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연규(Yunkyu Ryu),김영미(Young-Mi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4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증폭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에 주목해, 젠더갈등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수준, 인식의 지형과 균열지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누가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지 분석한 결과,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보수성향이 중도성향에 비해, 평등하고 진보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질수록, 젠더불평등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둘째,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과 젠더갈등인식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남녀를 구분해 분석한 결과, 여성은 젠더불평등인식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이에 반해 남성의 젠더갈등인식은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과 무관했고, 20대, 대졸이상, 보수적 정치성향, 평등한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이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현재 증폭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성별에 따라 다른 갈등해소 전략이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conflict perception in Korea, where amplifying gender conflict has been experienced rec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 perception are gender inequality perception,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conservative ideology, and young generation of twenties. Secondly, gender is a moderator of gender inequality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Women perceive more gender conflict as they perceive more gender inequality or experiences more sexism. On the other hand, men perceive more gender conflict as they are in 20s while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 perception are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to settle the gender conflict being differed by gender.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복지국가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 차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류연규 ( Yun Kyu Ryu ),김영미 ( Young Mi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이 연구는 신제도주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행위자의 선호와 제도의 관계에 관한 논의를 따라 복지국가의 젠더격차, 정책 특성과 성역할 인식 차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복지국가의 젠더 관련 ‘구조’와 ‘행위자 인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책 변수 중 현금급여 지출은 성역할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데 반해, 서비스 지출은 성역할 인식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격차 지수 들은 각각 전통적 성역할 인식을 완화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전통적 성역할 인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고, 여성에게 권력 배분이 더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신제도주의 이론에서 논의되었던 개인의 선호와 인식을 형성 제약 변화시키는 제도의 영향이 성역할 인식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가족정책,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의 관계를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리고 보다 평등한 성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서비스 중심의 돌봄을 사회화하는 정책과 전반적인 젠더격차를 해소하는 정책, 특히 여성의 대표성을 강화하는 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성역할 인식의 완화, 그 중에서도 성별 분업 해소는 여성경제활동참여율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그 동안 도입, 추진되었던 일가족양립정책들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policies(institu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behavior or preference) in view of institutionalism.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elated structure and perceptions is empirically analyzed. As for the social polici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cash expenditure on the gender role attitudes, however, service expenditure affected gender role attitudes. Indexes of the gender differ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der role attitudes. It is necessary to make and implement the policies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ness of women and to empower women in order to progress the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policies to socialize the care by services is needed to liberalize the gender role attitud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it is empiricall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s of institutions to construct, constrain and change individual perception (in Institutionalism) were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policies, gender difference and gender role attitudes.

      • KCI등재

        젠더주류화에 대한 페루 공무원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정상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 페루 여성취약계층부(Ministerio de la Mujer y Poblaciones Vulnerables, MIMP)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고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젠더 이슈와 젠더주류화에 대한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젠더주류화는 정책의 수립, 예산의 편성, 정책의 집행, 모니터링과 평가 등 모든 정책의 실행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정책결정자의 정치적인 의지와 관련되고있다. 본 연구는 정치적, 관리적 역할을 담당하는 고위직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위해 39개항목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페루에서 젠더와 관련된 제도적인 체계는 구축되어 있으나 정책집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 상황에 대한 고려를 통해 정책 과정에서의 단계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페루 공무원들은 일반적인 젠더 이슈와정책의 집행을 위한 단계별 과정에 대해 인식의 정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인 젠더 이슈보다 젠더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 과정과 관련된 각각의 단계에 대해 높은 인식의 정도를 보였다. 그러나 정책의 실행으로 직접 연계되는 정책의 수립과 예산의 편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페루에서 정책집행을 효과적으로추진하기 위해 발생하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정책의 실행을 위해 어떠한 정책단계에서 인식의 정도가 부족한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젠더 패턴: 인공지능 성별 인식 기술에 나타난 ‘젠더’ 개념의 비판적 고찰

        이정현 한국언론정보학회 202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21 No.-

        매일 새로운 데이터가 되먹여지며 거대해지는 인공지능 기술을 경험하면서 산업 담론과 윤리 담론은 비대해지고 있지만 정작 이 기술 혹은 미디어가 구성하는 새로운 사회관계, 개념, 경험에 대해서는 철학적이고 이론적인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담론의 불균형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논문은 인공지능 성별 인식 기술이 무엇을 근거로 성별을 인식하도록 설계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기술적 원리가 만들어 내는 ‘젠더’ 개념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가장 먼저 ‘젠더’에 대한 논의가 개인의 ‘몸’ 을 중심으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젠더 연구의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성별 인식 기술리뷰논문과 기술특허 문서에서 인간의 몸, 특히 얼굴이 어떻게 성별을 인식할 수 있는 장소로서 설계되는지 독해한다. 결과적으로 성별 인식 기술이 젠더를 수행하는 실천들을 ‘패턴’으로 군집화하여 학습하는 과정이 우리가 지금까지 구성해 온 젠더 관계와 개념을 ‘젠더 패턴’으로 고착화시키고 있음을 설명하면서 이것이 젠더 연구가 이루어 온 일종의 ‘진보’에 미친 영향을 비판적으로 탐색한다.

