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식적(形式的)인 측면(側面)에서 바라본 시(詩)의 ‘형(型)’과 ‘형(形)’에 대(對)한 문제(問題) - ‘민조시(民調詩)’를 중심으로 -

        김권동 ( Kim Kwon-dong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시는 인간 자신을 드러내는 정신 기술의 한 방식이다. 시에서 그 형식적 변화는 자기동일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끊임없이 변용하는 하나의 전체적 유형을 전제로 한다. 그 형식이 타의 선험에 의지하여 추상적으로 나타날 때는 전통 양식에 머무르는 형식이 된다. 반면에 그 현장성을 가지면서 자기체험이 구체적으로 나타날 때는 개인적 형식이 된다. 시조는 듣고 부르면서 향유하던 시가에서 보고 읽는 시로 향유방식이 바뀌게 된다. 이 경우에는 ‘형(型)’에서 ‘형(形)’으로 전환한 것이다. 정형시라고 할 때, 시조의 음악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가사에 해당하는 부분을 활자화한 소위 현대시조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시사(詩史)에서 시가(詩歌)로부터 독립한 시의 단계에서는 정형시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다. 변형된 현대시조뿐만 아니라 안서 김억이 추구했던 ‘격조시형’이나 김영랑이 자주 썼던 ‘4행시’, 그리고 주요한에 이어 시조의 단형화를 꾀한 노산 이은상의 ‘양장시조(兩章時調)’ 등은, ‘형(型)’을 얻기 전의 ‘형(形)’에 지나지 않는 시형(詩形)이다. 하나의 ‘형(型)’이 만들어지기까지는 역사적 시간과 경험의 축적 속에서 한 어족(語族)의 최대공약수와 미학적 결정체가 추출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이 즐겨 사용하는 정리된 형태의 시형(詩形)은 ‘정형(定形)’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민조시는 우리 민족의 민간 장단으로 흘러내려오는 율조의 소리마디를 문자의 뜻 위에 얹어 빌려 쓴 새로운 정형시다. 한국문인협회에 민조시 분과가 있을 정도이지만, 상당수의 문인들에게는 낯설다. 왜냐하면 민조시는 우리말의 소리마디를 3·4·5·6조의 정형률에 맞춰 쓴 새로운 시로서 2010년 ‘민조시 개척 선언문’이후, 우리 민족 문학사에서 처음으로 시도해보는 정형시이기 때문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시의 형태도 변할 수 있어야 한다. 시조는 일본의 정형시에 비해 너무 글자가 많아 현대 문명이나 문화를 수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이 민조시 운동을 하는 이유다. 본고에서 민조시는 ‘정형시(定型詩)’라기보다는 ‘정형시(定形詩)’에 가깝다는 것을 밝히게 될 것이다. ‘정형시(定型詩)’로 그 형식이 고정되기까지는 역사적 시간과 경험이 쌓여야 한다. 정형시(定型詩)는 주어진 몇 개의 블록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것과는 분명 다르다. 이미 만들어진 기본 틀에다 그 내용을 담으려면 충분한 수련을 거쳐야 한다. 왜냐하면 정형시(定型詩)는 우리민족의 정신과 정서를 우리의 형식에 맞도록 담아 표출할 수 있는 공통된 시여야 하기 때문이다. Existence does not exist in its original form, but symbols must be used to recognize it. There are many words and writings in the language. If the word is temporal, then the writing is a spatial being. The way to make a horse exist is soon to be written. If the fixed language is a lyric, then the atypical language corresponds to the image including the rhythm. It is the poet who constantly finds hidden existence in language. It was common to sing during the era when Sijo was flourishing. If you put the lyrics along the tune of the song, it was poe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rmative poetry that we perceived in the modern world, focusing on the ‘type’ and ‘form’ in terms of the formal form of poetry. It is just a form of poetry because it was created in search of various types of poetry. Fixed poetry should be a poet who can express the spirit and emotion of our people according to our form. In this regard, it w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examine what kind of poetry is ‘Min-jo-si(民調詩)’ that has emerged since the 2000s. ‘Min-jo-si(民調詩)’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fixed form’ which has not yet obtained ‘fixed form’. I would like to postpone the discussion to the next opportunity with continuous interest. It is important to show specific works of poetry rather than to explain any form of poetry.

