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의 미학은 `어떤 의미에서` 존재하는가? - 랑시에르의 「들뢰즈의 미학은 존재하는가?」에 대한 반론

        성기현 ( Seong Gihyeo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3

        랑시에르는 들뢰즈의 미학을 미학적 예술 체제의 한 극단적인 형태로 간주하면서 예술의 자율성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한다. 그에 따르면, 들뢰즈의 미학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첫째, 들뢰즈는 재현(모방적·유기적 구상화)과 순수 감각을 이원론적으로 대립시키는 가운데 전자를 거부하고 후자로 나아간다. 하지만 둘째, 무제약적인 순수 감각으로는 예술작품을 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들뢰즈는 부득이하게 반재현의 재현으로, 예술작품을 반재현의 알레고리로 만드는 상징주의로 후퇴하게 된다. 셋째, 이렇듯 예술작품에다 자신의 형이상학을 예증할 것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들뢰즈는 예술을 철학에 종속시킨다. 하지만 랑시에르의 이러한 독해는 들뢰즈의 사상 일반 및 미학의 새로움을 과거의 논리적 도식으로 환원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교정되어야 한다. 첫째, 들뢰즈의 형이상학은 (이원론이 아니라) 발생론적 일원론이다. 둘째, 들뢰즈에게 예술작품은 (알레고리가 아니라) 감각적 발생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실험기록이자 실험장치다. 셋째, 들뢰즈에게 예술은 철학의 개념적 응답을 요청하는 초월론적 경험의 한 사례로서, (철학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철학과 비평행적 진화의 관계를 맺는다. 들뢰즈의 미학은 어떤 의미에서 존재하는가? 그것은 감각 발생의 학문인 한에서 감성론으로, 예술을 감각 발생의 실험기록/실험장치로 다루는 한에서 예술론으로 존재한다. 즉 들뢰즈의 미학은 감각의 논리에 따라 통일된 감성론이자 예술론이다. Considering Deleuzian aesthetics as an extreme type of Aesthetic Regime of Art, Jacques Ranciere examines it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autonomy of art. According to him, Deleuzian aesthetics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opposing pure sensation to representation(imitative and organic figuration), Deleuze refuses the latter and goes forward to the former. Second, however, pure sensation which is nothing but chaos by no means composes a work of art. So he unavoidably retrogrades to the representation of anti-representation, i.e. the symbolism which makes a work of art an allegory of anti-representation. Third, in this way, he subordinates art to philosophy forcing a work of art to illustrate his own metaphysics. But Ranciere`s reading like this cannot grasp the newness of Deleuzian metaphysics and aesthetics. In my opinion, his arguing points should be corrected in the next three points of view. Firstly, Deleuzian metaphysics is a genetic monism, not a dualism of pure sensa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second place, a work of art is a device of experiments, which records and transmits the genesis of sensation. Lastly, art is a provider of transcendental experience, which demands the conceptual response of philosophy. Deleuzian aesthetics, how does it exist? It exists not only as theory of the sensible (inasmuch as that of genesis of sensation), but also as theory of art (inasmuch as art is a device of sensible experiments).

      • KCI등재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론을 기반으로 한 융합형 공간 설치 디자인 연구 - 크리지스토프 우디츠코(Krzysztof Wodiczko)의 작품을 중심으로 -

        원하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Looking a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t is hard to find the main definitions about the concept of sense as the result of modern epistemology based on logos-centered rationalism. However, convergence space installation adds new value to the sensation and also emphasizes the tactile perception of the five senses. Therefore, we need to the consider the sensation theory for new convergence design in the space design domain. Thus, this study is based on the Gilles Deleuze’s the logic of sense theory, and we proceed a critical analysis of the Krazystof Wodiczko’s converged space and the installation work based on the deleuze’s sensation theory, especially in the his logic of sensation book. The research method is mainly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First, Gilles Deleuze's theory of the logic of sense and discussions of the sensation of modern design we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Next, we discuss how to produce and installed Krzysztof Wodiczko's recent work, and we critically analyzes Wodiczko's three works with detailed concepts and design presentation by reflecting on the Deleuze's logic of sense theory.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concept of “Abstract Machine”, “Body without Organs”, and “Diagram” appeared in Deleuze's the logic of sensation book, are presented in the work of Krzysztof Wodiczko, and the concrete formative form of the concept is presen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oundational research by exploring the Formative implementation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onvergence space installation design based on Gilles Deleuze’s sense of logic theory. 서양 철학사를 살펴보면 로고스 중심의 이성주의 및 감각의 하위 위계화에 따른 근대의 인식론에 의한 결과로 이성과 감성을 위계를 두고 바라보고, 감각의 개념에 대한 주요한 정의 및 고민은 찾기 어렵다. 하지만, 현대의 디자인과 예술 특히 융합형 공간예 술의 체험감각의 연출을 보면, 감각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또한 오감의 체험의 촉지각적 경험을 주요 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론을 기반으로 하여 크리지스토프 우 디츠코(Krzysztof Wodiczko)의 작품을 중심으로 융합 형 공간 설치 디자인을 비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 론 이론 및 현대의 예술의 감각에 대한 이론 및 논의 를 이행하였다. 다음으로는, 크리지스토프 우디츠코 (Krzysztof Wodiczko)의 최근의 작품의 제작 방법이 나 연출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질 들뢰즈의 저서 감각 의 논리에 등장하는 세부 개념으로 우디츠코 세 가지 의 작품을 비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방법과 사례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크리지스토프 우디츠코의 작품을 질 들뢰즈의 감각 의 논리에서 등장하는 추상기계, 기관 없는 신체 및 다이어그램의 개념이 적용되고, 개념의 구체적인 조형 적 형상을 제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 각론에 기반한, 융합형 공간 디자인의 향후의 적용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기반 연구가 됨을 기대한다.

