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설화를 통해 본 조상제사의 인식 체계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계보연구회 2013 한국계보연구 Vol.4 No.-

        ‘제사설화’란 조상제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이야기를 일컫는다. 대개 제삿날에 조상의 혼령이 실제로 방문한다는 내용, 자손이 아닌 사람이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혹은 조상이 아닌 사람의 제사를 지내준 내용), 정성껏 차린 제사상을 받은 조상이 자손들에게 복(福)을 내렸다는 내용(혹은 성의 없이 제사를 지낸 탓으로 화를 당한 내용), 제물의 장만과 진설에 관한 내용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유교식 제사 규범 에서 보면 조상 제사의 수행 목적, 조상제사의 주제자(主祭者), 조상제사의 격식 등에 해당하는데, 흥미로운 점은 설화에 나타난 내용들은 유교식 제사 이념과는 또 다른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조상제사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예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행해 온 탓에 실제 현장에서 제사를 수행하고 있는 전승 담당자들의 문화적 인식에는 거의 주목하지 못해 왔다. 즉, 조상제사의 규범서로 여겨지고 있는 『주자가례』를 토대로 제례의 구조와 성격을 비롯해 제례 절차와 제물의 진설 방식 등에 관한 연구가 보편적이었다. 반면, 구비설화에 나타난 제례 문화는 절차와 형식 등과 같이 외형적 규범이 아니라 주제자들의 내면적 의식 세계를 함축하고 있는데, 이는 곧 조상제사를 둘러싼 우리 고유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설화에 나타난 제례문화 중에서도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조상신의 존재와 제사 방식을 중심으로 일반 서민들의 제사 인식 체계를 살펴보았다. 설화에 나타난 제사 양상은 기존의 제사 규범과는 명확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사설화에는 강신례와 초헌례 등과 같은 제사 절차를 비롯하여 도적과 탕(湯) 등의 제물, 조율이시(棗栗梨柹)와 좌포우혜 (左脯右醯) 등의 진설 방식에 대한 언급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를 기존의 규범적 측면에서 보면 원칙과 질서가 없는 제사 관행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그러는 가운데 한 가지 핵심적 내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것은 바로 ‘정성(精誠)’이다. 즉, 물 한 그릇, 죽 한 사발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 더라도 마음에서 우러나는 정성이 깃들어 있으면 조상이 응감(應感)을 하고, 반면에 격식을 갖춘 제물을 차리고 엄격한 절차를 준수하더라도 정성이 담겨 있지 않으면 조상이 외면한다는 이치다. 아울러 조상이 흡족하게 응감을 하면 복(福)이 주어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징벌[禍]이 내려진 다는 결과를 설정해 둠으로써 정성의 중요성을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이로 볼 때 제사설화의 키워드는 정성ㆍ응감ㆍ화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이들 요소가 상호의존적이라는 사실이다. 즉, 조상의 응감은 정성을 전제로 행해지고, 화복의 유형은 조상의 응감 여부(흡족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응감이나 화복 모두 정성의 여하에 의해 파생되는 결과로, 궁극적으로는 ‘정성’이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놓인다는 사실이다. 사실 제례는 사람들이 정해 놓은 사회문화적 규범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에 구애되어 정작 헤아려야 할 조상의 혼령을 불안하게 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오직 예(禮)를 수행하기 위한 외형적 예에 불과할 뿐, 조상을 섬기는 예는 아니다. 이를 테면〈설화 5〉에서 황 진사는 누구보다 예에 통달한 사람이지만, 이렇다 할 격식 없이 그야말로 두서없이 제사를 거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예법에 맞게 제사를 지내면 미천한 출신인 아버지가 불편한 나 머지 흠향을 제대로 못할 것을 우려해서이다. 아울러 이는, 예의 기본 정 신이란 격식과 규범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는 진정성, 곧 ‘정성’이라는 점을 일깨워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ancestral rite folk tale refers to a story related to the commemoration of the ancestors. It consists mainly of stories focused on the spirit of the ancestors who are actually visiting during the ancestral rite day, the ancestral rites performed by the persons who are not the relevant descendants, the ancestral rites performed for the persons who are not the relevant ancestors, the ancestors who received elaborate ancestral rite meals and blessed the descendants, the descendants who performed insincere ancestral rites and suffered misfortune, and prepa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ancestral rites table. These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performing ancestral rites, the chief of ancestral rites, and the formality of ancestral rites within the Confucian ancestral rite norms. What is interesting, though, is that the contents of the ancestral rite folk tales reveal another aspec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ideology of ancestral rites. Meanwhile, most of the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on ancestral rite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manners, but have barely paid attention to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inheritors who performed the ancestral rites on the actual location. In other word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have been conducted were focused on the ancestral rite procedures and arrangement of food on the ancestral rite table, including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ral rites, based on the book of ancestral rite norms, Chu Hsi Family Formalities. Unlike this, the ancestral rite cultures represented in the oral folk tales are not external norms such as procedures and forms but connote internal consciousness world, which also represents our inherent sentiments surrounding ancestral rites. Accordingly, the ancestral rite awareness of ordinary people was examined in this thesis,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ancestral spirits and various ancestral rite procedures, which are the key elements of ancestral rite cultures that were represented in the folk tales. The ancestral rite aspects represented in the folk tales reveal clear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ancestral rite norms. In the ancestral rite folk tales, for instance, there is no mention of ancestral rite procedures such as spiritualistic ceremony, first cup of wine offering ceremony, ancestral rite offerings such as spiritualistic ceremony, first cup of wine offering ceremony, ancestral rite offerings such as dojeok and soup, and ways of arranging ancestral rite offerings such as arrangement of fruits, and the beef jerky on the left and sikhye on the right on the ancestral rite table. This can be regarded as an ancestral rite practice without principles and order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norms; however, one important factor appears and it is the ‘devotion’. In other words, the logic is that the ancestors appreciate an ancestral rite that is performed with heartfelt devotion, even though the offerings consisted of only one glass of water and one bowl of rice porridge, but turn away from an ancestral rite that is performed with all the formal offerings and strict procedures without any heartfelt devotion. Furthermore, it maximizes the importance of devotion by setting a didactic morality that if the ancestors are satisfied with the offerings, blessing will be rewarded, while punishment will be inflicted if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offerings. '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keywords of the ancestral rite folk tales are devotion, appreciation, fortune, and misfortun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se elements are interdependent. In other words, the ancestors appreciation depends on devotion, while the types of fortune and misfortune depend on the ancestors appreciation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Noteworthy is the fact that appreciation and fortune and misfortune a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devotion, and thus ‘devotion’ is placed in the most central position. In fact, ancestral rite procedures are nothing but social and cultural norms set up by people. Accordingly, if the insistence on the formalities makes the spirit of ancestors uneasy, it is only external manners to perform manners, and not to serve ancestors. For example, Hwangjinsa in Tale 5 is a person who is well -versed in manners more than anyone else, but he performs the an cestral rites without formalities and without method because he fears that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s in accordance with established manners will result in making his father, who is of obscure birth, feel too uncomfortable to eat the ancestral rite offerings. This also reminds us of the fact that the basic spirit of manners is not formalities and norms but heartfelt sincerity, that is, ‘devotion’.

