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글쓰기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혁신

        김기호(Kim Ki-h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6 No.-

        본 연구는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선행 조건이자 입문과정으로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의 혁신을 위한 단계별 수행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은 전체 4단계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1단계는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선행조건으로서 올바른 인식과 균형 잡힌 인식이 왜 중요한지를 강의한다. 2단계는 창의성 및 창의적 글쓰기의 개념을 조사하고 성찰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오늘날 창의성의 개념과 창의적 글쓰기의 개념을 조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인식을 점검하고 성찰하도록 한다. 3단계는 학생들이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균형있게 하고 올바르게 혁신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자신의 잘못된 인식을 바르게 고치며, 자신의 관점을 균형 있게 하며, 타인의 관점도 타당성을 인정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4단계는 학생들이 창의적 글쓰기 기법을 발굴하고 창의성을 방해하는 환경을 개선하는 과정이다. 창의적 기법의 발굴은 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기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1단계에서 4단계까지는 발표와 토론으로 이루어지는 창의적 글쓰기 세미나를 위한 선행 요건이다. 이들 단계는 이공계열 학생들의 창의적 글쓰기 인식을 성찰하고 바로잡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심화과정에 앞서 반드시 개설되고 학습되어야 하는 창의적 글쓰기 입문과정이다. This study proposed a stepwise performance process for the reform of perceptions of creative writing, which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and introduction phase to creative writing. The process consists to total four stages. Stage 1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ving the right perceptions of creative writing and teaches the students why the right and balanced perceptions were critical as an essential prerequisite of creative writing. Stage 2 examines and reflects on the concepts of creativity and creative writing, having the students look into the current concepts of creativity and creative writing today and check and reflect on their own perceptions based on the results. Stage 3 helps the students develop the balanced perceptions of creative writing and reform them in the right way. In that process, the students are encouraged to correct their wrong perceptions, pursue balance in their perspectives, and recognize the validity of others" perspectives. Finally, Stage 4 has the students discover their own creative writing technique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that disturbs creativity. Discovering creative techniques, the students got to find their own custom techniques. Stages 1~4 make preceding requisites for a creative writing seminar based on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Those stages are devised to help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reflect on their perceptions of creative writing and correct them and represent an introductory process for creative writing that should be established and studied before an advanced course.

      • KCI등재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김민희(Mi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연구를 통해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논하였다. 창의적 경쟁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자는 정부의 교육 구호에 발맞추어, 모든 학문의 기초로서 창의적 글쓰기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교양대학의 교과 과정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2015년 이후에는 모든 대학에서 운영하는 교과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창의적 글쓰기 교육과 연관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여전히 인지과학에서 다루는 ‘창의성’을 고양하는 창의적 글쓰기가 과연 독립적인 학문 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조금 더 심도 있게 전개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쟁점에는 전문적인 교원의 부족과 운영 및 평가의 시스템 부재가 있다. 또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범주에 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콘텐츠에 관한 교육적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같은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국내 대학의 창의적 글쓰기 교육에 관해 발표된 선행 연구를 시기와 콘텐츠 사례에 따라 분류하여 개괄한 후,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운영과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rough examining stud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and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Following the Korean government’s educational slogan to nurture creative and competent talents, creative writing, as one of foundational skills across disciplines, had begun to be introduced into the curriculum of liberal arts colleges from early 2000s and has become a required course since 2015. Although many studies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whether creative writing, which enhances creativity dealt in cognitive sciences, can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calls for in-depth discussion. The ongoing issues concerning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volve a lack of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absence of the operational and evaluative system. Whats necessary is a clear definition of the extent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the proposed contents also need further verification. Therefore, as the basis for future constructive conversation, the current paper recapitulates the literature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classifying studies based on periods and cases of contents, and presents the direc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and research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설명적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 - 개념적 은유 활용을 중심으로

