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감과 교육에 대한 철학적 이해 -유가철학을 중심으로-

        이상선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7 No.-

        사람은 이성적 존재이자 정강적 존재다. 정감은 인간의 존재방식일 뿐 아니래 주관과 객관이 통일되고 내와 외를 하나로 합하는 토대이기 때문이다. 교육을 통하여 이상적인 인격체가 되는 것, 역시 이성화된 정감상태다. 따라서 교육은 마땅히 정감에서부터 착수 하여 지성과 통일시켜야 한다. 동시에 지식을 중심으로 한 지성교육이 정감을 중심으로 한 덕성교육의 성장점이 되도록 해야 한다, 즉 정(情) 은 지(知) 상호 촉진시키고 지(知) 는 정(情)을 촉진시키며,지(知) 와 정(情) 이 상호 촉진하는 가운데 발전하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로 보면 교육은 영향과 변화를 주는 것이고, 좀 더 적극적으로 표현하면 영향과 변 화를 통해 사람의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정감은 이성의 심리적 토대이기 때문에 정감교육을 통해서 도덕정감이 형성되고 이를 바탕으로 이성화된 정감으로 제고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인간의 교육의 목표는 이성화 된 정감 존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감교육이란 정감과 지성이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융합 관통되어 인정미가 넘치는 이성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성은 지성 혹은 이지(理智) 의미가 아니래 정리(情理) 이다. 다시 말해서 정감교육은 교육자와 피교육자 사이에 정감이 교류되어야 하고 강의실에 정감이 흘러야 하며, 수업 역시 정감이 스며드는 정감체험 혹은 지성체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人卽是理性的存在, 又是情感的存在。 因爲情感不但是人的存在方式, 而且是主客統一、內外合壹的基礎。 透過敎育達到理想人格, 也是理性化的情感狀態。 因此敎育應該由情感著手而要與理智統壹。 同時也以理智爲中心的知性敎育, 使之要成爲以情感爲中心的情感敎育之生長點。 卽因爲``情``可促使 “知”可以增加“情”, “情”和“知”互相促使中而發展。 就廣義而言, 敎育就是給影響和“變化”, 再積極地說, 透過“影響”和“變化”而人的氣質又是變化的。 因爲情感是理性的心理基礎, 透過情感敎育而形成道德情感, 以此爲基礎而提高到理性化的情感。 因此最終人的敎育目標就是使他形成理性化的情感存在的。 所謂情感敎育, 不是情感和理性的對立, 互爲融合貫通而是培養富有人情味的理性的。 如此的理性, 不是理智意義而是情理。 也就是說, 情感敎育須要使情感在敎育者與受敎育者之間交流, 在課堂裏也情感要流動, 敎書也要使情感渗透到 情感體驗或知性體驗而進行。

