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英.正朝代 中華繼承意識의 강화와 宋.明 역사서의 편찬

        허태용 조선시대사학회 2007 朝鮮時代史學報 Vol.42 No.-

        The Consolidation of Notion on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ographies on Chinese Song and Ming Dynasty in King Yeongjo and Jeongjo's reign period攀* Post-doc.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攀攀Huh, Tae-yong* 본 글은 영정조대의 사상적 흐름을 ‘중화계승의식’의 강화라는 관점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조선후기의 사상적 흐름은 시각에 따라서 다양하게 파악될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17세기 이후 조선이 놓여있던 현실적인 조건 위에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병자호란과 명청교체는 기존 명나라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든 사건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조선의 존립 근거와 위상을 확보하려는 조선 지배층의 사상적인 노력은 다각도로 경주될 수밖에 없었다. 우선 명나라의 멸망으로부터 오래 지나지 않은 17세기 후반까지는 명나라의 회복을 기대하는 ‘중화회복의식’을 통해 기존 질서의 회복을 기대하였지만 명나라의 회복 가능성이 희미해진 17세기 말에 들어서는 정치적인 의미에서의 중화 회복을 기대하기보다는 유교 문화적인 차원에서 조선을 중화문물의 ‘유일하고 정당한 계승자’로 규정하는 인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명나라가 독점하고 있던 중화의 위상을 문화적인 차원에 국한해서지만 조선에게 부여함으로써 전통적인 화이관에 입각한 동아시아 질서를 관념 속에서나마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런데 명나라가 멸망한지 한 세기가 지난 18세기 중엽 이후로는 소극적인 회복의식마저 존속하기 어려워졌다. ‘100년의 운세가 없다던 이적’이 100년이 지나도 더 번성하는 현실은 그들이 소극적이나마 중화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던 마지막 근거마저 사라지게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조선을 ‘중화의 유일한 계승자’로 인식하는 ‘중화계승의식’은 더욱 강화되었고 동시에 ‘문화적 화이관’이 고안되고 있었다. 그들이 생각하기에 이제 천하에는 오직 조선만이 ‘중화의 유풍’을 간직하고 있었지만 종족과 지역과 문화가 함께 평가되는 기존의 관념은 조선이 ‘중화의 정당한 계승자’가 되는데 논리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화계승의식’의 강화는 조선을 이제 ‘소중화’가 아닌 ‘대중화’로 여길 수도 있다는 인식으로 일부 확장되거나 조선의 문화에 대한 강한 자부심으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그 대표적인 현상이 공적사적으로 다수의 명나라와 송나라의 역사서가 편찬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夷狄’인 원나라와 청나라 대신에 송나라와 명나라의 역사를 편찬할 수 있는 ‘중화의 유일하고 정당한 계승자’가 천하에 조선뿐임을 과시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화계승의식’을 상징적으로 구현한 모습이기도 하였다.이 시기에 편찬된 대표적인 송명 역사서로는 南有容의 明書正綱, 黃景源의 南明紀, 徐命膺의 資治通鑑綱目新編, 그리고 宋史筌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 사서들은 형식이나 다루고 있는 시기에서는 차이를 보이면서도 기본적으로 남송과 남명의 정통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고 더불어서 오직 조선만이 이러한 역사서를 편찬할 수 있는 자격을 갖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배층의 이러한 역사인식은 史要聚選 같은 대표적인 방각본 서적에도 반영되면서 보다 널리 보급되었다.