        김현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0

        Recently, interest in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writing education is increasing.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writing education method using conceptual metaphor as a way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explanatory writing. Metaphor can be understood as being creative because of the nature of its attempt to escape the conventional linguistic usage conventions. Also conceptual metaphor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easier to explain unknown objects. Considering all the characteristic,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method of explanatory writing using conceptual metaphor. As a result of the explanatory writing education using the conceptual metaphor, the students tried to understand the object in various ways and tried to write an article introducing the object in various and creative way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raining which was limited to the literary writing in the past to academic writing such as explanatory writing. In addition, the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students try to understand creatively in various aspects through explanatory writing education using metaphor. 최근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글쓰기 교육은 대부분 문예적 글쓰기로 한정되어 이루어진 경향이 높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문예적 글쓰기가 아닌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을 살펴보고자 했다. 은유는 기존의 언어적 사용 관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특성으로 인해 창의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은유는 잘 알려지지 않은 대상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은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결과, 학생들은 대상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대상을 소개하는 글을 쓰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의 문예적 글쓰기로 한정되어 있었던 창의적 사고력 증진 교육을 설명적 글쓰기와 같은 학술적 글쓰기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은유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대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창의적으로 이해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통합적 열린 글쓰기 교육’ 원리에 입각한‘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모형-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공동체와 정의’ 주제 수업 사례-

        박현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1 사고와표현 Vol.4 No.2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education means a writing training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for raising creative persons. Thecreative writing model is appropriate for the writing training thatcombines reason with emotion. Especially, the writing training thatutilizes a movie has the advantage of integrating reason and emotioninto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process. This article proposesthe principles of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education modeland shows a case for it. Creative writing education aims at the writing that expresses uniqueargument by new, various and critical approaches to a topic, freefrom the established ways of thinking. To achieve the goal, I developedthe ‘Integrated Open Writing Education’ model, a teaching methodthat integrates both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into acreative thinking. The ‘Integrated Open Writing Education’ model contains threecharacteristics. First, the model use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aWeb-based strategy of learning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Itcombines on-line learning with off-line learning. It integrates manyfactors of learning such as goal, method, time and space, media andinteraction. Second, it has a strategy of ‘Open Writing.’ This means the principalof interaction in each process of an approach to a topic. Through theinteraction, We are able to learn various opinions and raise the abilityof converging the different opinions. Third, it pursues the student-centered model. The relation betweenteacher and student is facilitator and leader in the creative thinkingand writing training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은 지식을 창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부합하는창의적 사고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이다. 창의적 사고에 기초한 글쓰기 교육은 이성과 감성을 결합한 글쓰기 교육에 적합하다. 특별히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이성과 감성 모두를 작동하여 통합적인 창의적 사고와 표현을 촉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글은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수업모형의 원리를 제안하고 그 사례를 제시한다. 창의적 글쓰기 교육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기존의 사고에대해 비판적이고 새로운 사고로 접근하여 독창적인 논지를 담은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확산적이면서도 수렴적인 창의적 사고방식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교수법, ‘통합적 열린 글쓰기 교육’ 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 방법을 활용한다. 이 학습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만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 학습방법, 학습시간과 공간, 학습활동, 학습매체, 상호작용 방식 등 다양한 학습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최상의 학습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웹기반 학습 설계전략이다. 두 번 째 ‘열린 글쓰기 전략’이다. 하나의 주제에 접근하는 모든 과정에 상호교류의 원칙을 적용한다.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의 주제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을 접하고 갈등하거나 상충하는 의견들을 자기주도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와 학생의 관계는촉진자와 주도자의 관계로 편성된다. 학생중심의 학습모형을 추구한다.

