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문화산업의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

        이수안 한독사회과학회 200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8 No.2

        영상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이미지는 문자의 영향력을 뛰어넘은 지 오래다. 몸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시대보다도 증폭되어 있는 지금의 소비사회에 있어서 대중매체를 통하여 유통되는 몸 이미지는 다양한 부가 산업을 융성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몸에 대한 이미지는 자신의 내면에 대한 반영이기도 하지만 우선적으로는 외부적으로 재현되는 자아를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기반으로 인식되는 추세다. 여성의 몸 이미지는 대체로 ‘섹시한’ 몸매로 집약되고 또한 이러한 이미지는 사회적으로 생산, 재생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의 몸 이미지가 형성되고 유통되는 과정에서 광고 매체에서 젠더화된 응시가 어떻게 자기 감시의 기제를 작동시키는지 이론적으로 분석해보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소비문화산업에서 보여주는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의 이론화 작업을 목표로 구성되었다. 즉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분석과, 이 개념적인 이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산업, 특히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매스미디어에서 광고나 영화에서 여성이 어떻게 젠더화된 응시를 내면화하는가를 예시를 통하여 천착함으로써 이론화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이론적 분석에서는 몸 이미지의 개념적 정의를 살펴봄과 동시에 몸 이미지의 내면화와 소비상품화 과정에서 대중매체에서 재현되는 이미지의 유통이 가지는 의미,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젠더화된 응시가 여성에게 어떻게 내면화를 초래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성애화되고 왜곡된 몸이미지 형성에 여성의 행위성이 어떻게 관여되는지 분석해보았다. Recently, there have been noticeable increases in academic and popular interests for body image. The sociology of body became an established discipline in the 1990s, with the term 'somatic society' to describe the newfound importance of the body in contemporary sociology. The interest in body became the starting point to prosper for the diverse related industries, for example advertisement, health industry, fitness industry, plastic surgery, body-line correction industry etc. The typical body image of women is closed up to 'sexy body-line', and this image is through mass-media rapidly spread, and reproduced with the circulation of the gendered gaze and internalization of the body image by women themselves. This paper is a theoretical analysis on body image and gendered gaze in consumption culture industry, especially in the area of advertisemen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ach to the theorizing through the methodology of literacy as followings: the conception of body image, the power relation of gaze, advertisement as a kind of culture industry, and self-surveillance of women. Concludingly to say, it is very important to gain the possibility of women as an agency in the production of the body image of women.

      • KCI등재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와 여경 무용론에 대한 대안

        신회섭,김용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and the Solution ofthe Argument of Female Police Officers’ UselessnessHoeseop Shin & Yonggeun Kim Abstract: Gender-based job separation practices are believe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spread of uselessness in relation to the field response capabilities of female police officers,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 in the 2020s, although it is a permanent alternative to purify the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with masculinity.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 of police officers divided into gender concepts in cultural spaces such as movies and online to confirm the substance of hate discourse and discuss countermeasures.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gendered female police image in Korean and Hong Kong films is reviewed, and the discourse on the argument of policewomen’s uselessness arising from the “Daerim-dong drunken violence incident” is introduced.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expected effects of the gender integrated physical fitness verification system prepared as a supplement to it will be explained with overseas cases. As a result, in order to substantially normalize the field response capabilities of female police officers, job relevance and suitability prioritizing ability and personality are the main factors in hiring and management evaluation, bu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s paper, even with littl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factors,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mparative administrative policy research to resolve gender conflicts within the police, given that research on the gendered female police image is rare in Korea. Key Words: Female Police Officer, Gendered Image of the Police, Job Relevance, Job Suitability, Gender Integrated Physical Fitness Verification System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와 여경 무용론에 대한 대안신 회 섭*ㆍ김 용 근** 요약: 2020년대 들어 계속 논란이 된 여경의 현장대응능력과 관련하여 남성성으로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를 순화하는 것이 항구적인 대안이지만, 성별에 따른 직무분리 관행이 무용론 확산의 주된 원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논문은 영화와 온라인 등 문화공간에서 젠더 개념으로 이분화된 여경의 이미지를 고찰하여 혐오담론의 실체를 확인하고, 그 대응방안을 논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한국과 홍콩 영화에 나타난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를 고찰하고, ‘대림동 주취폭력사건’에서 비롯된 여경 무용론 관련 담론을 소개한다. 그리고, 그것의 보완책으로 마련된 성별 통합 체력검증제도의 배경과 기대효과를 해외사례와 함께 설명한다. 그 결과, 여경의 현장대응역량을 실질적으로 정상화하기 위해서 능력과 인성을 우선한 직무연관성과 적합성을 채용과 관리평가의 주된 요소로 하되, 성별에 따른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그 요소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지만, 국내에서 젠더화된 여경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경찰 내 젠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비교행정학적 정책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핵심어: 여경, 젠더화된 경찰 이미지, 직무연관성, 직무적합성, 성별 통합 체력검증제도 □ 접수일: 2022년 3월 26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동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외래교수(First Author, Lecturer, Dongshin Univ., Email: shinhs7161@naver.com)** 교신저자,동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caronn@naver.com)

