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연계교육이 지방대학생의 지역협력활동 인식에미치는 영향

        김주석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4

        지역사회 연계교육이 지방대학생의 지역협력활동 인식에미치는 영향 김 주 석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활동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지역사회 협력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지방소재 4년제 J대학 신입생 중, 자역사회 연계교육 참여학생 20명 및 미참여학생 36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측정변인들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비교분석, 상관관계분석,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문제인식영역의 모든 행동요소에서 점수가 유의한 상승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지역사회 가치영역의 모든 행동요소에서는 대부분의 행동요소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변화를 나타냈지만, 일부 행동요소의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셋째, 지역사회 활동참여영역에서는 가장 큰 폭의 유의한 상승변화를 나타내었다. 즉, 지역사회 연계활동 교육이 각 지방대학이 속해있는 지역사회의 문제인식, 활동가치, 활동참여 영역에 대해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 지방대학이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지역사회연계활동 교육들을 계발하고 강화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핵심어: 지역연계활동교육, 서비스러닝, 지역사회문제인식, 지역사회활동가치, 지역사회활동참여 Analysis of the Impact of Community-linked Educationon Local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Regional Cooperation Activities Juseuk Kim**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reshmen at a 4-year local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area to analyze the effect of a community cooperation project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ty cooperation activities. For this purpos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36 freshmen at a 4-year J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area.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sample t-test to analyze the effec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mmunity-linked activit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areas of problem awareness, value, and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to which each local university belongs. Therefore, this study can suggest that each local university should focus on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more effective and diverse community-linked activity education. Key Words: Community Connection Activities, Service Learning, Awareness of Community Problems, Value of Community Activities,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 접수일: 2024년 6월 16일, 수정일: 2024년 7월 22일, 게재확정일: 2024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3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 중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Professor, Joongbu Univ., Email: cheznous@hanmail.net)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현황과 과제

        최연화(Choi, Yeun Hwa),최경애(Choi, Kyoung A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역량중심교육으로의 전환과 함께 대두되는 대학생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알아보 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지역사회 연계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교양교육과 관련하여 진행되어 온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5가지 유형(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외부활동경험, 봉사관련교과, 봉사학습 등)에 관한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한 여섯 가지 방향 및 과제가 제안되었다. 첫째,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려면 수업과 학생연구를 통해 교과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이 유기적으로 의미있게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 회 연계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핵심역량 향상과 교육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교과 교육과정 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역연계교육의 정교한 학습모형이 구안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수업모형과 각 단계별 운영전략을 구체화하고, 그에 따른 교재와 매뉴얼 등을 개발⋅공유해야 한다. 넷째, 대학에서는 지역사회의 네트워크를 형성⋅관리하고, 교수자들을 지원하고 연결해줄 수 있는 전담조직이 구축⋅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해당 교과목에 책무성을 가진 전문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지역연계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헌신하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그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전국적인 대학-지역사회-지방정부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생 개인의 역량개발 뿐 아니라 국가적 으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역량 향상에도 기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result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which have been receiving intensive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discover the future directions and/or task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firstly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review pertaining to the college-community linkage types and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for liberal arts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between 5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such a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out of class experiences, servicerelated subjects, and service learning,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ommunity-linked educ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5 directions or tasks were proposed: First, in-class activities and community-relate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meaningfully connected through the subjects and students’researc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Second, elaborated learning models for community-link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maximize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other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curriculum or subject. Third, effective teaching models and strategies for operating this course should be specified, and textbooks and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shared among the faculty. Fourth, a dedicated body, which is responsible for building networks for regional communities, and supporting and connecting faculty who facilitate this cours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ifth, only highly responsible faculty members should be designated for this subject, so that they can devote themselves to this subject’s continuous improvement. Lastly, more research on community-linked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uld be shared to establish a nationwide college-community-local government cooperative system, which improve not only students’ competency, but also community’s problem solving capacity.