      • KCI등재

        대학 기초교양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인식 연구 -"창의적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정영진 ( Yong Jin Jeo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논문들이 많이 제출되고, 다양한 교수법이 개발·공유되면서 글쓰기 교육의 질은 점점 향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쓰기 자체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전 작업의 성격으로 현행대학 교육에서의 ‘창의적 글쓰기’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교재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우선 정보화 시대에서의 글쓰기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살펴보았다. 정보화 시대로의 이행에 따른 글쓰기 양식의 변화를 세 교재 모두 언급하고 있지만, 시각의 편차가 존재했다. 사적 영역에서의 글쓰기를 강조하는 건국대학교 교재에서는 객관적이고 원론적 차원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데 반하여, 성균관대학교 교재에서는 인터넷 매체에 기반한 글쓰기 문화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제시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양대학교에서는 정보화 시대에 글쓰기의 문턱이 낮아지고, 글쓰기 주체들이 자유롭게글 쓰는 희열을 맛보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인식 차는 정보화 시대에서 문자 민주주의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른 결과이다. 이는 우리에게 글쓰기와 민주주의의 문제에 대한 사유를 요청한다고할 수 있다. 각 교재마다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의 주체를 구성하는 내용과 방식도 상이했다. 성균관대학교 교재는 시대와의 불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의적 사고를 독려하면서 글쓰기 주체가 ‘문제의식’을 선명히 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교재는 주체의 ‘열정’과 ‘자의식’을 강조한다. ‘나’를 걸고 쓰는 글, 끝없이 자신의 글쓰기를 성찰하는 주체를 창의적 글쓰기 주체상으로 정립하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두 교재가 말하는 주체의 창의성은 주체와 주체가 속한 공동체에 대한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성격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건국대학교 교재는 주체의 ‘행복’과 ‘삶’을 창의성과 결부시키고 있다.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능력은 주체의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것으로 담론화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글쓰기의 타자성과 윤리성, 사회성의 인식 차로 이어진다. ‘삶’과 ‘행복’을 키워드로 창의적 주체를 구성하고 있는 건국대학교교재는 글쓰기의 윤리성의 문제를 소략하게 다루는 데 반해, 성균관대학교와 한양대학교 교재는 이 문제를 중요하게 취급한다. 성균관대학교의 경우 표절을 비롯한 윤리 위반 행위들을 자세히 제시하고 있고, 한양대학교 교재는 관련 관계와 사적 욕망에 압도된 글쓰기 주체의 비윤리성을 꼬집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우리는 글쓰기 연구에서 사적 글쓰기와 공적 글쓰기 문제도 중요한 테마가 될 수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사적 글쓰기와 공적 글쓰기에 대한 탐구는 글쓰기 주체성과 타자성, 윤리성과 사회성을 가로지르는 것이기에 더욱 그 필요성이 강조될 수 있을것이다. 글쓰기에 대한 연구는 교수법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특히 지금까지 미진했던 글쓰기에 대한 이론적, 역사·문화적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비단 글쓰기에 대한 사유의 확대와 심화라는 측면에서만 유용한 것이 아니다. 이를 통해 기존 학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의 도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As more the proposals of writing education related thesis are submitted and more various types of teaching methods are developed and shared, the quality of writing education is gradually getting improved. Nevertheless, some points out the fact that researches on writing itself rather fall behind.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of ‘Creative Writing’ in the current curriculum as a preliminary research, especially focused on academic textbooks. First, the paper looked into how to view the writing in this information age. The changes in writing patterns in the transition to information age, are mentioned in all the chosen three types of textbooks, but with different way of looking, respectively. With the emphasis on writing in private realm, Konkuk University textbook briefly mentions the writing from the objective and principle views, while Sungkyunkwan University one provides its negative views on Internet-based writing culture. To the contrary, Hanyang University textbook contains its positive views in that the barrier of writing becomes lower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a subjective writer enjoys the joy of free writing. Such different views depend on how text democracy is perceived in the information age, which may require us to deeply think about the issues of writing and democracy. Each education has its own contents and methods in composing the creative writing and the subjective writer. Sungkyunkwan University textbook encourages creative writing not afraid of discord with the current times, asking the subjective writers to clearly have ‘critical mind’. Hanyang University textbook emphasizes on subjective writers` ‘passion’ and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in this textbook, an ideal creative writer continues to introspect his and her writing style, being honest to ‘self’. From such aspects, the creativity of a subjective writer, according to these two textbooks, put emphasis on critical and introspective properties regarding the subjective writer and the community that such subjective writer belongs to. To the contrary, Konkuk University textbook connects ‘happiness’ and ‘life’ of subjective writer with creativity. According to this,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skill contributes to happy life of such subjective writer. Such differences also lead to those in the perception of other-ness, ethics and social nature in writing. Identifying the creative subject with its key words ‘life’ and ‘happiness’, Konkuk University textbook briefly deals with the ethical issues in writing, while Sungkyunkwan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ones handling them more importantly. Sungkyunkwan University textbook lists unethical behaviors in detail, including plagiarism, and Hanyang University one criticizes unethical writers who are often overwhelmed by the relationship and personal desire. From such differences among textbooks, we sense that personal and public writing issues may another important themes as well in a study of writing. The need of research on personal and public writing, may be further emphasized, because it is entirely related across other-ness, ethics and social nature. A study on writing requires the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besides teaching methods. Especially, theoreti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earch will have to be more actively more active on writing the topic at a slow pace so far. Such activities will be helpful in the aspects of expansion and depth of thoughts for writing, but there is more than that. Through which, it will allow to introduce newer viewpoints to look into the existing studies differently.