      • KCI등재

        조상제사와 상황화, 세계관, 그리고 성육신 선교

        목만수(Man Soo Mok)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한국 개신교에서는 교단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제사가 큰 어려움 없이 추도예배로 정착된 것 같다. 그러나 제사문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 모 교회 주일예배를 참석하는 중 대표기도 하는 분이 추석을 맞이하여 고향을 찾는 성도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예식을 참여함으로’ 믿음을 흐리게 하는 일이 없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바람직하지 못한 예식’이라 함은 물론 제사를 칭하는 듯하다. 조상제사는 신자의 가정에서 추도예배로 대치하기 때문에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결혼하여 불신자 가정에서 생활하든지 혹은 불신자 가정에서 예수를 믿게 되어 그 집안에 첫 신자가 되었을 때 제사 문제로 인한 갈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복음이 전파된 후 한국 천주교는 정부의 극한 박해를 거쳐 조상제사를 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제사문제를 우상숭배가 아닌, 조상에 대한 공경인 제5계명으로 이해하여 더 이상 교인들이 조상제사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 결과는 나름대로 조상제사에 대한 비판적 상황화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는 복음이 전파된지 약 1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조상제사에 대한 일치된 해석이 없어 신자들은 불신자 가정에서 행해지는 조상제사 의식 앞에서 어떻게 처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절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세계관(worldview)이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이다. 어떤 세계관을 가지고 조상제사를 이해하느냐에 따라 조상제사에 대한 태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조상제사의 의미는 신학적인 조명과 함께 그 문화 안에서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식, 가치, 의식구조, 평가 등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결정된다. 그 결정된 조상제사의 의미는 내부자 스스로의 상황화 과정을 통하여 현지문화에 정착이 되고, 마지막으로 그 상황화가 삶의 현장으로 이어질 때 가장 바람직한 성육신적인 선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소고는 신학적 접근으로는 조상제사와 상황화를, 문화적인 접근으로는 조상제사와 세계관을, 그리고 끝으로 삶의 현장으로 조상제사와 성육신에 대해 기술하려고 한다. 이들이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닌, 상호간에 연관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본 소고로 불신자 가정에서 갈등하는 신자들이 조상제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넓어지고 타문화 사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조그마한 선교적인 교훈이 되기를 희망한다. Although there are little variance among denominations in Korean evangelical churches, the memorial rite to ancestor has been changed into Ecclesial service without a gross hardship. However, the problem of ancestor worship has not been solved yet. During a Sunday worship service, one member prayed for those who are heading back to their hometown for the holiday. That member prayed that the people would not lose their faith by ‘practicing undesirable ritual.’ In other words, one prayed that the people of faith will not be part of ancestral worship. Ancestor worship has no longer been much of a problem for evangelical Christians, because it has been replaced by church memorial service. In contrast, Christians who have been married with non-Christians or those who could become the first believer among unbelievers’ household, conflict caused by the ancestor worship seem to be unavoidable. After the gospel had been preach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faced severe intimidation by the government and reinterpreted the ancestral sacrifices theologically. For the Catholic Church, ancestor sacrifices becomes understood as the fifth commandment as reverence of the ancestors, her followers no longer to worry about ancestor sacrifices. Korean Catholic Church seems to have achieved a critical contextualization with her own effort. However, Korean evangelical churches after 130 years, do not have the agreement on ancestral sacrifices even until present day. Believers who live at unbelievers’ family house are worried how to conduct themselves in front of ancestral rituals performed, specially whether they should bow or not. Worldview is a viewpoint overlooking the world. Depending how one perceives worldview, their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ancestral sacrifices differs. The most desirable incarnational mission is formed when the evaluation of a religious rite of the culture and contextualization happen based on theological illumination as well as on the worldview.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describe ancestor worship and contextualization by theological approach, ancestor worship and worldview by cultural approach. Last of all, ancestor worship and incarnation by the approach of actual life. It should be come across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not separate from that of another. The understanding of ancestor worship could give believers at unbelievers’ home a broader perspective about its issue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ross-cultural ministry may be able to have more insight about its matter.