      •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모형 개발연구 II

        김현철,황여정,민경석,윤혜순,백유선,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사회운영모형을 개발하고,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자원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내 청소년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 시범사업운영 및 평가, 설문조사,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자문회의, 정책협의회, 세미나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청소년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연계가 동기형성 및 몰입과 같은 청소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기대감도 크며, 특히 학교와 지역사회자원을 연계하는 코디네이터 기능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체험활동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체험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자아존중감이나 몰입수준을 제고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조사 결과, 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의지와 교사의 열의가 중요하지만, 합리적인 업무분장과 유연한 조직 운영 등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체험활동 효과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기대감과 확신의 형성도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기관이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코디네이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시범사업을 통해서 청소년기관은 학교를 비롯한 지역사회로부터의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청소년기관이 프로그램 제공자에서 네트워커로서 역할을 전환해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 모형을 도출하였다. 운영주체의 주도성에 따라 학교 중심모형과 지역중심모형, 청소년들의 참여 수준에 따라 성인 주도형과 청소년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학교중심-성인주도형, 학교중심-청소년주도형, 지역중심-성인주도형, 지역중심-청소년주도형의 네 가지 모형을 도출하였다. 가장 바람직한 모형은 지역중심-청소년주도형 모형으로, 이러한 모형의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으로 교육과학기술부과 및 여성가족부 간의 유기적 협력, 청소년활동정책 전달체계 재정비, 코디네이터 역량강화, 교사 및 코디네이터의 업무경감책마련, 예산확보, 농어촌지역 지역 네트워크 지원방안 등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community-based operational model for creative hands-on activity of young people and thereby to provide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help various community resources including school to make an organic network with one another in which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s well as regular youth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re stimulated. Literature research, operation and evaluation of pilot projects, surveys, and case studie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attempts on the same theme were employed as the methods of study. Expert councils, policy consultations, and seminars were also hel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reviewing of preceding studies revealed that young people get better motivated and experience a higher degree of flow whe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take place in the community context. Also, it was definite that the higher their engagement is, the more positive outcomes they are likely to achieve. The survey showed that schools, as having great expectations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re aware that they are strongly in need of coordinators who can link schools to community resources because they find it to be a lot pressure to operate the project on their own without proper expertise. Stud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hands-on activiti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activities was proved to lead them to have more self-respect and the higher degree of flow. Case studies demonstrated that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outcome from the project, priorities should be given to creating more open and transparent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rational allocation of work and flexibility inoperation counts although personal factors like principals’ determination and teachers’ passion, expectations and trust of all the parties involved, instructo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project still play a key role. Youth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could build up trust as a coordinator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the pilot projects designed for the institutions to function not so much as a program provider as a community networker. Throug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were drawn four different operational models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depending upon who takes the initiative and the degree of youth’s engagement in the project. The matrix shows a school-and-adultbased, a community-and-adult-based, a school-and-youth-based, and a community-and-youth-based model, among which a community-and-youth-based one was proved to be the most desirable. We suggest that some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 get this model invigorated. First, organic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restructuring of communication system among youth policy groups are very crucial in setting a unified direction of the project. A larger number of capable coordinators, means to relieve their workload as well as that of teachers, sufficient budget, and the building of the network in the rural areas are the ones required for the actual scenes of implementation.

      •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모형 개발 연구Ⅰ

        이기봉,김현철,윤혜순,송민경,최은지,한효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이 창의성이나 인성 또는 역량 계발이라는 궁극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실천적으로 ‘동기’ 의 형성이라는 중간목표 달성이 중요하고, ‘동기의 형성’ 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요구에 맞춘 체험활동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자원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론적 논의를 통해서 얻은 결론이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연계 초기모형에서 장기적으로 도달해야 할 장기모형에 이르는 가설적 수준의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모형을 도출하였다. 일본의 「트라이 야르 위크」와 「종합적인 학습시간」,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와 같은 외국사례는 이론적 논의를 통해서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모형의 실현가능성을 지지해주며, 학생의 요구에 맞춘 지역사회연계형 장기체험활동 사례로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전국의 중고등학교 1학년생과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조사를 통해서도 청소년들의 요구를 반영한 체험활동의 필요성과 학교-지역사회 간 연계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가설적으로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연계 운영모형으로부터 도출된 시범사업 모형을 토대로 수도권의 2개 지역에서 코디네이터기관과 시범학교를 지정하여 시범사업을 운영하였으며, 시범사업운영결과로부터 초기단계에서 실행가능한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 자원연계 운영모형을 도출하였다. 시범사업운영을 통해 시범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지원사업이 활성화되고, 지역사회에서의 코디네이터기관의 위상이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중앙부처 및 지자체의 마스터플랜이 수립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코디네이터 기관 및 코디네이터 육성이 시급하다. 셋째, 지역사회 코디네이터 기관에 대한 컨트롤 타워 및 컨설팅 그룹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예산확보가 필요하다. 여섯째, 교사와 코디네이터의 소진을 막을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develop an operational model for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program that takes advantage of regional and community resources. From theoretical reviews and discussions were drawn some preliminary conclusions that need to be applied to the experiment; (1) it is essential to get participants motivated at the initial stage of experiment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goals of having them cultivate their creativity, capability, and positive personality on their own (2) participants should be provided with needs-based activities in order to get motivated (3) regional resources should be fully and organically interrelated with the operation of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se theoretical assumptions, we designed both a short-term and a long-term operational program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ies. Some successful examples from Japan and Ireland such as [Try やる (yam) Week] and [Period for Integrated Study] (Japan) or [Transition Year] (Ireland) heightens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the operational program model prepared for this research project. These examples also suggest that the future policy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developing of needs-based, community-connected, long-term, and experience-based activity program. The results from a nation-wide survey that involved 1st graders, 7th graders, and 10th graders from various regions and also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with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program demonstrate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needs-based activity programs and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We applied a pilot operational program to coordinating agents and schools selected for this project in two region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developed a model that facilitates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ies and community resources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operation. The schools’ support for the activity program has increased, and the communitys recognition of the coordinating agents has been enhanced during the pilot intervention. From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ed model were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master plan should be developed by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government in order to promote community-based creative activity program. Second, developing community-based coordinating agents is important. Third, supervising authority and experts consulting system for the community coordinating agents is required. Fourth, diverse methods of operating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ifth, funds for promoting community-based activity programs are needed. Sixth, personal support system for the participating coordinators and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저출산 사회에서 지역사회연계와 정책참여를 통한 가정과교육의 역할