      • KCI등재

        관습적 글쓰기와 창의적 글쓰기 -조선후기 제문 양식을 중심으로-

        이영호 ( Young Ho Lee ) 한국작문학회 2006 작문연구 Vol.0 No.2

        창의적 글쓰기는 작문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대상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창의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에서는 구체적인 글쓰기 방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 본고는 창의적 글쓰기 교육이 기존의 글쓰기 규범이나 관습적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조선후기 제문 글쓰기의 관습성을 살펴보고, 연암 박지원의 제문 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조선후기는 제문이 망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대표적인 글쓰기 양식으로 자리잡은 시기이다. 조선후기에 쓰인 제문을 분석해 본 결과 제문 글쓰기는 ``망인에 대한 칭송 → 망인과 화자의 관계 부각 → 망인의 죽음에 대한 애도``의 방식을 기본형으로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제문 글쓰기의 주체는 생전에 망인과 맺었던 관계와 그의 삶에 대한 해석과 의미 부여를 바탕으로 칭송과 애도를 교차 서술하며 제문을 써 나간다. 그 결과 제문은 망인에 대한 칭송이나 슬픔의 과잉이라는 관습적 면모를 보이게 된다. 연암은 제문 양식이 지닌 관습적 측면을 숙지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제문 글쓰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정석치문」에서 연암은 망인에 대한 칭송을 배제하고 슬픔을 직접토로하는 한 마디의 말도 없이 정석치의 죽음이 자신에게 가져온 상실감과 애도의 정서를 절실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제문 글쓰기가 갖게 마련인 관습적 방식을 탈피하면서도 슬픔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창의적이라 평가할 만하다. 창의적 글쓰기 교육은 관습적인 글쓰기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서는 전통적인 글쓰기 방식과 이를 변용한 창의적 작품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Creative writing is the important subject of writing education. But in the preexistent study of creative writing the reference of concrete writing method is insufficient. This thesis was intended to examine tradition of the late Chosun Dynasty Jemun writing and to analyze creativity of the Yeonam`s Jemun writing in the standpoint creativ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raditional writing. Jemun put down roots as the typical writing style of grief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fundamental form of Jemun writing is ``eulogy of the dead person → embo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person and the speaker → grief of the death``. The writer of the traditional Jemun writing shows eulogy of the dead person or excessive grief. Yeonam showed the new possibility in Jemun writing. Yeonam expressed sorrow the death of Jungsukchi brought him without eulogy of the dead person and reference of the sad word in the 「JeJungsukchimun」. This work can be estimated to be creative in point of effectively expressing writer`s emotion without using traditional method. Creativ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or learners to show creativity on the basis of traditional writing. To achieve the progress of creative writ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study traditional writing method and creative work.

