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안효영(Ahn Hyo young),진영은(Chin Young 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직접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보다 주변인인 일반 학생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변인 연구는 이러한 다수의 역할행동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또래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다룬 국내의 학술지 논문, 석ㆍ박사학위논문 총 57편을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주변인의 역할을 유형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주변인은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의 역할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방어자는 대부분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동조자와 강화자는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동조자 및 방관자는 방어자와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특성, 학교환경 및 사회적 인지, 가족환경, 도덕변인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또래괴롭힘 상황에 있는 주변인들은 다른 역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은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래괴롭힘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과제로 주변인 역할의 사회생태관점에서의 이해, 주변인 역할의 변화 가능성에 초점 맞추기,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교육과 환경 조성, 질적연구의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변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또래괴롭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bystanders in bullying situations. In any general student population, there are many more bystanders than there are bullies and victims directly associated with bullying. Bystanders research starts from the idea that to reduce bullying one must understand role behaviors. For this, a total of 57 papers of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hat researched the role of bystanders in dealing with bullying situations.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studied divided the bystander roles into assistants, reinforcers, defenders, and outsiders. When analyzing these roles, defenders showed the most positive characteristics. Assistants showed similar properties with reinforcers. And, assistants and outsiders contrasted with the defenders. This study survey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variables as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behaviors of bystanders. Depending on these factors, bystanders' role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exhibited differe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 in particular, had a major influence on bystanders' role behaviors.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tasks to be made based on the research of bystanders' roles to help reduce bullying. The tasks are understanding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f the role of bystander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bystanders' roles, to educate and create a positive atmosphere for a defenders actions, and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e broadening of the understanding of bystander's roles throughout this study was done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bullying.

      • KCI등재

        초등학생의 괴롭힘 경험과 주변인행동의 관계

        박예라(朴예라),오인수(吳仁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또래 괴롭힘(bullying)가해 및 피해경험이 괴롭힘 주변인(bystander)방어행동의 관계 및 이를 조절하는 사회맥락적 특성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신체적 괴롭힘과 관계적 괴롭힘 장면의 주변인행동, 또래동조성, 지각된 학급규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자료는 교차분석 및 독립성검증, 상관분석, 범주형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모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동조자 행동이,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방관자 행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괴롭힘 가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동조자 또는 방관자로 행동하게 되며 방어행동은 낮아졌다. 반면 피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예측하지는 못했다. 셋째,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 또래동조성과 지각된 학급규준이 주변인행동을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또래동조성의 주변인행동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급규준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괴롭힘 가해경험 및 사회적 맥락 특성과 주변인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신체적, 관계적 괴롭힘 상황으로 나누어 주변인행동에 접근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과 주변인행동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효과적인 상담 및 중재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conformity and perceived class norms have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experiences and bystander’s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300 upper elementary students. Scales of bullying participant roles, peer conformity and perceived class norm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ystander roles across gender and bullying situations. Defending behavior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bully-follower role in overt bullying situation. Then in relational bullying situation,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bystander role. Second, bullying experience predict bystander’s negative behavioral reactions while victimized experience didn’t show significant results. Third, peer conformity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bullying experience and bystander behavior in overt/relational bullying situations. But perceived class norms only moderated bystander behavior in overt bullying situat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Lastly, the limitations and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반괴롭힘 태도와 주변인 행동과의 관계: 지각된 교사개입의 조절효과