      • 헝가리 정형시(定型詩) 율격(律格)의 구조와 특징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본고는 헝가리 정형시에 나타나는 율격의 유형과 구조를 살펴보고 헝가리 정형시의 율격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봄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정형시에 있어서 율격이란 시에 리듬과 규칙성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한다면 율격의 구조를 살피는 작업은 헝가리 정형시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율격은 한 언어의 음운자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율격에 관한 연구는 그 언어가 가지는 음운론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헝가리 정형시의 율격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율격의 개념정의와 더불어 율격의 유형과 각 율격의 특징을 살펴보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율격이론에 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고 일반적으로 가장 공감을 얻고 있는 로츠(J. Lotz)의 이론을 틀로 하여 헝가리 정형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율격의 종류를 분류해 보고 각 율격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헝가리 학자들 역시 로츠의 율격유형 분류이론과 흡사하게 음절수(szótagszám), 음의 강약(hangsúly), 음의 장단(időtartam), 음의 고저(hanglejtés)등 율격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헝가리 정형시 율격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율격의 다양성에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언어의 경우에는 시작(詩作)에 있어서 율격의 유형 중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데 비해 헝가리 정형시에는 음절율격, 강약율격, 장단율격 등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나고있어 다른 언어들에 비해 다양한 율격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헝가리 정형시 율격의 또 하나의 특징은 이런 율격들이 개별 시에서 단독적으로 적용되기도 하지만 어떤 시에서는 둘혹은 세 가지 유형의 율격이 다양한 조합을 이루며 하나의 시에서 동시에 적용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음절율격과 강약율격, 음절율격과 장단율격, 강약율격과 장단율격,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음절율격, 강약율격, 장단율격이 한 작품에서 동시에 보여 진다. 이렇게 헝가리 정형시에 적용되는 율격의 유형이 다른 여타 언어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헝가리어의 음운론적 특징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헝가리 단어의 첫음절에 강세가 오는 언어적 특징은 강약율의 적용을 가능케 하였고, 헝가리어의모음구조에서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칭은 장단율격을 적용을 가능케 했으며 각 음소의 모음적 성격과 자음적 성격의 명확한 구분은 음절 율격 적용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헝가리어의 언어적 특징이 한데 어우러져 헝가리 정형시의 율격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율격구조는 동시에 헝가리 정형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tric genres applied to Hungarian rhymed ver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Since meters belong to basic elements that give works rhythms and regularity in rhymed verses, the inspection of metrical structure is also to grasp the structures and features of Hungarian rhymed verses. In addition, since meters consist of phonological features of a language, the study of meters also enables to grasp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In looking into the metrical structure of Hungarian rhymed verses, it would be necessary in advance to review the conceptual definitions,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meters.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s the various views of scholars, classifies the kinds of meters found in Hungarian rhymed verses based on J.Lotz's theory most widely recognized, and the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er. Similar to Lotz, Hungarian scholars divide meters into 4 types of szótagszám (number of syllables), hangsúly (strength of sound), időtartam (length of sound) and hanglejtés (height of sou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meters is one of the most striking features of meters in Hungarian rhymed verses. While one or two kinds of meters are generally applied to the writing of poetry, dynamic, durational and syllabic meters are found in Hungarian rhymed verses, which shows that various meters are applied to Hungarian rhymed verses, as compared to those written i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the meters of Hungarian rhymed verses are also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uch meters are independently applied to rhymed verses, but compositely appear in many ones. In particular, dynamic and durational meters sometimes appear in one work at the same time, and syllabic and dynamic meters sometimes are also applied together. Above all, it is judged to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language that the meters applied to Hungarian rhymed verses are so various in kind, as compared to those written in other languages. It enables to apply dynamic meter that stress is put on the first syllable of each Hungarian word; it enables to apply durational meter that long and short vowel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vowel structure of Hungarian; and it enables to apply syllabic meter that each phoneme has vowel and consonantal characters clearly divided. Like thi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form the metrical structure of Hungarian rhymed verses, which composes the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poem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황석우 시론에 나타난 ‘자유’의 구상 : 반정형(反定形)의 도전과 비정형(非定形)의 불안, 그 이후