      • KCI등재

        대중문화 공연에 재현되는 양극화된 젠더 디스플레이와 몸 이미지의 성애화 방식

        이수안(Lee, Suan)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4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중문화, 특히 아이돌 그룹의 연예상품, 즉 공연과 뮤직비디오 등에 나타나는 젠더 디스플레이를 젠더 몸 이미지와 연동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가설적 전제로 성립될 수 있는 논제는 한국의 아이돌 그룹의 연예상품에서 젠더 디스플레이는 한류를 지원하는 정책, 이윤추구의 연예기획사, 그리고 소비대중의 팬덤이 상호 연동되어 양극화된 젠더 디스플레이와 성애화된 몸 이미지 재현의 방식을 추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분석을 위하여 TV의 음악방송과 공연, 뮤직비디오등을 1차 자료로 사용하여 고프만의 젠더 디스플레이의 분석지표를 차용한 월리스의 분석지표를 몸짓, 눈빛, 의상, 안무 내용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여 젠더 디스플레이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 젠더 디스플레이를 통해 포착되는 성애화된 몸 이미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한국의 아이돌 여성그룹의 공연은 선정성 표방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이룬다. 둘째, 여성그룹의 안무와 의상은 복종과 권력없음의 전형적 여성성과 연결되어 몸의 성적 표현에 집중되는 반면 남성그룹의 안무와 의상은 지배와 권력, 힘의 과시와 연관된다. 셋째, 이로써 여성그룹과 남성그룹은 확연히 차별적인 젠더 디스플레이를 보여준다. 소비대중이면서 또한 아이돌 그룹을 역할모델로 하여 선망의 대상으로 삼는 청소년층을 주축으로 하는 젊은 세대에게 제시할 수 있는, 젠더 이분법을 극복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방식과 스타일의 대중문화 창달을 위해 문화생산의 방식이 숙고되어야할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for analysing of the polarized aspects of gender display in Korean popular culture which appear when idol singer groups perform in their music videos and TV music programs. It is assumed that girl groups express highly presented eroticism by dancing with various gestures and costumes. The main variabl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ender display are official supports of government for Hallyu, the profit-oriented management of entertainment agency, and the fandom which accelerate the phenomenon. For the analysis of gender display, the theory and indicators of Goffman and Wallis are adopted. Thre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performances of idol girl groups consist of erotic dancing mainly. Secondly, dance and costumes of female groups are related to the typical femininity which is characterized by obedience and powerlessness, and are concentrated to the sexual expressions of body, while those of male groups are related to domination, authority and display of power. Third, female and male groups polarized gender display definitely. These hypotheses are verified with this analysis.