        이경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사회에서 가정교과내용, 지역사회와 연계활동,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의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저출산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과에서는 8학년, 9학년, 10학년에서 학년별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미래에 가정을 꾸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가족관과 자녀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사회교과에서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고, 과학교과에서는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과학적 지식으로 다루고, 도덕교과에서는 저출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을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았다. 즉, 가정교과가 저출산을 다루는 주 교과로서의 역할과 책임이 있다. 중등학교와 지역사회,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의 개발, 동아리 활동, 구체적인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인구문제와 관련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정학 전문가의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은 개인, 가족, 사회, 국가정책에 기여하며, 교과의 역랑을 발휘하여 저출산과 관련한 인구문제를 해결하는 교과로 거듭날 수 있다. 가정과교육의 나아갈 방향으로 저출산 극복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범교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가정과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사회에서 가족․아동․육아․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한 인구문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가정과 교사로서 평생교육의 강사요원으로 활동하며,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에 참여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삶과 지역사회, 국가의 안녕을 위한 변화의 주체를 육성하는 교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in the contexts of curriculum contents,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First, home economics is a key subject matter in dealing with a low fertility problem among 2007 revised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leve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through 8th grade to 10th grade in 4 units, where as curricula contents of social studies, science, and moral education deal with a low fertility problem in partial. Second, it is proposed to be active in community involvement incorporating with secondary education, colleg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by service learning, outreach program, and extension program. Third, public policy and advocacy particip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are crucial for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practice in enhancing the condi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wellbeing such as a low fertility problem. To perform this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developing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extra curricula activity,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y, and service learning activity.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ors also should actively involved in outreach program and extension program as well as in public policy advocacy activity for solving a low fertility problem.

      • KCI등재

        지역사회 봉사활동과 연계한 교양 교과목 개발

        이희화,김현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1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이에 따른 교양교육의 역할과 위상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교 주위의 다양한 사회 및 문화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글로컬 시대가 도래하면서 지역과 대학 간의 산업, 문화, 봉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연대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에 따른 교양교육이 나아가야될 방향과 적합한 지역 연계 교양교육 모형개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대학이 지역사회 봉사와 연계성을 가지고 지역봉사에 보다 밀접하게 다가가기 위한 지역사회 봉사활동과 연게한 교양 교과목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based Learning, CSAL)을 개발하고, 교육 사례 분석과 함께 실제 지역사회봉사단체와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향후의 대학-지역 협력 모형개발 및 이의 적용과 관련된 유의미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는 지역사회 봉사와의 연계을 위해서 본 지역자치제가 운영하는 지역봉사단체와 면밀히 협업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수업 커리큘럼을 위해 지방의 한 대학과 그 지역의 봉사단체와 실제 협력 수업을 검토하고, 이에 대학-지역 교육생태계 활성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촉진하는 학교 내외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김현철(Kim, Hyuncheol),윤혜순(Yun, Hyes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1