        박현익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This paper analyzes the discussion on free verse developed by Hwang Seok-woo, since the 1910s on the axis of poetic intuition, anti-formal, non-formal, and “anxiety” concepts of formal poetry. In his poetic theory, the unique forms of free verse, created based on anti-formal confrontational consciousness, as a denial of formalization, are based on the poetic intuition and the uniqueness of expression. Created through the negation of the formal, “non-formal” poems require a genre category to be incorporated again, a new universal one. Hwang Seok-woo, then, requests the establishment of a “free verse form” as a new universal category through negotiation of poetry creation and criticism, and presents a blueprint for universal free verse. This perspective is expected to allow a more diachronic approach to the poetics history by examining a set of ‘negative-disband-rebuild’ mechanisms that operate at every literary turning point in which the established form is dismantled and new forms appear. In addition, we look at the context in which his theory has not found a medium to integrate the poet’s personality and the poem’s own personality organically, but has moved on to the quest for a new-formal rhythm.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the symbolism theory of the 1910~20s, which pursued universality of “humanity”, “spirits” and “space” in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본고는 1910년대 이후 황석우가 전개한 자유시 관련 논의를 시적 직관, 정형시형 및 신체시형(新體詩形)에 대한 ‘반(反)정형’ 및 ‘비(非)정형’, ‘불안’ 개념 등을 축으로 분석한다. 황석우의 시론에서, 정형시형에 대한 부정으로서, 반(反)정형 대타의식을 기반으로 창작되는 자유시의 고유한 형식들은, 시인들의 시적 직관과 표현의 고유성을 기반으로 한다. 정형의 부정을 통해 창작된 ‘비(非)정형’ 시들은 다시금 편입될 장르적 범주, 즉 새로운 보편항을 필요로 하게 된다. 황석우는 시 창작과 비평의 교섭을 통한 새로운 보편항으로서의 ‘자유시형’ 확립을 요청하고, 보편적 자유시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황석우 시론에 대한 이와 같은 관점은 기성 형식이 해체되고 새로운 형식이 등장하는 문학사적 전환기마다 작동하는 ‘부정-해체-재구축’ 메커니즘의 일단을 살펴봄으로써 시론사에 대한 보다 통시적인 접근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그의 시론이 시인의 개성과 시 자체의 개성의 유기적 통합을 지향하면서 새로운 정형시형의 모색으로 나아가게 된 맥락을 살펴본다. 그의 궤적은 ‘개인’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인류’, ‘영혼’, ‘우주’ 등의 보편성을 지향했던 1910~20년대 조선 문단 내 상징주의 시론의 의의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격조론(格調論)’의 의미 연구 : 김억과 이병기를 중심으로

        서진영(Seo Jin-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In Korean early modern poetry, only a verse of free style was thought as new and modern. Traditional genre and fixed form verses were known as pre-modern or anti-modem verses. Stadardized tone and fixed forms were in opposition to the modem poetry. So theories on the fixed tones and rhythms of Kim Uk and Lee Byung-gi in process to the modern poetry were studied as return to the old convention and the past tradition. But in this study, their investigations on fixed tone and fixed form are thought as one of trials to seek and compose new modern form of verse. Kim Uk in 1920's and Lee Byung-gi in 1930's were in the different times and situation, but they developped their theories on the new forms of verse under the same concept, Fixed Tone. Kin Uk thought that modern free verse should have its own rhythm which showed national uniqueness. When he presented and translated French symbolism poems to 1920's Korean literary world he lamented that Korean modern poetry had no rhymes. He thought repetitions of some words or verbal proper use could booster the poetic rhythm. The nationality he had been emphasizing in this process does not mean the concept from traditionalism or nationalism. Its concept is included by modern literature. Lee Byung-gi and his traditional verse form(Sijo) has been understood as the return to the past, but he emphasized to delete the characteristics as the traditional genre and to develop the new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erse. When he focused on the indivisuality of traditional verse, Sijo composed by the indivisual sight and thought, his Sijo has no relation with any ideology of groups. So his 'tone' is not 'fixed form' but a harmony of poetic rhythm and emotion. In Kim Uk's and Lee Byung-gi's, nationalism and traditionalism have to de distinguished. In the case of Kim Uk, h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ity in his theory about tones. But Lee Byung-gi's tone is related with a tradition, but not nationality. Their theories about tones and fixed form have the common meaning to investigate new types of modernity. 한국 근대시의 흐름이 일반적으로 ‘전근대적 정형시’로부터 ‘근대적 자유시’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고 인식될 때 우리 근대 시사에 나타난 정형적 율격을 지향하는 흐름들과 전통적 장르에 대한 논의들은 쉽게 반근대적, 혹은 전근대적인 성격으로 규정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은 기본적으로 ‘반(전)근대적 정형시’와 ‘근대적 자유시’가 서로 이분법적으로 대립하는 것이라는 인식에 기반해 있다. 그러나 본고는 우리 시사에서 ‘정형’에 대한 탐색이 근대적 자유시의 흐름에 역행함으로써 과거적 전통에 복귀하고자 한다는 기존의 시각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는 결국 새로운 근대적 시형을 모색하기 위한 과정 속에서 나타난 것이라는 전제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1920년대의 김억과 1930년대의 이병기는 ‘정형’과 관련한 구체적인 시론을 전개하고 있어 주목되는데, 이 둘은 공통적으로 ‘格調’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들의 시적 정형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김억이 서구 상징주의 시를 소개하고 번역하면서 체험한 근대적 자유시는 민족적 특수성과 차이에 입각한 고유한 시적 리듬을 지닌 시 형식이었다. 그가 ‘격조 시형론’으로 내세운 것은 바로 이러한 견해를 노정한 것으로 여기에서 그는 ‘라임’을 갖지 못한 조선말일지라도 특정한 어미 사용이나 음ㆍ어절의 반복을 통해 시의 리듬감을 형성할 수 있음을 실험하고 있다. 율격의 문제와 함께 고려하고 있는 음조의 문제는 시의 율격이 결코 정형적 율격 자체만을 위해서 실험되고 있지 않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내세우는 김억의 ‘민족’에의 강조는 전통주의나 민족주의적인 시각에서 출현한 것이라기보다는 근대문학의 개념에 내재한 민족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시조는 혁신하자」를 통해 ‘격조론’을 드러내고 있는 이병기의 경우는 시조의 장르적 특성에 기대어 흔히 전통의 복귀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과거의 시조의 위상을 탈각하고 새로운 시형식을 창조할 것을 내세운다. 그가 시조에서 노래의 의미를 제거하고 한 개인의 고유한 시선과 인식 작용에 의해 창작되는 개별 작품으로서의 시조 장르를 강조할 때 시조는 민족과 같은 집단의 이념과는 무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병기의 ‘격조’ 역시 하나의 고정적인 율격이라기보다는 개인으로서의 작가의 사상과 감정이 리듬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대개 민족주의와 전통주의가 동일한 선상에서 논의되곤 하지만 위의 논의에서 우리는 김억의 ‘격조론’의 경우 민족은 있지만 전통은 고려되지 않는 것을 보며, 이병기의 경우 전통은 고려되지만 민족 개념은 의도적으로 탈각시키고자 하는 상반된 의도를 발견한다. 김억과 이병기의 ‘격조론’은 공통적으로 시의 ‘정형’와 ‘율격’에 관한 이론이지만 둘의 출발 지점은 서로 완전히 상반된 것이었다. 그러나 결국 그 둘이 맞닿은 지점은 ‘의미내용이 율격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었으며 새로운 근대시형의 모색이었다는 점에서 공통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구소련 고려인 시에 대한 고찰 ― <先鋒>에 수록된 시를 중심으로

