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도전의 헌법 사상에 대한 고찰

        신주호 ( Shin Joo H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삼봉 정도전은 고려 말의 구습을 청산하고 이성계와 더불어 새로운 조선을 건국함으로써 정치적 세대교체를 이룬 주역이다. 그는 성리학을 바탕으로 민본주의, 덕치주의를 주창하고, 재상 정치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성리학적 토대를 깊이 하기 위해서 ‘불씨잡변’ 등을 저술하여 성리학적 세계관을 관철하여 나아갔다. 정도전은 성리학의 이상사회를 당시 현실에 실현하려 하였고 주례에 의한 중앙집권체제와 재상정치론을 제시하였다. 조선의 정치 및 헌법 체계는 그의 ‘조선경국전’을 따랐고, 경제 체제는 고려 말 그가 주도해 만든 과전법의 틀을 지켰다. ‘조선경국전’은 쉽게 말해서 조선의 헌법 초안(草案)이다. 정도전의 헌법사상 역시 그가 스스로 신왕조의 헌법기초를 제정하였다는 사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무엇보다도 통치제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 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논의하면서 통치 질서 속에서 군주의 역할과 재상 및 관료의 기능을 바로 정하여 주려고 노력하였던 것 같다. 실로 정도전의 헌법 사상은 중앙집권적 관료국가주의의 이념 아래서 군주와 관료 사이의 권력분립을 선명히 하려고 한 점에서 본령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도전의 민본, 위민의 헌법이념은 권력구조와 통치기구의 현실에 있어서도 일관성 있게 표현되고 있다. 그는 권력이 민을 위한 수단이 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관리들의 권력남용을 막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권력이 절대적으로 중앙정부에 집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여 그는 민에 대한 통치권 내지 지배권을 일체 중앙에 집중하여 관권으로 하여금 귀족 또는 호족의 사적 지배를 억제하고 다른 한편으로 관권에 의한 관권의 감독과 견제를 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전자는 중앙정부로 하여금 전국을 일원적으로 지배하도록 하는 것이고, 후자는 권력을 상하로 계급화 하여 소관은 대관에, 지방은 중앙에 예속시켜 통제를 받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제는 한마디로 중앙집권체제의 강화라고 하겠는데, 정도전이 파악한 국가체제는 전제군주정치도 아니고 가산국가도 아닌 중앙집권적 관료지배체제였다고 볼 수 있다. 흔히 정도전은 신권(臣權)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신권과 왕권의 대립을 연상시키는데, 그가 주장하는 신권이란 결국 민권이다. 왕에 대한 견제와 권력의 균형을 추구하자는 주장이다.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민에 의한 폭군방벌을 역성혁명이라고 불렀는데, 정도전은 역성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아니하지만 군주의 통치권의 존립여부는 민의 주체적 동의여부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신민의 지지를 얻지 못한 왕은 여차하면 제거될 수 있고, 백성이 나라의 참된 뿌리이기 때문에 상대가 비록 왕이나 대통령이라 할지라도 언제나 잘못한 것을 꾸짖을 수 있다는 한국인의 강한 비판정신은 이러한 역사적 경험에 기인하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 정도전의 혁명사상은 조선왕조 건국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에 의하면 이성계는 스스로 왕위를 찬탈한 것이 아니라 민심의 추대와 천명의 허락을 받아서 이른바 응천순인함으로써 위를 얻은 것이다. 따라서 정도전의 혁명 사상을 근대 저항권과 비교해 본다면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는 정도전 그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라는 던진다면 예컨대 정도전이 주장했던 재상중심 체제라는 것이 과연 당시 조선의 현실에 적합한 것이었을까? 하지만 당시 조선에게 필요한 것은 절대군주제를 통해 국력을 조직화하고 근대국가로 나가는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정도전에 대한 높은 평가, 특히 정도전이 구상했던 재상중심 체제를 의원내각제에 비견하는 것은 억지와 무지의 소산이 아닐까도 싶다. 민주정치에 있어서는 투표에 의하여 민의가 측정되고, 다수의 민의를 얻은 자가 정치를 운영하며 그 임기가 제한되어 수시로 정권이 바뀐다. 이에 비해 정도전의 헌법 사상에서는 민의 투표권이나 다수지배의 원칙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정권의 임기도 의식되지 않는다. 혁명에 의하여 교체되는 것은 다만 군주 일인뿐인 것이다. 따라서 정도전의 민주주의는 신탁통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신탁을 저버리는 군주에 대하여 현실적 혁명, 행동으로 나오는 것이 민의 권리일까 하는 문제인데, 정도전의 헌법 사상에는 ‘권리’라는 추상적 개념 자체가 아직 성립되지 않았으니 무엇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그 뜻은 긍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Sambong Jeong Do-jeon is the one who has achieved the generational change in politics by liquidating the old tradition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establishing the new Joseon Dynasty together with Lee Seong-gye. He advocated the democracy and reigning of virtue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he also pursued the prime minister politics. And to solidify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he insisted the Confucius view of the world by writing the book of ‘Bulssi Japbyeon’. Jeong Do-jeon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Neo-Confucianism in the real world and suggested the centralism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ers called ‘Jurye’ and the theory of prime minister politics. The politics and constitutional system of Joseon followed his ‘Joseon Gyeonggukjeon’ and the economic system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his Land distribution system called ‘Gwajeonbup’. ‘Joseon Gyeonggukjeon’ is a kind of a Constitutional draft of Joseon Dynasty. And his Constitutional theory can also be found in the fact that he enacted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new dynasty for himself. First of all, he considered the issue of political power and revolution for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the power of new dynasty and discussed the political philosophy of Confucius virtue as a new governing principle, and he largely studied on the order and occupation of social classes, the selection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education system. Most of all, he seemed to have tried to specify the role of king and the functions of ministers and government officials by discussing about how the government system should be composed basically. Actually, Jeong Do-jeon`s Constitutional theory has an important meaning that he tried to clarify the separation of powers between king and officials under the principle of centralized bureaucratic statism. His Constitutional theory for people is represented consistently also in the reality of power structures and governing bodies. He believes that the power abuse of government officials should be prevented in order to use their power as the measure for their people, and to do that, the political power should be focus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bsolutely. Thus, by concentrating all the sovereign power or control over people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personal control of aristocrats can be suppressed and the supervision and checks between the government bodies can be conducted on the other hand. In other word, the former is to control the whole country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atter is to classify the powers that the small authorities are controlled by the large authorities and the local government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is kind of system can be called as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ed system in short, and this idea came from the Chinese system of cour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 system which he thought was the centralized bureaucratic system which is neither the tyrannical politics nor vassal government. Jeong Do-jeon, as a representative for the power of officials, reminds us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power of officials, the power of officials which he insisted, is the power of people at the end. He tried to pursue the checks for the king and the balance of powers. In the East, the expulsion of tyrant by people was called as the dynastic revolution, and though he didn`t use the word of revolution, he thought that the existence of the king`s authority depends on the voluntary agreement of people. Korean`s strong spirit of criticism that anyone can always criticize the king or president’s wrong behaviors because the king with no civil support can be eliminated at any time and people is the root of nation seems to be caused from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Jung Do-jeon`s Revolution theory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Joseon Dynasty. According to his theory, Lee Seong-gye could receive the crown by accepting the recognition of people`s calling rather than occupying the authority for himself. Therefore, when comparing Jung Do-jeon`s Revolution theory with the modern right of revolution,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face. What can we learn from his theory? And the political system centering around the Prime minister, which Jung Do-jeon has insisted, was proper for the reality of Joseon Dynasty at that time? However, what Jo-seon Dynasty needed was to organize the national power through the absolute monarchy to be the modern nation, I think. In addition to this, the high evaluation toward Jung Do-jeon, especially the comparison of his political system centering around the Prime minister to the parliamentary system, seems to be the outcome of exaggeration and ignorance. In a democracy, the civil mind is measured by voting and the one who gets the more public support operates the national politics, and the term is also limited so that the administration is changed frequently. On the contrary, in the Constitutional theory of Jung Do-jeon, there are no voting or the principle of majority rule and the tenure of political power is not recognized. The only thing that can be changed by the revolution is the king with power. So his democracy can be called as a kind of trusteeship.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issue whether the actual revolution or behavior of people against the king who broke the trust can be the right of people or not, though it is difficult to say about this definitely because his Constitutional theory didn`t establish the abstract concept of ‘Rights’, his intention should be interpreted positively I think.