      • KCI등재

        Autour du concept du devenir-araignée

        민진영(MIN Jin-Young)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거미-되기(devenir-araignée)’라는 개념을 통해 들뢰즈의 후기 프루스트론을 비판적으로 구성해보는 것이다. 거미-되기는 들뢰즈의 프루스트론이 ‘기호’에서 ‘기계’로, ‘기계’에서 ‘-되기’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개념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본 지원자는 들뢰즈의 여러 후기 저서들에 산재해 있는 프루스트론을 지속과 확장의 관점으로 재구성하고, 미완의 텍스트로 남아있는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후속내용을 구체화했다. 질 들뢰즈는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세 번째 개정판이 출판된 1974년 이후에도 다른 여러 저서들을 통해 프루스트론을 피력 하지만 이 저작을 추가로 개정하지 않는다. 이 저작의 결론에 해당하는 「광기의 현존과 기능, 거미」는 많은 의미를 압축적으로 담고 있다. 이 결론을 다른 여러 후기 저서들에서 언급된 프루스트론에 대한 글들과 비교해보면, 이 짧은 글은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제3부로 별도로 구성되어도 충분할 정도로 풍성하다. ‘거미-되기’ 개념을 통하여 작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넓게 펼쳐진 그물망에서 사랑과 광기의 기호들을 감지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지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작가 프루스트는 단지과거의 기억의 복원에 집착하는 과거지향성의 작가인 것이 아니라 사랑과 광기의 문제에 대안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성의 작가로 재탄생할 수 있다. 들뢰즈의 후기 저작들, 즉 그의 철학이 사회학, 언어학, 영화, 미술, 음악 등에 대한 미학으로 확장되어 있는 저작들에서는 프루스트가 곳곳에서 자주 언급된다. 그의 초기 프루스트론인 『프루스트와 기호들』에서 펼쳤던 ‘기호’와 ‘문학기계’ 중심의 문학론이 후기 저작들에서는 광기와 사랑을 문제삼는 ‘-되기’ 중심의 문학론으로 바뀐다. 이 변화의 계기들 중심에 ‘거미-되기’가 있다. 거미-되기를 뒷받침해주는 논의들은 ‘분자-되기’, ‘리토르넬로’, ‘비밀’, ‘문화적 의미의 건강’이라는 개념들을 통해 증명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이하 『찾기』)의 화자는 분자적인 거미로 작품 곳곳에 존재한다. 거미는 거미줄 꼭대기에 올라앉아서, 강도 높은 파장을 타고 그의 몸에 전해지는 미소한 진동을 감지할 뿐이다. 이 미소한 진동을 감지하자마자 거미는 정확히 필요한 장소를 향해 덤벼든다. 화자는 눈도 코도 없고 입도 없이 진동을 감지하는 거미이다. 이 거미는 오직 기호에 대해서만 응답하기에 기호들은 진동으로 거미의 신체를 관통하고 그로 하여금 먹이에게로 덤벼들게 만든다. 『찾기』는 거대한 거미줄이고 화자는 거미가 된다. 이 작품의 화자는 거미-되기를 하여 『찾기』라는 거대한 거미줄에서 먹이를 기다린다. 그리고 거미줄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줄들은 기호들이 건드려 줄 때 진동한다. 작품속 화자는 거미-되기를 하면서 때로는 스파이이고, 경찰이며, 질투에 빠진 연인이고 해석자이며, 광증에 사로잡힌 미친 사람의 삶을 경험한다. 그의 촘촘한 거미줄 중 하나의 거미줄은 편집증 환자인 샤를뤼스 쪽으로 뻗고, 또 다른 줄은 변태적인 색정에 휩싸인 알베르틴쪽으로 뻗친다. 샤를뤼스와 알베르틴을 광기의 파토스의 원천으로 만들면서 프루스트는 광기의 드로잉을 그린다. 즉, 광기의 배치, 용법,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들뢰즈는 프루스트가 거미가 먹이를 포획하는 방법에 따르고 있음을 발견해내고 있다. 시각도 청각도 없는 거미가 단지 거미줄의 진동에 따라 먹이가 거미줄에 걸려든 것을 알게 되고, 먹이의 정확한 위치를 간파해내는 것처럼, 프루스트는 거미가 되어 『찾기』라는 넓게 펼쳐진 거미줄에서 이런저런 기호들을 진동으로 포착해간다. 따라서 프루스트의 거미-되기는 『찾기』속의 광기를 꿰뚫는 코드가 된다. 거미-되기는 프루스트가 ‘속도(vitesse)’와 ‘비밀(secret)’이 사랑의 중요한 성립조건임을 포착하는 데에도 유효한 개념이다. 누구든 사랑에 빠지면 그 대상에게 미칠듯이 집착하기 마련인데 프루스트는 이러한 광기어린 사랑을 성공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들뢰즈에 의하면 프루스트의 사랑 묘사가 성공한 이유는 사랑의 달콤함과 행복을 잘 묘사했기 때문이 아니라 사랑의 ‘속도’와 ‘비밀’을 다루는 데에 있어서 탁월했기 때문이다. 스완과 오데트의 테마음악인 뱅퇴이유 소악절은 『찾기』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 소악절은 반복적으로 등장하지만 인물이나 풍경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같은 소악절을 전혀 다르게 느껴지게 하는 요소들은 사소한 인물의 등장과 약간 변화한 풍경에 불과하지만 이런 미세한 요소들이 음악에 다른 이미지를 부여한다.