        김낙현(Kim, Nakhyeon)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본고는 <先鋒> 신문에 수록된 시를 중심으로 시 장르가 성행했던 이유와 그 성격, 그리고 시 형식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봉>에 수록된 고려인 시는 총 80편이다. 고려인 문단에서 시 장르가 성행했던 이유는 당시 소련의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대중들에게 널리 전파하고 대중들을 사회주의 건설 현장에 동원하고 독려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속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매체가 필요했는데, 그 장르가 바로 시였다. 고려인 시는 대중들을 교양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시의 중요성은 매우 컸다. 또한, 시 장르가 성행했던 요인은 고려인 문학이 시작부터 전문적인 문인의 부재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상대적으로 소설에 비해 창작이 더 용이한 시가 성행하게 되었다. 고려인 시의 성격은 개인적인 고유한 정서나 감정표출을 중시한 재래 순수 서정시가 아닌 집단의 목적에 부합하는 강한 목적문학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근간으로 창작되어 전달 동기가 중시된 고려인 시는 경직성과 투박함을 벗어나지 못하는 성격을 드러내었다. 고려인 시 형식은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나 장편서사시로 분류된다. 정형시는 처음에만 몇 편 창작되었으나, 1930년 이후에는 아예 창작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엄격한 음수율을 지닌 정형시는 눈 앞에 펼쳐지고 있는 사회주의 건설현장을 담아낼 수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고려인 문학을 실질적으로 발전시킨 趙明熙의 정형시에 대한 부정적인 詩觀이 작용하였다. 자유시 형식은 사회주의적 내용에 민족적 형식의 결합을 꾀한 형식으로 창작되었다. 민족적 형식이란 전통적인 율격에 부분적으로 변화를 주어 사회주의적 내용에 맞는 율격 형식으로 바꾼 것을 뜻한다. 또한, 자유시는 마야코프스키의 작시법에 의하여 창작되기도 하였다. 長詩인 산문시나 장편서사시는 특히, 마야코프스키 시의 형식으로 창작되었는데, 이는 고려인 문학이 얼마나 마야코프스키 시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는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마야코프스키 시에 대한 열풍은 해방직후 북한문학 형성기까지 지속되어 새로운 장편서사시를 창작하게 되는 직접적인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차후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the poetry genre was so popular, as well as its n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forms, focusing on the poems contained in the Seonbong newspaper. There are a total of 80 Goryeoin poems included in Seonbong. The reason this genre of poetry was so popular in the Goryeo literary circle was that, in order to spread the Soviet Union’s socialist state ideology to the public and to mobilize and encourage the masses to socialism, above all else, a medium was required that could be delivered quickly and easily; this medium was poetry. As the poetry of Goryeoin played a role in cultivating the public sentiment, the importance of poetry wa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 reason the poetry genre prevailed is that Goryeoin literature was, from its beginning, developed in the absence of professional writers. As a result, these poems, which were relatively easier to create than novels, became popular. Goryeoin poetry is not a type of traditional pure lyric poem that emphasizes unique individual emotions or the expression of emotions, but instead is a type of literature with a strong purpose that meets the group needs. Therefore, the poetry of Goryeoin, which was created based on socialist realism and emphasized its motivation for delivery, revealed a character that could not escape from rigidity and crudeness. The forms of Goryeoin poetry are classified into fixed verse, poetry, free poetry, prose poetry, or long epic poetry. Fixed verse was often used only at the beginning of this time period, but was not used at all after 193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ixed poetry, which had a strict negative rate, was unable to capture the socialist construction site in front of his eyes; the negative view of fixed poetry that was written by Jo Myeong-hui, who actually developed Goryeoin literature, played a role in this situation. Free poetry attempted to combine socialist content with ethnic forms of poetry. The ethnic forms refer to changes to traditional rhythm, in part, and into a form of the rhythm that fit the socialist content. In addition, free poems were also created according to Mayakovsky’s writing method. In particular, prose poems and long epic poems were created in the form of Mayakovsky’s poetry, which allows us to see how much the Goryeoin literature was influenced by Mayakovsky’s poetry. The craze for Mayakovsky"s poetry lasted until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right after liberation, and directly led to the creation of new epic poems. A closer examination of this topic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초창시대 시가양식의 기원에 대한 시론(試論)