      • KCI등재

        정도전의 사상에 관한 헌법적 고찰

        신주호(Shin, Joo-Ho)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3

        Sambong Jeong Do-jeon is the one who has achieved the generational change in politics by liquidating the old tradition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establishing the new Joseon Dynasty together with Lee Seong-gye. He advocated the democracy and reigning of virtue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he also pursued the prime minister politics. And to solidify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he insisted the Confucius view of the world by writing the book of ‘Bulssi Japbyeon’. Jeong Do-jeon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Neo-Confucianism in the real world and suggested the centralism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ers called ‘Jurye’ and the theory of prime minister politics. The politics and constitutional system of Joseon followed his ‘Joseon Gyeonggukjeon’ and the economic system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his Land distribution system called ‘Gwajeonbup’. ‘Joseon Gyeonggukjeon’ is a kind of a Constitutional draft of Joseon Dynasty. And his Constitutional theory can also be found in the fact that he enacted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new dynasty for himself. First of all, he considered the issue of political power and revolution for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the power of new dynasty and discussed the political philosophy of Confucius virtue as a new governing principle, and he largely studied on the order and occupation of social classes, the selection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education system. Most of all, he seemed to have tried to specify the role of king and the functions of ministers and government officials by discussing about how the government system should be composed basically. Actually, Jeong Do-jeon’s Constitutional theory has an important meaning that he tried to clarify the separation of powers between king and officials under the principle of centralized bureaucratic statism. His Constitutional theory for people is represented consistently also in the reality of power structures and governing bodies. He believes that the power abuse of government officials should be prevented in order to use their power as the measure for their people, and to do that, the political power should be focus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bsolutely. Thus, by concentrating all the sovereign power or control over people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personal control of aristocrats can be suppressed and the supervision and checks between the government bodies can be conducted on the other hand. In other word, the former is to control the whole country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atter is to classify the powers that the small authorities are controlled by the large authorities and the local government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is kind of system can be called as the strengthening of centralized system in short, and this idea came from the Chinese system of cour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 system which he thought was the centralized bureaucratic system which is neither the tyrannical politics nor vassal government. Jeong Do-jeon, as a representative for the power of officials, reminds us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power of officials, the power of officials which he insisted, is the power of people at the end. He tried to pursue the checks for the king and the balance of powers. In the East, the expulsion of tyrant by people was called as the dynastic revolution, and though he didn’t use the word of revolution, he thought that the existence of the king’s authority depends on the voluntary agreement of people. Korean’s strong spirit of criticism that anyone can always criticize the king or president’s wrong behaviors because the king with no civil support can be eliminated at any time and people is the root of nation seems to be caused from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Jung Do-jeon’s Revolution theory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Joseon Dynasty. 삼봉정도전은고려 말의구습을청산하고 이성계와더불어새로운 조선을건국함으로써정치적세대교체를이룬주역이다. 그는성리학을바탕으로민본주의, 덕치주의를주창하고,재상정치를추구하였다. 그리고성리학적토대를깊이하기위해서‘불씨잡변’ 등을저술하여 성리학적 세계관을 관철하여 나아갔다. 정도전은 성리학의 이상사회를 당시 현실에 실현하려 하였고 주례에 의한 중앙집권체제와 재상정치론을 제시하였다. 조선의정치및헌법체계는그의‘조선경국전’을따랐고, 경제체제는고려말그가주도해만든과전법의틀을지켰다. ‘조선경국전’은쉽게말해서조선의헌법초안(草案)이다. 정도전의헌법사상역시그가스스로신왕조의헌법기초를제정하였다는사실에서찾아볼수 있다. 우선 그는 신왕조의 정권을 이론으로 정당화하기 위하여 권력의 문제와 혁명의 문제를 깊이생각하였고, 새로운통치원리로서의 유학적인정과 덕치의정치철학을 논하였으며,사회계급의질서및직업의문제, 관리의선발과교육제도를널리연구하였다. 그는무엇보다도통치제제를어떻게구성하느냐하는문제를근본적으로논의하면서통치질서속에서군주의 역할과 재상 및 관료의 기능을 바로 정하여 주려고 노력하였던 것 같다. 실로 정도전의헌법사상은중앙집권적관료국가주의의이념아래서군주와관료사이의권력분립을선명히 하려고 한 점에서 근본이 되는 강령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도전의 민본, 위민의 헌법이념은 권력구조와 통치기구의 현실에 있어서도 일관성 있게표현되고 있다. 그는 권력이 민을 위한 수단이 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관리들의 권력남용을막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권력이 절대적으로중앙정부에 집중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그렇게하여그는민에대한통치권내지지배권을일체중앙에집중하여관권으로하여금 귀족또는호족의사적지배를억제하고다른한편으로관권에의한관권의감독과견제를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전자는 중앙정부로 하여금 전국을 일원적으로 지배하도록 하는 것이고, 후자는 권력을 상하로 계급화 하여 소관은 대관에, 지방은 중앙에 예속시켜 통제를받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제는 한마디로 중앙집권체제의 강화라고 하겠는데, 물론 이러한 발상은 중국의 제도에서 따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정도전이 파악한 국가체제는 전제군주정치도 아니고 가신국가도 아닌 중앙집권적 관료지배체제였다고 볼 수 있다. 흔히 정도전은 신권(臣權)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신권과 왕권의 대립을 연상시키는데, 그가주장하는신권이란결국민권이다. 왕에대한견제와권력의균형을추구하자는주장이다.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민에 의한 폭군방벌을 역성혁명이라고 불렀는데, 정도전은 역성이라는말은 사용하지 아니하지만 군주의 통치권의 존립여부는 민의 주체적 동의여부에 달려있는것으로보았던것이다. 신민의지지를얻지못한왕은여차하면제거될수있고, 백성이나라의참된뿌리이기때문에상대가비록왕이나대통령이라할지라도언제나잘못한것을꾸짖을수 있다는 한국인의 강한 비판정신은 이러한 역사적 경험에 기인하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 정도전의 혁명사상은 조선왕조 건국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에 의하면 이성계는스스로 왕위를 찬탈한 것이 아니라 민심의 추대와 천명의 허락을 받아서 이른바 응천순인(應天順人)함으로써 위를 얻은 것이다. 따라서 정도전의 혁명 사상을 근대 저항권과 비교해본다면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는정도전 그에게서무엇을 배울것인가? 라는물음을 던진다면예컨대 정도전이주장했던재상중심체제라는것이과연당시조선의현실에적합한것이었을까? 하지만당시 조선에게필요한것은절대군주제를통해국력을조직화하고근대국가로나가는것이아니었을까한다. 정도전에대한높은평가, 특히정도전이구상했던재상중심체제를의원내각제에 비견하는 것은 억지와 무지의 소산이 아닐까도 싶다. 민주정치에 있어서는 투표에 의하여 민의가 측정되고, 다수의 민의를 얻은 자가 정치를운영하며 그 임기가 제한되어 수시로 정권이 바뀐다. 이에 비해 정도전의 헌법 사상에서는민의 투표권이나 다수지배의 원칙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정권의 임기도 의식되지 않 는다. 혁명에의하여교체되는것은다만군주일인뿐인것이다. 따라서정도전의민주주의는신탁통치라고부를수있을것이다. 그런데여기에서신탁을저버리는군주에대하여현실적 혁명, 행동으로 나오는 것이 민의 권리일까 하는 문제인데, 정도전의 헌법 사상에는‘권리’라는 추상적 개념 자체가 아직 성립되지 않았으니 무엇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지만 그 뜻은 긍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삼봉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관점과 그 한계 비판

