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수 패션필름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분석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적 젠더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

        김규연,김종선,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3

        오늘날 젠더 이분법의 해체와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논의들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패션에서도 남성성과 여성성의 경계가 점차 흐려지는 젠더리스 패션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향수는 아직까지 남성 제품과 여성 제품의 구분이 뚜렷하며 향수 광고에서는 전통적인 젠더 이미지를 따르는 방식으로 몸을 통해 섹슈얼리티를 표현한다. 이에 따라 매체에서 표현되는 젠더 정체성의 구성 방식에 비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향수 패션필름에 나타난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도출하고 패션필름의 어떠한 요소를 통해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버틀러는 당연시되는 젠더 개념이 지배문화와 억압적 권력의 효과이며 원본적인 젠더는 없다고 주장한다. 정체성은 주체의 반복된 행위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성되고 가변성을 가지며, 종결된 지점을 갖지 않고 과정 중의 정체성을 구성한다. 주체의 반복된 수행적 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21개의 향수 패션필름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패션필름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정체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종과 동화의 정체성은 여성이 체제가 부여한 환경에 복종하는 행위를 통해 나타났으며 색감의 통일과 강요된 여성의 몸 이미지 표현을 통해 강조되었다. 둘째, 저항적 정체성은 구조에 흡수되지 않는 독립적인 행위를 통해 드러났으며 몽타주 요소는 역동적 이미지를 부가시켰다. 셋째, 관계 주도적 정체성은 주변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두드러지며 일에 열중하고 관계를 리드하는 여성의 행위가 나타났다. 남성의 동작과 퍼포먼스는 대등하거나 선망이 되는 여성을 표현하는 보조적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환상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비현실적으로 조성된 공간은 여성 정체성의 형성 조건을 제공한다. 여성은 공간에 종속된 존재로서 비일상적 행위, 신체 노출을 통해 대상화되었다. 향수 패션필름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젠더 정체성은 반복된 수행적 행위의 결과물로서 정체성의 일부를 구성하며 패션필름 내에 구성된 체제는 지배문화를 대변한다. 패션필름을 구성하는 동적 이미지와 시청각적 요소는 정체성 표현에 역동성을 더하며 독창적인 이미지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버틀러의 주장을 토대로 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분석하는 것은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젠더 개념의 양상을 계보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Debates associated with breaking gender dichotomy have become more critical subjects along with the genderless trend in the fashion field. However, in the perfume industry, it is still using distinct gender division and its advertisements emphasize sexuality through body images following traditional gender characteristics. It raised the need for a critical approach on how gender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expressed in media. Based on the review of Judith Butler's theory of gender identit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women's gender identity in perfume fashion films and what elements of fashion films represent. Butler argues that gender is the effect of governing culture and there is no original gender. Through performativity, identity is temporarily constructed and constitutes the identity without having a final point.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21 perfume fashion films released through YouTub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obedience and assimilation occurs through women's submissive behavior in an assigned environment and is emphasized through the unified color tone and forced body image. The resistive identity was revealed through independent actions not absorbed by the structure, and the montage element adds a dynamic image. Relationship-driven identity stands out through relationships with men. Women are engaged in work and evenly treated as men, and men's actions express the aspiration after women. Lastly, unrealized space provides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women’s fantastic identity. Women are space-dependent and objectified through non-routine behavior and body exposure. Performativity is what forms women’s gender identity, and the system within a perfume fashion film represents a dominant culture. The moving image and audio-visual elements add dynamics to the expression of gender identity and enable creative image delivery. Analyzing the women’s gender identity in the media based on Butler's theory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rpret the fashion through a genea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통해서 본 ‘젠더’