        조영복(Cho, Young-bok)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본고는 초창시대 시가양식의 물리적 표식 문제 곧 구두점, 띄어쓰기, 시행의 배열, 개행, 배치 등의 단구, 배단 등의 스크라이빙(‘scribing’) 문제를 다루었다. 시양식은 판면, 판식상 배단, 단구 등의 물리적 가시적 표식을 통해 산문양식과 차별된다. 근대시의 기원, 모방/이식론, 전통시가의 계승문제, 자유시-산문시 논쟁, 조선어 구어와 언문일치 문제 등 시사상(詩史上)의 근본적인 핵심 논제들이 이 스크라이빙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육당 신체시의 모형들이 보여주는 것은, ‘과도기형 시가’로서의 신체시론이나 시사상 정설로 굳어진 ‘정형시-자유시-산문시’의 진화론적, 단계론적 구도에 의문을 갖게한다. 육당이 신체시형을 실험하면서 내세운 핵심적인 기준은 ‘글자수효의 제한’ 문제였고 정형적인 틀을 다양하게 변주하는 방식으로 전통시가의 정형틀을 벗어나고자 했다. 그의 신체시형의 근본 관점은 정형시체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 이는 전통적인 시양식의 이념인 시가(노래) 곧 독송, 가창 양식으로서의 시의 이념에 근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초창시대 시가양식의 존재론적 근거는 기존의 노래형식을 어떻게 새로운 말(조선어 구어체)로 불러낼 것인가, 구어체 말을 새로운 분위기(조)로 어떻게 정련할 것인가에 있으며 궁극적으로 그것은 ‘조선어 구어시가의 문자화’이다. 핵심은 ‘자유율’이 아니라 ‘조선어 구어체’에 있었던 것이다. 본고의 논의가 초창시대 시가양식연구에 있어 ‘논의의 초점’을 옮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Chunwon(이광수) spoke that he spread the way to detach paragraph and to write Korean alphabet, mentioning the ‘New Style’ of Yukdang(최남선). Thi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scribing problem, in which the methods of phrasing and arranging, or the problem of colloquial Korean are regarded as salient. The problem of the scribing surpass the value of just empirical material in that the modern poetry style is discriminated from the prose’s by physical sign. The core subject from current events, such as the origin of modern poetry, imitation/transplant theory, the succession problem of traditional poetry, free verse-prose poem controversy, colloquial Korean, and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re all related. Therefore, this manuscript had suggested the material of arrangement of line, phrase, which are from Old Korean Folk Songs to the Chinese Poetry, with illuminating the New Style of Yukdang through the prism as scribing. The New Style of Yukdang shows that there are doubts on the theory of the New Style as transient or the step-by-step structure of Fixed- Free-Prose verse. Yukdang’s fundamental criteria, while experimenting diverse New Style, was the limit on the number of letters, and he tried to escape from the fixed rhythm of Traditional Poetry, by playing variation on the formality, diversely.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poetry style depends on whether the category of the limit would be on a line, stanza, or the entire stanza unit. This indicates that his fundamental viewpoint was based on the style of the Fixed Verse, not the Free. He tried to find the style of the poetry, which realizes formal, linguistic aesthetics of colloquial Korean, and the example was at traditional model, such as sijo and Chinese Poetry. He wanted to create the model of colloquial Korean Poetry, by scribing the styles he knew, and then de-scribing. The failure of realizing the ideal model of new colloquial Korean poetry was based on the problem of Korean’s linguistic characteristics, not the deficiency in his individual capacity; the same can be applied to Anseo(김억) and Johan(주요한). This is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of accepting the viewpoint of psychological or Modern Poetry’s regression, regarding return to the sijo style or creation of the tone poem. This is the point which the existing debates, containing modernity problem or the modern self-consciousness of the Modern, ignore.