        오인수,김서정,임영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ystander’s reactions, their anti-bullying attitudes and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in bullying situation. In particular,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was examined between bystander’s anti-bullying attitudes and the level of defending behavior and assis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229 survey results completed by fourth grade students in four schools in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test examined two particular areas of bystander’s reactions(defending behavior and assisting behavior), anti-bullying attitudes, and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reby yielding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bystander’s anti-bullying attitudes were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 positively and with assisting behavior negatively. This showed bystander’s attitude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bullying.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ti-bullying attitudes predicted defending behavior positively and assisting behavior negatively. The anti-bullying attitudes explained defending behavior more than assisting behavior. Thirdly,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ly between anti-bullying attitudes and defending behavior. It implies that bystander perceiving teacher’s intervention ability highly was more likely to defend victims, thus interaction effect between anti-bullying attitudes and perceived teacher’s intervention was found.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과 이들의 반괴롭힘 태도 및 지각된 교사개입의 관계 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주변인 중에서 또래괴롭힘 피해자를 보호하는 방어행동의 정도와 가해 자를 돕는 동조행동의 정도에 반괴롭힘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영향의 관계가 주변인이 인 식하는 교사 개입정도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 서 4학년 229명을 대상으로 주변인의 행동(방어행동 및 동조행동), 반괴롭힘 태도, 지각된 교사개입을 측정하였고, 자료를 분석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주변인의 반 괴롭힘 태도는 방어행동과는 정적상관을 동조행동과는 부적상관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주변 인의 태도 형성이 괴롭힘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반괴롭힘 태도는 방 어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동조행동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 그 설명력은 방어행동의 경우 더 높았다. 이는 주변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실증적 내용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반괴롭힘 태도와 주변인의 행동 사이에서 지각된 교사개입의 조절효과는 오직 방어행 동의 경우에만 유의미했고, 동조행동의 경우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교사의 개입이 높다고 인식한 주 변인의 경우 반괴롭힘 태도가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의 개입이 낮다고 인식한 경우에 비해 더욱 컸다. 이를 통해 주변인의 방어행동에 이들의 반괴롭힘 태도와 지각된 교사의 개입이 상호작용함 을 확인하였으며, 주변인이 인식한 교사 개입이 방어행동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교육적 함 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 경험: 그룹 대화방을 중심으로

        서미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bystanders who witness cyber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focus was on limiting group chat rooms. The cyber bystanders were silent, joined the bullying, or spreaded rumor about the victim online. There were also bystanders’ responses to leave the chat room, invite the teacher to the chat room to attempt intervention, and support the victim. The responses of bystanders in cyber bullying were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hips, the powers of bystanders who help victims as well as the bullies, the blame on the victims, and the pressure or mood of the group. Bystanders’ reasons and motivations for responses were mentioned psychological burdens such as fear of being bullied, anxiety about being punished if involved, and perception of loss. Additionally, there were bystanders who think they had nothing to do with cyber bullying,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the bullies, hoping to help the teacher to solve the problem, and supporting them by empathizing with the victim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further approach their life and culture by viewing and understanding cyber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s.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그룹 대화방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으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주변인의 행동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행동 이면에 존재하는 이유나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남, 여학생 13명에게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그룹 대화방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은 침묵하거나, 대화방을 나가거나, 피해자를 괴롭히는데 동참하거나, 피해자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또 어떤 주변인은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여 중재를 시도하였으며, 소수이지만 피해자를 위로하는 주변인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변인의 행동은 사회적 관계, 힘의 위계, 피해자에게 잘못을 전가하는 것, 그리고 집단의 압력이나 분위기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의 행동에 대한 이유는 자신이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 함께 연루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 손실 지각 등 심리적 부담감이 언급되었다. 또한 가해행동에 동참함으로써 가해자와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사이버 괴롭힘에 관심이 없어서, 혹은 도와줄 게 없다는 이유로 침묵하였다. 주변인이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는 이유는 사이버 괴롭힘의 해결을 위해 교사의 도움을 희망하기 때문이며, 피해자를 지지하는 주변인은 피해자의 고통을 공감하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점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첫 시도이며, 연구결과를 통해 괴롭힘의 중재 전략에는 오프라인과 사이버 괴롭힘의 통합적 개입이 유용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루소의 『고백』 또는 주변인의 삶의 세계