      • KCI등재

        의식과 인식 : 동국의식과 세계 인식

        김문용(金文鎔)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이 글은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동국의식을 검토함으로써 당시인들의 집단적 자아의식의 일단을 해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동국’의 지리적ㆍ문화적 의미 연관을 그 역사적 추이 속에서 개관한다. 다음으로, 소중화의식의 조선후기적 형태인 중화계승의식을 그 문화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세계지도를 매개로, 세계의 크기와 중심문제를 둘러싸고 진행된 지리인식과 문화의식의 상호작용 양상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 주장하는 것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동국의식은 스스로 변방임을 자처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문화의식의 성격이 강하다. 둘째, 명ㆍ청 교체 이후의 중화계승의식은 종래의 소중화의식과 병행하는 것으로서, ‘조선중화주의론’에서 말하는 바처럼 그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논의라고 보기 어렵다. 셋째, 중화계승의식은 결국 극도의 도덕중심주의적 강박으로 귀결되었다. 넷째, 동국의식은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라는 두 길을 따라 전개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few aspects of Dongguk self-consciousness in Chosun Korea. It argues the following. First, though in the margins in relation to the center of the world, Dongguk was fully confident. Second, that Korean Sino-centrism is fundamentally no different since the late 17th century. Third, Korean Sino-centrism as a consequence became fundamentally extremely focused on morals. Fourth, Dongguk self consciousness developed into universalism and relativism.

      • KCI등재

        동국의식과 세계 인식 ― 조선시대 집단적 자아의식의 한 단면

        김문용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few aspects of Dongguk self-consciousness in Chosun Korea. It argues the following. First, though in the margins in relation to the center of the world, Dongguk was fully confident. Second, that Korean Sino-centrism is fundamentally no different since the late 17th century. Third, Korean Sino-centrism as a consequence became fundamentally extremely focused on morals. Fourth, Dongguk self consciousness developed into universalism and relativism. 이 글은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동국의식을 검토함으로써 당시인들의 집단적 자아의식의 일단을 해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동국’의 지리적‧문화적 의미 연관을 그 역사적 추이 속에서 개관한다. 다음으로, 소중화의식의 조선후기적 형태인 중화계승의식을 그 문화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세계지도를 매개로, 세계의 크기와 중심 문제를 둘러싸고 진행된 지리인식과 문화의식의 상호작용 양상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 주장하는 것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동국의식은 스스로 변방임을 자처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문화의식의 성격이 강하다. 둘째, 명‧청 교체 이후의 중화계승의식은 종래의 소중화의식과 병행하는 것으로서, ‘조선중화주의론’에서 말하는 바처럼 그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논의라고 보기 어렵다. 셋째, 중화계승의식은 결국 극도의 도덕중심주의적 강박으로 귀결되었다. 넷째, 동국의식은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라는 두 길을 따라 전개되었다.

      • 청(淸) 문물(文物) 인식에 입각한 조선후기 북학파(北學派)의 화이관(華夷觀) 연구

        류창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6 중한언어문화연구 Vol.11 No.-

        華夷觀念在東亞的傳統政治思想中占有重要的地位, 這種觀念長期影響着朝鮮半島。明淸交替后, 以宋時烈爲首的朝鮮義理派主張朝鮮應繼承中華文明, 形成了所謂“朝鮮中華主義”思想, 將淸朝視爲夷狄, 排斥與淸朝文化交流。至18世紀中后期, 隨着兩國交流的日趨活躍, 主張學習淸朝文物制度的北學派産生幷步入興盛。本文在考察明淸交替后朝鮮士大夫華夷認識變化的繼承上, 從北學派對淸朝文物制度的認識入手, 分析闡述了北學派的華夷觀。本文認爲, 北學派表現出了强烈的“中華繼承意識”, 幷强調“尊王攘夷”, 這說明北學派在華夷認識上幷沒有突破朝鮮士大夫階層旣存的認識。然而, 北學派肯定“用夏變夷”的可能性, 幷將其活用爲引進淸朝先進文物的理論基礎, 在這一点上較義理派有所突破。這爲后世朝鮮實學的發展有重要影響, 幷爲淸鮮間文化交流拓寬了道路。