        이종성 ( Lee Jong-sung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한국도가철학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여말선초의 삼봉 정도전(1342-1398)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조선건국의 철학적 이념을 유가적 세계관을 통해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그 이념의 수호를 위하여 불교와 도가를 배척하는데 앞장선 인물이다. 그동안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도가비판의 한계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된 적이 없다. 이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고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에 대한 기본 입장과 그 한계를 검토하고자 한 연구의 목표와 필요성에 의해 기획되었다. 이글은 먼저 정도전의 학문적 기본 입장에 대해 주목한다. 정도전은 도가철학을 이단의 성격을 갖는 기학(氣學)으로 규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학의 한계는 그가 제안하는 또 다른 이단학문인 불교의 심학(心學)에 의하여 공격된다. 뿐만 아니라 기학과 심학은 정도전 스스로 리학(理學)이라고 규정한 유학의 최종 범주 틀로부터 타자의 학문으로 배척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도전의 도가비판은 그의 불교비판과 마찬가지로 유가를 수호하기 위한 호교론의 방편으로 제안된 것임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입장과 그 한계에 대해 주목한다. 이 글은 정도전이 본 도가철학 해석에 관한 기본 입장을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즉 도가철학은 (1) 불연속적 세계관의 특징, (2) 반윤리적 특징, (3) 현실 부정적 도피주의의 특징 (4) 불로장생 추구의 특징 등을 갖는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이와 같은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관점이 결코 객관적이거나 공정한 평가일 수 없다는 점을 문제 삼는다. 이에 이 글은 최종적으로 정도전의 도가철학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관점에 대하여 주목하고, 그 한계 비판을 각각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요컨대 도가철학은 정도전이 본 것과는 다르게 (1) 존재와 생명의 영속성, (2) 세속윤리 부정의 도덕론, (3) 현실 비판적 현실주의, (4) 생사초월의 생사관 등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 정도전의 도가철학에 대한 해석의 관점이 특정한 목적의식에서 제시된 것임을 분명히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서 정도전에 의해 왜곡되었던 도가철학의 의의를 새롭게 복권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본다.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Taoist philosophy at the end of Kory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Sambong Jeong Do-jeon (1342-1398), is a person who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e not only presented the philosophical ideology of the foundation of Joseon through the Confucian viewpoint of the world, but also took the initiative in rejecting Buddhism and Taoism. Whi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 results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there has not been individual research on the limits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Taoism.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jective and necessity to examine Jeong Do-jeon's basic posi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aoist philosophy and its limits. In the first place, this writing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basic position of studies. Jeong Do-jeon defines Taoist philosophy as Qi studies with the nature of a cult. Yet this limit of Qi studies is attacked by the mind studies of Buddhism which he regards as another cult. Furthermore, the Qi studies and mind studies are attacked as other studies from the final frame of category he himself defines Li studies as. As a result, Jeong Do-jeon's criticism of Taoism, like his criticism of Buddhism, is certain to be presented as a way to protect his religion. Then, this writing focuses on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and its limits. This writing examines the basic position of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n four aspects. They are: (1) the characteristic of a discontinuous viewpoint of the world, (2) that of immorality, (3) that of escapism to deny reality, and (4) that of the quest to live ever-young. This writing, however, focuses on the fact that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was never a fair valuation. Thus, this writing finally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negative interpretation of Taoist philosophy and gives criticism of its limits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In short, the meaning of Taoist philosophy, unlike Jeong Do-jeon's perspective, has (1) the permanence of beings and lives, (2) the morality to criticize morality, (3) the realism to criticize reality, (4) the view of life and death to transcend life and death. Through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s certain to be presented with a certain objective. Furthermore, the meaning of Taoist philosophy which has been distorted by Jeong Do-jeon is seen to have a chance to be renewed.