        권순정(Kwon, Sun-Ju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의 젠더의 의미가 섹스의 불변성을 토대한 반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산물이므로 본질의 존재 자체를 부정한다. 그럼에도 기존의 논의들이 고정적 정체성을 가정하는 이유는, 버틀러의 논의에 의하면 인간존재의 이상적 모델로 설정해 놓은 가상의 세계가 혹은 담론이 의도하는 젠더가 ‘본질’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젠더는 그러한 가상의 세계를 패러디하는 정체성으로, 권력에 반복해서 복종하는 정체성으로, 제도의 금기를 내면화하는 우울증적 정체성으로 드러난다. 말하자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통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가지의 논점을 통해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화할 것이다. 즉 이 연구는 정체성의 본질이 가상임을 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통해 증명하고, 젠더 주체가 주권적 자율성을 가진 주체가 아니라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수행적 주체임을 증명한다. 『도덕의 계보』는 선·악의 구도가 인간이 설정한 이상, 즉 이분법적 구도로부터 출현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본질’의 의미를 깨뜨린다. 이 논의는 젠더 정체성의 고정성이 권력의 책략일 뿐이라고 말하는 버틀러의 주장을 정당화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언급되는 근대 주체에 대한 논의는 본질적 정체성을 가지지 않는 인간 존재가 제도 담론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논한다. 이 논의에서는 젠더가 어떻게 주권적 주체인 것처럼 형성되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수행적 주체임을 말하고자 한다. 그의 수행적 주체는 제도 담론, 즉 이성애적 이데올로기와 남근로고스중심주의의 분류를 통해 형성되고, 그것을 수행함으로써 비로소 사회의 성적 주체가 된다. 따라서 그의 젠더는 총체성이 영원히 보류되고, 주어진 시간대에 완전한 모습을 갖출 수도 없는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날 뿐이다. 버틀러의 젠더양상들, 즉 패러디적 정체성, 반복·복종의 정체성, 우울증적 정체성은 본질을 상실하고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버틀러의 젠더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의 수행적 주체는 역사의 우연성 속에 존재하는, 변화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clarifies the meaning of Judith Butler‘s gender. While the meaning of gender has been dependent on constant quality of sex, Butler‘s gender is a product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Butler‘s gender identity is of no essence. Butler‘s gender is regulated by the performative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first, with genealogy of moral written by F. Nietzsche, this thesis refutes the point of view that identity essentially is being. According to genealogy of moral, good and evil are established on the assumption of human idealism. By exposing that they precisely appear in binary system, meaning of the essence is destroyed. According to Butler, it is only through the ruse of power that gender identity is fixed. Second, this thesis refuses the point of view that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It seems as if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even though it is performative subject that acts on discourse. That is because of the performative of subject.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is formed by the system of discourse, more specifically, by consolidation of heterosexist and phallogocentric power regime. If they performed it, then, they become a sexual subject within society. Thus, gender is only a complexity whose totality is permanently deferred, never fully what it is at any given juncture in time. It appears in the context variously. Parodic identity that does not assume that there is an original, the identity of iterabilitive and subjective gender that does repetitively perform power, and melancholic identity that internalizes taboo of system or ritual all together are gender‘s appearance. They do not have essence. And they perform the system of discourse. Thus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enters existence of the contingency of history, and it recognizes that endless change is its destiny.

      • KCI등재

        여성의 범주와 젠더정체성의 법적 수행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2 이화젠더법학 Vol.4 No.2