      • KCI등재

        인디라 간디의 아이콘과 젠더 의식

        박금표(Park, Kyum-Py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본 논문은 인디라 간디의 집권 과정과 인디라 간디가 발휘한 리더십으로 형성된 아이콘을 분석하고, 집권자로서의 젠더 인식과 표현은 어떠한 것이었는지 그리고 인디라 간디가 인도인의 젠더 인식에 미친 영향을 재고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주요 분석 대상은 인디라 간디의 자서전과 서간문, 인디라 간디에 대한 전기이다. 기본적인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이며, 인디라 간디에 대한 정치 외교적 연구들을 참조하여 젠더적 시각의 비교분석도 병행한다. 1964년에 네루가 사망하고 뒤를 이어 총리가 된 샤스뜨리가 1966년에 사망하자 집권당인 INC에서는 인디라간디를 새로운 총리로 선택했다. 그들이 인디라 간디를 선택한 이유는 네루의 딸이라는 점, 네루에게 순종적이었듯이 원로들에게도 순종적일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신디케이트의 영향력이 계속 발휘될 수 있다는 점 등이었다. 그래서 집권 초기 인디라 간디의 아이콘은 신디케이트가 조종하는 대로 움직여줄 벙어리 인형(goongi gudiya) 혹은순종적인 딸(Beti)과 같은 것이었다. 그러나 선거 유세를 통해 ‘인도의 어머니(bharat mata)’라는 아이콘으로 변화하면서 신디케이트의 전횡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한 나라를 이끄는 총리로서 인디라 간디는 자신이 ‘여성’임을 강조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성별 자체를 부인하는 발언을 여러 번했다. 이 때문에 인디라 간디는 여성 총리이면서도 여성을 대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한 국가의 집권자는 자신의 성별에 좌우되지 않는 중립적인 젠더 인식을 표현하는 것이더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인디라 간디가 인도의 젠더 인식, 여성의 진보에 미친 영향을 여성 정치인들의 입장만으로 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인디라 간디는 여성성을 부인하고 페미니스트가 아니라고 발언했지만 여성을 위한 법을 개정한 것을비롯하여 여성 차별 극복에 대해 고민 했다. 인도의 여성 운동은 1980년대 이후 변화되어 다양한 단체들이 설립되었다. 또한 각 지역 별로 자신들과 밀접한 의제를 핵심과제로 삼아 적극적인 활동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인디라 간디 집권기에 구성된 CSWI와 그 보고서가 큰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인디라 간디가 공개적으로 여성 관련정책을 발표하지 않았고, 여성 장관을 임명하지 않았다는 점만으로 인디라 간디가 인도의 젠더 인식에 미친 영향을 폄하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며, 정치적인 측면에서 인디라 간디의 평가가 양면성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인디라 간디가 인도인의 젠더 인식에 미친 영향 역시 양면성을 고려하여 균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cons formed by Indira Gandhi’s process of coming into power and her leadership, and to reconsider her gender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as a ruler and the impact on Indian’s gender consciousness. The main analysis targets are the autobiography and letters written by Indira Gandhi, and the biographies of her. This study is basically conducted in literature analysis, and political-diplomatic studies on her are analyzed from a gender perspective. After Shastri’s death in 1966, the syndicate of INC chose Indira Gandhi as new prime minister of India. The reason they chose Indira Gandhi was that she was Nehru’s daughter. The syndicate of INC expected her to remain submissive and that their influence would continue to be exercised. Indira Gandhi’s icon in her early days was like a dumb doll(goongi gudiya) or a submissive daughter(beti) who would move as the syndicate controlled. However, she was able to overcome the syndicate by turning into an icon of mother of India(bharat mata) through the election campaign. As the prime minister who leads a country, Indira Gandhi did not emphasize that she was a “woman,” and furthermore, denied gender itself several times. For this reason, Indira Gandhi has been criticized for not representing women despite being a female prime minister. However, it may also be considered more desirable for a country’s ruler to express a neutral gender consciousness that does not depend on its gender. It is not advisable to analyze the impact of Indira Gandhi on Indian’s gender consiousness and women’s progress only within the category of female politicians. Indira Gandhi denied femininity and said she was not a feminist, but revised the law for the sake of women s rights and worked hard to resolve the issue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ince the 1980s, the women’s movement in India has made great strides. Various women’s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each region. The CSWI and its report, which were formed during the Indira Gandhi yea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is change. Therefore,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denigrate the impact of Indira Gandhi on Indian’s gender consciousness just because she did not announce any women-related policies and did not appoint any female minister. Just as the political assessment of Indira Gandhi has ambivalence, her impact on Indian’s gender consciousness should also be evaluated in a balanced manner.