      • KCI등재

        조상제사의 의미와 기억의 의례화儀禮化

        이욱(李煜)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본고는 유교의 조상 제사를 기억의 의례화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조상 제사의 목적을 근본에 보답하고 시원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제사를 구성하는 제 요소들을 조상과 후손, 시간과 공간, 절차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제사의 대상을 살펴보면 조상 제사는 그 대상이 혈연적 연속성에 의해서 정해지는 특징을 지닌다. 이것은 공적인 국가 제사나 향당의 제사가 ‘공덕功德’을 기준으로 대상을 정하는 것과 대비되었다. 그리고 제사는 죽은 영혼을 조상으로 안착시키는 의례였다. 한편, 사후死後 흩어지는 혼백魂魄의 성질 속에서 감응의 조 건과 후손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후손은 흩어지는 혼을 부르는 필수조건이며 감응을 몸소 느낄 수 있는 주체이다. 한편, 조상이 거주하는 사당과 의례의 공간이 되는 집(家)을 통해 기억의 연속성을 볼 수 있었다. 이 에 반해 주기적인 제사의 시간은 일상성 속에 매몰되는 부모의 기억을 되살리는 의례의 주요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제사의 절차는 부모에 대 한 음식의 공궤供饋를 재연함으로써 효의 실천을 보여 주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ancestral memorial services of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of ‘ritualization(儀禮化) of memory’. At first, this article understood the purpose of ancestral memorial services as rewarding one"s root and returning to the origin. It also looked at the elements of services into ancestor, descendant and procedures. As to the object of services, the descendants distinctively decided to whom they would service by the blood continuity. That is contrasted with the memorial services of state or village communities which decided the objects by charitable deeds. Memorial services was the ritual to enshrine the soul of the dead as ancestor. As the soul was believed to be scattered after death, the descendant and the conditions of sensing reaction became more important. The descendant are the one who calls back the scattering soul and feels the sensing reaction directly. The continuity of memory can be found in shrine where ancestors reside and house where services take place. Periodic service is the main method to revive the memory of parents that recedes in the routine daily life. At last, the procedure of services represented the practice of filial duty by reenacting the supporting parents with foods.

      • KCI등재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

        조우연(?宇然)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0

        국가제사는 일종의 정치적 이론장치로서, 그에 대한 검토는 고대 사회의 정치적 변동과 같은 역사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필수 작업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국가제사 중, 왕실 조상제사에 초점을 맞춰, 3세기 이전 상황 및 4∼5세기 이후의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지니는 사회ㆍ정치적 의미, 나아가 의례에서 왕실 시조 ‘주몽’의 위상 변화에 대해 살폈다. 고구려는 3세기까지만 해도 서로 혈연을 달리하면서, 또한 상당한 정치적 자주권을 유지한 나부집단이 존재했다. 따라서 국가제사 전면에는 배타적인 ‘血緣’이 아닌, 포괄적 성격의 ‘地緣’이 강조되었다. 반면 조상제사라는 ‘혈연’ 강조와 차별화를 위한 의례는 여러 나부 집단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유지되었다. 왕실조상제사의 경우, 시조묘와 종묘 2중 구조로 전개되었는데, 시조묘는 ‘부여 출자’라는 주몽의 정체성을 공통분모로, 부여출신 세력을 왕실 주변으로 아우르기 위한 장치였으며, 종묘는 신흥 국가권력인 태조대왕과의 혈연적 연관성을 통해 ‘현재’ 왕권의 정당성을 표방하기 위한 장치였다. 4∼5세기에 이르러, 국가제사에서 人鬼계열 제사가 전면에 대두되는데, 이는 국가정치가 ‘地緣’에서 ‘血緣’으로 전환되었음을 시사해준다. 4∼5세기는 강력해진 왕권을 중심으로 고구려 전반에 걸쳐 공동체의식이 확고히 자리매김한 시기로 이해된다. 그러한 공동체 의식을 성립시켜주는 상징적 매개체가 바로 ‘주몽’이었으며, 宗廟, 朱蒙祠, 登高神廟 제사와 같은 가시적인 국가제사행위를 통해 점차 확고해졌던 것이다. 다시 말해, ‘주몽’은 연맹체 세력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확고히 묶어 줄 수 있는 일종의 상상해 낸 상징적 연결고리였던 것이다. 이 연결고리를 매개체로, ‘차별화’와 ‘모방’이라는 사회적 메커니즘의 작동과 함께 구성원들 사이에서 정체성에 대한 보편적 인식이 형성되어 갔다.