        정승옥(Jeong Seung-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5

        주변인(marginal man)은 신분과 환경에 따라 인간의 가치가 규정되는 사회에서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 어느 한 곳에 뿌리내리지 못한 사람을 말한다. 루소는 자신을 상류계층과 하류계층의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전형적인 주변인으로 규정한다. 그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모두와 교제하며 근본적으로 상이한 두 세계를 깊이 있게 체험하지만 양쪽 세계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루소는 몇 번의 길지 않은 시기를 제외하면 한 평생을 주변인으로 살았으며 그의 사회 경험은 대부분 국외자나 사회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는 사람이 겪는 것이었다. 루소는 『고백』을 쓰면서 자기의 이러한 처지를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다. 프랑스 문학사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서전의 맨 앞에 자리 잡고 있는 『고백』은 당연히 루소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지만 동시에 18세기 사회의 주변성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 작품도 주변성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주인공 루소는 개인적 체험을 나타내는데 머물지 않는다. 저자 루소도 개인적 체험의 화자에 머물지 않는다. 루소를 중심으로 짜여진 『고백』의 세계는 사회현상을, 인간과 현실세계와의 관계를, 하나의 생존양식을 재현하고 있다. 주변인의 삶에 천착하고 주변인의 시선으로 현실세계를 관찰하면서 루소는 흔히 중심부의 삶으로 여기는 지배계층의 삶만이 인간다운 삶이라는 통념을 한갓 속임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사실 루소는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공화국의 시민’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루소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유년시절부터 그의 삶이 주변계층의 삶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루소도 안다. 실재의 루소와 그가 바라는 루소 사이의 이러한 간극은 주변성이 ‘강요된’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주변인의 삶과 자신의 삶이 일치를 보이게 되면서 주변성은 이제 거부되지만은 않는다. 주변인의 삶이 현실의 변두리 세계에 국한되어 있고 주변부 인생의 삶에 그칠 뿐이라는 다시 말해 역사의 바깥에 머무는 한갓 쓰레기 인생에 지나지 않는다는 기왕의 인식을 루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루소는 주변계층의 삶을 하나의 떳떳한 삶의 양식으로 받아들이지만 그 삶이 자리 잡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공간이 사회와 역사의 변두리에 그쳐야 한다는 그동안 통용되던 선입관은 거부한다. 한마디로 하면 루소는 주변인의 삶을 ‘선택하며’ 동시에 그 삶의 사회적 역사적 공간은 ‘거부한다’. 『고백』의 주인공 루소는 자신에게 강요된 고통스런 주변성을 긍정하고 육화한 다음 그 존재를 사회의 중심부로 옮기려 함으로써 주변성을 거부하고 떳떳한 역사적 존재가 되는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In Les Confessions Rousseau depicted himself as a typical marginal man; his conception of himself was ambiguous and his social status was precarious since he did not belong to any specific communities. Placed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e experienced two radically different worlds; however, he did not feel himself to belong to either world. He lived as a marginal man most of his life, and thus his social experience was that of an outsider who drifted at the margin of the society. When he wrote Les Confessions, he was very clearly conscious of his own marginal state. Les Confessions as the first modern autobiography in French literary history focuses on Rousseau's personal life experiences as well as depicts the marginal life of 18th century French society. The work itself revolves around portraying the marginal life, depicting social phenomena and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real world as well as their life style. Observing the life of minority with the eyes of a marginal man, Rousseau revealed that the assumption was only a deception that the lives of the dominant class only had value. Rousseau emphasized many times that he was a citizen of the republic, however, one easily finds that his life belongs to the minority class since he was young. Rousseau himself knew it, too. The difference between what he was and what he wanted to be suggests that the marginality was a forced identity; however, he did not simply reject the marginality. He did not accept the common idea that the life of a marginal man was that of an outcast at the margins of the society outside of the mainstream of history. He considered the life of minority class one of the fair modes of life, while he refused to think a marginal man's social and historical position must be confined to the margins of the society. In conclusion, Rousseau wanted a life of a marginal man but rejected to belong to the marginal social and historical space. Rousseau, protagonist of Les Confessions, affirming and incarnating a painful marginality assigned to him, revealed a process in which the marginal man rejected the marginality and took up an honorable place in his society.