      • KCI등재

        고려시대 자기인식의 형성과 문명의식(文明意識)의 변화

        한정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본 연구는 고려왕조에서의 자기인식 내용과 고려에 대해 칭해진 동문 및 소중화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고려시대 문명의식의 내용과 그 변화가 갖는 의미 등을 찾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려의 자기인식과 문명의식은 태조의 천명의식, 고구려계승의식, 삼한일통의식 등에서 출발한다. 고려는 이를 팔관회를 통해 상징화하는 한편 유교를 토대로 한 화풍을 반영하면서 동방의 것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후 유교 문명의 수용을 토대로 자기인식이라 할 고려중심 문명의식과 결합하였다. 유·불·도 삼교와 토속신앙, 용손의식 등이 반영되었고, 해동천자가 다스리는 천하를 노래하는 팔관회가 이를 상징하였다. 고려 중심 화이질서와 문명의식이 성립한 것이었다. 고려는 예악문물이 중화와 같은 범주 혹은 버금간다는 의미에서 동 문·소중화라 칭해졌다. 여기에는 송이 다원적 국제질서 속 고려를 끌어들이고자 하는 의도한 면이 있었다. 고려는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하면서 스스로 이룬 문물을 자신하였다. 팔관회의 개최는 고려 중심 화이질서와 문명의식 속에서의 해동천하라는 문명의식 형성을 뜻하였다. 그러나 고려는 원 간섭기 원 중심의 형세론적 화이의식을 수용하여 원 중심 천하동문을 받아들였다. 또 명이 들어서자 고려는 이에 대한 사대를 결정하면서 종족적 공간적 유교적 정통을 인정하고 명 중심의 화이의식 을 추구하였다. 그것은 고려 중심 화이질서와 문명의식의 해소를 뜻하는 것이었다. 다른 면으로 보자면 이중적인 것으로 명과 성리학 중심의 용하변이를 추구한 것이 된다. 이는 시대 상황에 따른 고려 중심의 자기인식과 문명의식의 변질이라 여겨진다. 고려의 해동천하 문명의식의 상징이었던 팔관회의 혁파와 명 중심 소중화적 동인의식(東人意識)을 새롭게 만든 것은 이를 뜻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ackground of Goryeo’s self-awareness and the cases of the Song Dynasty, in particular, referring to Goryeo as Dong-Moon(同文) and Sojunghwa(小中華). Through this process, we wanted to find out the contents of the civilization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meaning of the change. To sum up, as follows. The self-awareness and civilization of Goryeo originate from the beginning of King Taejo. This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Tian-Ming(天命),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Goguryeo, and the Notion of Three Hans are One. And the three religions(儒·佛·道), folk beliefs, and Yongsonuisik(龍孫意識) were reflected. It was symbolized by the Palguanhoe(八關會) related to the Heavenly Lord, which was ruled by Haedongcheonja(海東天子). The China-centered World Order and civilization centered on the Goryeo Dynasty were formed. Song referred to this consideration as Dong-Moon and Sojunghwa. This was the perception that the Li-Yue(禮樂) of Goryeo was second only to Junghwa(中華). There was an intentional aspect of the Song Dynasty’s bid to bring Goryeo to Song’s side amid the pluralistic international order. However, Goryeo was also confident of its own cultural heritage and confident in its Hui(華夷) consciousness centered on the Goryeo. Meanwhile, the Goryeo Dynasty recognized Cheonha Dong-Moon(天下同文) by accepting Hui consciousness centered on Yuan Dynasty during Yuan’s intervention period. When the Ming Dynasty was founded, Goryeo decided Sadae(事大) on Ming, recognizing the ethnic, spatial and Confucian orthodoxy and pursuing Hui consciousness centered on Ming Dynasty. It meant the dissolution of civilization centered on the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it is dualistic, and it seeks the idea the yi by the Xia(用夏變夷) centered on Ming and Neo-Confucianism. This is considered to be a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self-awareness and civilization centered on Goryeo,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times.

      • KCI등재

        중화계승 상징물에 대한 식산<SUB>息山</SUB> 이만부<SUB>李萬敷</SUB>의 견해와 그 이론적 기반 - 『만동사의<SUB>萬東祠議</SUB>』를 중심으로