      • KCI등재

        儒敎 祭禮의 本質的 意味와 現代的 意義

        최규홍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5 No.-

        Ancestral rites is consistently being done in any society in the form of all ages, but it just has the different form. Currently, general concepts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in our country means a ritual to the ancestral spirits, Ancestral rites that was introduced with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學) is a situation to be consistently discussed with preferred succession plans having been undergone many changes up to this day. Among them, the core of this paper to say is first, ‘What is the underlying reason that only performs Ancestral rites?’, Second, ‘What does Ancestral rites mean to us living today?’ The underlying purpose of the sacrifices that appears in the scriptures is to Bao-ben-fan-shi(報本反始). To bring back to the past and reciprocate for the origin is rewarding to favor of ancestors, that is to say the role of propriety. A ritual is eventually the social and cultural mechanism to look back into where I came from. Thus the purpose of sacrifice in the Confucianism is primarily in the gratitude and reward for the origin of life, the goal of Ancestral rites can be said to achieve unity with ‘spirit’ that is the root of life. Procedures of all sacrifices show that completing the sacrifices by performing a ritual that humans start from the rite of Ying-shen(迎神) meeting the spirit and hold the rite of Song-shen(送神) seeing it off. Through the course of these sacrifices, humans reveal the religious experience that goes through feel and interacts with spirit. Today, our life is a continuation of stress in free-for-all system. Even if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relax, the most basic one is to meet people who would not be nervous. Such a man is a parent, seeing parents is an opportunity to charge the animation. However, if they pass away, there are no more chances to recharge a livelihood. Therefore, the opportunity has to be created in order to feel the love of parents again, Ancestral rites is a way to meet the parents. To feel the love of parents a lot like a lifetime meeting them, it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offering sacrifices. Next, Ancestral rites is an opportunity for unity. The reason that people are arguing is because they are forgetting what we are all one, quarreling with colleagues or friends as well as we an uncertain person and finally arguing with brothers. When this happens, if brothers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parents well, what they are one and the same is confirmed by their parents. When it comes down to the moment that is the one, the brothers can live in union. In particular, today there are many families living scattered all over, even if they would like to meet in one place, it is not easy to fix a date. In such a case, they set a date when they can meet everyone at least once a year, the best date might be the anniversary of death. When it comes to the moment to verify the fact that I came from the body of my parents, it turns out to be the truth my parents and I are also in one body. If the scope is widened to not only brothers also cousins, second cousins and third cousins as the opportunity to becomes one with parents, it can be known as all existing things of the world are not different from me. When all the people of the country is one of the mind such as the family, the president is same as our parents and people is valuable such as my children. When the government ruled the country with that in mind, it is downhill all the way to govern a country. It is considered the section that the head of politics deeply has to ruminate toda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rrectly the type of sacrifices, but things to be more prioritized is to figure out the inherent spirit of sacrifice applying to the real life that we are living and look to the future direction rather than clinging to the past. 제사는 동서고금의 어느 사회에서나 형태만 다를 뿐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례에 대한 일반적 개념은 조상신에 대한 의례를 뜻하는데, 주자학과 함께 우리나라에 도입된 조상제사는 오늘날까지 많은 변화를 겪어오면서 바람직한 계승방안 등이 끊임없이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본 논문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첫째, ‘조상제사를 지내야만 하는 근원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조상제사는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던지는가?’ 두 가지에 있다. 경전에서 나타나는 제사의 근원적인 목적은 ‘報本反始’에 있다. 유교에서 제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생명의 근원에 대한 감사와 보답에 있는 것이며, 제사의 목표는 생명의 근원인 ‘신’과 일치를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제사의 절차에는 인간이 신을 맞이하는 迎神의 의례로부터 시작하여 신을 전송하는 送神의 의례를 행함으로써 제사를 마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제사의 과정을 통해 인간은 신과 감통하고 교류하는 종교적 경험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무한 경쟁체제로 긴장의 연속이다. 긴장을 푸는 것에는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기본적인 것은 긴장하지 않아도 될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 그러한 사람이 바로 부모이며, 부모를 만나는 것은 생기를 충천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그러나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생기를 충전할 기회가 없다. 그러므로 부모의 사랑을 다시 느끼기 위해서는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부모와 만나는 방법을 찾은 것이 제사인 것이다. 부모를 만나 생전처럼 부모의 사랑을 듬뿍 느끼는 것, 그것이 제사를 지내는 가장 중요한 의미이다. 다음으로 제사는 화합의 기회이다. 사람들이 다투는 까닭은 우리는 모두 하나라는 것을 망각하여 잘 모르는 사람은 물론 동료나 친구와도 다투고 끝내는 형제끼리도 다투게 되는 것이다. 이럴 때 형제가 부모의 제사를 함께 잘 지내면 부모를 통해서 서로 하나라는 것이 확인된다. 하나를 확인하게 되는 순간 형제는 화합할 수 있다. 내가 나온 곳이 부모님의 몸임을 확인하는 순간 부모님의 몸 역시 나와 한 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나라의 국민들 모두가 가족과 같은 하나의 마음이 되면 대통령은 우리의 부모와 같고 국민은 나의 자녀와 같이 소중하다. 그 마음으로 정치를 하게 되면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순조로워질 것이다. 오늘날 정치의 수장들이 깊이 되새겨야 할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제사의 형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제사를 지내는 본래적 근본정신을 파악하여 우리가 살아가는 실생활에 원용하면서 과거에 대한 집착보다는 미래의 방향까지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日本의 都市家族移動과 祖上祭祀의 變容