      • KCI등재

        들뢰즈의 인식체계로 바라본 올라퍼 엘리아슨 전시공간특성 연구

        김수연,윤재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human recognition of minority accidents is “wrong” in the past, and now “difference” respects diversity. Hands-on exhibitions encourage the direct participation of spectators and present to society the diversity of subjective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ques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which are the role elements of abstract languages that induce spatial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ssume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s that encompass spaces is philosophical. We seek to present th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analysis method of spatial design to derive diversity-oriented spatial recognition elements. (Method) Gilles Deleuze and Olafur Eliasson assert the concept of subjective diversity in various fields, and thus have great similarities in theoretical directions; hence they are selected as theory and subject. For the research,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background and beliefs of Eliasson's work are examined, and the keyword spatial difference i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by Deleuze. Second, when the spatial difference characteristic element is derived, it analyzes Eliasson's exhibition space. Thirdly, through the analysis, we derive the element of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patial recognition syst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object. (Results) It was found that spatial objects fulfill the linguistic role of the spatial expression, and form a multilateral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xpression method. Simultaneously, I comprehend that multifunctional space design elements were created, which highligh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pectator and the space, and various forms of recognition are generated. In addition, the reproduction of the natural phenomenon through the object is developed into psychological and sensory stimuli with individual strengths, and is comprehensively recognized. (Conclusions) In the production of objects that utilize various phenomena in the space, there is no ran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objects, and various recognitions of spatial analysis are implemented in a mutual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 meaning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rearrangement of all the objects that encompass the space, and the boundaries become ambiguous, and it is not possible to physically limit continuous motility. Then, they can understand that they form the independence that is reduced to individual recognition. It is a method of interpreting space, and it is useful as a basic material in the analysis method of spatial design by presenting theoretical concepts using spatial cognitive characteristics that aim at the spatiality of various viewpoints. Is judged.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패러다임을 형성하였고 비판적 태도로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주체적 사고의 인식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소수 사고 인식이 과거에는‘틀림’에서 현재는‘다름’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나아가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도 확장적 사고를 지향하는 다양성에 대한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체험전시는 관람자의 직접적 참여를 유도하고 주체적 인식의 다양성을 사회에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관점의 공간성을 유도하는 오브제와 공간의 관계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고, 공간을 구성하는 관계성을 철학적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다양성 지향의 공간 인식 요소를 도출해 공간디자인의 해석방법에 이론적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연현상을 활용한 오브제로 공간에서 인식적 사고의 무한한 가능성을 주장하는 올라퍼 엘리아슨의 체험전시 공간을 범위로 현대철학을 대표하는 질 들뢰즈의 인식론을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질 들뢰즈는 시간을 사유하며 인본주의적 태도를 지향하고 자아와 주체를 중요시하여 사물 사이에서 관찰자가 능동적으로 둘러싼 환경을 지각하고 재구성하는 관계성을 밝히며 현대철학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질 들뢰즈와 올라퍼 엘리아슨은 서로 다른 분야에서 주체적 다양성의 개념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두 사람의 상호교차되는 이론적 방향성에 큰 유사점을 갖고 있기에 본 연구의 방법적 이론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올라퍼 엘리아슨의 작품의 배경과 사상에 대해 고찰하고, 질 들뢰즈의 선행연구로 공간적 차이의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공간적 차이 특성요소가 도출되면, 올라퍼 엘리아슨의 전시공간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을 통해 전시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에 있어서 공간 인식체계의 차이적 해석요소를 도출한다. 