        이 논문은 가부장제가 규정하는 여성의 개념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자연적 본성을 가장한 여성 범주가 일종의 가부장제 신화라면, 그리고 그것이 여성들에게 부당한 억압과 불평등을 초래했다면, 여성들은 스스로 자신의 성정체성을 형성하는 동시에 여성 억압을 초래한 가부장제 여성범주를 넘어설 필요가 있다. 나는 여기서 젠더정체성은 자연적으로 혹은 본질적으로 주어진 것이라는 생각을 비판하고, 젠더정체성은 실천을 통하여 형성된다는 젠더수행성을 주장한다. 버틀러의 젠더수행성을 수용하고 발전시킨 후, 그것을 토대로 젠더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물음을 물을 것을 제안한다. 나의 논의에 의하면 젠더는 자연적 범주나 형이상학적 범주가 아니라, 규범적인 동시에 정치적 범주이다. 즉 여성이나 젠더정체성은 타고난 것도 아니고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므로, 여성이란 무엇이며 젠더정체성은 무엇인지 하는 물음은 잘못된 물음이다. 여성 및 젠더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물음은 어떤 여성이 바람직한 것인지(혹은 어떤 여성성을 추구해야 하는지), 어떤 젠더정체성을 추구해야 마땅한지 묻는 것이다. 그리고 젠더의 수행은 모든 영역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법적 영역(법의제정과 개정 및 해석과 적용 등)에서도 젠더 수행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젠더의 법적수행은 어떻게 가능한지 세 가지 역할을 제안하고 그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reexamine critically the patriarchal concept of woman. If the woman concept of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ies is a kind of myth, and is causing unjust oppression and inequality for women, we have to transgress the patriarchal concept of woman. I argue that the gender identity based on the nature of women is a myth of patriarchy, and I suggest the performativity of gender. The term“performativity” is taken from Judith Butler’s idea, namely, gender identity is formed through the practice and performative effects of gender. Gender identity is naturally not given, rather it is constituted as a result of practice. According to my discussion, gender is not a natural or metaphysical category, but normative and political categories. The concept of woman, or gender identity is not innate nor natural given. So, ‘What is the nature of women?’, ‘What is gender identity?’ are wrong questions. The correct question for the women’s and gender identity are these: What is the desirable gender identity?, What gender identity will you pursue? This question is also valid in the area of the legal system. The performativity of gender needs to be done in all areas, including legal area (such as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law and its interpretation). How is it possible to perform gender in the legal area? Here, I propose three kinds of roles of the legal performativity of gender and discuss about the direction.

      • KCI등재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

        성례아(Re-A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1

        영상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많은 것을 접하게 하여 자연스러운 학습을 유도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을 사회화시킴은 물론,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 재현은 중요하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의 재현 방식은 시각정보를 통한 재현방식과 내러티브를 통한 재현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내러티브를 통한 재현방식이 시각정보의 재현방식을 더욱 확고히 해줌을 알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의 양상을 살펴보면, 보수적이고 상업적인 이데올로기를 투영하는 젠더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캐릭터와 젠더 고정 관념에서 탈피하고자하는 캐릭터로 구분되어 진다. 그러나 젠더 고정관념을 탈피하고자하는 캐릭터의 재현 역시 젠더 역할의 과장이나 희화를 통한 비판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은, 여성이나남성으로 구분되는 스테레오타입으로 재현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주체적으로 형성해 가는, 미래지향적인 젠더 정체성을 가진 캐릭터들로 재현되어야 한다. 미래지향적인 젠더 정체성을 재현하는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자아 개념과 젠더 역할을 심어주며, 이미 획득된 전통적인 젠더 정체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image calls forth the curiosity of the children. children experience the many thing through the image and it makes children to study naturally. Specially, the animation socializes children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 of a self-identity. The gender-identity reappearance of the animation character is important. Gender-identity reappearance type of the animation character is able to classify with the reappearance type of visual information and the narrative. The narrative reappearance type does more clearly visual information reappearance type. Also classifying the gender-identity of animation character aspects into each type, they are; gender stereotype that character reflects the conservative and commercial ideology; gender non-stereotype that character doesn't reflect gender stereotype. But reappearance of the gender non-stereotype character as well, it is stopping in the exaggeration or the caricature of gender role of the character. Consequently the animation characters must be reappeared with the character which have the future oriented gender identity-as one human being that forms a value subjectively. The animation which reappears the future oriented gender-identity plants a proper self-perception and gender role in children and relaxes the traditional gender-identity which is already acquired.