        조기호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오늘날 일본인들의 도시인구현상을 접하면서 일본에 있어서 도시를 향한 가족의 이동에 따른 조상제사가 어떻게 변용되어왔는가를 민속학적인 방법으로 고찰하는 점이 본고의 연구목적이다. 민속학은 도시를 벗어난 ‘탈(脫)도시의 학문’으로 이뤄지는 것을 원칙에 가깝게 생각했다. 그러나 서비스사회에 들어선 이후 오늘날에는 이상의 농․산․어촌 등의 촌락이 어디라 할 것 없이 급속한 인구이동으로 도시화되었고 앞으로는 더욱더 도시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촌락 나름대로의 자율적질서가 옛날과 같이 존재하지 않다고 진단된다. 일본인이 조상제사를 중히 여기는 면에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이미 ‘저 세상(彼岸)’으로 가버린 고인(故人 또는 죽은 자)을 신격화하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향(香)을 사루는 일이 꼭 고인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유족 즉 후손으로서 위로를 받는다는 사고체계가 강하다는 점이다. 둘째, 만일 ‘죽은 자’가 기뻐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보면, ‘조상이 죽지 않았다’는 의식이 작용된 셈이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필자의 의문에 대한 답으로서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일본인의 도시에 인구가 집중하는 현상은 한국과 그다지 다르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한국인에 비하여 도시를 향해 이사하는 비율은 현격하게 낮아 보인다. 그것은 일본의 국가적인 정책으로 인하여 ‘이사 비용의 고가’ 등이 작용되어 있어 보이고, 한편으로는 일본인들의 각종 자연재해가 일어날지라도 전통적인 생활양식에 따라 무상감(無常感)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일본인들의 인생관’이 여타의 국가들과는 달리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의 상가(喪家)․사이조(祭場)․사찰(寺刹)․신사(神社)를 비롯, 화장장․묘지 등에서의 느낌은 조상숭배정신이 커 보인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고를 연구함은 유(有)의의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 같은 견해에서 출발하는 본고를 기술함에 있어서 적어도 이 방면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이 요청된다. 나아가 ‘도시가족으로의 이동에 따른 조상제사’라는 본론과 그 아래 도시가족이동과 조상제사의 변용과 그 실제에 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판단, 이 점들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해보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ith a folklore methodology how the ancestral rites have changed according to migration of families toward cities in Japan as seen in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in contemporary Japan. Folklore has so far been regarded as ‘a discipline outside of city’. Yet now in an age of service society, the villages in farming, mountainous, and fishing areas have been urbanized with the rapid movement of population. And this drift is expected to accelerate further in the future. Therefore, we can no longer find the autonomous order, which once governed the village life of the past. There can be many views of the Japanese respect for ancestral rites. First, it could have come from the traditional custom that deifies the deceased who passed away to ‘the other shore(彼岸)’. It gave rise to the idea that burning incense to them is not only for the deceased but also for the living to be consoled. Second, seen in the perspective that the deceased can be pleased with the rite, the respect for the ancestral rites show people’s belief that their ‘ancestors did not die’. However, this is not enough to answer the questions this paper raises.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in Japan seems to be similar to that in Korea. But compared to Korean people, remarkably low percentage of Japanese people seem to move to city areas. The reason could be found in the ‘high price for moving’ due to the national policy of Japan. Another reason might be found in the ‘sentiment of Japanese people’, who are used to living with an awareness of the meaningless of the world despite, or due to all those natural disasters that have frequented Japan. Nevertheless, the impression I received at the houses of mourning, Saijo, temples, Shinto shrines, crematoria, and cemeteries seems to testify to the spirit of respect for the ancestors.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found in this aspect.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literature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Further, this study demanded the main theme of ‘ancestral rites according to the drift to urban family’ and detailed research into the movement of family to urban areas as well as the changes and practice of the rites.