끝으로 공간 인식 요소의 분석을 통해 다양성 지향의 공간적 특성을 정리한다. (결과) 들뢰즈의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차이적 공간 특성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한 결과 공간에서 오브제는 공간을 표현하는 언어적 역할을 수행하며 표현방법에 따라 다각적 인식이 형성됨과 동시에 다기능의 공간디자인 요소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관람자와 공간의 상호관계성을 가지며 다양한 인식이 생성되고 오브제를 통한 자연현상의 재현은 심리적, 감각적 자극으로 개별적 강도로 형성되어 종합적으로 인식된다. (결론) 공간에서 다양한 현상을 활용한 오브제의 연출은 공간과 오브제 관계에 위계적 구분이 없이 상호관계적으로 다양한 공간해석의 인식이 구현된다. 즉,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개체의 심리적 재배치에 따라 의미가 분할되고 경계가 모호해지며, 지속적인 운동성 등의 물리적으로 한정할 수 없는 다 의미적 공간을 생성하여 개별적 인식에 환원되는 주체성을 형성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을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관점의 공간성을 지향하는 공간 인식적 특성을 통해 이론적 개념을 제시하여 공간디자인의 해석방법에서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무언과 침묵의 창조력에 관한 연구 - 질 들뢰즈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우혜민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이 연구에서는 배우의 연기에서 발생하는 무언과 침묵의 순간에 관심을 갖고, 그 순간이 갖고 있는 창 조력에 관해서 질 들뢰즈의 예술론을 바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질 들뢰즈의 철학 중 사유에 대해 논한다. 창조 행위로서 파악될 수 있는 사유 활동과 사유의 재료가 되는 기호들에 관한 주장들을 살펴보며 들뢰즈의 예술론을 정리하였다. 들뢰즈는 우연적인 순간에 사유의 대상을 마주치게 되며, 그 우연적인 마주침으로부터 사유가 발생하는데 이때의 사유는 필연적인 것이라고 한다. 또한 아무런 전제 없이 이루어지는 사유를 순수 사유라고 하며, 순수 사유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예술의 기호들이라 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무언과 침묵의 순간을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무언과 침묵에 대해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고, 무언의 표현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침묵의 상태를 “언어의 공간”이라고 조작적 정의 를 내렸다. “언어의 공간”은 예술의 기호로서 해독되고 사유를 강요한다. 또한 관객에게 비자발적으로 주 어지는 사유의 재료가 된다. “언어의 공간”은 순수 사유가 이루어지는 사유의 환경을 만들 뿐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이질적 사건이 된다. 들뢰즈는 이질적인 존재가 갖고 있는 가능성과 잠재성, 그리고 잠재 적인 것이 현실화되는 과정을 창조의 과정으로 해석한다. 이에 따르면 이질적 사건을 마주하는 주체는 연기를 하고 있는 배우가 아니라 그 사건을 목격하는 관객이며, 관객이 “언어의 공간”을 경험하는 것이 다. 이렇게 무언과 침묵이 갖고 있는 창조력은 관객의 입장에서 발현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기 예술 분야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질 들뢰즈의 철학을 연구 방법으로 적용하여 연기에서의 무언과 침묵을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자는 연기에서 무언과 침묵이 각각 어떤 의미 인지 다시금 살펴보고, 무언과 침묵이 어떤 순간을 발생시키며 그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 에 집중하고자 한다. 또한 무언과 침묵 자체가 갖고 있는 보이지 않는 에너지를 ‘창조력’으로 보고 그 창 조력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논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moments of tacit and silence that occur in an actor’s performance, and analyzed their creative potential based on Gilles Deleuze’s theory of art. Firstly, I discuss Deleuze’s concept of thought in his philosophy. I have summarized Gilles Deleuze’s art theory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ought that can be recognized as acts of creation and the philosophy concerning the signs that serves as the materials for thought. Deleuze states that thought encounters its objects by chance, and from this fortuitous encounter, thought emerges as something necessary. Furthermore, he describes thought that occurs without any presuppositions as pure thought, which is made possible by the signs of art. Building upon this, in order to analyze the moments of tacit and silence, this study examines their dictionary definitions and defines the state of silence resulting from the expression of tacit as the “linguistic space,” provid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The “linguistic space” is decoded as an artistic sign and imposes thought, while also becoming the involuntary material for thought for the audience. The “linguistic space” not only creates the environment for the occurrence of pure thought, but also becomes a heterogeneous event in itself. Deleuze interprets the existence of potentiality and latency inherent in heterogeneous events and the process of actualizing the latent potential as a creative process. Consequently, the subject encountering the heterogeneous event is not the actor performing, but rather the audience who witnesses the event and experiences the “linguistic space.” Therefore I have confirmed that the creative potential embedded in tacit and silence is manif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pplies Gilles Deleuze’s philosophy, which has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in the field of acting, as a research method to analyze tacit and silence within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er intends to focus on re-examine what silence and silence mean in acting, and to find out what moments silence and silence occur and what they mean. In addition, I would like to view the invisible energy of silence and silence itself as creative power and discuss how the creative power is realized by whom.