      • KCI등재

        정감, 비평의 윤리, 『인모(印母)』

        김범수 ( Kim Bum-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비평 무용론(無用論)이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는 지금 윤리적 비평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예술비평에 관한 바르트(Roland Barth)·손택(Susan Sontag)의 견해와 이 글의 기본 입장은 양립 가능한가? 이 글에서는 그 해결의 실마리를 ‘정감(情感)’에서 찾는다. 구체적 사례는 중국 명대의 전각학자인 양사수(楊士修)의 저작 『인모(印母)』 속에서 찾아 제시한다. 이 정감 개념을 기초로, 서예와 전각의 범주 속에서, 윤리적 비평의 의의와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정감(情感)이란 무엇인가? 정감은 오감(五感)을 넘어 선 것이다. 정감은 주체성과 타자성의 조화, 시간에 대한 통시적 결합, 고전의 전형성과 창조적 발상의 조화를 지향한다. 작가의 입장에서 말하면, 정감은 작품의 어머니다. 정감과 흥취가 미적 특질을 형성한다. 물론 이 형성에는 감상자나 비평가의 반응도 포함된다. 앨런 골드만(Alan Goldman)에 의하면, 미적 특질을 형용한 단어들은 대상이 지닌 객관적 속성들이 특정 조건에서 특정 반응을 낳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비평가들은 관계적 속성을 미적 속성이라 부른다. 비평가는 자신의 철학적·예술적·도덕적 관심을 작품에 투사하여 작가의 정감에 주목하도록 만든다. 작가의 정감은 감상자·비평가의 그 복합적 관심, 즉 정감과 소통하게 된다. 미적 특질에 주의를 환기시키려는 비평가의 노력은 바로 이런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정관(靜觀)은 주체성과 타자성의 조화, 시간의 흐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익숙한 것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낡은 것의 힘을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작해내는 힘을 길러준다. 비평가의 입장에서 말하면, 그것은 작품에 대한 적절한 해석과 올바른 평가를 가능하게 해주는 힘을 가져다준다. 감상자의 입장에서 말하면, 감상의 즐거움을 맛보고 작품의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향유하는 힘을 가져다준다. 윤리적 비평의 선결문제는 마음을 순일하게 하는 것이다. 사태를 직시하는 훈련이 작품의 가치를 전체적으로 직관·통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작가는 정감적 인식을 통해 흥취를 일으키고, 잠자고 있는 창작의 동력을 깨운다. 비평가는 이 과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오감만족에만 치중하는 비평은 윤리적 비평을 기대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 비평가의 입장에서 말하면, 정감과 흥취, 정관과 몰입은 윤리적 비평의 실천적 토대를 다지는 일에 해당한다. 윤리적 비평의 세 가지 조건을 규범화시키면 다음과 같다. 감상자가 누리게 될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작품의 윤리적 가치를 중시해야 한다. 개별적 특질을 지닌 독자적인 형상을 만듦으로써 보편적 가치를 구현하려는 작가의 그 정감의 세계를 가치 있게 여겨야 한다. 그러므로 정감은 더 이상 작품 외적인 것이 아니다. 작가의 역사적·문화적·사회적 감각이 고전의 전형성에 대한 포착·표현을 가능하게 해준다. 과거의 것과 현재의 것을 시간의 연속적 흐름처럼 의식하며 낡은 것의 힘을 새로운 작품 속에 존재하게 한다. 익숙한 것의 가치를 새로운 것 속에 존재하게 한다. 이것이 정감의 기능이다. Criticism of criticism itself, and what does it mean now that criticism is becoming more and more persuasive? Is the view of Roland Barth and Susan Sontag about art criticism compatible with the basic position of this article? In this article, we find clues to the solution in the dimension of Warmth. Specific examples should be presented. In this article, I try to find it in calligraphy, more narrowly, in Seal Engraving Art and Inscription Studies. Analysis of the work 『Inmo』 by Yang Sasoo, a scholar of Chinese majors, We can concretely confirm that Warmth is the key and key to creation, appreciation, and criticism. Based on this warmth concept, i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ethical criticism in the category of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What is warmth? Warmth will be beyond the five senses. It aims to harmonize subjectivity with otherness, a communicative combination of time, and a harmony of classicism and creative ideas. From the standpoint of the artist, the feeling is the root of the work. Sense and fascination form aesthetic qualities. This formation, of course, also includes reactions from commentators and critics. According to Alan Goldman, words that use an aesthetic qualification say that the objective properties of the object tend to produce a specific response under certain conditions. Critics call relational attributes aesthetic attributes. The critics project their philosophical, artistic, and moral interests to the work and make them pay attention to the writer’s warmth. The writer’s warmth leads to the complex attention of the critic. ‘Critics’ efforts to draw attention to aesthetic qualities have significance in this respect, and their potential for success is secured. Aesthetic is a power to create new things by finding the new value from the harmony of subjectivity and otherness, the perception of the flow of time, and the familiar and utilizing the power of the old. From a critic’s point of view, it becomes a force that enables proper interpretation and correct evaluation of the work. From the viewpoint of the viewer, it gives us the power to taste the joy of appreciation and correctly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value of the work. So the prerequisite of ethical criticism is to make the mind clear. The training to face the situation raises the power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value of the work as a whole. The artist awakens through the awareness warmth awareness and awakens the power of the sleeping creativity. As a result, the framework starts to work. Critics must also understand this process. From a critic’s point of view, warmth and fascination, Contemplation and Engagement correspond to cultivating the practical foundation of ethical criticism. The three conditions of ethical criticism are as follows. 1.Pay attention to the value that the viewer will enjoy. 2.The ethical value of the work should be emphasized. 3. We must value the active activity of a writer who embodies universal values by creating his own image with individual qualities. It is no longer external to the work. How faithfully does the artist’s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senses capture the classicity of classics? Conscious of the past and present as a continuous stream of time, making the power of the old flowing in a new work, and making the value of the familiar present in the present. The key is warmth.