      • KCI등재후보

        조상제사에 관한 개혁주의 선교신학적 접근

        배춘섭 개혁신학회 2019 개혁논총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problem with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in Korea, which flourishes in the current missionary scene, from the reformed mission theological persp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 and traditional culture becomes a critical subject when doing missionary work in a foreign culture. Preaching the Gospel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cultural background causes difficulties in the missionary work as the religion may be perceived as an exotic religion by the local people. On the other hand, if the Gospel is blended into the culture to become peripheral and cultural, the syncretism of religion becomes inevitable. In this regard, studies on the ancestral rites ought be done by quantum steps with both cultural anthropological and religious phenomenological approaches. Particularly in the history of Korea, the ancestral rites has been treated differently by the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eason why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is still continued in Korea by examining the social functions of the ancestral rites. Moreo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is not a unique cultural heritage of Korea, but is a vestige of Confucianism from China. Last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 why the Protestant Church has been regarding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as an idolatry and, thus, denied it, from both historical and biblical theological perspectives. Ultimately, the paper addresses the reformed mission theological approaches to discuss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Accordingly, the study calls for the need of the ‘Transforming Mission’, which involves spreading of the Gospel with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for transformation of the culture that is corrupted with sin of people, while avoiding spreading of the ‘Contextualized Theology’ through the theory of culture-dominated missionary work.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선교현장에서 성행하는 조상제사의 문제를 개혁주의선교신학적 관점에서 제시하기 위함이다. 복음과 문화의 관계는 타문화권에서 선교할 때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된다. 타문화에 관한 이해가 전혀 없이 복음을 전파하면, 현지인들에게 외국종교로 인식되어 선교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반면 복음이문화에 흡수되어 지엽적이고 문화적 복음이 되면 혼합주의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점에서, 조상제사는 문화인류학적 접근과 종교현상학적인 연구를 양자적으로 해야 한다. 특히 역사적으로 한국에서 조상제사는 천주교와 개신교의 접근방식이 서로 달랐다. 따라서 본고는 조상제사가 지닌 사회적 기능을 살핌으로써 현재까지도 조상숭배가 그치지 않는 이유를 답변한다. 그리고 한국의 조상숭배는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중국으로부터 전래 된 유교적 산물임을 밝힌다. 또한개신교회는 어떤 이유로 조상제사를 우상숭배로 간주하고 거부했는가를 역사적과정과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저자는 조상제사에 대한개혁주의 선교신학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것은 문화우위적 선교방법론을 통한 ‘상황화 신학’을 피하고, 문화이해를 전제한 복음전파를 통해 죄로 오염된 문화를 변화시키는 변혁적 선교(Transforming Mission)를 실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 KCI등재

        제사 설화의 전승의식과 가족공동체의 문화적 의미

        류명옥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0

        The legend of the rite is passed down around the ritual for ancestors. One type of ritual tale that is handed down is ‘a story that the spirit causes due to lack of sincerity.’ The folktale of the rite, which is handed down in the oral tale, tells little about the formalities of the rite, and mostly about the sincerity or mindset of the rite. The meaning of devotion, which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folklore of ancestral rites, is mainly to require the preparation of food for ancestral rites. nyone can agree that they should pay close attention when holding a memorial service. However, behind the preceptual theme of preparation of sacrificial food with due care is limited to women who are daughters-in-law. For women who had to pay close attention, the ritual of sacrificial rites had an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and the meaning of devotion had to be rigid. In the folktale of the rite, sincerity is taken as the meaning of labor by women. However, the tales of ancestral rites are still handed down today, and some are handed d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nging times. According to the folktale of the current rite, women'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labor continues. However, problems that were limited to women appear to change in two directions. First of all, women raised the issue of the need for ancestral rites, leading to marital conflict, which changed their view from women to marital problems. And the folktale of the rite changes into a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The folktales criticizes men who are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ritual due to their busy lives or forget the date of the rite. Men increasingly don't value ancestral rites and women fill their vacancies. Women prepare food for ancestral rites that men cannot participate in and take the initiative in holding rituals. The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s of ancestral rites, which were either the eldest or male-centered, weakened and the role of women expanded. As the view of generational conflict changes, men become less interested, and women perform ancestral rites with previous responsibilities. In this era of weakening intergenerational ties, the tales of ancestral rites seem unlikely to be handed down anymore, but they are still changing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how the culture of paternal ancestral rites is changing in the present,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how the center of modern families are changing. 제사 설화는 조상에 대한 의례인 제사를 지내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구비 전승되는 제사 설화의 유형으로 ‘정성이 부족해서 혼령이 해 끼치는 이야기’가 있다. 구비 설화에 전승되는 제사 설화는 제사의 격식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제사를 지내는 정성 또는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처럼 제사 설화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정성의 의미를 살펴보면 주로 제사 음식을 깨끗하게 준비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제사를 지낼 때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다. 그러나 제사를 정성껏 준비해야 한다는 교훈적인 주제의 이면에는 제사 음식을 정성껏 준비해야 하는 대상이 며느리인 여성으로 한정되어 나타난다. 정성을 기울여야 하는 여성에게 제사라는 의례는 과도한 책임감과 부담감을 가지게 하여, 정성이라는 의미가 경직될 수밖에 없다. 제사 설화에서 정성은 여성들에게 노동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하지만 제사 설화는 현재에도 여전히 구비 전승되고 있으며 변하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전승되는 설화들도 있다. 금기시되어 온 제사 음식을 올리는 설화나 제사 지내는 시간을 현대에 맞게 바꾸는 설화를 통해서 제사의 의미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전승되는 제사 설화를 보면 여성이 제사의 불필요함을 남편에게 토로하면서 과거에는 고부 사이에 중요한 문제였던 것이 부부의 갈등으로 관점이 변화되었다. 그리고 제사 설화는 세대 간의 갈등으로 변화되어 나타난다. 설화에서 바쁜 생활로 제사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제사 날짜를 까먹는 남성들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다. 남성들은 점점 제사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며 남성들의 빈자리를 여성들이 채우고 있다. 남성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제사에 여성이 음식을 준비하고 제사를 주도적으로 지낸다. 장자 또는 남성 중심적이었던 제사의 세대 간의 연대는 약화 되고 여성들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세대 갈등의 관점으로 변화되면서 남성들은 관심이 없어지고, 여성들은 이전의 책임감으로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처럼 세대 간의 유대관계가 돈독하지 못한 지금 시대에 제사 설화는 더 이상 전승되지 않을 것 같지만 여전히 제사 설화는 변하는 시대에 맞추어 변화되고 있다. 부계중심의 제사 문화가 현재에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제사 설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러한 모습은 현대 가족의 구심점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를 가늠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朝鮮前期의 祖上祭祀 - 이이(李珥)의 『제의초(祭儀抄)』를 중심으로 -