        학교 내의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자원이 원활하게 활용되어야 하지만, 교사의 업무가 가중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성공적인 안착이 어렵다. 이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청담중학교 사례분석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학교가 내적으로 어떤 변화를 수반해야 하며, 지역사회와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청담중학교는 교사 업무의 균등 배분, 교과교실제, 모든 교사의 담임화, 담임운영매뉴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매뉴얼 제작 등 교육시스템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체험활동을 차수 마다 반별로 순환식으로 운영하였다. 동시에 지역사회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자원을 원활하게 연계하였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역사회자원을 연계한 체험활동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학교만족도를 높이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이 학교문화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교사의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이 주효했다. 그러나 교사의 코디네이터 역할은 교사의 업무 가중으로 인해 모든 학교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모델이다. 따라서 학교 외적으로 지역사회 코디네이터 기관이나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determine which conditions best facilitate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schools. This will be done by analyzing a case study of the operation of a creative hands-on activity program in Cheongdam Middle School in Seoul. To successfully facilitate such hands-on activity programs, the resources of local communities should be actively connected and mobilized. However, this leads to increased workloads for teachers, and thus, necessitates the provision of effective measures that can secure the agreement of teachers. Such as the reduction of their workloads, and utilizing local resources are prime examples. Cheongdam Middle School has secured the agreement of its teachers by changing a series of educational systems. Such measures include the equal distribution of school tasks, the operation of subject-based classrooms, the appointment of all teachers as homeroom teachers, and the creation of operational manuals for homeroom teachers and creative hand-on activities. In doing so, it has enlivened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addition, Cheongdam Middle School has enhanced the satisfaction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by suggesting a model for creative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provision of the opportunities for a variety of hands-o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the resources i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issue of teachers increased workloads has been entirely resolved. Moreover, the demands by students for various hands-on activities in local communities are on the increase. Therefore, the need for greater liaison between coordinative institutions or coordinators in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is rising and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resolve such issu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과 보훈 교육 현황과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 개발

        정다진(Dajin 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보훈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역사적 관점에서 지식·기능과 가치·태도를 모두 함양할 수 있는 보훈 교육 방향성을 제시한다. 사회·역사적 관점을 고려하여 보훈에 관한 학습 주제를 사회과 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성취기준별 보훈 교육 학습 활동을 구성한다. 그리고 보훈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리함으로써 학년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에 3-4학년의 경우 지역 중심의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 5-6학년의 경우 체험 중심의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교사가 보훈 수업 내용을 선정하거나 계획할 시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함으로써 사회·역사적 관점에서의 보훈 교육 접근과 학년의 특성을 살린 학습 연계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한다. 효율적인 보훈교육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은 향후 연구 과제로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studies and veterans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develop learning activity programs linked to the curriculum. Specifically,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veterans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both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from a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In consideration of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the learning topics related to veterans are link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addition, by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current status of veterans education, a learning-linked activity program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e is developed. Accordingly, a regional-centered learning-linked activity program was developed for 3rd and 4th graders, as well as an experience-oriented learning-linked activity program for the 5th and 6th graders.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the developed learning-linked activity programs are presented to provide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teachers select or plan veterans' classes. By deriv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learning-linked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linked activity program that utilizes the approach to veterans education from a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is raise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programs for efficient veterans education remains a consistent research task.

      • KCI등재

        어린이집의 지역사회 연계활동에 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연구

        고영자(Ko, Young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실행하는 지역사회 연계활동의 실태와 보육교직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598명을 대상으로한 설문 결과를 자료화하여 SPSS Window 22로 통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직 원의 배경 변인인 연령과 학력, 경력, 담당 영유아 연령에 따라 지역사회 연계활동의 진행 근거, 연계 방식, 연계 대상, 고려점, 중요점, 어려움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활동에 대한 인식으로 필요성과 영향 효과, 표준보육과정에 기여도, 만족도, 보육과정 내 비중에 대한 결과에서도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직원의 배경 변인에 따라 지역사회 연계활동의 실태와 인식에 차이가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연계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살릴 수 있도록 보육교직원을 실효성 있게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ommunity - based activities and the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 members in the day 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background of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based activities, the way of linking, the objects to be linked, the points of consideration, the important points and the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hild care’s teacher of age, education level, caree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necessity and influence effects, the contribution to the standard child care proces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proportion within the childcare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ctual situation and awareness of community - bas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teacher.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you consider ways to support it.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 어려움에 관한 탐색

        이소현,모아라 한국코칭학회 2017 코칭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에 관한 어려움의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5명과 원장 3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연계 활동의 어려움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나타났는 데, [계획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주제군은 <자원 자체의 부족>, <장기 계획의 불가능>, <기관 의 협조 부족>, <교직원의 정보 부족>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은 실행 부분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실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주제군은 <준비되지 못한 물리적 환경>, <부적절한 상호작용>,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본 연 구는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의 어려움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연계 활동 개발 및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of community-based activities for childre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five teachers and thre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in "S" city,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earch shows the difficulties in community-based activities that emerged from the planning stage. The components were categorized as a shortage or lack of resources, a lack of coordination, and a lack of information within the staff of the Faculty of Engineering. The problems of community-based activities also showed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The components were categorized as physical environments, inappropriate interactions, and unpredictable situation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facilitating community-based activities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