      • KCI등재

        산문시론 시고(試考)

        이명찬(Yi Myung-chan)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현재 중등교육 현장에 널리 퍼져 있는 이상한 용어 가운데 하나가 ‘산문적 리듬’이라는 이해하기 힘든 말뭉치이다. 이 용어는 우리 문학 교육의 현장에서 ‘산문: 운문,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 운율: 내재율’ 등의 개념들에 대한 명확하게 합의된 규정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겨난 혼란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혼란의 책임은 당연히 중등교육의 담당자들이 아니라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대학의 연구자들에게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사이버 상의 각종 사전이나 오랜 기간 학계에 영향력을 행사해온 문학 원론들, 시론들에 이미 이런 혼란들이 꾸준히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산문시란 당연하게도 산문 형식의 서정시를 가리킨다. 그리고 산문 형식이라는 말은 운율 배제라는 조건을 전제로 성립하는 어법이다. 이에 비해 정형시란 외형적으로 드러난 형식적 틀에 맞춘 시를 가리킨다. 그리고 자유시는 그 일정한 틀은 버리되 시인 개인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운율적 요소들을 자유롭게 구현하는 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운율이 없는 서정시가 곧 산문시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산문적 리듬’이라는 용어를 이해해 보면, 그것은 결국 그러한 시의 완결성을 높이고 전달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의 최종 구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장치들의 기능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문단과 문단을 이어 글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어조나 감정의 강약을 조절하여 독자에게 감동과 영향력을 행사하는 텍스트의 힘을 일러 ‘리듬’이라 불렀던 것이다. One of the corpora widely used in current secondary education is "prosaic rhythm", which is hard to understand. The term exemplifies the confusion arising from the absence of a clear consensus on such concepts as "prose vs. verse, rhymed verse vs. free verse vs. prosaic poem, and rhymes vs. inner rhythm" in the field of literary instruction. The foregoing confusion may well be attributable to not those in charge of secondary literary instruction but relevant researchers at universities on the grounds that such confusion has continuously been exposed in various dictionaries, literary and poetic theories that have influenced the academia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only natural to say that a prosaic poem refers to a lyric poem taking the form of a prose. The form of a prose assumes the condition that rhymes are excluded. In contrast, a rhymed verse refers to a poem complying with an explicit formal framework. A free verse is defined as a poem that is free of a certain framework and intended to freely realize a range of rhyme components of a poet"s own volition. Based on the idea that a rhymeless lyric poem becomes a prose, the term "prosaic rhythm" refers to a range of poetic devices used in the final step of poetic composition to increase the poetic completion and enhance the delivery. A "rhythm" refers to the power of a text exerting influence and impression on readers by connecting paragraphs into an organically flowing text in its entirety whilst controling the tones or the emotional intensity.