      • KCI등재

        타르코프스키의 『거울』에 나타난 시간의 형상화에 대한 질 들뢰즈적 분석

        김현영(Kim Hyun 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2

        본 논문은 타르코프스키의 시간의 미학이 그의 자전적 영화인 『거울』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질 들뢰즈의 영화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 분석한 것이다. 제1부에서는 타르코프스키의 저서 『봉인된 시간』을 중심으로 타르코프스키 영화미학의 핵심인 시간론에 대하여 영화와 시간의 관계, 시간의 예술로서의 영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는 타르코프스키의 시간론을 그의 몽타주에서도 엿볼 수 있었고, 영화에 대한 관념과 삶의 철학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에게 있어서 시간은 인간이 존재하고, 자아를 형성하고 실현하기 위한 절대적인 필요조건으로, 시각예술인 영화의 본질 또한 이미지 안에 “시간을 빚어내는 것”이었다. 제2부에서는 타르코프스키의 작품 중에서 가장 난해하다고 평가받는『거울』에 대하여 작품의 시간구성과 인물구성 면에서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한 남자의 회상을 바탕으로 현재와 과거 그리고 현실과 꿈이 뒤섞인 여러 시퀀스에서 우리는 리얼리즘적 서사를 구축하는 객관화된 시간구조를 발견할 수 없었다. 『거울』은 감각적 관찰과 현실적 경험으로 얻어진 인과관계로 연결되지 않은, 고전적 서사구조가 해체된 영화인 것이다. 그러나 언뜻 보기에 비합리적으로 보였던 시간의 배열이 사실은 매우 치밀한 계산 하에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과거와 현재가 대칭을 이루면서 전개되는 각 시퀀스는 엔딩 시퀀스에서 과거와 현재, 꿈과 현실이 모두 융합되면서 결말을 맺게 된다. 인물 구성면에 있어서는 아버지-어머니-아들의 관계가 현재와 과거라는 두개의 시간 층에서 반복되고 있었다. 거울로 반사한 듯 서로를 반영하는 인물설정은 한 배우가 두 역할을 연기한다는 영화적 장치로 인해 강조되면서, 서사구조의 엉킴과 더불어 현실과 비현실 사이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거울』은 한 사람(알렉세이)의 어린 시절을 다른 사람(이그나트)의 어린 시절 속에서 발견하는 현상을 묘사한 영화임과 동시에 전기적 요소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에 걸쳐 반복되어 나타남으로 해서 개인의 존재가 시간과 융합됨을 표현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사유를 위한 매체로서의 영화를 지지했던 질 들뢰즈의 이론을 바탕으로 『거울』의 인물구성, 그리고 현재와 과거 회상, 꿈 장면들의 관계를 거울-이미지, 회상-이미지, 꿈-이미지라는 개념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회상 및 꿈이라는 잠재태와 현재라는 현실태와의 구별이 모호해짐과 동시에, 전자가 후자의 특징을 드러내고 또 후자가 전자의 위치에 서게 되면서, 잠재태와 현실태, 과거와 현재, 지각과 기억이 서로가 서로를 반영하고 흡수하고 있는 결정체-이미지를 찾을 수 있었다. 질 들뢰즈에 따르면 결정체-이미지는 그 안에서 시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시간-이미지 영화의 대표적 특징이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주인공의 의식의 흐름에 따른 시간의 자의적 재배열과 비논리적 이미지로 가득 찬 『거울』 안에서 질 들뢰즈가 말하는 시간이 현시됨을 볼 수 있었다. 시간의 현시는 타르코프스키 영화시학의 핵심이다. 단순한 회상에 머무르지 않고 시간성 그 자체를 형상화한 『거울』은 타르코프스키의 이상적인 영화개념이 구현된 작품임에 틀림없다. This thesis studied and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how Tarkovsky’s theory of time was embodied in his autobiographical movie “Mirror”. The first part of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vies and time and the movie itself as an art of time, focusing on “Sculpting Time” written by Tarkovsky. As a result, it could be contended that his aesthetic essence was time. For him, time was an absolutely necessary condition where human beings exist, develop and realize theirself, and the essence of movies, as a visual art, was also to sculpt time within image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analyzed “Mirror” in detail in terms of its time and character formation. It was found that in a number of sequences the present and the past that centered on a man’s recollections and reality and dreams were intertwined but were not link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 casual relationship obtained by sensuous observation and realistic experience. In addition, an objectified time structure by which realistic descriptions were built couldn’t be found in “Mirror”. In terms of character form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of father-mother-son was repeated as if it was reflected in the two time layers of the present and the past. Repeated character formation was emphasized by a visual trick by which one act was performed by two characters. The third part of the study examined character formation in “Mirror” and the relationship of scenes of present and past recollections and dreams through the conceptions of a mirror-image, a recollection-image, a dream-image, and a crystal-imag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Gilles Deleuze, who contended that movies were a medium for cogi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latencies of recollections and dreams and realities of the present became ambiguous, the former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 and the latter stood in the former’s position, through all of which latencies and realities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perception and recollection reflected and absorbed one another. As mentioned earlier, “Mirror”, which is filled with arbitrary rearrangements of time and illogical images, is nothing more than a movie of time-images as described by Gilles Deleuze, which means it is a movie where time unfolds. The exhibition of time is the essence of Tarkovsky’s movie poetic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Mirror” is a work where his idealistic conception of a movie is embodied.