      • KCI등재

        장소 연구의 핵심 주제 ‘장소의 정감’ 재논의와 장소 만들기에서 그 중요성

        이재하(Lee, Jaeha)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최근 서구에서 장소 연구의 급증 현상과 더불어 핵심적 연구주제가 되고 있는 장소의 정감에 관한 국내 연구의 정확한 방향성과 활성화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장소의 정감’ 개념을 재논의하고, 아울러 그 중요성을 오늘날 지역사회 ‘장소 만들기’의 주요 과제에 적용한 연구사례들을 중심으로 짚어 본다. 장소의 정감은 1970년대 인본주의적 인문지리학자 Tuan과 Relph에 의해 연구 의제로 공식화된 이후, 여러 학문분야에서 그것의 하위 구성개념 혹은 구성요소에 관심을 갖고 많은 연구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 대다수의 학자들은 그것을 개인이나 집단이 장소를 경험하며 부여하는 장소정체성, 장소애착, 장소의존성, 장소의미를 포괄하고 있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소의 정감을 초월한 장소착근 혹은 ‘착근된 장소의 정감’에 관한 경험적 연구도 논의되고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오늘날 현실세계에서 장소의 정감의 중요성은 도시재생, 환경교육, 공공공간 만들기 등과 같은 지역사회 ‘장소 만들기’의 주요 과제에 장소의 정감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 성과에서 잘 확인된다. 따라서 향후 국내 ‘장소의 정감’ 연구는 비록 장소의 정감의 하위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라 할지라도 그것의 바른 이해를 위해 장소의 정감 개념의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국내 장소 연구 학자들도 장소 만들기 사업에 관계된 단지나 지구에 적용 가능한 장소의 정감 연구에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reexamines ‘sense of place’ concept which has been a core research theme with sharply increasing place studies in the recent Western society, and also reviews its significance through some case studies which sense of place had been applied to an important placemaking for community on the purpose of the accurate direction and vitalization of research on them in Korean society. After human geographer Tuan and Relph’s contribution in the 1970s, sense of place and its subordinate constructs have been explored by so many scholars in multi-disciplines. As a result, majority of scholars agree to sense of place that comprises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place meanings which an individual or a group experiences and gives to a place. But it is noticeable that rootedness or rooted sense of place has been examined in empirical studies. And the significance of sense of place in contemporary reality is well identified from the outcomes of some case studies that should be taken account into the placemaking projects for community such as urban regeneration, creating public spa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even though the domestic study on sense of place is a research on a subordinate component of that, it is needed to approach in a context of the concept for a right understanding of it. In addition, it is my hope that related scholars will engage positively in exploring sense of place applicable to site or area in term of placemaking projects.