      • KCI등재

        청소년소설 여성 인물의 젠더 정체성 연구

        박경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Gender Identity of Female CharactersAdolescent NovelsKyunghee Park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se gender performance of female characters and understand the aspects of gender identity in adolescent novels.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novel discourse based on Judith Butler’s gender performance and gender identity theory. The conten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yers of gender identity patterns in six adolescent novels, focusing on the family types of adolescents and the gender performance experienced by female charac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orming gender identity through gender performance caused by social oppression and violence of family power, which consistently appear in female characters in adolescent novels, were confirmed. This study will recognize the meaning of gender identity for adolescent novel readers to form their true self. Key Words: Adolescent Novels, Female Characters, Gender, Gender Identity, Family 청소년소설 여성 인물의 젠더 정체성 연구박 경 희** 요약: 젠더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청소년을 다룬 청소년소설에서도 젠더 정체성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연구 목적은 청소년소설의 서사에서 여성 인물의 젠더 수행을 분석하여, 젠더 정체성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과 젠더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소설 담론의 방식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6편의 청소년소설에서 청소년의 가족 유형과 여성 인물이 겪는 젠더 수행을 중심으로 젠더 정체성 양상 층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소설의 여성 인물에게 일관되게 나타나는 사회적 억압과 가족 권력의 폭력에 기인한 젠더 수행을 통한 젠더 정체성을 형성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소설 독자들이 진정한 자아를 형성하는 젠더 정체성의 의미를 인식할 것이다. 핵심어: 청소년소설, 여성 인물, 젠더, 젠더 정체성, 가족 □ 접수일: 2022년 3월 25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11199). ** 송원대학교 한국어교육과 강사(Lecturer, Songwon Univ., Email: kupkh@hanmail.net)

      • KCI우수등재

        한국인의 젠더정체성과 젠더갈등

        김기동(Kim, Gidong),정다빈(Jung, Da Bin),이재묵(Lee, Jae Mook)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4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을 통해 생물학적인 성별이 아닌 사회학적인 젠더정체성을 이용하여 젠더갈등을 분석한다. 특히, 젠더갈등에 대한 간접적인 측정방식에서 벗어나,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내집단 성별과 외집단 성별을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정서적 태도격차로서 표현되는 젠더갈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은 성별과 소속집단에 따라 그 수준이 상이하다. 둘째, 사회정체성 이론이 제시하듯이, 젠더정체성이 높을수록 젠더갈등의 수준도 높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 셋째, 다른 연령집단보다 20대가 더 높은 젠더갈등 수준을 보인다. 넷째, 젠더갈등 수준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정당정치에서의 정서적 양극화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젠더갈등의 정치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We examine gender identity and gender conflicts among South Koreans. By measuring gender identity, we analyze gender conflicts via sociological gender, instead of biological sex. In addition, rely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we provide direct measures of gender conflicts based on in-group and out-group gender. According to our findings, first, the level of gender ident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one’s sex, income level, residence region, religion, and partisanship. Second,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gender identit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And, this pattern is more salient among women than among men. Third, the twenties are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o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Lastly, as individuals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partisan affective polarization as well,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politicization of gender conflicts.

      • KCI등재후보

        뮤지컬 『 헤드윅 』 , 『킹키부츠』 에 나타나는 젠더의 정체성

        오지민(Ji min Oh),장혜원(Hye won Ja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2 No.3