      • KCI등재

        질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역설: 조셉의 각성

        이수진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This paper attempted to study the awakening of Joseph, the protagonist of Saul Bellow’s Dangling Man, by applying Gilles Deleuze’s new concept of simulacre. Deleuze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Plato’s phantasma as simulacre. It is away from the essence and is worthless, but it allows the creation of differentiation from the essence as a free concept. Thus Deleuze’s simulacre reveals the false image of concealing the truth and claims that the revealed false image can make the truth more realistic. This is a paradoxical figure of simulacre. Joseph experiences simulacre conceptualized by Deleuze. He finds out that the ideals he has built through his spiritual colony of badly transformed friends are fictitious. The cruel party that his friends showed was distorted simulacre, but it is manifested by Joseph’s awakening to reality. It transform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essence that can lead to negative perception to becom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Deleuze’s concept of simulacre and its paradoxical meaning as Joseph’s awakening. 이 연구는 질 들뢰즈의 시뮬라크르의 개념을 적용하여 솔 벨로우의 소설 『허공에 매달린 사나이』의 주인공 조셉의 성장을 연구한 것이다. 들뢰즈는 플라톤의 판타스마의 개념을 시뮬라크르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재해석하였다. 이것은 본질로부터 멀어져 있어 가치 없는 것이지만, 자유로운 개념으로서 본질로부터 차이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들뢰즈의 시뮬라크르는 진리를 감추는 허상을 드러내는 것이고, 드러난 허상으로 인해 오히려 진리가 더 사실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것은 시뮬라크르의 역설적 모습이다. 소설 속 주인공 조셉은 들뢰즈가 개념화한 시뮬라크르를 경험한다. 그는 본질이 변형된 친구들의 이상집단을 통해 자신이 구축하였던 이상이 허구임을 깨닫게 된다. 친구들이 보여준 잔혹한 사건은 진리가 왜곡된 시뮬라크르이지만, 이것은 조셉의 현실에 대한 각성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부정적 인식을 가져올 수 있는 본질과의 차이를 생성으로 변환시킨 것이다. 이 연구는 들뢰즈의 시뮬라크르의 의미와 그 역설적 의미를 조셉의 각성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각에 대한 발생론적 이해와 그 미학적 귀결들 - 질 들뢰즈의 초월론적 감성론을 중심으로