      • KCI등재후보

        <무정>과 소설 형식의 젠더화

        김복순 대중서사학회 2005 대중서사연구 Vol.- No.14

        이 글은 ‘새로운 페미니즘 서사학’의 입장에서, 근대 초기 소설 개념이 정착하는 시기에 소설 형식이 젠더화되는 과정을 추적한 글이다.전지적 시점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것 같지만 남성 젠더적이다. 전지적 시점은 소설 형식에서 고안된 ‘젠더 기술장치’ 중 하나이다. 무정은 친일적 신지식층 남성의 젠더적 시선 하에 그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전파한다. 또한 무정은 다양한 내적 초점을 통해 ‘관음증적 쾌락’의 욕망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킨다. 관음증적 쾌락의 시선은 기본적으로 남자 주인공의 시선으로 이루어진다. 무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내면의 전경화인데, 만보를 통해 제시되는 ‘나-또 다른 나’의 대화에서 세계는 비가시화 된다. 이 과정에서 추상적 이상주의의 자폐성이 드러나며, 내면은 남성 젠더화 된다.무정의 ‘세계 다시 읽기’ 방식은 감각적 인식방법으로, 이 역시 남성 젠더로 전유되어 있다. 이형식이 여성을 보는 방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감각적 인식에 토대한 성애적 시선이고, 다른 하나는 참사람이 깨지 않은 미숙한 존재라는 시선이다. 무정은 성별에 따라 배치하는 플롯도 다르다. 이형식의 서사는 자아실현 플롯인 동시에 연애 플롯이지만, 여성인물들의 경우 자아실현 플롯과 연애 플롯은 둘 다 존재하지 않거나 하나만 존재하며, 통합관계도 아니다. 이형식은 여성을 보호하고 민족을 구원하는 행위의 실천자가 됨으로써 승리자가 되는 쾌락의 욕망을 달성한다. 그럼으로써 새 시대를 여는 신청년 남성 대서사는 완성된다. 무정의 플롯 구조는 남성의 쾌락원칙에 입각한 것으로서, 남성 대서사에 맞게 젠더화되어 있다. 무정은 남성 중심주의 미학에 입각한 소설 형식의 젠더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소설 장르 역시 ‘성적 지배 양식’ 중 하나였다. 이제 소위 ‘보편’미학은 재구성되어야 하며, 소설의 이론 또한 다시 정립되어야 한다. 주제어새로운 페미니즘 서사학, 보편 미학, 소설 형식의 젠더, 미학의 젠더, 보는 방식, 만보, 감각적 인식, 플롯의 젠더화

      • KCI등재

        음성·영상 신호 처리 알고리즘 사례를 통해 본 젠더혁신의 필요성

        이지연,이혜숙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2

        Gendered innovations is a term us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s to refer the process of creating bette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for both men and wome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iteratures in image and speech signal processing that can be used in ICT, examine the importance of gendered innovations through case study. Therefore the lates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image and speech signal processing based on gender research is searched and a total of 9 papers are selected. In terms of gender analysis, research subjects, research environment, and research design are examined separately. Especially,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algorithms of the elderly voice signal processing, machine learning,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and facial gender recognition technology, we found that there is gender bias in existing algorithms, and which leads to gender analysis is required. We also propose a gendered innovations method integrating sex and gender analysis in algorithm development. Gendered innovations in IC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ew markets by developing products and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of both men and women. 젠더혁신은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서 남녀의 생물학적, 인지적, 사회적 특성 및 행동방식의 차이에 의한 성⋅젠더 요소를 고려하여 남녀 모두를 위한 보다 나은 연구개발과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ICT 산업, 자동차 산업, 빅데이터, 로봇 산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영상·음성신호처리에서 문헌연구 및 기존 자료를 분석하고 사례 조사를 통하여 젠더혁신의 중요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 연구를 기반으로 영상·음성신호처리의 관련된 최신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고 총 8편의 논문을 선정한다. 그리고 젠더분석 측면에서, 연구대상, 연구 환경, 연구 설계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연구결과로써, 노인음성 신호처리, 기계학습과 젠더, 기계번역 기술, 안면 젠더인식 기술의 음성·영상 신호 처리 알고리즘 논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알고리즘에 젠더편향성이 있음을 밝히고 이들 알고리즘 개발에서 상황에 맞는 성·젠더 분석이 필요함을 보인다. 또한 알고리즘 개발에 다양한 성⋅젠더 요소를 반영하는 젠더혁신 방법과 정책을 제안한다. 추후 ICT에서의 젠더혁신은 남녀 모두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성별화된 작업환경에서의 위험인식과 지식의 재구성