      • KCI등재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이채영(Lee, Chae-young)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창작 이론을 활용하여 새로운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창의적 글쓰기 모형은 할리우드 영화 작법의 대표적 이론이라 할 수 있는 시드 필드의 3막 구성론에서 출발한다. 이에, 1장에서는 먼저 기존의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창의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시드 필드의 3막 구성론 개념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실제 글쓰기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3막 구성법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모형을 계발하고, 4장에서는 실제 수업 진행 사례를 소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면서 잠정적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비평문으로 대표되던 영화 활용 창의적 글쓰기 수업 모형을 조금 더 확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나아가 이러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창조의 체험으로 남아 글쓰기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를 유도할 수 있기를 소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w creative writing education plan using a theory on film creation. The creative writing model starts from the three-act constructive theory of Syd Field, a representative theory of movie writing techniques in Hollywood. The study investigated the existing research on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A review of earlier studies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are presented in Chapter I. Chapter II discusses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the three-act structure of Syd Field and examines ways of using them in actual writing classes. Based on the findings, a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model using the three-act structure is developed in Chapter III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actual instruction cases. In Chapter IV,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instruction model are presented and intended to deduce tentative conclusion. The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model using movies that were represented as written criticism is expected to develop through discussions. Moreover,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is expected to arouse continuous interest in writing, as it is a significant creative experience for the student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글쓰기 윤리"의식 제고 방안

        서덕민(Seo, Deok-m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대부분의 글쓰기 윤리 교육은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표절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가 아닌 창의적 글쓰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글쓰기 부정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 차이가 있다. 우선 창의적 글쓰기에서 ‘글쓰기 윤리’ 교육의 효과를 제고하려면 다음 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첫째, 학습자 스스로가 ‘글쓰기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점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 둘째, 인터넷 등과 같은 현대적 글쓰기 환경은 창의적 글쓰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셋째, 패러디, 오마주, 몽타주 등 상호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예학적 글쓰기와 글쓰기 윤리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글쓰기 과정에서 윤리의식 제고를 위해 두 가지 교육 방법을 제안했다. 첫 번째 방법은 글쓰기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습자가 표절과 창조의 경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에게 같은 주제로 된 세 개 이상의 텍스트를 제시 2) 모둠을 만든 후 토의 과정을 거쳐 글감 만들기 3) 개별 글쓰기 4) 완성된 글을 서로 비교하기(같은 문장 찾기, 같은 서술방식 찾기, 비슷한 이미지 찾기 등) 5) 창의적 글쓰기와 표절에 관한 토론 두 번째 방법은 하나의 텍스트를 두 가지 방법으로 모방하는 프로그램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텍스트의 형식만을 모방하기 2)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 모두 모방하기 3) 두 개의 텍스트 비교하기 4) 창작의 자율성과 윤리 문제 탐구하기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방법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글과 이미 존재하고 있는 글이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글쓰기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improve the effect of writing ethics education. Most of writing ethics educations aims to prevent plagiarism in academic writ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exploring how to prevent cheating, which may occur in creative writing, not in academic writing. For improving the effect of "writing ethics" education in creative writing,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s. First, it is required to help writers recognize well that they are members of "writing community". Second, writing ethics education, which i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modern writing environments like the internet, is needed. Third, it is required to help in broadening an understanding of literary writing that is based on intertextualities such as parody, hommage and montage. (It is required to help learners escape from obsession that they must "create something new".) This study suggests two education methods for ethics improvement in creative writing. The first method is to make learners experience the boundary between plagiarism and creation by organizing a writing community. The order is as follows; 1) Show more than three texts with the same topic to learners. 2) After grouping, make materials for writing through a discussion. 3) Individual writing. 4) Compare complete writings to each other. (Find the same sentences, the same description methods, similar images, etc.) 5) Discuss creative writing and plagiarism. The second method is a program to copy one text in two ways. The order is as follows; 1) Copy the form of text only. 2) Copy both content and form of text. 3) Compare two texts. 4) Explore autonomy of writing and ethical problems. The education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focused on helping learners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ir writings and existing writings by themselves. This education is meaningful by helping learners set an ethical guideline of writing on their own.

