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향기,이재영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 력과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두려움, 흥분, 기쁨 상황의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 력이 수준에 따라 감정조절능력의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각 요인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망수용능력의 하위 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 화, 조직이해와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화, 조직이해가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 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두려움, 충격, 기쁨의 상황에서 유의하였으나, 흥분 상황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망수용능력 중 자기이해능 력은 두려움, 충격,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타인이해는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부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ample of 305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one-way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bilities in fear, excitement and jo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in the emotional situation show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between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others' understanding was high, and there wa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decentralization, others-understanding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self-understanding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nd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Third, the influence of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noted in situations of fear, shock and joy, but not in excited situations.

      • KCI등재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능력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

        신혜영,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3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adolescent's eating attitud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regulation.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adolescent's eating attitud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related ? Second, how adolescent's eating attitud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affected? Third, does adolescent's eating attitud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erence ? This study investigates 49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 city, C-do. For measurement, this study uses Korean ver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eating attitude test.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correlation 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for further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middle school adolescents was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igher adolescents can be improv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efficient to foster adolescent's eating attitud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regulation, when adolescents get appropriate coping and self-control ability.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능력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능력이 섭식태도와의 차이, 관계 및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99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 능력 및 섭식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 능력 및 섭식문제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첫째,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더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섭식문제를 지니고 있었고, 학년에 관계없이 남학생들이 여학생들 보다 더 많은 섭식문제를 지니고 있었고, 둘째, 여자 중학생을 제외하고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더 높은 정서조절능력을 보이며, 남녀 중⦁고등학생 모두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더 적은 섭식문제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증가할 때 더 적은 섭식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심리적 안녕감은 성별, 학년 등의 개인의 성격, 주변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둘째, 정서조절능력은 자신의 정서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타인의 정서를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으로 사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고, 셋째, 청소년들은 건강한 신체, 정서발달 등 올바른 섭식태도는 중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을 둘러싸고 있는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 능력은 섭식태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인 문제인식과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중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정해(Jung Hae Seo),정희정(Heej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부모교육 및 유아의 정서조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236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기질은 직업 유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의 연령, 유아의 성별 및 연령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기질 중 정서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어머니의 사회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성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성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활동성 기질은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기질 중에는 정서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요인 중에서는 의사소통능력과 훈육능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훈육능력, 의사소통능력, 정서성 기질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어머니의 기질 중 정서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양육효능감 요인 중에서는 의사소통능력과 훈육능력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훈육능력, 의사소통능력, 정서성 기질 순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from 7 pre-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236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t disposition,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outcome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of mothers and children on maternal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temperament and their employment status in some instances. Second, in relation to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temperament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the study fou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with mother’s temperament such as emotionalit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sociability. The study also showed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Third,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mother’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f mother’s temperament such as emotionalit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mother’s activity temperament an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mother’s ability to communicate and discipline, which are part of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Conclusions The study has found negative impact of mother’s temperament such as emotionality, positive impa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such as ability to communicate and discipline on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Drivers of emotional self-regulations in children are mother’s disciplinary capacity, ability to communicate and activity temperament listed in terms of significance.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김희진,한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This research aim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rty eight children who are 4 or 5 years o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veral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 graded the highest score for empathy among subordinate positions of moral self, compensation, interests about good emotion with parents, sensitiveness about violating rule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graded the lowest score for guilty conscience and emotional anxiety after violating rules.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of 15.38(SD=9.35) on a scale of 24.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got a better grade than that about one's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nfession, one of the moral self's subordinate moral positions, seem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the total of children's moral self's mark and their subordinate positions, confession, compensation, and interest about other people's misconduct seem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As a result of analyz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rmer seems to posses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one subordinate factor among the latter's typ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 4세,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도덕적 자아,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자아의 하위 도덕적 차원 중 고백이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 총점과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고백, 보상, 타인비행관심이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성을 한 가지 측면으로 분리한 개념이 아닌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도덕적 자아를 연구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유아의 도덕교육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성 연구와 도덕성 교육에서에서 유아의 정서발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장정주 ( Jung Joo Ch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 공감능력,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을 측정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 공감능력, 공감적 관심간 각 변인들의 긍정적 상관이 나왔다. 그리고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이 정서조절에 그리고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모형검증 결과 정서자각이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표현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과 정서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간의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정서자각이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과 공감 능력 요인인 공감적 관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서표현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지지추구적 양식과 공감적 관심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침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 간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on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were 384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s positiv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0 was employed for analysis.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support-seeking strategies, empathic concern. Support-seeking strategies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variables(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ic concer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구조관계 분석