      • KCI등재

        정도전 악장 정재의 가무악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 몽금척․수보록․문덕곡을 중심으로

        조경아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3 No.-

        이 글은 정재가 지닌 융합적 성격을 고려하면서, 정재의 의미에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 제기를 하며 시작되었다. 특히 정도전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그가 지은 악장은 조선시대에 표본적 역할 을 했으며, 이후 정재의 형태로 공연되어 대한제국까지 지속되었기에 그의 악장 정재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정도전은 1393년(태조 2) 7월에 태조에게 악장을 지어 올렸는데 그 중 <몽금척>․<수보록>․<문덕곡>이 나중에 정재의 형태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정도전 악장의 정재인 <몽금척>․<수보록>․<문 덕곡>의 가무악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는 무엇가? 그 상징이 어떻게 조선시대에 지속되었으며, 현재적 의미 는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려는 것이다. 연구의 시기적 범위는 조선시대로 한정하며, 대한제국기를 포함한다. 연구방법은 정재가 기록된 사료와 도상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문헌연구방법을 택했다. <몽금척> 정재는 태조가 즉위 이전에 꿈에 신인이 내려와 천명을 상징하는 ‘금척’을 주었다는 내용이다. ‘금척’은 곧 ‘금으로 만든 자’인데, 신화에서 자[尺]는 왕권과 함께 생명력과 규범을 상징한다. 치어의 내용에 서 금척을 받을 인물의 조건은 문무를 겸하고, 덕이 있으며, 지식을 모두 갖추고 있고, 백성들이 바라는 사람 이었다. 1인이 읊는 치어가 하늘 뜻을 대표한 것이라면, 12명의 함께 노래하는 창사는 많은 백성들의 뜻이라 는 것을 시각화해서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금척사에서는 ‘유덕’과, ‘백성들의 마음’을 강조했다. 창사를 부르면 서 점진적으로 춤도 확대되는데, 천 억대를 이어가라는 금척사의 메시지의 확대와도 상응하였다. 마지막 퇴구 호에서는 경계의 마음을 가지라고 당부한다. <수보록> 정재는 태조가 즉위 이전에 이상한 글이 쓰여 있는 ‘이서’를 지리산의 석벽에서 사람이 얻었는데, 이후에 태조가 즉위하여 이 글이 실현되었다는 내용이다. <수보록>의 춤에서 핵심적인 상징은 ‘보록’이라는 무구이다. ‘금척’이 하늘에서 천명으로 신인이 내린 것이라면, ‘보록’은 살아있는 사람이 전해준 것이나, 왕업 이라는 상징은 상통한다. 춤에서 상징적인 인물은 지선(地仙)인데, <수보록> 악장에 없던 새로운 역할로 등장 했다. 보록사를 창한 뒤에 전체 6대의 18인의 무원이 이중으로 줄지어 세 차례 도는 춤동작은 창사의 내용이 모두 이루어지라는 온 백성의 염원과 소망을 담은 듯하다. <문덕곡> 정재에서는 백성들의 염원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문덕곡> 악장은 태조 이성계가 언로(言路) 를 열고, 공신(功臣)을 보전하고, 토지제도를 개혁하고, 예악을 정리한 것을 치적으로 찬양한 내용이다. 표면 적으로는 공덕을 기리는 것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정도전이 건의하여 진행 중인 네 가지 사안이 앞으로 조선왕 실에서 지속되기를 바라는 기원이었다. 태조대에 만들어진 세 악장은 늦어도 태종대에 정재로 만들어져서 각종 의례에 쓰였다. 태종대에는 <몽금 척>과 <수보록>의 내용이 꿈에 일어난 일과 도참설일 뿐 태조의 실제 덕이 아니라고 비판받았으나 세종대는 다시 <몽금척>과 <수보록>을 활발히 공연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는 <몽금척>만이 연향에서 자주 공연되었 으며, 대한제국 때까지 지속되었다. 정도전 악장의 정재는 신하로서 임금에게 하는 발언이자 제언이기도 했다. 공연 중간에 부르는 악장을 단순 히 임금의 공덕이나 치적을 받들어 올리는 송덕이나 장수를 기원하는 내용으로만 이해하면 평면적인 이해에 그치는 것이다. 오히려 정도전이 악장에서 강조하는 것은 위정자로서 칭송받을 만한 공덕을 지니고 있어야 한 다는 ‘경계’의 시각과, 천명과 민심에 의한 정치를 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낮고 무겁게 깔려 있다. 정도전의 민 본사상이 그의 세 악장 정재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난 것이다. 정도전의 악장에서는 민심을 반영하는 좋은 국가 를 만들기 위해 군주로서의 최선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도록 했다. 천심, 즉 민심을 떠난 왕과 왕실은 결국 망할 수밖에 없다는 이러한 메시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최고국정자의 리더십이 어떠해야 하 는가? 국가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하는 오늘날에도 정도전의 악장 정재가 주는 ‘묵직한 울림’은 여전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historicity included in the songs, dances, and music of performing court dance called as Jeongjae(呈才), especially songs written by JeonDojeon. Monggeumcheok(夢金尺), Suborok(受寶籙), Mundeokgok(文德曲) were produced by Jeondojeon during the reign of Taejo. His songs had a contained in the request as a puisne. The scope of time period for this research is from Joseon to Imperial Daehan(大韓帝國). The research objective is Joseon wangjo sillok(朝鮮王朝實錄), Akhakgwebeom(樂學軌範), all of source materials from official record of court event called Uigwe(儀軌), Jeongjae Mudo Holgi(呈才舞圖笏記) and many literary works. First, Geumcheok in Monggeumcheok Jeongjae symbolizes the command of the skies. Geumcheok to take upon command to convey the role of the god of the sky symbolizes. Yiseonggye was a metaphor for a man of virtue, in the song of Geumcheok. Depending on the song, the dance moves gradually expanded. Thaejo was a metaphor for a complete human, in the song. Depending on the song, turned into a big circle all the dancers, symbolizing hope was to receive all the blessings. Watch out for the end and leave a message. Second, Suborok can show the symbolic message of the land. Dancing tool called Borok is a key symbol. There are written prophecy, Yi Seonggye would become the king. These commands are passed to the land of the gods appeared in dance. Borok singing finished, all dancers turns into a circle. The circle is a metaphor, the content of the song want done. Third, Mundeokok can show the symbolic message of the human.