      • KCI등재

        공격성과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의 관계: 괴롭힘 찬성태도와 위험부담감의 중다매개효과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Of the bystanders who witness bullying episodes, defenders protect victims from bullies’ violent behavior and threat. In contrast, assistants, reinforcers and outsiders tend to aggravate bullying either explicitly or implicitly by not defending victim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obullying attitude and perceived risk burden of helping victims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non-defending bystander behavior (i.e., assisting the bully, reinforcing the bully, staying outside the bullying situation). Seven-hundred thirteen 7th graders (325 males, 388 female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procedure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both genders,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non-defending bystander behavior. In addition, the simple mediator effect of probullying attitude was found significant; however, the simpl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risk burden was not significant in both genders. The multiple mediator effect of probullying attitude and perceived risk burden was significant only in females. There ar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targeting non-defending bystander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괴롭힘 상황에는 가해자와 피해자 이외에도 다수의 주변인들이 존재한다. 주변인들은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자를 보호하기도 하지만 괴롭힘 가해행동을 적극적으로 돕거나 부추기거나 방관하는 등 피해자를 방어해 주지 않는 행동(이하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이라고 함)을 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격성이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지, 괴롭힘을 찬성하는 태도와 피해자 도움에 따른 위험부담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중다매개효과가 남녀 각 집단에서 유의한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중학교 1학년 713명(남자 325명, 여자 388명)의 자기보고 자료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에서 공격성이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남녀 집단에서 괴롭힘 찬성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반면, 위험부담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괴롭힘 찬성태도와 위험부담감의 중다매개효과가 여자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성별을 막론하고 공격성이 괴롭힘 찬성태도를 매개로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위험부담감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여자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공격성이 높을수록 괴롭힘 찬성태도가 강해지고 위험부담감이 상승하는 순차적 매개과정을 거쳐 비방어적 주변인 행동이 증가하였다.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자를 돕지 않는 주변인 행동을 표적으로 하는 예방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과 피해학생 반응의 관계 : 통제욕구, 통제지각 및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최유진,오인수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ctims’ reactions in bullying situation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from a group dynamic perspective including bystanders not from a relationship between a bully and a victim. we compare the need for control, the perceived control, the coping strategies of victims in bullying situation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Survey result completed by 220 middle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for the two weeks during the first semester was analyzed. First, as a result, the bystanders’ grade, the past experience as a bully were predictors of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Second, even same victimized situation, scores of the need for control, the perceived control, the positive coping of victims were higher when bystanders protected victims than those of victims when bystanders wanted to stay away from bullying situations. On the other hands, a score of the passive coping of victims was higher when bystanders wanted to stay away from bullying situations than that of victims when bystanders protected victims. This difference suggests that the victims' reactions in bullying situation are influenced by the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Third, scores of the need for control, the perceived control, the positive coping of victims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be effective to intervene early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bullying, and interven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ast experience as a bull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may be more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victim and implementing a strategy to change the behavior of the bystanders’ behavior. 본 연구는 괴롭힘 현상을 가해-피해의 양자구도를 넘어 주변인을 포함한 집단 역동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과 피해학생 반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학기 중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2주에 걸쳐 설문을 실시한 후 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한 22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학년 및 괴롭힘 경험유형과 주변인 행동유형(동조행동, 방관행동, 방어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변인의 행동유형(방어행동 vs, 방관행동)에 따라 피해 학생의 반응(통제욕구, 통제지각 및 대처전략)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저학년일수록, 여학생일수록, 과거에 가해경험이 적을수록 주변인의 경우 피해학생을 방어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이 방관할 때보다 방어할 때 피해학생의 통제욕구와 통제지각 및 적극적 대처수준은 높은 반면 소극적 대처수준은 낮아졌다. 이러한 차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학생의 반응은 주변인의 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주변인의행동에 따른 피해학생의 반응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바탕으로 괴롭힘 예방 및 개입할 때 피해학생의 역량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주변학생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전략을 실시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논의했다.