      • KCI등재

        시문학파와 시조의 영향 관계 연구 -김영랑․박용철․정지용의 시조 인식을 중심으로-

        김준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7 No.-

        This paper examined Kim YeongrangㆍPark YongchulㆍJung Jiyong’s Recognition of Sijo who are key persons of Simunhakpa. Examining their recognition of Sijo is important to look into the background in which free verse and Sijo could coexist in Simunhak . It was found that Kim Yeongrang recognized Sijo as song, Park Yongchul recognized Sijo as poetry with a fixed form and Jung Jiyong recognized Sijo as language art. Kim Yeongrang’s recognition of Sijo formed naturally while he experienced Sijo and Pansori in his childhood. Kim Yeongrang recognized value of Sijo as Joseon’s traditional song. Kim Yeongrang did not think that creation of Sijo by Park Yongchul was undesirable. However, Kim Yeongrang did not have negative recognition of Sijo itself. Park Yongchul recognized Sijo as poetry with a fixed form other than song. This is found through advertisement in Sijodokbon which he carefully selected ancient Sijo and modern Sijo. Recognizing Sijo as poetry with a fixed form means that he included Sijo into category of literature. Jung Jiyong recognized Sijo as language art which is equipped with both song and fixed form. Key persons of Simunhakpa are different in ways to recognize Sijo but they recognize tradition and value of Sijo.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Sijo and recognizing tradition and value allowed Simunhak to be space where tradition and modern are in good harmony. 본고에서는 시문학파의 핵심 인물인 김영랑, 박용철, 정지용이 갖고 있었던 시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시조 인식을 살펴보는 작업은 시문학(詩文學) 에 자유시와 시조가 공존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지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논의의 결과로 김영랑은 노래로서의 시조, 박용철은 정형시로서의 시조, 정지용은 언어예술로서의 시조라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영랑의 시조에 대한 인식은 유년기에 성장하는 과정에서 시조와 판소리를 체험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었다. 김영랑은 조선의 전통 노래로서 시조의 가치를 인정하였다. 김영랑은 박용철의 시조 창작에 대해서 좋지 않게 생각했을 뿐이었다. 시조 자체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던 것은 아니었다. 박용철은 노래가 아닌 정형시로서의 시조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이는 박용철이 고시조와 근대시조 중에서 선작(善作)을 선별하여 집대성한 시조독본(時調讀本) 의 광고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시조를 정형시로 보았다는 것은 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지용은 노래와 정형성을 모두 갖춘 언어예술로서의 시조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시문학파의 핵심 인물들은 시조를 인식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시조의 전통과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시문학 이 전통과 근대가 어우러진 공간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한 우연이나 호기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시조를 이해하고 전통과 가치를 인정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 KCI등재

        시와 음악 사이 ― 근대동요의 경계적 성격

        오문석(Oh Moon-seok)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90

        근대동요는 시와 음악 사이에 있는 경계적 장르로 등장하였다. 동요의 경계적 성격은 시와 음악에 모두 속하면서 동시에 어디에도 온전히 속하지 않는다는 성질을 가리킨다. 이러한 경계적 성격으로 인해서 동요는 문학사를 지배하는 거대서사를 배반하게 된다. 예컨대, 노래에 의존하는 중세적 시가의 전통을 극복하고 자유시로 이행하고자 하는 근대시의 논리를 위반한다. 그에 따라서 노래와 시를 결합하려는 창가의 시도를 계승한다. 창가를 중세적 전통의 마지막 주자로 평가하는 근대시문학사의 논리가 관철되지 않는 것이다. 시와 음악의 미분리는 전근대적 유산이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는 지점인 것이다. 창가의 정형시 리듬조차도 인쇄문자의 한계를 극복하는 계기로 재해석된다. 그것은 인쇄문자의 침묵하는 기표를 거부하고 입말의 발성적 기표를 활성화하기 때문이다. 이는 구술문화에 대한 재평가로 이어진다. 인쇄문자의 발달로 인해서 소리에 의존하는 구술문화는 열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음반과 유성기, 라디오 등의 소리기록장치의 보급으로 소리에 의존하는 구술문화의 유산들이 활발하게 유통되었다. 이로 인해서 소리와 기억을 결합하는 정형시의 리듬이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한 변화의 한 가운데에 동요가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서 근대시문학사의 선형적 논리가 거부된다. 시와 노래의 미분리에서 시와 노래의 분리로, 정형시에서 자유시로,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발성 가능한 입말에서 침묵하는 기표로 발전한다는 선형적 발전의 논리가 뒤집어지는 것이다. 이는 근대문학이 그 성립을 위해서 억압했던 사실의 노출이다. 근대동요의 경계적 성격이 반(半)문학에 속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Modern childrens songs have emerged as a boundary genre between poetry and music, and the boundary character of childrens songs indicates that they belong to both poetry and music and do not belong to any place at the same time. Due to this borderline nature, childrens songs betray the master narrative that dominates the history of literature, for example, it violates the logic of modern poetry to overcome the tradition of medieval poetry relying on songs and to move to free verse. Therefore, it succeeds Changgas attempt to combine song and poetry, which does not carry out the logic of modern poetry history that evaluates Changga as the last runner of medieval tradition. The separation of poetry and music is not a pre-modern legacy, but a point where new possibilities are opened. Even the rhythm of the formal poetry of the Changga is reinterpreted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inted characters. This is because it rejects the silent signifiers of printed characters and activates the vocalizing signifiers of the oral language, which leads to a reevaluation of the oral culture. However, with the spread of sound recording devices such as records, voice recorders, and radios, the legacy of oral culture relying on sound has been actively circulated, and the rhythm of formal poetry that combines sound and memor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gain. In the midst of such a change, there is a fluctuation, which rejects the linear logic of modern poetry history. The logic of linear development that develops from the separation of poetry and song to the separation of poetry and song, from formal poetry to free poetry, from oral culture to literal culture, from utterable words to silent signifiers is reversed. This is the exposure of the fact that modern literature suppressed for its establishment. This is why the boundary character of modern childrens songs belongs to semi-literature.