      • KCI등재

        다산(茶山)의 경전주석(經典註釋)에 나타난 정감(情感)의 도덕적(道德的) 기능(機能) -『맹자요의(孟子要義)』를 중심으로-

        崔英辰,洪正根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3 No.-

        ‘도덕의 기초’ ‘도덕판단의 보편적 기준’ ‘도덕적 수양’이라는 문제는 유교윤리학의 핵심적 과제들이다. 본고는 이 과제들에 대한 해답은 다산의 경전주석에서 모색한 것이다. 다산은 성을 ‘기호’로 규정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好善惡惡’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경험적인 심리적 사건들과 문헌을 근거로 그 존재를 실증하고 이것이 성선의 증거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다산은 인간의 본성을 ‘단 것을 좋아하고 쓴 것을 싫어하는’ 기질지성과,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도의지성[천명지성]으로 구분한다. 전자를 자연적 정감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도덕적 정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이 흄의 ‘원초적 정감’과 ‘차분한 정념’, 에번스의 ‘원초적 정감’과 ‘고등한 인지적 정감’이라는 정감의 분류에서도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도 도덕적 정감이 인간에게 본유적이며, 이것을 토대로 도덕세계가 구축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도덕정감은 보편적이기 때문에 도덕판단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 『대학』의 ‘혈구지도’이다. 다산은 이것을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심리적 반응과 인성론, 특히 일상적인 화법에서 도덕정감의 존재와 그 보편성을 논증하고 있다. 그는 이것이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이론보다 신뢰할 수 있는 논거라고 주장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감은 도덕적 행위를 유발하기도 하고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동일한 정감도 ‘中節’여부에 따라 상반적인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 다산은 愼獨을 강조하고 愼獨工夫로서 ‘昭事上帝’의 종교적 수양을 제시하고 있다. 다산의 정감론은 ‘인간은 왜 도덕적이며 인간은 무엇에 의하여 도덕적으로 행위할 수 있는가’라는 유교윤리학의 근본문제를 보다 실증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단칠정론과 아울러 ‘이론윤리학’에서부터 ‘행동윤리학’으로 이행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유학사상사적 시각에서 보았을 때, 다산 정감론은 철학의 주제를 ‘형이상학적 영역’에서부터 일상적인 ‘생활세계’로 이동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유학은 고원한 것이 아니라 ‘眞切卑近’하다는 것이 그의 신념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았을 때, 조선성리학사에 나타는 일련의 흐름들- ‘理의 下向化’ 현상이 주목된다. 16세기 사단칠정논변은 주자학에 있어 ‘성’의 레벨에 존재하고 있는 리를 情의 차원으로 하향화시켰다. 18세기 호락논변의 주역 가운데 하나인 이간은 ‘심성일치’를 주장하여 리를 ‘未發心’의 차원으로 하향화시켰다. 19세기 이진상은 ‘심즉리’를 주장하여 리를 심의 차원으로 하향화시켰다. 다산의 실학은 이와 같은 조선유학사상사 맥락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儒学一般认为道德的基础在于‘性善’, 茶山认为性就是‘嗜好’, 具体来说就是‘好善恶恶’, 并且以经验性·心理性的事例和文献资料为依据论证其成为性善说根据的可行性。即‘好善恶恶’这一先天性的道德情感是道德世界的基础, 与自然界不同。这也是茶山与以‘理’和‘性’为道德世界形而上依据的朱子之间最根本性的区别。 茶山将人的本性分为了‘嗜甘而惡苦’的‘气质之性’和‘嗜善而惡惡’的‘道义之性(天命之性)’, 如果称前者为自然情感那么后者可以称为道德情感。 道德情感具有普遍性, 因此《大学》中将‘絜矩之道’作为道德判断的标准, 茶山以此对《孟子·万物皆备于我章》进行了注释, 将万物限定为人类, 并主张人类普遍固有的不是‘理’而是‘好恶’和‘欲望’。对此他通过人类在面对具体事件时的心理反应和人性论, 及人们日常的说法等来论证了道德情感的存在和普遍性, 并认为这些是比性理学形而上的理论更具有说服性的论据。 从儒学思想史的角度来看, 茶山的情感论将哲学的主题从‘形而上的领域’转变到了日常的‘生活世界’。众所周知, 茶山理论最大的特征就是对性理学‘建立形而上学的基础’进行了批判, 以‘情’为主题的四端七情论辩其核心也是试图‘建立道德情感形而上学的基础’, 但茶山却试图从生活中人们日常所体会到的情感里寻找出人类的本质属性, 并主张日常生活中所体会到的心理活动及日常说法是比性理学缜密的理论体系更具说服力的证据来证明人类的道德性的, 这里可以看出他坚信儒学是‘真切卑近’的, 而不是深切高远的。从以上的考察我们可以看出, 朝鲜性理学史中出现了‘理的下向化’潮流。16世纪四端七情论辩是将朱子学中存在于‘性’ 的理向‘情’的层次下向化;18世纪湖洛论争的主要人物之一李谏主张‘心性一致’, 将理下向化到‘未发心’的层次;19世纪李振相主张‘心即理’, 将理下向化到心的层次。 以‘实’为关键词解决现实社会中所产生的问题构建道德共同体是儒学者普遍性的课题, 只是随着各个时代的病因不同和儒学者个人意见的不同产生了多种多样的理论体系。

      • KCI등재

        유가 덕철학 치유의 실험연구 -정감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영찬 ( Yeoung Chan Choi ),최연자 ( Yeon Ja Cho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0 No.-