        1960년대 인권운동의 영향으로 동성애나 자유, 평화 등이 현대 사회문화 전반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다. 퀴어 코드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동성애, 드랙킹/퀸, 바이섹슈얼, 트랜스젠더, 기타 성소수자들의 정체성을 둘러싸고 다양한 담론들이 생산되었다. 이 담론들은 뮤지컬 에도 영향을 끼쳤고 그 중 뮤지컬 <헤드윅>, <킹키부츠>는 각각 트랜스젠더와 드랙퀸을 직접적인 소재로 삼았다. 여기서는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가운데, 젠더의 역할, 모방성, 수행성, 에고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헤드윅>과 <킹키부츠>에 나타나는 젠더의 정체성은 사회의 보편적인 성을 표방하면서 주체의 재의미화를 도모하는 특징을 갖는다. 결국 두 작품의 주인공의 경우 주체가 호명에서 복종하지 않는 잉여물들이 현재의 권력에 대립하고 전복하지만, 이는 단순히 규범 속 권력의 재배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즉 이미 사회규범상 정해져 있는 젠더의 역할 속에서 남자와 여자라는 보편적인 성 역할을 치환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인공의 정체성은 젠더와 같이 유동적인 의미를 가지며, 다중적인 젠더 정체성은 주체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동시에 전복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해준다. 이러한 주체에 대한 재의미화 시도는 기존 성, 젠더, 섹슈얼리티까지 전복시키며 한 인간의 성향과 주체적 인 자아 정체성을 상징화한다. Homosexuality, liberty, and peace have created a new paradigm in the whole modern social cultur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human rights movement in the 1960s. Typically, queer has a variety of discourses about their identity, collectively referring to homosexuality, drag queen, bisexual, transgender, and other sex minorities. These discourses also influenced musical theater, among those productions, <Hedwig> and <Kinky Boots> made transducers and drag queen respectively as direct material. In this study, Judith Butler s gender identity theory analyzed musicals focusing on the keywords of gender, imitation, performance, and ego. The identity of gender in <Hedwig> and <Kinky Boots> is characterized by promoting beautification of the ashes of the subject while expressing the universality of society.

      • KCI등재

        페미니즘, '정확한 희망'의 임계 : 『소녀들-K-pop 스크린 광장』, 여이연, 2017 『그런 남자는 없다-혐오사회에서 한국 남성성 질문하기』, 오월의 봄, 2017