        성기현 ( Seong Gihyeon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4

        들뢰즈는 자신의 초월론적 감성론과 더불어 지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다. 이러한 이해는 지각의 발생적 요소인 미세 지각, 지각의 발생조건인 강도, 이 양자를 경유하는 발생과정의 결과물인 의식적 지각, 이렇게 세 가지 구성요소를 갖는다. 첫째, 들뢰즈는 살로몬 마이몬의 라이프니츠적 칸트 해석을 활용해서 미분적인 것 혹은 이념을 지각의 발생적 요소로 삼는다. 둘째, 들뢰즈는 칸트에게서 실재적 감각에 상응하는 요소인 강도를 찾아내어 그것을 질과 양 모두를 산출하는 포텐셜 에너지의 담지자로 변형시킨다. 셋째, 들뢰즈는 앞의 두 개념을 잠재성-현실성의 논리 속에 배치함으로써 지각을 잠재적 미세 지각의 현실화로 제시한다. 지각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두 가지 학문적 귀결을 갖는데, 그중 하나는 아이스테시스의 재정립이고 다른 하나는 감성론과 예술론의 통일이다. 전자와 관련해서, 근대 미학이 감각을 지각 표상으로 환원했던 것에 반해 들뢰즈는 표상 이하의 발생적 요소들에서 출발하여 지각 표상의 발생을 설명한다. 일찍이 바움가르텐이 아이스테시스의 대상으로 표방했던 `감성적인 것 전체`를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이해한다는 점에서, 이는 아이스테시스를 재정립하려는 시도로 간주될 수 있다. 후자와 관련해서, 칸트가 객관적 감각과 주관적 감각의 구별에 근거하여 감성론과 예술론을 분리시켰던 것에 반해 들뢰즈는 양자의 동시적 발생을 설명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단 하나의 논리, 즉 발생의 논리 속에서 감성론과 예술론을 통일시키기에 이른다. Deleuze presents a new understanding of perception with his transcendental aesthetics. This understanding has three components: minute perceptions as the genetic elements of perception, intensity as the genetic condition of perception, and conscious perception as the result of the genetic process of perception. First, Deleuze suggests differentials or Ideas as the ultimate composing elements of things and as the genetic elements of perception by using Salomon Maimon`s Leibnizian interpretation of Kant. Borrowing Leibniz`s minute perceptions to designate these genetic elements, Deleuze excludes his metaphysical premise of pre-established harmony of God. Second, Deleuze finds out another component corresponding to real sensation in Kant`s text, which is intensity. Kant considered it as the a priori element behind empirical quality in general, but Deleuze makes it the potential energy which yields not only quality but also quantity. Arranging these two concepts in his logic of virtuality-actuality, lastly, Deleuze presents conscious perception as the result of this process of actualization. Deleuze`s genetic investigation of perception has two aesthetic consequences: the renewal of Aisthesis, which was founded by Baumgarten but has never been achieved, and the union of two divided realms of aesthetics since Kant. Baumgarten planned Aisthesis as the study of all the sensible, but what he actually studied was just represented perception. But Deleuze`s genetic investigation starts with the genetic elements under the level of representation and explains the formation of representation. In the same manner, it also starts with the genetic elements under the level of emotion and explains the formation of emotion. Hence, for Deleuzian Aisthesis, `all the sensible` comes to designate the genetic process of representation and emotion. On the other hand, Kant divided aesthetics into the theory of sensibility and that of art. For him, the former is the study of a priori conditions of objective sensation, the latter the study of purposefulness without purpose guaranteed by subjective sensation. But with genetic investigation, Deleuze explains the simultaneous formation of the two sens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theory of sensibility and that of art are united in one single logic: the logic of genesis.

      • KCI등재후보

        TV광고에 활용된 애니메이션과 친환경 이미지 표현에 관한 분석

        김현숙(Hyun Sook Kim),이상원(Sang Won Lee)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9 애니메이션연구 Vol.5 No.3

        현대에 이르러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지속적으로 부각되면서 개발을 선도하는 기업은 환경과 사회를 생각해야한다는 윤리경영 이념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소비자들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자체의 의미보다 광고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를 소비하고 있다고 하는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주장은 광고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TV광고에서 친환경이미지 표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애니메이션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하는 문제제기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TV광고에 애니메이션 기법의 활용이 친환경이미지 표출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들뢰즈(Gilles Deleuze)의 ‘운동-이미지’관점을 바탕으로 한 분석 구조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광고로 만들어진 친환경이미지간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의 철학적 문헌을 통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분석 구조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기법의 활용이 친환경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 구조로 코카콜라 애니메이션광고에 활용된 친환경적부분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분석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TV광고에 애니메이션기법을 활용할 경우, 연기하기 힘들거나 불가능한 동물, 곤충 등을 광고에 등장시켜 직접연기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것은 광고의 ‘운동-이미지’를 친환경이미지로 표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TV광고에서 애니메이션의 활용이 친환경이미지 표현에 시너지 역할을 한다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modern times, as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constantly brought into relief, development leading businesses are reinforced to have ethical management ideas which must thought about the environment and society. These trends made the businesses which cares about the environment, to draw attention and to be loved. Jean Baudrillard’s opinion, in modern society, the consumers are spending their money on the advertisement built images rather than on the sense of the product itself, implies the importance of the advertisement built images. If so, by the method of maximizing the environment-friendly image expression in the TV commercial, what role is the animation playing? Research began from this question. The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ting TV commercial method and presenting environment-friendly image. The purpose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y using analysis structure based on Gilles Deleuze’s ‘activity-image’ point of view. The way of the researching was grasped the effect of use of animation method in order to create the environment-friendly image, by using analysis structure based on theorical study of philosophical literatures about ‘activity-image’ from Gilles Deleuze. Under these analysis structure, the analysis attempted by extracting environment-friendly part of Coca-cola animation advertisement. To summarise it, when TV commercial uses animation method, it made the animals and insects possible to perform in the commercial. This advertisement’s ‘activity-image’ found as positively effect on presenting of environment-friendly. Resulting from above, a conclusion could be made that the animation uses in the TV commercial has synergistic effects on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 질 들뢰즈의 F. 베이컨 회화 분석에 관한 소고

        심웅택 충남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06 충남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논문연구발표집 Vol.13 No.-