      • KCI등재

        전후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

        장은영(Jang Eun-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5

        본고는 『戰時 韓國文學選 詩篇』(국방부정훈국, 1955)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전후 문학장에서 이 텍스트가 갖는 의미를 재구성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의 젠더 담론은 전쟁 이후 국가 재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재현되며 사적 영역을 국가화하고 국민을 만드는 과정에 동원되었다. 전시체제의 요구를 수용한 문학 또한 전후 재건시기에 ‘국민화’를 위한 젠더 이미지 생산과 확산에 기여했는데, 시 장르도 예외는 아니었다.『戰時 韓國文學選 詩篇』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는 남성을 국민 주체로 형상화하고, 여성은 남성에 대한 보완적 존재로 형상화하는 젠더 이원화 양상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먼저 남성 이미지에서 대표적인 것은 국가 수호의 주체인 군인이다. 한국전쟁은 남성들에게 병역의 의무를 강제하면서 그들을 군인으로 호명하고 전쟁에 동원했는데, 시에 재현된 군인 이미지는 용맹하고 냉철한 전사이자 신성한 희생양이라는 양면성을 나타낸다. 이 군인 이미지는 국가와 남성을 연결시키며 그들을 국민 주체로 수용하게 한다. 반면 후방에 남아 있는 여성들은 군인의 연인이나 아내, 어머니로 그려진다. 시에 등장한 여성들은 남성을 매개함으로써 국가를 위한 희생을 다짐하고, 남성을 보완함으로써 국가와 연결되는 존재들이다. 그런데 희생당한 남성을 치료하거나 애도하는 등 남성에 대한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벗어나는 경우 여성은 타락의 표상으로 포착되며 통제와 규율의 대상이 된다. 전쟁을 계기로 급격히 늘어난 매춘 여성을 규율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남성 화자의 시선에는 규율자의 시선과 연민의 시선이 교차하는데 그 이면에는 훼손된 남성성을 회복하고 가부장적 지위를 되찾으려는 욕망도 내재되어 있다.『戰時 韓國文學選 詩篇』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는 전후 국민화 과정에 수렴됨으로써 국민 주체인 남성과 규율과 통제의 대상인 여성이라는 불평등한 젠더 위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했다. This study is to reconstitute discourse of gender in JEONSI-HANKOOKMUNHAKSUN. This text was published in KOREA 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The discourse of gender during Korean war had been continued until after war and used as making nation project. At that time literature played a role as reproduce gender image that is needed by nation state. The point of gender image in JEONSI-HANKOOKMUNHAKSUN is the soldier as a typical representation of nation. The nation state imposed a duty of national defense on Man. The soldier image represented on the poem is like a valiant warrior. Also The soldier image is connected by ideal mail image that is detectable style in Korea society. They were represention of ideal nation. On the other hand female image is defferent from male image. The representation of woman showed sad person who send her lover, husband, son to battlefield. So women could changed into the nation by means of men sacrificed for the nation. These women could represented in pure and sacred exsistence. But woman who is not a mail assistant has been represented in a negative way. In fact prostitute increased rapidly since the Korean war broke out so prostitutes was considered regulation object after war. As we have seen the war was making gender image that is dualised. The image of male is warrior and sacrifice for the nation. Instead the image of female is holy curere or a fallen woman. By the way JEONSI-HANKOOKMUNHAKSUN is the text awaked these images after war. As a result this text was able to reproduce gender image for making nation.