      • KCI등재

        정도전의 불교비판과 불교계의 대응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창안(李昌案)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본고는 조선의 숭유억불정책의 사상적 체계를 세운 정도전의 불교비판과 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에 대하여 사상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정도전이『불씨잡변』과「심문천답(心問天答)」 및「심기리편(心氣理篇)」을 통하여 비판한 핵심쟁점을 간추리고, 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 논리가 어떠했는지를 규명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정도전이 불교를 비판한 영역은 크게 불교의 심성론, 윤회인과론, 사회윤리적인 면 그리고 신앙적인 면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이러한 정도전의 불교관이 형성되게 된 정치사회적 배경, 사상적 배경 및 신진사대부들의 불교관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도전의 각각의 불교비판에 대하여 함허 기화(涵虛己和)의『현정론(顯正論)』 및 작자미상의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 등에서 구체적인 불교계의 대응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정도전의 불교비판의 타당성 여부와 함께, 그의 불교비판이 유학계와 불교계에 끼친 영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정도전이 불교비판이 고려와 조선의 사상사에서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냈으며, 그 공(功)과 과(過)가 무엇인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considers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formulated by the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oppressing Buddhism in Joseon dynasty and Buddhist community’s response to it from the view of thought. Above all, the writer summarized Jeongdojeon’s central issues through his works, Bulssi Japbyeon(佛氏雜辨) Simmuncheondap(心問天答) and Simgiripyeon(心氣理篇) , after then inquired critically into Buddhist Community’s response against the issues.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is divided into four sides,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causationism of reincarnation, social ethics, and belief on Buddhism. First, the writer examined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nd Neo-Confucianists’ influence of viewpoint of Buddhism forming Jeongdojeon’s viewpoint of Buddhism. And also the writer looked into the Buddhist community’s concrete response through Hamheo-kihwa’s Hyeonjeongnon(顯正論) and Yuseokjileuiron(儒釋質疑論) of unknown authorship, etc. against Jeongdojeon’s each criticism of Buddhism. The writer reviewed the validity of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through this consideration and the influence of his criticism of Buddhism on Confucian community and Buddhist community. In addition, the writer tried to reveal the change by Jeong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in the history of thought during Koryeo and Joseon dynasty and its merits and demerits.

      • KCI등재

        정도전(鄭道傳) 재상정치론(宰相政治論)의 유교적 연원과 정치철학적 함의

        이홍주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fucian 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and origin of 'The Theory of Premier’s Politics,' the key point of the political idea of Confucian Scholar Sambong Jeong Do-jeon(三峯鄭道傳) (1342-1398). When the discourse of 'The Builder of the Royal Dynasty, Jeong Do-jeon,' is usually accepted, it would be cognized that the political idea of Jeong Do-jeon cannot but be confronted with the Joseon Dynasty's royal powers based on hereditary monarchy. Thus, this study poses the awareness of the issue about how Jeong Do-jeon would redress and justify the antinomic conflict relations with 'the common Theory of Premier’s Politics' and Joseon Dynasty's hereditary monarchy, and about what they are built on. Against this backdrop, Jeong Do-jeon made the plan of 'The Theory of Premier’s Politics,' based on the abdication system, the past legacy of Confucian system, and the times of peace that was maintained during the reign of King Yun and King Sun in the Chinese ancient age. The Theory of Premier's Politics that Jeong Do-jeon intended to pursue makes it as a major premise that the abdicated king must descend the throne and face the south to test the qualification of wise and competent vassal to act as ruler, and that wise and competent vassal must do the best to take care of the royal court and subjects. Needless to say, King can make the only person with blood ties succeed to the throne, in hereditary monarchy, and thus abdication is no longer permitted. Meanwhile, Vassal can hand throne over to wise and competent subjects, anytime, which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fundamental stability of the State. The conflicts with moral character of ruler and real political power remained as the long dilemma in the Confucian political history. Jeong Do-jeon had cognized that it would be hard to realize the image of ideal monarch having virtue and ability in hereditary monarchy, by nature. Thus as the alternative to it, he worked out the political system that wise and competent vassal would correctly establish insufficient virtue of monarch and act as ruler in the political circle. It can be considered the Confucian 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heory of Premier’s Politics' of Jeong Do-jeon is to secure ideological just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ruling power, with the political efficacy and s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자 삼봉 정도전(1342-1398)의 정치사상의 요체인 ‘재상정치론’의 유교정치철학적 의미를 규명하고 그 연원을 밝히는 것이다. ‘왕조의 설계자정도전’ 담론을 수용한다면, 이러한 정도전의 정치적 구상이 세습 군주제에 기반한조선의 왕권과 대립할 수밖에 없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설인 ‘재상정치론’과조선의 세습 군주제의 이율배반적 갈등 관계를 정도전은 과연 어떻게 봉합하고 정당화하는지, 그리고 그 근거는 어디에 있는지가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정도전은 유교의 만들어진 과거, 즉 선양 신화와 요순의 관계에착안하여 ‘재상정치론’을 구상한다. 상왕은 물러나 남면하여 현능한 신하에게 통치대행이라는 시험에 들게 하고, 현능한 신하는 이러한 시험에 임하여 최선을 다해 조정과 신민을 보살피는 것, 이것이 정도전이 구상한 재상정치론의 원형이다. 물론 현실의 세습 군주제에서 군위는 혈연에게만 승계되므로 더이상 선양이 있을 수 없지만, 재상의 신위는 현능한 이에게 얼마든지 이양하여 통치자의 현능과 국가 근본의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치자의 도덕적 품성과 현실 정치력의 상충은 유교 정치사의 유구한 딜레마였다. 정도전은 세습 군주제에서 덕성과 능력을 아울러 갖춘 이상적 군주는 선천적 차이로 인해 실현되기 힘들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현능한 신하가 군주의 부족한 덕성을 바로잡고, 정치 일선에서 통치를 대행하는 정치체제를 구상한 것이다. 통치 권력의 자격과 이념적 정당성 그리고 정치적 효율성과 안정성을함께 확보하는 것이 정도전 ‘재상정치론’의 유교정치철학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정도전의 경학관과 성리학적 질서의 지향