        본고는 유가 덕철학 치유의 실천방법으로 개발된 정감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덕철학치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연구이다. 정감체험 프로그램은 정좌법과 성찰궁리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좌법은 덕성함양을 위한 명상법이다. 성찰궁리법은 일상생활에서 욕망에 의해 잃어버린 마음을 진단하고,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발현된 도덕정감(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자각하여 덕 행위를 실천하는 방법이다. 선우는 유가 덕철학 치유의 실천방법으로 개발된 정감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선성(善性)을 함양하고, 사회적 문제를 도덕적으로 해결해 나아감으로써 의미 있고 가치 있는 만족한 삶을 이끌어 나아갈 수 있다. 그러므로 필자 등은 덕철학 치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감체험훈련을 받은 덕철학 치유집단이 정감체험훈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 보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삶의 의미와 목적, 자존감, 긍정적 자기관련 정서 등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정감체험훈련을 받은 덕철학 치유집단이정감체험훈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 보다 우울정도가 더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1년 9월 19일부터 2012년 11월 26일 까지이었다. 실험 대상 자는 총 87~89명의 대학생으로서 덕철학 치유집단 44명과 비교집단 43~45명이었다. 각 집단은 4팀으로 구성되었으며 덕철학 치유집단에게만 정감체험훈련을 9회기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사회적 문제해결, 삶의 의미와 목적, 자존감, 자기관련정서, 우울 등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Package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정감체험훈련을 받은 덕철학 치유집단은 정감체험훈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해결, 삶의 의미와 목적, 자존감, 자기관련 정서 등이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정감체험훈련을 받은 덕철학 치유집단은 정감체험훈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우울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아졌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가 덕철학 치유의 실천방법으로 개발된 정감체험 프로그램이 개인적인 문제해결이나 대인간 문제해결, 더 나아가 집단내의 문제해결이나 사회적 이슈와 같은 넓은 영역의 문제까지를 도덕적으로 해결해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선우의 내적 갈등이나 죄의식 등으로 인한 신경증적 증상을 치유 할 수 있으며 분노나 우울 등으로 인한 폭력이나 중독 혹은 자살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research done to verify the effects of virtue philosophy healing through emotion experience program developed as the practical method of healing with Confucian virtue philosophy. Authors tried to verify a hypothesi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meaning and purpose of life, self-regard, and positive self-related emotion will get higher in the philosophy healing group 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un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ealing with virtue philosophy, through the emotion experience program developed as the practical method of virtue philosophy healing. And we tried to verify another hypothesis ‘depression will get lower in the philosophy healing group 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un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Tests were conducted from Sep. 19, 2011 to Nov. 26, 2012. Test subjects were 87~89 college students, among whom 44 persons belonged to the philosophy healing group and 43~45 to the comparative group. Authors conducted emotion experience training only to each team of philosophy healing group for 3 weeks. Each team was comprised of 10~12 persons. Measurement tools for data collection were scales such as social problem solving, meaning and purpose of life, self-regard, self-related emotion and depression. Data analysis was done by statistical treatment using SPSS/PC+ Package.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 philosophy healing group 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was verified to in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all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meaning and purpose of life, self-regard and self-related emo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un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In addition, the philosophy healing group 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was verified to de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depress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untrained by emotion experience. This means that the emotion experience program developed as the practical method of healing with Confucian virtue philosophy can cure neurotic symptoms caused by inner conflict or a sense of guilty by contributing to solving morally not only personal problems and interpersonal problems but also wide range of problems such as group problems and social issues, and can prevent violence resulted from anger or depression or accidents such as poisoning or suicide.

      • 허균의 정감미학관 연구

        채미화 ( Mi Hwa Cha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5 No.-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허균의 정감미학관은 성리학의 전성기를 맞이함에 따라 그 폐단이 날로 깊어가고 있던 시기에 제기되었다. 그는 자기 시대와 그 시대 인간들의 진실한 삶과 정감을 표달할 수 있는 문학을 주장하면서 성리학적 성정미학의 취지와는 어긋나는 허균식의 미학관을 피력하였다. 곧 시인의 개성을 남김없이 발로한 문학다운 문학을 창조하겠다는 뜻으로 문학창작을 위한 미학사상이 바로 허균의 정감미학관의 본질이라고 하겠다. 허균은 ‘성정’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서 정의 감성적 속성을 지적하고 ‘정’을 윤리적, 도덕적인 각도에서가 아니라 심미적 각도로부터 인식하였다. 그는 중국 한대, 위진이래의 시가창작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당한 평가를 통하여 정에 관한 미학적 견해를 밝혔고, 문학의 본체론적인 각도에서 ‘정’에 대한 관념을 천명하였다. 또한 송시보다 당시를 긍정하면서 ‘성정’에 대한 해설을 종래의 철학적, 윤리적인 시각으로부터 대담하게 미학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정감의 미적 품격으로서의 문채풍류를 제기하였으며 입신의 경지를 정감의 미적 본질의 실현형태라고 지적하였다. 정감미학관의 확립은 조선고대미학이론의 참신한 면모를 보여주는 일대 변혁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 content system of sentimental aesthetic that is becoming aesthetic features of Heo Gyun who stands for Joseon literature in 17th, that is meanings and essence of sentiment and charming dignity and a charming state of sentiment. Essence of Heo Gyun's sentimental aesthetic is to creat literature which express entirely poet's individuality. Heo Gyun asserted literature which can express true life and sentiment of people at that time, and establishment of this sentimental aesthetic became gigantic revolution showing fresh aspect of ancient Chosun's sentimental aesthetic.