      • KCI등재

        TV 광고 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gender image)연구

        오주연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9 No.-

        본 연구는 TV 광고 춤의 움직임과 시선 활용을 살핌으로써 광고 속 새로운 젠더 이미지의 양상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미디어 속 젠더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여성의 성이 성적으로 대상화되고 섹슈얼리티의 전형성을 강화하면서 남성은 시선의 주체, 여성은 객체로서 이분화되는 것에 주목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섹슈얼리티의 강조는 여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나아가 시선의 주체로서의 남성과 그 대상으로서의 여성이라는 전통적인 젠더 이미지가 해체되는 것에 주목하였다. 연구 대상은 행위자(댄서), 춤과 상품 유형에서 대표성을 띠는 2000년대 국내 주요 방송사에 방영된 네 편의 광고로 선정하였다. Laban의 에포트 이론(Theory of Effort)을 활용해 움직임을 분석하였으며 여기에 Berger(1972)가 제시한 직접적·간접적 시선, 교류적·비교류적 시선 구분을 댄서에게 적용하였다. 또한 TV 광고 춤의 메시지가 최종적으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서 이미지의 프레임, 샷, 장면 전환, 카메라 앵글, 색, 조명, 구성을 분석하여 최종적인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댄서들은 움직임의 측면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전형적인 섹슈얼리티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시선의 활용에 있어 여성은 주체, 남성은 객체가 되며 남녀 댄서 모두 관객이 바라보는 선망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젠더 이미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여성이 섹슈얼리티를 강조하고 남성이 바라보는 시선의 대상이 된다는 것과 상반되는 입장이다. 먼저 움직임을 살펴보면 여성은 동물적이고 유연하며 관능적인 움직임을, 남성은 기계적이고 강하고 마초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고유의 성적 매력과 섹슈얼리티를 극대화 시켰다. 구체적으로 여성은 상체 위주의 빠르고(Quick Time) 직접적인(Direct Space) 에포트에 하체의 느리고(Sustained Time) 무거운(Strong Weight) 에포트를 포함한 동작 충동(Action Drive: Space&Time&Weight) 에포트 조합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바닥에서의 회전 동작 위주의 무겁고(Strong Weight) 절제된(Bound Flow) 에포트에 회전에 따라 가속도가 붙으며 빨라지는(Quick Time) 에포트를 보이면서 열정 충동(Passion Drive: Weight&Flow&Time) 에포트 조합을 보였다. 여기에 시선 분석을 적용한 결과 여성은 깨어있는 상태(Awake State: Space&Time)의 에포트 조합에서 카메라를 직접적으로 응시하는 시선의 주체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꿈같은 상태(Dreamlike State: Flow&Weight)에서 카메라를 응시하지 않는 간접적인 시선의 객체인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남성과 여성 댄서 모두 관객에게 비교류적 시선을 보이면서 관객들의 교류적 시선을 받으면서 선망의 대상이자 주체적인 퍼포머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 모두 움직임의 측면에서 섹슈얼리티를 강조하지만 여성은 행위의 주체로서, 남성은 오히려 시선의 대상이 되며 또한 남녀구분 없이 선망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이분법을 해체하며 새로운 젠더 이미지를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der images by analyzing movement and gaze of dances in television commercials. Previous researchers focus mainly on the dichotomy between males and females saying that female models are an object of seeing of men's gaze by highlighting the stereotype of sexuality. This research, however, claims that men also emphasize their sexuality and be the object of seeing and that women are an active subject of seeing, representing a new gender image in the 21th century. Specifically, it deals with four representative dances shown in TV commercials focusing on its movement and gaze. The movement was analyzed based on Laban's Effort Theory and then integrated it to Berger's classic study about gaze which includes direct/indirect and transactive/non-transactive gaze. Also, analyzing the visual images - frame, shot, scene transition, camera angle, color, light, composition of image- substantiated i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dancers enhance the traditional sexuality in terms of its movement. Female dancers create animal-likes image with the sexual wave of upper body and show Quick Time and Direct Space Effort mainly, while male dancers show machine-likes image with strong turning movement in the floor, presenting Strong Weight and Bound Flow Effort. Given that the dancers' gaze, however, it presents the opposite interpretation. Women display the direct gaze as a subject of sight based on Awake State. On the other hands, men demonstrate the indirect gaze as an object of seeing in Dreamlike State. Meanwhile, all dancers take a role as an active performer which presents non-transactive gaze regardless of the sex. In conclusion, although the dancers emphasize their stereotype of sexuality via movement, they present new gender images through their gaze.

