된 상태이다. (2) 열반은 ‘순수한 알아차림’이다. (3) 열반은 ‘절대적 텅 빔(空)’이다. 즉, 현상학적으로 열반은 세속적인 지각에 영향을 받지 않는 ‘초월적 인지(transcendental discernment)’라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