        김명심(Myungsim Kim),김희윤(Heeyun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1

        ‘삼성백혈병’으로 알려진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들의 직업성 질병 인정 운동은 산업재해에 따른 노동문제, 질병원인 판단에 따른 과학기술정치의 문제 등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이해 당사자들 간의 갈등과 대립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사례이다. 기존연구는 주로 시민운동으로서의 ‘삼성백혈병’ 사례를 다룸으로써, 산재 인정 운동의 주체인 노동자들이 어떻게 건강위험을 인식하고 그러한 경험을 토대로 전문가들의 지식에 대항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식을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 해내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반도체 전자사업 노동자의 성별에 따른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질병 경험을 통한 발병 원인에 대한 지식의 구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성별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위험인식에 대한 젠더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와 위험인식에 대한 젠더효과를 확인하고, 성별화된 작업현장이라는 사회구조적 차원의 요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자료를 통해 성별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질병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중역학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들이 단일한 위험인식과 이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분화되고 층화된 정체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이러한 이질적 정체성들이 노동보건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onset of the issue of guaranteeing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health rights, which we call “Samsung Leukemia”,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auses of disease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corporations and activist patients. We examine the risk perception of hazardous chemicals that workers’ go through in their workplace and knowledge construction with the experience through their disease,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alternative knowledge against the mainstream science in terms of the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labor health movement asks for the improvement of inequality including workers’ health and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at the same time, requires embodied knowledge construction based on actual scenes. We argue not only the redefined notion of gendered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s, but also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hazardous chemicals differs by gender differences in the semiconductor electronics industry. Our study has the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multi - stratified identity on labor health movement.

      • KCI등재

        한국 사회 내 젠더갈등과 편향성의 동원

        구본상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3 현대정치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mobilization of gender conflict, a topic that gained prominence in the milieu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Drawing upon data from a series of surveys conducted during the campaign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mmediately in its aftermath, and at a subsequent point in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gender gap in policy attitudes,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and their sustained presence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al context. The empirical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distinct differences in policy attitud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were observed, and a politically conservative cluster was detected among young men. Second, in the April 2022 survey,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variables and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were observed, but these relationships disappeared in the January 2023 survey. In particular,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and political polarization no longer appeared. Third, while the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as already become a distinct political issue, separate from sexist perceptions, other issues, such as the physical fitness standards for women police officers, remain on the periphery of political debate. In conclusion, the manifestation of gender conflict observed in Korean society appears less a reflection of deeply-rooted cleavages, and more indicative of a political mobilization of the gender disparity observed among the younger generationthrough targeted issues. 본 연구는 대선과정에서 주목받은 젠더갈등이 정치적으로 동원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과정, 선거 직후, 그리고 선거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우리 사회에서 젠더 간 이념적 차별성, 젠더갈등 인식에서의 성차, 젠더갈등 인식의 지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경험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거운동 과정에서 20대 남녀의 정책이념 간 차별성은 뚜렷해졌고, 청년 남성층 가운데 정치적으로 보수성이 강한 군집이 감지되었다. 둘째, 성별, 연령, 세대 외에도 다양한 정치변수와 젠더갈등 인식 간 연관성이 2022년 4월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나, 2023년 1월 조사에서는 사라졌다. 특히, 젠더갈등 인식과 정치적 양극화 간 강한 연관성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여성가족부 폐지는 성차별주의적 인식과는 별개로 이미 정치 쟁점화된 반면, 여경 체력검정 기준과 같은 쟁점은 아직 정치적으로 동원되지는 않았으나 정파적 변수와도 연계를 보임으로써 향후 정치적 동원 가능성이 감지되었다. 결국, 현재 한국에서 드러난 젠더갈등 양상은 근본적인 균열에 기반을 두고 있다기보다 청년층에 존재하는 성차가 특정 쟁점을 통해 정치적으로 동원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