      • KCI등재

        이미지와 성상 부정에 대한 츠빙글리 사상 다시보기

        정미현 ( Meehyun Chung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3 No.-

        종교개혁은 중세기적으로 정형화된 예전의 틀을 깨고 간소화되고, 말씀 중심의 예배 의식을 발전시켰다. 또한 이미지에 대한 배제로교회 내부의 장식뿐 아니라, 예배 의식에서 하나님 말씀의 선포로서의설교에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모든 시각적인 것들은 제거 되거나 그의미를 잃게 되었다. 이로써 종교개혁은 이미지와 형상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거부하거나 도외시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도상정보(iconic information)와 이미지의 시대인 21세기에 개혁전통은 이미지부정내지 배제의 태도를 일관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재해석을 시도할 것인지 하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적 질문이며, 출발점이자 배경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종교개혁 가운데 츠빙글리의 이미지와 성상문제에 제한하여 살피고, 그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츠빙글리가 이미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취하게 된 것은 첫째로 신학적 의미에서 형상을 통한 우상 숭배를 배격하는 것과 말씀 선포에 대한 강조의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둘째로 당시 교회의 정의 구현의 문제와도연관되어 있었다. 즉 교회 재정의 운용과 분배 문제의 차원에서 볼 수있다는 뜻이다. 이 두 번째 측면을 조금 더 부각시키고자 하는 것이 이논문의 주요 의도이다. 문자 종교라고 불릴 수 있는 가톨릭의 정형성을 타파하면서 종교개혁은 말씀의 선포적 사건을 중요시함으로써 구술문화를 확대하였으나, 차츰 문서화, 화석화되어 갔다. 종교개혁 이후 등장한 개신교 정통주의는 점차적으로 문자 문화를 확산하는데 기여함으로써 구술문화 혹은 내러티브 이미지(narrative image)로 대변되는 또 다른 측면의약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문자성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술성의 대비는 자뇌와 우뇌,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으로도 파악하여 볼 수 있겠다. 개혁주의 정신을 현대에 적용한 바르트의 표현에 따르면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는 쓰여진 말씀, 계시된 말씀, 선포된 말씀의 삼중성의구도 안에서 융합적 역동성을 지닌 사건이다. 즉 문자성의 강조뿐 아니라, 이미지를 포함한 구술문화의 가치도 새롭게 부각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지에 대한 무비판적 거부가 아니라, 개혁주의 전통 가운데 종교개혁 당시 상황에서 이미지를 배격할 수밖에 없었던 그 특정한 배경과 이유를 이해하고,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가치 인정을 통하여 문자와 이미지, 문자문화와 내러티브 이미지를 포함한 구술성의 균형 있는 조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츠빙글리로부터비롯된 개혁주의적 정신을 현대의 시대적 상황에 맞게 재구성, 재수용하고 상실된 가치를 회복하며 균형성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While the Reformation was breaking down the old liturgy of medieval frame, the proclaimed word developed into a center of worship. Due to the exclusion of images, all the whole inner decoration including visible images and statues which distract from listening to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had been removed in the reformed churches. Thus the Reformation was considered to have refused images and visible forms. In our era of iconic information and images the crucial question is how we have reinterpreted the value of images or have kept on denying it. This is a basic entry-point of this article.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formation the author concentrated on Huldrych Zwingli`s Reformation regarding images and iconolatry. The negative perception of Zwingli regarding images and icon is firstly related to his theological approach of focusing on proclaiming the Word of God against idolatry. Secondly it is related to seeking justice in the church and Christianity. In terms of the second point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use of budget, charity and distribution of material goods and finance. This article deals with this second aspect more precisely. Especially even though the Reformation started to put accent on narrativity against the written form of catholic dogma and challenged fixed written liturgy it became fossilized gradually as literacy and stuck on the word characteristically. Therefore narrative culture and narrative image became gradually weakened within the Reformed tradition through Protestant orthodoxy. According to Karl Barth who applied the reformed spirit to the modern world, God`s word and proclamation is an event of written word, revealed word and proclaimed word. It is a dynamic dialectical threefold meaning for inclusivity of God`s word. It implies not only the written word, but also the narrative word including narrative images which could be appreciated again in the reformed spirit. It means an image shouldn`t be denied simply or uncritically. It should be investigated in the background of the Reformation why image was strongly problematized in the era of Zwingli. Afterward the meaning of narrative image (narrativity or orality) and word (literacy) could be reevaluated for reaching a balance between them. Doing this harmonization and balancing we can keep seeking a reformed spirit and adjust to the needs of our contemporary world.

      • KCI등재

        젠더 정체성을 통한 여성기자의 이미지 고찰 - 부산 여성기자를 중심으로 -

        하정화 ( Jeong Hwa H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지역 언론사에서 가시적, 비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성차별의 특징들을 여성주의 개념 속에서 규명하고, 언론사 내부와 지역 사회 기저에 깔려 있는 다양한 성차별에 맞서고 있는 여성기자들의 젠더 정체성과 이미지를 분석한 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인터뷰를 선택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전 현직 여성기자, 남성기자 등 1년부터 20년의 경력의 기자들이다.언론 조직과 일상생활에서의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젠더화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해주는 한편, 여성기자로서의 정체성과 이미지에도 변화를 가져다준다. 여성기자는 남성 중심의 언론 조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경우 젠더에 대한 인식을 배제한 채 기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드러냈다. 아니면 ‘여성’이라는 인식과 ‘기자’라는 역할 사이에서 선택적 공존을 하는 여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보이기도 했다. 어느 단계에서는 여성기자로서의 융합을 보이는 가운데 젠더 정체성, 즉 페미니스트 기자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다중적인 여성기자 이미지는 젠더에 대한 인식, 성차별 경험 정도, 기자 경력 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여성기자가 ‘기자’가 아닌 ‘여성기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하게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산 지역 제1세대 여성기자들에게 여성기자로서의 인식을 투철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Female reporters are professional workers as producers of media content and are also opinion leaders.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female professionals are handicapped by their gender in their workplace. They experience gender issues in a social framework of patriarchy.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reporters force them to change their identity. From the start, females could hardly be found in the field of media and they tended to display the identity of a neutral sex, neither of a man or a woma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ircumstances. However over time, they felt confused between their identity of a reporter and a woman. The levels of their gender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ir careers. Furthermore, they put feminism into practice as an owner of their own life while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with self-consciousness as female reporters.In this article I will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s and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this inequality and carry out feminism in the local area of Busan. This will be conducive to improving the situation and voicing women's rights as a representative subject. This study on a local area and local people criticizing and opposing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studies of women’s issues.