        이원준(李元準)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본 연구는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의 『만동사의萬東祠議』를 통해 만동묘萬東廟와 대보단大報壇에 대한 그의 평가를 살펴보고, 그 이면의 중화계승의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두 제향소는 18세기 이후 조선의 중화계승의식을 상징하며, 만동묘는 노론이 이러한 의식을 선점하였음을 보여준다. 식산은 『만동사의』를 지어 만동묘 건립을 비판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천자의 권한을 제후국 신하인 노론이 참람하였음을 주로 비판하는 한편, 조정 주도의 대보단은 그 시의성을 인정하였다. 이는 그가 예제의 명분을 엄정하게 지키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중화계승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중화계승의식은 본래 초당파적 사유였으나 상징물 건립을 거치면서 비노론계 지식인은 이를 피탈당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식산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만동묘 반대여론을 모으고 조정에 이를 투사하는 것으로, 식산이 시도하였으나 무위에 그쳤다. 둘째는 중화계승의식에 상응하면서도 독자적인 사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식산이 이후 조선 학자들만의 학설을 엮은 『도동편道東編』을 저술한 점은 『만동사의』의 문제의식이 전개된 방향에 대해 고민케 한다. This study aims at Siksan Yi Manbu’s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behind his view on Mandongmyo and Daebodan shrine through his writing Mandongsaui. The two shrines show strong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in Joseon dynasty`s court and academia, especially Mandongmyo shows this notion was dominated by Noron party. Siksan wrote Mandongsaui and criticized presumptuousness of Noron party. He mainly attacked that Noron party, the courtiers of vassal state, self-indulgently injured empire state’s rituals, and positively assessed Daebodan because he thought it was timely. He thought that succession with injured Confucian cause is not the true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For Neo-Confucianists in late Joseon, The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should be a suprapartisan thought, however non-Noron party scholars was deprived of this thought by Noron. To overcome suffering robbery, Siksan had two choices. One is gathering anti-Noron opinion and inform wrongfulness of Noron to the court, he tried it but failed. The other is present another thought which is equivalent to the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The fact that his representative work Dodongpyun, which contains only Korean Confucianist’s thought, immediately after Mandongsaui, makes us wonder in which direction his awareness of the problem is going.

      • KCI등재

        <임진록>에 반영된 당대의 담론-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한문본과 한글본을 중심으로-

        장경남 한국고소설학회 2022 古小說 硏究 Vol.53 No.-

        Since <Imjinrok> is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s its main content, there are copies of historical facts, and there are copies that deviate from historical facts and proceed as fictional narratives. The representative copies are the Chinese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he discourses of the period in which the two versions were formed were reflected, the Chinese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is divided into the historical series, reflects the Grace that rebuilt the country[再造之恩] and the worship of the ming dynasty[崇明意識] formed after the war, and among the Choiilyeong series,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and the sinocentrism in Joseon Korea were reflected. The reflection of different discourses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period of versions. After the end of th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discourse of Joseon's domination was Loyalty to the Ming Dynasty[對明義理] based on the Grace that rebuilt the country. Naturally,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worship of the ming dynasty based on the principle of Loyalty to the Ming Dynasty, can be viewed as a time not far from the postwar period.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theory of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北伐論] with the Northern Learning[北學論], the worship of the ming dynasty was halved. Instead, the sinocentrism in Joseon Korea that Joseon inherited the Chinese civilization took place,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reflect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is reflec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임진록>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 기록의 이본이 존재하는가 하면 역사적 사실에서 벗어나 허구적 서사로 진행되는 이본이 존재하기도 한다. 그 대표적 이본이 국도 한문본과 국도 한글본이다. 두 이본이 형성된 당대의 담론이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본 결과, 역사계열로 구분되는 국도 한문본은 전후에 형성된 재조지은과 숭명의식이 반영되었고, 최일영계열 가운데 국도 한글본은 중화 계승의식과 조선 중화주의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각기 다른 담론의 반영은 이본의 형성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의 지배 담론은 재조지은에 입각한 대명의리였다. 당연히 대명의리에 입각한 숭명의식이 반영된 이본인 국도 한문본의 형성 시기는 대체적으로 전후에서 멀지 않은 시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북벌론이 현실적 한계를 다해 북학론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숭명의식은 반감되었고, 대신 조선이 중화 문명을 계승한다는 조선중화주의가 자리하면서 임진왜란을 다른 시각에서 회고하게 되었는데, 이를 반영한 것이 국도 한글본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김경서 현창의 추이와 당대사적 의미