        도현철(Do Hyeon-chul)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8 泰東古典硏究 Vol.24 No.-

        정도전은 주자의 사서오경(四書五經)의 주석(註釋)을 받아들이고, 세계와 인간, 사회를 성리학의 리기(理氣), 태극(太極), 성정(性情) 으로 설명하였다. 《대학》과 《중용》을 통하여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재확인하고 《논어》와 《맹자》를 통하여 유학의 경세 론(經世論)을 이해하였으며, 오경(五經)을 통하여 수기치인(修己治 人)의 학을 말하고 도통(道統)을 제시하였다. 정도전은 《주례》에 의한 중앙집권체제와 재상정치론을 제시하 였다. 불교를 이단으로 비판하였고, 주자가례의 시행을 통하여 유교의 예적 질서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성리학의 명분론(名分論) 및 춘추대의(春秋大義)와 천리인욕설(天理人欲說)을 기초로 의(義)와 공(公)에 의한 공적 관계를 내세웠다. 그런데 정도전은 정치적․사상적으로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반역, 간신으로 죽임을 당하고, 태종이 즉위하면서 정도전의 부정적인 평가는 확립되었다. 문묘종사(文 廟從祀)에 배향되지 못하였고, 김종직, 신흠, 허균과 같은 조선 유학자들은 정도전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정도전이 모반을 꾀하였다는 점이 국가의 공식적인 사실로서 인정받게 되고, 성리학의 도통(學統)을 학문 수수(收受)의 사실 여부나 학문 업적보다는 의리(義理) 정신의 실천에 그 기준을 삼은 결과였다. 조선시기에 정도전을 부정적으로 인식해도, 사상면에서 달리 볼수 있는 여지가 있다. 정도전과 동시대 유학자인 권근이 평가하고, 500여년이 지난 지금의 정도전 연구에서 인정하듯, 정도전이 불교를 배척하며 성리학을 진흥한 공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the bases of Jeong Do Jeon s philosophy in terms of Confucian classic tex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litical ideas(政治思想), are examined. Jeong Do Jeon explained Ju Hi s annotation(註釋) of Four texts and Five classics(四書五經), and the issue of humans and the society, with concepts such as Ih-Gi /理氣(Ih and Gi elements of the universe), Taegeuk /太極(Taegeuk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Seongjeong /性情(nature of human beings). He reasserted Confucianism s Way of the universe (天道) and Way of the humans(人道) through Daehak and Jungyong, understood Confucianism s suggestion of how to govern the world(經世論) through Noneo(Confucius words) and Maengja(Mencius words), and commented upon the task of building one s character and then leading the others( 修己 治人 ) and suggested the line of legitimacy(道統) , through his interpretation of the Five classics(五經). Jeong Do Jeon presented a centralized format of political governance and a concept of governance led by the ministers, based upon the teachings of Juryae/周禮. He criticized Buddhism as heresy, tried to establish a protocol-based Confucian order by implementing the dictations of Juja Garyae throughout the society, and supported a public and official relationship between people & entities built upon righteous(義) & public(公) elements, based upon the notion of a righteous cause(名分論) , Chunchu s grand righteousness(春秋大義) and the theory of Universe s reason and humans desire(天理人欲說) of Neo-Confucianism. Yet in subsequent periods Jeong Do Jeon s philosophy was not appreciated for what it was worth, in terms of politics and philosophy. In a political reality, he was killed as a treacherous figure under the charge of treason and of staging the insurrection of the princes, and after King Taejong rose to the throne a negative evaluation of his actions became complete. He was not admitted into the Munmyo/文廟 shrine and was not paid any respect in its services(從祀). A lot of Seoweon/書院 schools were erected, yet his achievements and their academic values were not reevaluated. Kim Jong Jik or other Sarim figures who were faithful to Neo-Confucianism, and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like Shin Heum or Heo Gyun also maintained a negative attitude toward Jeong Do Jeon. This means that the charges that Jeong Do Jeon faced, committing treason,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ly official fact. It was a result of the Joseon society, which embraced Neo-Confucianism as its own doctrine(國是), establishing the line of legitimacy in Neo-Confucian studies(學統), neither with the criteria to base such line upon facts regarding actual exchanges(收受) of studies nor with individuals accomplishments, but with the criteria to base such line upon an obligatory determination to realize the spirit of righteousness(義理) in the world. Even if he had been negatively viewed for the duratio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e can still reevaluate his philosophy in many different ways. No matter what kind of negative reviews had been suggested over the years, Jeong Do Jeon should be noticed for his vetoing Buddhism and promoting Neo-Confucianism, as had been already acknowledged by Confucian scholar Gweon Geun who lived in the same period with Jeong, by Lee Deok Mu who lived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and by many people who still study Jeong s thoughts after some five hundred years.