      • KCI등재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명희,허성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1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ssibility that the suicide loss (suicidal experience of neighbours and friends) affects copycat suicide of the elderly and the risk factors that affect their suicide when they have experienced suicide loss. Based on this, this study inspected how much suicide loss has influence on three stages of the elderly regarding suicide such as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respectively. And also this study checked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stage on the following one based on the three stages of elderly suicide. For this study, we surveyed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living in five districts in Seoul. Total 1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comprehensive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0%(20 persons) of the elderly in the study had experience of suicide lo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uicide loss significan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plan and attempt of the elderly, which means higher suicide loss could lead to higher suicidal ideation, plan and attempt of the elderly. Third, significant influences were found three stages of elderly suicide focused on the controlled variables. The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ended to be higher when respondents lived alone, their educational levels were lower and their depression levels were higher; the degree of suicidal plan were higher when their educational levels were lower, their depression levels were higher and they have little support systems; and the degree of suicidal attempt were higher when their economic status were higher and they have little support systems. Lastly, each suicidal stage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previous stage of suicid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o prevent and intervene in elderly suicide in effective ways based on the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가까운 친구나 이웃과 같은 주변인의 자살경험에 노출 되었을때,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통해 모방자살의 가능성과 자살위험 요인이 될수 있을 측면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주변인의 자살경험은 자신의 친구 및 이웃 중 자살시도를 하여 실제 사망한 경우와 자살시도를 하였으나 사망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자살생각과 자살계획, 자살시도 3가지 영역에 각각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3가지 노인자살 영역을 중심으로 이전 단계가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5개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20%(20명)가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노인 자살정도의 평균점수는 1.33점이며, 각각의 영역별로는 자살생각 1.46점, 자살계획 1.12점, 자살시도 1.13점으로나타났다. 둘째,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3가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 주변인의 자살경험이 있을수록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변수들을 중심으로 노인자살의 3가지 영역에 미치는 요인을 각각 살펴본 결과, 자살생각은 교육수준이 낮고 독거이며,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살계획은 교육수준이 낮고 우울수준이 높고 지지체계 수가 낮을수록, 자살시도는 경제수준이 높고 지지체계 수가 작을수록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자살 단계들은 이전 자살단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기반한 실질적인 노인 자살예방과개입을 위한 실천적․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미애(Mi Ae Nam),홍봉선(Bongsun H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0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및 조기개입을 위해서는 학교폭력 주변인의 역할이 중요한다고 전제하고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해서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서베이하였으며 최종 분석한 사례 수는 1196부였다. 조사결과, 첫째, 성별, 학교별에 따라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 및 주요 변수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자는 여자보다 동조자 역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중학생은 초등학생보다 방관자과 동조자 역할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하위역할에 따라 개인 요인, 학교폭력 요인, 환경 요인이 다소 상이하게 영향을 미쳤다. 즉 방어자 역할에는 학교폭력 방어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공감, 인권감수성, 친인권적 학교문화가 영향을 미쳤다. 동조자 역할에는 성별, 학교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주변에서의 학교폭력심각성, 친인권적 학교문화, 학교폭력 도움요청 장애요인이, 방관자 역할에는 학교폭력 방어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공감, 학교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인권감수성, 주변에서의 학교폭력 심각성, 친인권적 학교문화, 학교폭력 도움요청 장애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는 예측 요인의 파악하게 함으로서 주변인의 책임 있는 행동을 유도하며 평화로운 학교 공동체의 형성에 기여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ystander role in school violence from an ecosystemic perspective. Data were analysis for 1,196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5th-8th graders) residing in Busan, Korea. The finding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bystander role in school violence and the main variables across gender and level of school. That is, boys plated the role of bystander more frequently than girls did, and the defender and bully-follower roles were more common among middle-school students than among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2) Factors influencing the bystander rol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ystander subgroup. Factors influencing the defender role included school violence coping self-efficacy, victim empathy, human rights sensibility, human-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Factors influencing the bully-follower role were gender, permissive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perceived by youth, human-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and barriers to help-seeking. Factors influencing the outsider role were school violence coping self-efficacy, victim empathy, permissive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human rights sensibility,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perceived by youth, human-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and barriers to help-seeking. The finding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the bystander role in order to encourage bystanders to ac more responsibly and contribute to promoting a peaceful school environment.

      • KCI등재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성격강점의 관계에서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이현진,오인수,송지연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lassroom norms between bystander’s reactions(assistant, outsider, defender) in school bullying 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s (humanity, justice, courage). And we compared the levels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perceived classroom norms by three types of bystander’s roles. To identify research issues,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ing survey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by ANOVA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ity strengths according to the roles of bystander. Second, justice and courage predicted assisting behavior, humanity and justice predicted onlooking behavior and humanity, justice and courage predicted defending behavior. Thirdly, in the mediating effect, perceived classroom norms mediated between only justice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bystander’s reaction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modify the bystander's behaviors was discussed to utilizing personality strengths and perceived classroom norms.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이 이들의 주변인 반응행동(동조, 방관 및 방어)에 미치는 영향이 주변인이 지각한 학급규준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주변인의 3가지 유형별로 성격강점과 지각된 학급규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ANOVA와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괴롭힘 주변인(동조자, 방관자, 방어자) 역할에 따라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성격강점 중 정의와 용기는 동조행동을, 인간애와 정의는 방관행동을, 그리고 인간애와 정의 용기는 방어행동을 예측하였다. 셋째, 매개효과의 경우 성격강점 중에서 오직 정의감이 동조행동, 방관행동 및 방어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지각된 학급규준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격강점과 학급규준의 관점에서 주변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