        임세화 ( Yim Se-hw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이 글은 '소녀'와 '남성'이라는 각 젠더 주체를 입각점으로 삼아, 젠더가 자명한 실체가 아니라 역사상의 결절 속에서 서로를 대타항으로 두고 재구성되는 이데올로기적 산물이라는 점을 추적한 『소녀들』과 『그런 남자는 없다』를 경유하여 지금-여기의 젠더 정치와 대항 서사로서의 젠더 재현이 함의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소녀들』과 『그런 남자는 없다』는 오늘날 페미니즘의 최전선에서 가장 문제적 화두 중 하나인 젠더 정체성의 계보를 탐사한다. 궁극적으로는 남성중심사회의 공고화에 젠더 규범과 이원적 젠더체계가 어떻게 공모하며 작동해왔는지, 그 질서 안에서 개별 주체들이 어떻게 역사화되며 자기보존과 변신을 꾀해왔는지를 규명하며, 고정된 '젠더정체성'에 대한 통념을 깨뜨린다. '남성성'과 '여성성'은 한 시대의 질서와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하는지, 그 질서의 편재 하에 사람들에게 무엇이 사유될 수 있고 경험되고 정해지는지를 보여주는 표징이다. 근대국가는 언제나 이상적인 '남성성/여성성'을 제시하고 규율해왔지만, 젠더성과 젠더 규범은 자명한 범주가 아니다. 오히려 '남성성/여성성'은 서로를 대타항으로 두고 상호 구성적으로 정립되는 헤게모니적 구성물이다. 특정 젠더 주체가 스스로를 어떻게 호명하고 재현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곧 위태로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인입을 승인하는 장치로서의 '젠더'와, 젠더 이외에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준거들에 대한 성찰을 요청한다. 이제 '페미니즘'은 '차별'에 대한 문제제기와 폭로에서 나아가 '여성성/남성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발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젠더성-젠더규범에 대한 타자화와 위계화는 결코 동질화될 수 없는 '성 정체성(남성성/여성성)'을 균질적인 것으로 착시하게 하고 계급과 계층, 인종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별과 불평등을 은폐해왔다. 이원화된 젠더 분할은 특히 '노동'과 '자본'을 가치화하는 과정에서 그 차별적 구조를 내면화하도록 만드는 장치로 기능했다. 성차는 보편적이거나 고정적인 것이 아니며, 사회적으로 코드화되는 성질의 것임에도 불구하고 '남성성'과 '여성성'은 서로를 '구성적 외부'로 두고 분리와 변별을 통해 재구성되어 왔던 것이다. 또한 여성숭배까지를 포괄한 여성혐오는 호모포비아와 더불어 남성사회의 공고화와 남성성의 규범화에 공모해왔다. 오늘날 젠더 정체성에 대한 스펙트럼은 확장되고 교란되고 있다. LGBT 등에 대한 논쟁과 끊임없이 허물어지고 재구축되는 '여성성/남성성'의 경계는 단지 담론 차원에서 맴도는 논박이 아니라, 당사자들의 실존과 결부된 절박한 삶의 투쟁이다. 그것은 가해와 피해, 정상과 비정상, 다수자와 소수자,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의 접근으로는 내파하기 어려운, '얼굴과 목소리를 가진' 주체들의 투쟁이다. 타자가 내린 정의와 결박에서 벗어나 이제 막 스스로의 입으로 자신을 설명할 '언어'를 찾아 나선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으로부터 '정확한 희망'은 도래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problems of gender politics and representations of gender issue as a counter-narrative in here(Republic of Korea) and now(2017) through ideas, There are no man who you think and Girls. These two books, There are no man who you think and Girls explore the genealogy of gender identity which is the most problematic in Korean society recently. Ultimately, these books seems like try to reveal how the dual(heterosexual-centered) gender system has worked in cartel of male-centered society and gender norms. Ideas,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representations which shows how social orders and gender identities of one age are composed, and what could be experienced and prescribed by people who should be under the domination of the social order. Modern nations has always proposed and governed the ideal "masculinity / femininity." However, a gender reflected and gender norms are not self-evident. Rather, 'masculinity / femininity' is a hegemonic construction which is established in inter-constructive way between them as the opposite term. How the gender subject calls or represents her / himself? This question requests introspections about 'gender' as an essential element for self-identity making, also other elements except 'gender'. Now, an issue of 'feminism' change from the question and exposure of 'discrimination', to fundamental questions for what is 'femininity / masculinity.' Otherizations and hierarchizations of gender reflected and gender norms have caused an illusion to regard 'gender(masculinity / femininity)' as homogeneous, which never be homogenized. Also it has concealed the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at arises between class, stratum and race. Dualized gender classifications functioned as a device to internalize the discriminatory structure in the process of valuing 'labor' and 'capital'. Sex differences are not universal or fixed, but socially encoded. Nonethel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have been reconstructed through segregation and discrimination by being 'constitutive outer' for each other. Today, the spectrum of gender identity is expanding and disturbing. The controversy over LGBT and the breakdown of 'femininity / masculinity' is not just disputes over discourses, but desperate struggles for life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the minorities. It is a struggle of 'subjects with face and body' that can not approach or impose, the dichotomy of injustice and damage, normal and abnormal, majority and minority, masculinity and femininity.