      • KCI등재

        〈읽기-쓰기〉통합 교육과 주체적 글쓰기 연구

        박규준(Park, Gyu-jun)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7 No.-

        본고는 교양교육으로서의 〈명저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주체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이다. 교양교육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통합력, 분석력, 비판력, 창조력을 향상할 수 있는 사고 교육과 그렇게 형성된 주체의 사고를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언어 표현 교육이다. 이를 위해 대구대학교에서는 〈읽기와 쓰기〉 통합 교육인 〈명저(고전) 읽기와 쓰기〉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대구대학교 읽기-쓰기 관련 교과목인 〈명저와 창의적 글쓰기〉교과목의 수업 방법으로 주체적 글쓰기 측면에서 제시한다. 명저의 텍스트 특징과 사고 표현인 글쓰기 특징을 통합한 〈명저와 창의적 글쓰기〉교육은 주체의 사고 변화, 주체의 정체성 확립, 주체의 공동체성으로 연결되는 주체 형성 교육이다. 명저 읽기의 주체적 해석은 담화 요소인 저자(명저), 독자(학습자), 맥락(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주체의 반응과 변화 내용을 찾는 활동이라고할 수 있다. 그래서 학습자는 각각의 담화 요소와 관련지어서 명저와 연관된 텍스트성, 독자와 연관된 자아 정체성, 맥락과 연관된 타자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주체 반응과 변화 내용을 생성한다. 창의적 글쓰기의 주체적 표현은 명저 읽기의 주체 변화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창의적 글쓰기의 글의 목적과 글의 종류를 결정하고 글의 주제를 선정하여 완성글을 창작하는 것이다. 학습자는 명저 읽기에서 생성된 주체 변화 내용에 따라 글의 목적과 글의 종류를 선택하고 텍스트성 내용을 중심으로 해석적 글쓰기인 서평, 자아 정체성 내용을 중심으로 성찰적 글쓰기인 수필, 타자성 내용을 중심으로 비평적 글쓰기인 평론(시사, 문예) 등을 창작한다. 따라서 두 과정의 상호작용에 의한 통합 교육은 주체적 글쓰기 교육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ubjective writing in the course of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as liberal arts education. The two directions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s liberal education are thinking education that can improve integration, analytical power, criticism, creativity, and language expressive education that can logically express the thought of subject formed through it. Therefore, Daegu University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a curriculum related to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to provide integrated education on 〈reading and writing〉.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is a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subject and adopts the subjective writing as a key teaching method.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which integrates the textual features of the masterpiece and the writing characteristics as the thinking expression, is the subject formation educ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thinking change, establishing identity and collectivity of subject.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reading masterpieces is the activity exploring the subject"s reaction and change to the author, the reader (learner) and the context(socio-cultural context). Thus, the learner distinguishes between the textuality associated with the masterpiece, the self - identity associated with the reader, and the otherness associated with the context in relation to each discourse element and recognizes the subject’s reaction and change. The subjective expression of creative writing is to determine the purpose and type of writing by considering the contents of subject change of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to select the subject and create the finished article. The learner selects the purpose and type of writing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subject change generated in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es the book review as interpretive writing focusing on textuality, the essay as reflecting writing focusing on self identity and the comment(discussion on current topics and literary arts) as critical writing focusing on otherness. Consequently, the integrated education by interaction of two processes is subjective writ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