        윤영기(Yoon, Younggi)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2 No.-

        「제의초(祭儀抄)는 이이(李珥)가 「격몽요결(擊蒙要訣)」 제7장 〈제례장(祭禮章)〉을 보충하여 썼으며, 그 내용은 사당도(祠堂之圖) · 정침시제도(正寢時祭之圖)·매위설찬도(每位設饌之圖)·출입의(出入儀)·참례의(參禮儀)·천헌의(薦獻儀)·고사의(告事儀)·시제의(時祭儀)·기제의(忌祭儀)·묘제의(墓祭儀)·상복중행시제의(喪服中行時祭儀)이다. 이는 제사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 점에서 조상제사 교본서라 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이전 조선시대 전기(前期)의 제사 형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사당도·정침시제도·매위설찬도는 석 점의 그림으로 신위(神位)와 후손의 서립(序立) 위치, 제기(祭器)의 진열 자리와 함께 제물의 상차림을 나타내고 있다. 출입의·참례의·천헌의·고사의는 「격몽요결」 제례장의 ‘신알례(晨謁禮)’와 함께 사당에서 행하는 의례이며 시제의·기제의·묘제의는 장소와 관계없이 선대(先代)에게 올리는 제사로 준비하는 과정과 절차를 중요시 한다. 제사 준비는 산재(散齋)와 치재(致齋)를 하고, 제기와 제찬(祭饌)을 진설하였으며, 복장은 관직이 있고 없음에 따라 다르다. 제사 절차는 참신(參神)·강신(降神)·진찬(進饌)·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유식(侑食)·합문(闔門)·수조(受胙)·사신(辭神)·납독(納櫝)·철제찬(撤祭饌)·준(餕)의 순서로, 대상과 장소에 따라 가감된다. 고려 말 이후 기준이 되었던 『주자가례(朱子家禮)』는 송 대(宋代)의 의례이며 「제의초」는 조선시대의 의례를 적었다. 조선시대의 제사는 의례라기보다 생활의 일부분으로, 본래의 의미는 먼저 살아계신 부모에게 효도를 하고 사후에는 다하지 못한 공경을 표현하는 데 있다. 집안의 자녀들은 선대에게 올리는 제사를 통하여 웃어른에게 행하는 가장 극진한 행동을 자연스럽게 익혔다. Jeuicho(祭儀抄) written by Yulgok Yi I, is a supplement of Chapter 7 Jeryaejang(祭禮章)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comprising Sadangdo(祠堂之圖) and ten (10) elements : Jeongchimsijedo(正寢時祭之圖), Maewiseolchando (每位設饌之圖), Choolibui(出入儀), Chamryeui(參禮儀), Cheonheonui(薦獻儀), Gosaui(告事儀), Sijeui(時祭儀), Gijeui(忌祭儀), Myojeuj(墓祭儀), and Sangbokjunghaengshijeui(喪服中行時祭儀). In the context of explaining the procedures related to the preparation and practice of Jesa (ancestral rite), with proper attention to details, Jeuicho may be deemed as the text book of ancestral rites, and a significant publication the provides insights on the Jesa during the early Joseon Dyanasty. Furthermore, it assists its readers to comprehend the procedures by annexing three schematic drawings of Sadangdo, Jeongchimshijedo, and Maewiseolchando that illustrates the position of the shrines and descendants, display of ritual dishes and what do be served. Choolibui, Chamryaeui, Cheonheonui, and Gosaui, together with Shinalryae(晨謁禮) are held at shrines, which are the same with the daily proprieties to elders. After death, the deceased is not isolated with reality, and is honored and served in a shrine as an elder of the household until his/her serving generation comes to date. Sijeui, Gijeui and Myojeui are ancestral rites held regardless to the venue. These emphasize on the preparation and procedural aspect of Jesa. Preparation is distinguished to three major steps: the first step of Sanjae(散齋) and Chijae(致齋), the second step of setting Jegi(祭器), Sacrificial utensils) and Jaechan(祭饌, ritual foods), and the costumes for ancestor worship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fficial positions. In the Korean culture, ancestral rites is a part of daily life, rather than a ritual, whereas people serve their parents when living, and pay their respect after death. The children of a family naturally learn the practice to respect elders through ancestral rites.