        장정수(張禎洙)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5

        Explored in this article is how Vice Commander(Bu-Weonsu) Kim Gyeong-seo, who joined the Shimha war only to be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and later died in Hu-Geum, was commemorated posthumously, and why. At the Shimhar war, many Joseon soldiers were either killed or captured. However, while the former were hailed as loyal victims and commemorated in the name of loyalty and dignity[忠節], the latter were condemned as traitors[逆節]. Case of Kim Gyeong-seo belonged to the latter, as he was criticized –along with Do-Weonsu(Supreme commander) Kang Hong-rib- just for the reason that he was captured. Compared to the ongoing praise of Kim Eung-ha who was known to have valiantly struggled and then got killed, the evaluation of Kim Gyeong-seo was quite harsh. Then, later the fact that Kim Gyeong-seo was actually killed by Hu-Geum was revealed and disclosed to the public, so his honor was reinstated along with his earlier position, and a new title was even bestowed posthumously. It seemed like his name was being finally cleared from that of a ‘surrenderer.’ Yet in reality, for quite some time, his reputation remained somewhat murky, between ‘loyal’ and ‘disloyal,’ as there was an opinion –supported by many- which believed while his case certainly merited a sympathetic reevaluation, the fact that he surrendered could not be ignored.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sense of obligation to ‘honor the true master race(in this case, the Chinese Ming dynasty)’ began to form rather dominantly, and a new effort to commemorate Kim Gyeong-seo was initiated. He was hailed as a “Loyal vassal,” and in the 19th century he was even cited as a symbol to propagate an agenda of the time, which was to ‘uphold a righteous cause,’ commemorating Ming. In the process of his being reevaluated and newly honored, the evaluation of Gang Hong-rib, who was known to have surrendered to Hu-Geum with Kim, deteriorated. Gang’s surrender was defined as an act following former king Gwang’hae-gun’s secret order, and the Shimha battle was redefined as a battle that cost many lives in the name of honoring the true legitimate (Ming) dynasty. Such definitions were meant to strengthen Joseon’s new identity as the bearer of the Sino-centric traditions, while the dynasty itself was being forced to serve the ‘barbaric’ Qing.

      • KCI등재

        鄭喬의 중국사 이해와 현실 인식

        김우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0 사총 Vol.70 No.-

        Jeong Gyo argued that Chen Shou considered Shu to be the authentic successor, via analyzing the content of his San Guo Zhi, a text that was known to be edited from the aspect that Wei is the authentic one. Although it is true that there are sufficient difficulties to understand Chen Shou as the one who had the theory of Shu the authentic successor straightly as Jeong Gyo had argued, his argument may be significant in that he sought to connoted meanings rather than general forms and in that his basis presented re-thinking of intentions of historians shown in books of history. Also,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his argument, Jeong Gyo confessed his own position that Shu was the authentic successor. His authentic theory may be affected by Zi Zhi Tong Jian Gang Mu by Zhu Xi mostly, and Zhu’s historical view affected Jeong Gyo’s writing of Nam Myeong Gang Mok. Nam Myeong Gang Mok is a book of history in which the history of South Ming government was written with Gang Mok style. Since the 18th century, books of history dealing with history of South Ming on the basis of authentic theory had been published resulting from the notion on Sinocentrism succession, and Nam Myeong Gang Mok was one of the products of the notion. Jeong Gyo wrote the history of South Ming, claiming that Chosun, not Ching, authentically succeeded to Ming Dynasty. In the appeal for a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Korean King when Korea’s sovereignty was threatened by Tragedy in UI-mi year and Go-jong’s refuge to Russian Mission in 1896, Jeong’s perception of history was expressed as concrete perception of reality. The thought that Chinese and Barbarians were divided not by tribes or regions but by culture was the outcome of the notion on Sinocentrism succession, the accession to the throne was a ritual that Korea is the center of Sinocentrism. Jeong’s appeal for a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Korean King was a concrete expression of “New Confucianism” and “Eastern morality and Western technology” requiring acceptance of Western reality based on Eastern values among intellectuals who sought to Western values and other intellectuals who sought to Eastern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