      • KCI등재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조수선(Susan Jo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각 연도별로 뮤직비디오가 있는 30위까지의 노래 총 300개와 각 노래의 뮤직비디오 상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남녀 한명씩, 총 517명의 등장인물이 선정되었다. 등장인물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노래 장르와 성별로 구분하여 젠더 이미지의 유형과 선정성(신체노출, 성적표현)의 유무로 측정되었다. 젠더 이미지는 여성은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남성은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이미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남성 이미지의 경우 중성적 이미지는 가장 적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R&B와 발라드였고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발라드, R&B와 록이었다. 선정성은 댄스곡과 힙합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신체노출에 있어서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성적표현에 있어서 여성은 표정유혹이 남성은 성적자세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s were including followings. While women engaged in classic image, man engaged in naive image. R&B and Ballad demonstrated more classic image of women. Ballad, R&B, and Rock demonstrated more naive image of men than other genre. Sexuality was more prominent in dance and hip-hop genre. Compared to male character, female character was more sexually objectified, held to exposer herself and more likely to demonstrated sexually alluring behavior.

      • KCI등재

        시네마-거울 속 거울-이미지: 영화 < 톰보이 Tomboy >(2011)와 < 걸 Girl >(2018)에 나타난 TGNC 인물의 타자화된 몸 이미지를 중심으로

        최민정 ( Choi Min Jeong ),배상준 ( Bae Sang Jo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4 현대영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영화 속 트랜스젠더 및 젠더 비순응자(TGNC) 재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거울-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로 시작한다. 자기 분열의 상징으로 각인된 영화 속 거울-이미지에 투영된 TGNC의 몸 이미지는 파편화되고 분열된 정신과 신체라는 피상적인 도식을 강화한다. 그러나 거울-이미지는 영화 속 인물과 거울에 투영된 자아와의 관계 혹은 관객과 스크린 사이의 상호작용과 같은 복잡한 지각 구조를 반영한다. 본고는 거울-이미지의 다층성에 주목하고 솝책(V. Sobchack)의 현상학적 영화 이론을 경유하여 응시 주체와 대상의 대립을 허무는 매체로서 영화를 ‘시네마-거울’로 재정립하였다. 시네마-거울은 현실계와 교류하며 적극적으로 의미를 생성하는 공존장으로서 영화를 의미한다. 이는 관객의 세계와 시네마-거울로서 영화세계가 ‘봄과 보여짐’의 순환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서로의 세계를 구성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시네마-거울로서 영화 속 거울-이미지에 투영된 TGNC의 몸 이미지는 자기 분열의 기호가 아니라, 소수자를 향한 사회의 응시가 응집된 타자성의 구체적 표식이자 이에 대한 사회적 태도로써 재맥락화된다. 영화세계를 구성하는 지각의 주체로서 관객이 자신의 ‘바라봄’을 강요하는 분열의 주체임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This study undertakes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recurring motif of the mirror-image in cinematic portrayals of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TGNC) individuals. Traditionally construed as emblematic of self-fragmentation, the depiction of TGNC bodies in mirror-images within films reinforces a superficial narrative of a fractured and divided psyche and body. However, mirror images manifest intricate perceptual structures, encapsulating dynamics such as the interplay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reflected selves, as well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cinematic screen. This paper concentrates on unraveling the nuanced layers inherent in mirrorimages and proposes a redefinition of cinema as a ‘cinema-mirror.’ Drawing upon V. Sobchack’s phenomenological film theory, this conceptualization positions cinema as a medium that deconstructs the conventional dichotomy between the gazing subject and the gazed object. The cinema-mirror signifies a realm of coexistence where cinema actively engages with the tangible world, shaping and ascribing meaning to the shared experiences of the audience. This paradigm implies that the cinematic world, as a cinema-mirror, engages with the audience’s world in a reciprocal ‘seeing and seen’ dynamic, constituting each other’s reality. Consequently, the portrayal of the TGNC body image in mirror-images within the cinematic realm as a cinema-mirror is reconceptualized not as a manifestation of self-fragmentation but as a specific symbol of otherization onto which societal scrutiny converges. Therefore, as the subject of perception that constitutes the world of cinema, the audience is exposed as a subject of fragmentation, imposing its fragmented ‘gaz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