      • 허균의 정감미학관 연구

        채미화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5-1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 정감미학관은 성리학의 전성기를 맞이함에 따라 그 폐단이 날로 깊어가고 있던 시기에 제기되었다. 그는 자기 시대와 그 시대 인간들의 진실한 삶과 정감을 표달할 수 있는 문학을 주장하면서 성리학적 성정미학의 취지와는 어긋나는 허균식의 미학관을 피력하였다. 곧 시인의 개성을 남김없이 발로한 문학다운 문학을 창조 하겠다는 뜻으로 문학창작을 위한 미학사상이 바로 허균의 정감미학관의 본질이라고 하겠다. 허균은 '성정'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서 정의 감성적 속성을 지적하고 '정'을 윤리적, 도덕적인 각도에서가 아니라 심미적 각도로부터 인식하였다. 그는 중국 한대, 위진이래의 시가창작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당한 평가를 통하여 정에 관한 미학적 견해를 밝혔고, 문학의 본체론적인 각도에서 '정'에 대한 관념을 천명하였다. 또한 송시보다 당시를 긍정하면서 '성정'에 대한 해설을 종래의 철학적, 윤리적인 시각으로부터 대담하게 미학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정감의 미적 품격으로서의 문채풍류를 제기하였으며 입신의 경지를 정감의 미적 본질의 실현형태라고 지적하였다. 정감미학관의 확립은 조선고대미학이론의 참신한 면모를 보여주는 일대 변혁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 content system of sentimental aesthetic that is becoming aesthetic features of Heo Gyun who stands for Joseon literature in 17th, that is meanings and essence of sentiment and charming dignity and a charming state of sentiment. Essence of Heo Gyun's sentimental aesthetic is to creat literature which express entirely poet's individuality. Heo Gyun asserted literature which can express true life and sentiment of people at that time, and establishment of this sentimental aesthetic became gigantic revolution showing fresh aspect of ancient Chosun's sentimental aesthetic.

      • KCI등재

        유학의 가족관에 내포된 정감적 계기와 규범적 계기-도덕적 이상실현의 수단과 목적의 조화를 지향하여-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8 泰東古典硏究 Vol.41 No.-