      • KCI등재

        조선건국기 교육정책에 나타난 정도전의 교육활동

        윤한성(Yun, Han Sung)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조선건국기의 주요 정책을 입안한 정도전(1342-1398)이 교육정책의 수립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고찰하였다. 정도전은 선발제도에 관여하여, 문과에서 경학(經學)을 중심으로 하는 삼장제를 운영하게 하였으며, 진사시를 혁파하고 생원시를 시행하여 경학위본을 확립하였다. 또한 왕자와 공신들의 사병을 혁파하여 중앙집권체제로 군대를 통합하고, 공병(公兵)중심으로 무관을 등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 무과를 성립시켰다. 그리고 성균관에 버금가는 훈련관이라는 무학기관을 운영하여 무과와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정도전은 조선건국기 성균관과 향교의 정책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혈통·가문이 아니라 자신의 성취에 따라 성균관의 입학이 결정되도록 하였고, 성균관에서 기술학을 분리하여 경학중심으로 재편하였다. 또한 그는 척불운동을 주도하여 국가적인 불교행사인 팔관회와 연등회를 폐지하고, 성균관 문묘의 석전제를 국가적으로 정례화시켰다. 정도전이 세운 성균관·부학·향교의 체계적인 학교정책은 새로운 수도인 한양의 성균관 건립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향교는 고려조에서 12목을 중심으로 한 큰 행정단위에 설립되었는데, 정도전은 조선조에서 더 작은 행정단위인 주·부·군·현으로 향교를 확대시켰다. 조선조 영토의 가장 남쪽과 북쪽인 제주와 함경도 거주민을 교화시키기 위하여, 군사나 법률의 강화보다 향교를 먼저 세우도록 하였던 점은 주목된다. 정도전은 여말선초의 혼란한 사회를 바로잡기 위하여 초월적 존재나 내세의 보응보다는 인간 스스로의 도덕적 자각을 일깨우는 경학을 중시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사병을 혁파하여 무력경쟁을 막았고, 조선건국기의 선발제도와 학교교육에서 가르칠만하다면 누구나 경학을 측정하고 배우도록 하였던 것이다. In this study I have analyzed how Chung Do-Jeon(鄭道傳, 1342-1398) affected educational policy in the founding of Chosen Dynasty and what changes had been made since Koryo Dynasty. Chung Do-Jeon involved in public examination system in two ways. First, by focusing on confucian-oriented subject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run as three round examination(San-Jang-Je, 三場制) and the principle that confucian knowledge is the very basic(Kyeong-Hak-Wi-Bon, 經學爲本) was established by abolishing Jin-Sa-Si(進士試) and encouraging Saeng-Won-Si(生員試). Second, the military command system which had military power was centralized by abolishing private military(Sa-Byeong, 私兵), and the military examination(Moo-Kwa, 武科) was established to choose military officials as public military(Gong-Byeong, 公兵). In addition, Chung Do-Jeon started running military training command(Hool-Lyeon-Kwan, 訓鍊觀) for military education, which could be compared to SungKyunKwan(成均館) and tried to associate military training command with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Chung Do-Jeon had much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olicy of SungKyunKwan(成均館) and HyangKyo(鄕校) in the Founding of Chosen Dynasty. He reformed that entrance to SungKyunKwan based on their abilities not on their blood or families. Also Chung Do-Jeon led the Anti-Buddhism Movement(Cheok-Bool-Oon-Dong, 斥佛運動). It affected the abolishment of Buddhist ceremonie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eok-Jeon-Je(釋奠祭) in a Confucian shrine(文廟) of SungKyunKwan. The organized school system that Chung Do-Jeon had made led to the construction of SungKyunKwan in Seoul, the new capital. According to the recorded documents, HyangKyo were built in large towns(12牧) during Koryo Dynasty. Chung Do-Jeon promoted the spread of HyangKyo to small towns and encouraged provincial mandarins(Soo-Lyeong, 守令) to have interests in HyangKyo establishment. It is very noticeable that Chung Do-Jeon tried to find a way in HyangKyo first, not in the army or in the law, to enlighten people in Jeju(濟州) and Hamkyungdo(咸鏡道), the southern tip and the northern tip of Chosen’s territory.

      • KCI등재

        한국철학 : 삼봉 정도전의 벽이단론과 그 해석 문제 -심문천답과 심기리편을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4

        이 논문은 조선전기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1342∼1398)의 벽이단闢異端(Excluding Heresy) 문제와 그 해석을 다룬 글이다. 조선 건국의 이념과 제도와 문물의 이론적 초석을 제공한 정도전의 대표적인 벽이단서로 간주된 일련의 저술 심문천답心問天答(1375), 심기리편心氣理篇(1394), 불씨잡변佛氏雜辨(1398), 특히 앞의 두 저술에 나타난 벽이단 문제를 다루었다. 정도전의 벽이단 특히 불교비판 문제에 대한 이해와 왜곡은 삼봉 사후부터 현대까지 계속되어 왔다. 정도전의 세 저술에 나타난 벽이단론의 변화는 유교의 자기 반성, 도교와 불교의 정치적 비판과 유교 중심적 수용, 그리고 정치적 필요성에 따른 교세의 축소를 위한 정책적 비판의 방식으로 전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세 저술이 그의 대표적 도교와 불교비판서로 간주된 것은 정도전의 글 그 자체에 기인한 것이라기보다, 오히려 권근의 주석과 서문에 나타난 평가에 기초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연구자들이 갖고 있던 오해의 소지는 심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씨잡변에 나타난 불교비판을 전제로 앞의 두 저술에 무비판적으로 이해하였고, 심기리편에 나타난 개념을 심문천답에까지 소급 적용시켜 해석하였기 때문이다. 심문천답에 나타난 개념은 성리학적 심 개념으로 허령지각한 마음이 천리를 지각하고 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식적 판단의 주체였다면, 심기리편에 나타난 마음은 불교의 일체의 인연화합이 일어나는 장인 주관적이면서도 초탈적인 심을 은유한 것이었다. 그리고 정도전의 일련의 저술에 일관되게 나타난 벽이단의 정신은 다름 아닌 인욕적 인심에 대한 천리天理이었으며, 주관적 마음과 육체적 기질에 대한 생리生理이자 의리義理였고, 인연화합의 허구적 심리현상에 대한 실리實理라는 기준이었다. 즉 정도전이 비판한 대상은 성리학적 리理의 필요충분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당시의 세태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리고 그 내용은 유교의 자기비판이었고, 유교를 통해 도교와 불교의 폐해를 극복하려 하였으며, 유교의 공고화와 부흥을 위해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이 고찰을 통하여 정도전의 벽이단론은 성리학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학의 자기 비판적 태도인 동시에 도교와 불교의 포용 혹은 조화라는 융복합적 가능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치적 이유로 불교 비판의 목소리가 점진적으로 강해진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차적으로 거시적 안목에서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벽이단론이 갖는 의미를 반추해 보는 한편, 과거의 종교대립과 갈등, 그리고 화합의 모색 문제를 재해석함으로써 종교다원주의 사회 속에 나타난 종교적 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itself on understanding of anti-heresy view of Early Chosun Neo-Confucianism - viewpoint of Confucianism toward Buddhism and Taoism. More specifically, this thesis discusses the criteria and of heresy while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Sambong Jeong, Do-Jeon (1342~1398), who contributed to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Jeong, Do-Jeon`s writings on philosophy, economics and politics, political exclusion of Buddhism, and his writing on criticism of Buddhism show different attitudes. Former studies suggested that Jeong, Do-Jeon criticized Buddhism and Taoism. However, this theory would like to add another view point that Jeong, Do-Jeon also suggested harmony and tolerance. The contemporary reaction of buddhists shall also be given in this theory. Through this study, it can suggest a way to solve religious conflicts and make harmony by re-interpreting religious conflicts of past, as well as ruminate the meanings of anti-heresy of Neo-Confucianism in current society`s view Anti-heresy of Neo-Confucianism is a view point that excludes heresy to protect the original. Anti-heresy, which developed in early Chin dynasty (an ancient Chinese empire) by Confucius, became magnified in Neo-Confucianism while criticizing Buddhism and Taoism.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late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used anti-heresy in political and scholarly matters. Jeong, Do-Jeon was representative scholar of anti-heresy. His writings also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books of Early-Chosun anti-heresy, especially focusing on criticizing Buddhism. Jeong, Do-Jeon aimed for ideal society where ideas of Neo-Confucianism are realized. He strictly applied such ideas in founding principle, national system, and culture. As Neo-Confucianism of Chinese Song dynasty focused on criticizing Buddhism and Taoism, Jeong, Do-Jeon kept the criticism. However, his first two writings have certain issues on being classified as anti-heresy writings. That is because the two books rather focus on enlightenment and convergence instead of exclusion. Nevertheless, the two books are considered as anti-heresy writings because Kwon, Keun judged so in his annotation and preface. Sim-Mun-Chun-Dab(心問天答) is a book of question and answer, not inter-criticism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is book actually criticized personal desires that set national security and stability of people`s lives away. Therefore, this book is a book that focuses on criticizing people who follow personal desire and set Confucian principles away. Sim-Ki-Li-Pyeon(心氣理篇) was thought of as the first major criticism toward Buddhism and Taoism as it was written after Jeong, Do-Jeon`s exclusion of Buddhism in 1391. However, this book is rather a book of enlightenment than a book of criticism. Sim, Gi, and Ri represent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respectably. This book was composed of three chapters, which are Sim-Nan-Ki(心難氣), Ki-Nan-Sim(氣難心) and Li-Yu-Sim-Ki (理諭心氣). The chapters` contents are Criticism of Taoism by Buddhism, Criticism of Buddhism by Taoism, and Enlightenment of Buddhism and Taoism by Confucianism. Therefore, the book is about leading Buddhism and Taoism toward Confucianism by converging them in the view point of Confucianism. Bul-Ssi-Jab-Byeon (佛氏雜辨) is a book that criticizes Buddhism, and was written only a little prior to his death. However, due to political reason, this book was not published for certain period of time. Although it has the form of criticism of Buddhism, the content actually focuses on criticism of negative phenomenon of Buddhism rather than the theory and concept of Buddhism. Thus, it would be more valid to regard criticism of Buddhism as what was derived from realistic and political reason for tactical purposes. Therefore, it is more valid to regard this criticism as what was overestimated due to Jeong, Do-Jeon`s political standpoint. Also, such evaluation was more from Kwon, Keun`s annotation and preface, instead of from the book`s original message. It would be more likely to understand that Jeong, Do-Jeon rather tried to find way to keep Taoism and Buddhism in check, and make way to future together in harmony. There is an idea that the three books have in common, which is that Confucianism is a theory of loyalty and pursuits live principles, and the that heresy is bounded to gain and loss and pursuits hollow ideas. In general term, heresy that he suggested seems to be Taoism and Buddhism from historical background. However, heresy can be any group that focuses on profit instead of loyalty, and fixed principle instead of live principle. From such view point, it can be considered that his criticism not only was made toward Taoism and Buddhism, but Confucianism itself was also target of criticism.