      • KCI등재

        이지엽 시조 연구

        권성훈(Kwon, Sung-Hu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49

        이글은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비교적 변방에 있는, 시조시인 연구로서 시대적 흐름의 관점에서 1980년대 이후 ‘현대시조의 개성화 시대’의 중심인물 이지엽(1958~)의 시조 세계를 논의하였다. 이지엽은 1979년 시조집 『아리사의 눈물』을 출간하여 등단한 이래, 1982년『한국문학』백만원 고료 시부분 신인상과 198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조가 당선되었고, 다수의 작품집을 출간하였고, 주요 시조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현대시조단의 문학적 성취를 보이며 문학계와 학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이지엽은 시조시인이자, 연구자로서 지속적인 창작과 시조 연구의 중심테마가 되어온 ‘토속어의 수용과 에코페미니즘’(사설시조) ‘비정형성의 구현과 기하학적 상상력’(비정형시조) ‘단시조의 개신과 단형 극서정성’(단시조) 등으로 세분화하여 그의 시세계를 구명함으로써 ‘현대시조의 개성화시대’(1980~2000년대)의 견고한 ‘미학적 동선’과 ‘시조사의 일축’을 확인할 수 있다. ‘토속어의 수용과 에코페미니즘’에서는 사설시조에 사실적 이야기를 거느리고 구체적 토속어를 접목시켜 자신만의 독특만 시어로 희화하고, 보편적인 의미 공간을 창출하면서 사회적, 생물학적인 ‘여성성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지의 여성성’이라는 에코페미니즘의 시론을 구현하고 있다. ‘비정형성의 구현과 기하학적 상상력’에서는 시조정형을 감각적인 비정형성의 미의식으로 구현하면서 기하학적 상상력을 통해 탑재하여 직선적 불완전한 존재 속에 함이 된 곡선적 세계를 깨달아가는 의미의 차원으로 천착되어 진다. ‘단시조의 개신과 단형 극서정성’에서는 현대성에 부합하게 단시조를 개신하여 비정형적 단시조 안에서 형식미학을 찾아 ‘압축과 절제라’는 구도위에서 비정형적 구성과 의미의 배치를 통해 ‘일탈과 확장’을 주면서 서정을 극대화하는 바, ‘단형극서정성’이라는 새로운 권역을 구축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etic world of Lee Jee-yeub (1958-),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etry group, considered a “model of Korean moder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ras in the history of Korea modern poetry. Lee Jee-yeub published the Korean poetic collection “Tears of Arisa (1979),” and afterwards, he received an award in the novice section in “Korean Literature,” winning one million won (1982). He also won the annual spring literacy contest in the Korean poetry section from the “Trend Newspaper”(1984), left a large number of anthologies, and was awarded a prize. He especially engaged in vigorous activities as a creator, founder, and researcher (university professor) in the area of Korean Poetry. Additionally, he published “open poetic”(1996), a work on overall literacy regarding poetry, particularly Korean poetry, and “Korean poem poetic”(2000), a work on Korea poetry-specific literacy regularly, which has never fail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novice poe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oetry. He also shared his ideas with them, which makes him unique in the modern Korean poetry group. In this context, it is easy to consider that people identify with Lee Jee-yeub in Korea’s modern poetry history. Additionally, this study serves to identify active poets in each period. These include the “modern Korean poetry beginning period”(1910), “modern Korean poetry exploitation period”(1920-1940), “modern Korean poetry form stable period”(1950-), “modern Korean poetry identity secure period”(1960-1970), and “modern Korean poetry individualization period”(1980-2000’s). The poets include Lee Byung-gi (1891-1968), Lee Tae-geuk (1913-2003), Kim Je-hyeon (1939-), Lee Jee-yeub (1958-) and others in this order in units of 20 years. Thus, Lee Jee-yeub had significant accomplishments in the modern Korean poetry group’s political and academic aspects, and exercised significant influence in literacy and academia;he departmentalized Korean poetry, focusing on continuous creation and research as a poet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Korean poetry. His classification of Korean poetry is as follows: “acceptance of local language and eco-feminism”(editorial Korean poetry), “realization of informality and geometric imagination”(informal Korean poetry), “reformation of short Korean poetry and short-string extreme lyricism”(short Korean poetry), and soon. Hence, he could deepen his Korean poetry theory and therefore confirmed stable “aesthetic circulation” and “refusal of Korean poetry histor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individualization period” (1980-200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