      • KCI우수등재

        트랜스젠더의 젠더정체성 구성: 커뮤니티 동학과 젠더이분법의 재생산

        손인서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20

        Among sexual minority groups, transgender people are those whose gender identity is different from their biological sex. They are one of the stigmatized groups in society where the cultural logic of gender binary is dominant. Prior literature points out that transgender people’s gender identities are shaped by the gender binary. However, one knows little about the social process by which they construct their identity. Drawing upon the in-depth interview data with 15 transgender persons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rticipants construct gender identity. The social stigma and institutional oppression on transgender people force participants to internalize a gendered image of transgenderism, which is shared and reinforced in transgender communities. The gendered transgender norms leads the members in the communities to distinguish from each other, which results in self-alien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participants participate in constructing an alternative gender identity accepting a variety of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s by reflective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While limited, furthermore, participants reconstruct their communities as more open to identity choices. Findings suggest that the social process by which participants construct their gender identity is an outcome of their adaptive responses to the social pressure of the gender binary. 성소수자 집단 가운데 트랜스젠더는 생물학적 성별과 성별 정체성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젠더이분법에 배치되는 낙인화된 집단이다. 선행연구는 트랜스젠더의 젠더정체성이 끊임없이 젠더이분법에 의해 영향받고 형성된다는 점을 지적하지만, 그 사회적 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글은 한국의 트랜스젠더15명을 심층인터뷰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들이 어떻게 젠더정체성을 구성하는지 조사했다. 트랜스젠더에 대한 낙인과 제도적 압력으로 참여자들은 젠더이분법을 내재화하고, 이는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되고 재생산된다. 커뮤니티 내 젠더화된 트랜스젠더이미지는 상호 간 위계화를 초래하고 자기소외로 이어진다. 그러나 동시에 참여자들은다양한 젠더지향과 성적지향을 추구하면서 상호 교류와 반성을 통해 대안적인 트랜스젠더 자아를 모색하며, 제한적이지만 기존 커뮤니티의 폐쇄성을 극복하고자 대안적인커뮤니티 활동을 추구한다. 분석결과는 소수자 집단의 정체성 구성의 과정이 사회지배적 젠더이분법에 대한 적응적 대응의 결과임을 함의한다.

      • KCI등재

        남성 중심의 여가범주에 대한 여성의 경계넘기 -Butler의 젠더정체성을 중심으로-

        황희정,김지선,이훈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5

        The boundary of leisure from a perspective of gender identity has expanded. Butler (2008), who advocated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gender identity, viewed the change of gender identity as a process to be equated with gender, which he named 'doing'. In light of this, in an area of leisure tourism, gendered subject carries out its gender tasks based on a same point of view on gender previously described. Many Korean women can be forced to carry out a gender as a woman in their growing, and it is intensified in relationships with a husband. In doing so, inevitably, they experienc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Further, in order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gendered leisure, they struggle with the perspective of a society, and their families on gender, and gender identity issu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ata in this paper, by drawing themselves in a setting where they cross the boundary of gendered leisure category provides them with 1)an experience departing from accumulated forced experiences in terms of a personal sphere, 2) an opportunity to practice identity dismantlement and its reformation. This phenomenon stimulates animated discussions about gender issues based on women's independent experiences. It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emancipation by occupying a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dismantlement of gender, and making the idea of gender unsecured. 젠더와 관련하여 한정되었던 여가범주의 경계가 변화고 있다. Butler(2008)는 젠더정체성이 변하는데, 그것은 젠더에 대한 동일시 과정, 즉 ‘수행’(doing)이라고 본다. 여가관광영역에서도 젠더화된(gendered) 주체는 도달해야 하는 이상으로서의 젠더를 수행한다. 성장과정, 남편 등과의 관계 등에서 여성으로서의 젠더를 강요받기도 하는 여성들은 일상영역에서 강제되는 젠더정체성을 수행하면서 심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또한, 여가범주(category)의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젠더에 대한 가족 및 사회적 인식, 젠더정체성 등으로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러나 분석 결과, 젠더화된 여가범주의 경계 넘기 경험을 통해 사적영역에서의 억압적 경험에서의 일탈 경험과 주체적인 경험을 통하여 젠더(젠더, 섹슈얼리티)정체성의 해체 및 재구성을 경험하게 한다. 젠더화된 여가범주의 경계 넘기 현상을 통해서 여성 주체의 경험을 중심으로 젠더 담론을 형성함으로써 젠더에 대한 균열을 확대하며, 젠더를 불안정하게 한다는 점에서 인간 해방의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