      • KCI등재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일고

        함영대(Ham Young dae)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정도전(1342~1398)의 맹자학에 대한 검토이다. 정도전은 조선 개국의 이론적 기초를 놓은 『경제문감』, 『경제문감별집』, 『조선경국전』 등을 저술했다. 「불씨잡변」, 「심기리편」 등의 글들도 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는 『맹자』를 전거로 활용하면서 경술로서의 경서해석의 관점을 적극 개진한 곳이 적지 않다. 그러한 자료들은 정도전이 『맹자』와 관련하여 어떠한 저작을 제출하지 않았음에도 그의 맹자학을 살펴 볼 수 있는 요긴한 편린을 제공해준다. 검토 결과 정도전의 맹자학은 강한 경세적 지향 속에서 벽이단론의 기초위에 마음에 대한 참신한 해석을 시도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 방향은 경전의 원의탐구보다는 경세적 활용에 집중하는 것이다.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는데 주춧돌을 놓고자 했던 정도전의 의식 속에 경전은 그 본의보다는 경세적 지향을 투영하는데 소용되었던 것이다. 군주의 역할에 대한 맹자의 발언을 원용하거나 관중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君民의 역할에 대해 성찰하며 경세의 도구로서 학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 했다. 곧 경술적 의미에서의 수용이었다. 벽이단의 논리로 제시되었던 기일원론의 세계관과 마음에 대한 이해는 주자학적이라기보다는 북송대 학자들의 입장에 가까운 것으로 보이고, 마음에 대한 통찰은 洙泗學의 원류에 직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정도전의 『맹자』 해석에 대한 이해는 조선 건국 초기의 학술적 분위기, 구체적으로 경학의 구체적인 한 국면을 살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udy of Mencius by Jeong Do-jeon(鄭道傳, 1342~1398). Jeong Do-jeon authored 『Gyeongjemungam(經濟文鑑)』, 『Gyeongjemun- gambyeoljip(經濟文鑑別集)』, 『oseongyeonggukjeon(朝鮮經國典)』 and more. Articles such as 「Bulssijapbyeon(佛氏雜辨)」 and 「Simgiripyeon(心氣理篇)」 are also included in anthology. In many of which Jeong vigorously expressed his views, while utilizing 『Mencius』 as his theoretical base, of Confucian Studies i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Such materials offer a useful glimpse into his study of Mencius while Jeong never submitted any writings related to 『Menciu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Jeong s study of Mencius is understood that based on the foundation of anti-heresy theory, he had a strong intention of awakening people and made a novel attempts to interpret one s mind. The direction was less about study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doctrine but more focusing on activities to inspire people. In Jeong s consciousness in which he meant to install a foundation stone in building a new nation, the doctrine was used as a way to instill inspiration than its original meaning. Regarding the role of a monarch, he would quote Mencius, actively evaluate spectators, or introspect the roles of a monarch and his subjects, while making a great effor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s a tool of inspiration. To interpret in terms of Confucius Studies, it was to embrace. The world view of Philosophy of Qi(氣一元論), suggested as a theory of anti-heresy, and the understanding of one s mind were considered as more the stance of Northern Song Dynasty scholars than that of the Doctrines of Master Zhuzi(朱子, 1130-1200); and insights regarding one s mind is understood as the very root of Susa Learning(洙泗學) combining teachings of Confucius and Mencius. The understanding of Jeong Do-jeon s interpretation of 『Mencius』 is to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academic atmosphere at the early founding of Joseon Dynasty as well as a detailed aspect of Confucian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