      • KCI등재

        宋代 祖上祭祀와 祭禮의 再構想 : 계급의 表象에서 宗族결집의 수단으로

        육정임(Yuk Jung-im)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7

        중국에서 조상 숭배는 가족 내 윤리와 종교의 문제였으나, 그 숭배의 표현인 제례는 정치적 · 사회적 서열과 차등을 규정하는 정치적 규율의 일부였다. 조상의 세대수, 제사 의식을 거행하는 시설, 제사의 빈도, 제물의 종류와 수량 등 모든 항목이 계급과 정치지위에 의거해 차등적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세습적 신분제를 기초로 한 家廟제도는 지위 세습의 보장이 없고 지배층으로서의 지위가 불안정한 송대 지배계층인 사대부에게는 특권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들은 제례의 재설계를 요구하고 새로운 제례를 추구했다. 한편 대중 사회에서는 신분차별적인 국가 제례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墓祭를 중심으로 불교 · 도교적인 요소가 혼합된 제사가 오랜 전통을 이어오고 있었다. 지배계급의 지위를 드러내고 대중사회의 습속과 구별되는 祭禮를 추구했던 사대부들은 점차 계급의 우월성보다는 계급과 신분의 차이를 초월한 공통의 제사 의식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가묘의 대안으로 影堂, 祠堂을 가택에 설치하고 대개 3대 조상까지 제사를 지냈다. 그것은 계급의 유지가 어려워진 사회적 조건하에서, 사대부 지위를 후손에게 유지시켜 나갈 수 있도록 종족의 협력과 결집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제례에 관한 많은 논의와 제안이 있었지만, 당시 사회의 지지를 받은 것은 계급의 한계를 초월한, 종족의 결집에 유용한 제사 방식이었다. 張載, 程?, 朱熹 등 道學 계열의 유학자들이 제시한 계급의 제약을 파기한 개혁적인 조치들, 즉 祠堂의 설치, 神主의 사용, 4세조까지의 常祭, 시조 · 원조 제사의 허용 등이 보다 넓은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이들 유학자들은 종족 결합의 명분을 위해, 고대 제례의 계급 차별 원칙 대신 당시 墓祭 등 대중적 제사 의식을 유교적으로 해석하며 수용했다. In China, the ancestor worship was the matter of domestic ethics and religion, yet the sacrificial ritual as the expression of worship was an integral part of political order regulating the socio · political order and differentiation. The ordinance specified details such as the number of ancsestors, the facilitity of the worship, the frequency of worhip and the kind and quantity of sacrificial offerings depending on the class and the political rank. However, the family shrine 家廟 system based on the inherited social status structure did not guarantee secure succession of class status and provided no privilege to the Song's ruling class scholar-officials 士大夫. They demanded restructuring and sought a new form of ancestral rite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general populace, the ritual based on the grave-side rites 墓祭, which was relatively free from frameworks established by the discriminating ordinance, had long been practiced with influences from Buddhism and Taoims. Song elites, seeking ways to display their social status and to develop their distinguishing means of worshiping their ancestors from those of the general populace, came to feel the need for a ritual formulation, as a means of encompassing classes instead of exhibiting their social superiority. They built in their residence image halls 影堂 and sacrificial halls 祠堂 in place of the family shrine to offer rites to three generations upward. They were feeling the crunch to drum up the cooperation and unification of the descent group to ensure succession of their shidafu status to their descendants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where the inheritance of the social status was not guaranteed. Of the man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the most widely supported was the form of ritual that was effective in tightening the bond among the descent group, which extended beyond the status limitation. Progressive ideas that removed the status limitation as suggested by leading Neo-Confucianists including Zhang Zai 張載, Cheng Yi 程?, and Zhu Xi 朱熹 were more widely accepted. These included the establishment of sacrificial hall, adoption of the spirit tablet, rites up to 4th generation and the legalization of rituals for the originator and distant ancestors. These Neo-Confucian scholars accepted the popular grave-side rites under the umbrella of Confucianism, in place of the class-discrimination of the old ancestral rituals, justifying it as a means of boosting the solidarity among the descenda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