        김청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713 명)와 그들의 부모(1426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각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 경로계수, 각 경로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에 있어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 모두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아버지의 정서표현에 있어 ``긍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반응에 있어 ``지지적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비지지적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그 과정 중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정서사회화 행동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성자,윤미선 전국상담복지학회 2019 전국상담복지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능력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를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하기 위하여 만 3세부터 만5세 유아 501명과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사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능력 사이에서 교사·유아관계는 부분매개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와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이 교사·유아관계를 경유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 조건부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이때 교사·유아관계를 유아의 자아 존중감으로 조절될 때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동시에 규명 하였다는데 있다. This study is the targ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social skills - children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 and self-esteem regulation mediated effects verification to just only from 3 years old 5 years old children 501 names and teachers 49 people to the It was targe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major variables,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Second,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partly mediated, or indir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ir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infant relationship and social ability. Fourth,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hat self-esteem regulates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on social ability through teacher-infant relationship was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prov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as a way to enhance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at the same time, it proved that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is controlled by infant's self-esteem. It is.

      • 유아의 정서 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와의 관계

        송영혜,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유아의 정서적 능력은 또래 유능성,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기의 사회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6세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동기에 과잉보호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은 적게 사용하고 회피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는 낮았다. 또한, 어머니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통제적인 반응태도와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통제적인 반응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와 상관이 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인식능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받았던 경험과 상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는 아동기에 거부당한 경험과 상관이 높았다. 요약하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은 자녀의 정서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에게 바람직한 정서조절양식 및 수용적인 정서반응태도를 교육해야하고,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were 137 preschoolers`(65boys, 72girls, aged 5-6) mothers and teachers. Emotional ability was measured by their teacher.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by mother.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used much more active-regulation way,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better. Second, the more permissive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bette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more overprotected and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lower level of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The more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more compulsive attitude toward child`s expressiveness Forth, mother`s attitude toward thei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had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should be developed, counselling o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uld be done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mplicated father`s role in parenting.

      • KCI등재

        부모의 정서표현유형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김민정 ( Min Jeong Kim ),유연옥 ( Youn Oak Yu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표현유형과 유아의 성별에 따라 자기조절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시에 소재한 유치원 4곳에 재원중인 만 6세 유아 78명과 그 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정서표현유형은 SEFQ 설문지를,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은 교사평정척도,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은 유아면담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자료를 2(성별: 남아, 여아) × 4(부모의 정서표현유형: 부-긍정, 모-긍정, 부-부정, 모-부정) 이원변량분석, SNK 사후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의 8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안전, 소유물보호 및 타인존중에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유아가 자신의 행동과 정서를 통제할 수 있도록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지만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행동과 정서표현에 필요한 통제력을 얻는데 장애가 되는 것이다. 둘째, 유아의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인 4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려움조절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았으며 안전, 소유물보호 및 타인존중조절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이는 성역할에 대한 차별적인 기대와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있어서 부모의 정서표현유형과 유아의 성별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young children`s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 children aged 6, their parents and teachers who teach them.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examined by using the SEFQ, and behavior self-regulation ability was by using the teacher`s estimat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was by using the interview. The data from the survey above were analyzed by 2(gender) x 4(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on type) two-way ANOVA, SNK test. The results is following. First, young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ability has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young children`s gender. All of the sub-factors revealed sever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the safety, possession protection, respect to others among the sub-factors resulted in the differences under young children`s gender. Second,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mad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young children`s gend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the consequences are concerned with the sub-factors that are pleasure, sadness, anger, and fear. Fear varied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Parent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promoted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yet as parents express negative emotion mor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s a little bit lowered. The gender results in some differences under sub-factors in self-regulation variations. Girls have a higher level in safety, possession protection, respect to others, whereas boys much better to control their fear. Thus, in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and young children`s gender are important variati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경연(Kyoung 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를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시에 소재한 2년제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r을 구하 , 고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증진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활용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높이고 나아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dditionally,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urthermore, the purpose was to illumin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ethods A total of 17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a 2-year college located in Seoul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empath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oftware to compute Pearson's r and conduct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emerged as predictors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ird, in terms of the impact of empathic ability o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e enhancement of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suggest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implies providing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imed at enha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ultimately enabling them to utiliz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