        This essa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family with normative instrument and the one with the moral emotion as the center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which the traditional world view and western one operate at the same time. Also, this paper tried to illuminate the present meaning of Confucian family values through problem diagnosis connoted in family relations in korean society. The emotion principle involved in family ethics of Confucianism starts from the couple and goes through with blood family relations, dispread to society, nation and world explicitly This advances from blood family ties to normative political order and works out the way through which one spreads familial warmth. However, the emotion principle of blood family ties has a spontaneous and purposive meaning over the instrumental and normative principle. In this way, the honesty that Confucius said imbues emotion moral principle of Confucianism with special significance. But, the moral emotion according to blood and feeling sometimes has good chance to go forward in the negative direction. This becomes reason emphasizing normative order in Confucian philosophy What the normative principle and chance are stressed in Confucian philosophy tried to control corruption and disorder of the moral emotion of blood and feeling. In the case of deviation to the private feelings, this has to receive control and restriction of the proprieties and legislation as objective moral law. Conclusionally, political ideal of Confucianism could be realized when nation and society are integrated with public interests[公共善] harmoniously by being governed properly accoding to regulations as political criterion lied on blood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이 글은 전통적 세계관과 서구적 세계관이 동시에 사회 국가의 운영원리가 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 가족(家族)의 의미를 유가철학의 가족관에 내포되어 있는 정감적(情感的) 계기와 규범적(規範的) 계기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가족’관계가 내포하고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통하여 유가적 가족관이 지니는 현재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유학의 가족 윤리에 내포된 정감적 원리는 부부로부터 시작하여 혈연적 가족관계를 거쳐 외연적으로 사회, 국가, 천하로 확대된다. 이것은 혈연적 정감적 친친(親親)에서 정치적 규범적 원리로서 존존(尊尊)으로 나아가며, 추은(推恩)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친친의 정감적 원리는 예의와 법 등의 수단적 규범적 원리를 넘어서 자연적 목적적 의미를 가진다. 공자가 말하는 ‘정직’은 이러한 관점에서 유학의 정감론적 도덕 원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하지만 혈연적 정감적 도덕 감정은 때로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유가철학에서 규범적 질서를 강조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유가적 가족 관계에서 규범적 원리와 계기가 강조되는 것은 혈연적 정감적 도덕원리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정감적 도덕 감정으로서 친친(親親)의 진정한 의미는 덕을 가지고 친족을 바르게 친애하는 것이다. 이것이 불가능하여 사적인 감정으로 흐르는 경우에 이것은 공적이고 객관적인 도덕률로서 예의(禮義)나 법(法)의 제어와 규제를 받아야 할 것이다. 정치적 규범적 질서를 목표로 하는 도덕규범의 계기는 혈연적 정감의 치우침을 조절하면서 정감적 도덕 원리를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유가철학은 이러한 예의(禮義)를 통하여 통치의 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유가철학의 정치적 이상은 국가 사회가 이처럼 혈연적인 인의에 바탕하여 정치적 규범으로서 예의에 의해 적절하게 통치되어 공공선의 조화로운 통합이 이루어질 때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경제적 이기주의가 심화되어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유가철학의 가족관에 내포된 정감적 유대의식과 규범적 질서의식을 통한 조화와 균형의 이념은 미래사회의 보편적인 가치기준이 될 수 있다.

      • 고중조선어문교수에서의 정감교육에 대한 소견

        한미화(?美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6 No.-

        정감교육은 조선어문교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일부 교원들은 정감교육에 대해 홀시하고 있다. 조선어문교수에서 정감교육을 진행한다면 학생들의 인문소양의 제고; 바른 인격의 형성 및 정확한 가치관, 세계관의 형성에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선어문은 뚜렷한 인문특성을 띤 학과로서 정감교육을 진행하는 데 아주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필자는 본 론문에서 평소 조선어문교수에서 정감교육을 어떻게 진행했는가에 대한 경험을 다섯가지 방면으로 피력하고저 한다.

      • KCI등재

        선진유가의 정감 개념 운용에 대한 분석

        이오륜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4 No.-

        선진유가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유가의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며, 이 과정에서 정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예의 근본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탐구할 때에 선진유 가는 예의 근본이 진실한 정감에 있다고 주장한다. 예의 형식은 변할 수 있지만 그 안에 내재된 진실한 정감은 영원히 변하지 않아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선진유가는 정감의 연쇄적인 작용을 분석하며 하늘의 법칙에서부터 본성.정감.구체적인 행동까지 의 과정을 모식화하여 인간을 해석하는데 정감을 활용한다. 한편, 선진유가는 인간의 내면 에 주목하여 이상적인 정치에 관해 논의를 시도한다. 선진유가는 위정자가 도덕적 정감을 정치적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면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이는 도덕적인 정감을 기반으로 한 행동과 결정이 정치의 성패를 결정한다는 신념을 나타 내며, 정치적인 행위가 도덕적 가치와 일치할 때에만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 은 것이다. 다시 말해 선진유가는 정감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이상적인 정치를 추구하는 철학적인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Pre-Qin Confucianism seeks to strengthe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nfucianism through various attempts, actively utilizing empathy in the process. When exploring the issue of where the essence of propriety is located, Pre-Qin Confucianism argues that the emotion of propriety resides in True Emotion. While the forms of propriety may change, the True Emotion within them should remain unchanging forever, they believe. Furthermore, Pre-Qin Confucianism analyzes the successive effects of emotion, modeling the process from the laws of heaven to human nature, true emotion, and concrete actions, using emotion to interpret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Pre-Qin Confucianism focuses on the inner self of humans and attempts to discuss ideal politics. They strongly assert that if rulers can extend moral emotion into the realm of politics, they can realize an ideal political system. This belief reflects the notion that actions and decisions based on moral emotion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politics, emphasizing that desirable outcomes are only attainable when political actions align with moral values. In other words, Pre-Qin Confucianism seeks to understand the inner workings of humans through empathy and presents a philosophical approach that pursues an ideal politic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