        스피노자(Benedict de Spinoza), 니체(Friedrich Nietzsche) 그리고 베르그송(Henri Bergson) 등의 사상가들을 연구했던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는 어떻게 플라톤이 그려 놓은 날카로운 선의 그 강력한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자신의 철학을 진행시켜간다. 예술의 진행과정 역시 이러한 초월성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심지어 20세기 중반에까지 온갖 '이념(-ism)'의 명분아래 스스로가 그 울타리에서 안주하려는 경향이 미술사에서의 예가 비일비재하였다. 이러한 이성우위의 초월성은 예술을 이념의 감각적 현현으로 보고 그것을 철학적 인식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어져왔다.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는 '아이스테시스'에 대한 이성의 우위'라는 이 수천 년 묵은 도식을 뒤집는 극적 반전이다. 들뢰즈에게 아이스테시스는 이성에 선행하여, 그 바탕에서 그것을 비로소 가능케 해주는 어떤 근원적인 능력을 의미하며 특히 베이컨의 회화에서는 감각 그 자체에 존재론적 가치로 복권하는 근거를 이루게 된다. 본 소고는 들뢰즈의 베이컨 회화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감각의 논리』에서 이룩한 들뢰즈의 분석이 이루어진 여정으로써 스피노자의 '표현'에 대한 연구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 또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본 소고의 목적은 베이컨 회화의 표면구조를 존재론적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베이컨 해석의 한계에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서술방식에 있어서 불명료함과 난해함을 지적받았던 들뢰즈의 '기관없는 신체'에 관한 논의를 알기 쉽게 풀어 주석을 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었다. 들뢰즈는 베이컨의 작품들이 보이지 않는 힘을 보이도록 해주는 것, 그리고 그 힘이 행사되는 시간을 보여주는 것으로 높이 평가한다. 베이컨은 디아그램의 전략을 통해 '구상적인 것'과 구별되는 '형상적인 것'을 만들어 냄으로써 감각을 표현한다. 이때 형상적인 것이 갖는 유사성은 회화의 원리가 아니라 하나의 우연한 효과이다. 들뢰즈는 자신의 미학의 지평 위에서 우리에게 과연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다. 예술의 본질은 예술작품에서 창조되고 있는 새로운 감각 그자체이다. 다시 말해 예술작품은 생성 그 자체로서의 감각의 존재이다. 이제 현대예술은 보이는 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 보이지 않는 힘을 구현하고 있다. 들뢰즈는 시뮬라크르, 강도, 감각, 표현, 기관 없는 신체 등과 같은 개념을 통해 구조주의가 수행한 재현 체계에 대한 비판을 더 밀고 나갔으며, 구조주의가 멈추어 버린 '실재'의 경계에서 오히려 미술의 진정한 대상을 발견했다. 미술은 결코 재현적인 것이 아니며, 미술작품이 표현해야 하는 것은 재현이 붕괴되는 지점, 주체와 대상과 세계의 동일성이 와해되는 영역, 잠재성과 생성의 영역이다. 이제 회화는 그 자체로 위로부터도 아래로부터도 아닌 과잉하는 존재론적 의의를 내재하는 것이 되었다. Studying the thoughts of Benedict de Spinoza, Friedrich Nietzsche, and Henri Bergson, Gilles Deleuze, a French philosophist, proceeds his ideas from the agony of how he can flee from the impact of the acute line Plato had drawn. Even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re were frequently examples having the tendency of leading a comfortable artistic life in the name of all-isms in the history of art. The transcendence that overvalues the reason continues to put the art which has been thought of as a kind of sensational epiphany of -isms under the philosophical knowledge. The process of the art is not exceptional in this transcendence. Deleuze's 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has reversed the schematic thought that the reason has the precedence over 'aisthesis', which means the fundamental capability for him that can precede the reason. Especially for Bacon's paintings it has the ground that makes the sensation in itself return to the ontological value. This essay elucidates Deleuze's ideas about Bacon's paintings. In the journey of thoughts through 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the study of Spinoza's 'expression' encounters Heidegger's ontological thoughts as a necessity. This essay aims not only to give an alternative to the limits of existing interpretations about Bacon's paintings through the ontological analysis of the surface structure of his paintings but also to annotate by making clear the discussions on the concept, 'the body without organs' which has been said to be too difficult and obscure to understand. Deleuze value Bacon's paintings that make visible the invisible virtual force and show the time the force exercises. Bacon expresses sensations by creating the formal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al through the strategy of diagramme. The similitude the formal bear is not a principle of paintings but the accidental effect. Deleuze in his aesthetic horizon suggests us a topic of what the art is. The essence of the art is the new sensations in itself that the work creates. In other words, the work of art is the being of sensation in becoming. Now the modern art expresses the invisible forces instead of representing the visible. Deleuze furthers his criticism against the representational system which the structuralism performs through the concepts such as simulacre, intensity, sensation, expression, the body without organs, and he discovers the real objects of painting on the confines of 'reality' The art is not representational. Instead, what the work of art should express is a field of virtuality and 'devenir' in which the representation gives way, and the ident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reaks down. At this moment, the painting can express the surplus ontological significance immanent in itself, not from above or be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