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자란 무엇인가?

        김창래(Chang-Rae Kim)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2

        저자(Autor)란 무엇인가? 전통적 해석학은 이 물음에 다음과 같이 답해 왔다. 저자는 글쓴이다. 글을 쓴 이로서 저자는 글의 주인이고, 글 안에 들어 있는 의미 내용의 유일한 원천이다. 따라서 해석자의 과제는 저자가 창조한 의미의 발견에 제한된다. 해석자는 글을 읽는 자이지 쓰는 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만이 글의 유일한 창조자이고, 저자의 의도(mens auctoris)만이 올바른 해석을 위한 단 하나의 척도이다. 저자의 권위(Autoritat des Autors)에 대한 이 같은 전통적 견해에는 철학적으로는 정당화될 수 없는 세 가지의 소박한 해석학적 테제가 포함되어 있다. ① 텍스트의 독점적 주인으로서의 저자, ② 저자와 해석자 간의, 따라서 저술과 해석 간의 절대적 구분, ③ 해석의 옳고 그름을 가름하는 유일무이한 기준으로서의 저자의 의도. 이 글은 전통적 저자 개념과 언급된 세 테제의 배후에 근대 주체성의 형이상학이 서 있고, 저자는 근본적으로 근대적 주체 개념의 해석학적 변형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논증하고자 한다. 저자란 사유가 글쓰기로 이해되는 한에서의 근대적 주체, ‘글 쓰는 나’이다. ‘글 쓰는 나’로서의 저자는 글 쓰는 활동성과 그 활동의 산물로서의 글의 근원이고, 글의 세계에로 초대된 모든 객(독자)과는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글의 주인이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확실한 해석을 위한 단 하나의 아르키메데스적 기점이다. 본고는 이 같은 글쓰기-주체로서의 저자 개념에 대한 (정확히는: 이 저자의 실재에 대한 소박한 믿음에 대한) 존재론적 해체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 위에서 언급된 세 가지의 해석학적 테제를 대신하는 다음의 테제들이 제시되고 그 정당성이 논증될 것이다. ① 텍스트의 의미는 최초의 저술 과정에서 뿐 아니라 이후의 해석 과정에서 계속 창조되고 형성된다. ② 그렇기 때문에 저자와 해석자 사이의 엄밀한 구분은 불가능하다. ③ 올바른 해석의 척도는 원래의 저자의 의도가 아니라 텍스트와 해석자 사이에서 반복되는 대화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의미이다. 이상 세 테제의 근거 위에서 철학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저자 개념은 텍스트와 텍스트 의미의 유일한 원천으로서의 실재하는 개별자가 아니라, 쓰이어진 후 원래 저자의 손을 떠나 장구한 해석의 역사를 통해 자신의 의미를 형성해 온 텍스트의 형이상학적 주어, 그 이념적 대응물임이 밝혀질 것이다.

      • KCI등재

        사실주의 저자성에 대한 시론적 분석

        신동룡(Shin, Dong-Ryo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江原法學 Vol.44 No.-

        저작권법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문제들은 궁극적으로 저자의 독창성 개념과 연결된다. 본 논문은 저자성 개념을 법적 담론과 미학적 담론의 상관성 속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저자성에 대한 법적-미학적 담론 분석은 1980년대 이래로 영미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이들은 현대 저작권법이 낭만주의적 저자성(Romantic Authorshihp)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는 창작의 실제적 모습을 왜곡하는 신화적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낭만주의적 저자성’ 개념이 갖는 문제를 인정한다고 할지라도 저자성 개념의 해체는 저작권법의 근본적인 체계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19세기 중반 이후에 형성되었던 ‘사실주의’와 저작권법담론 사이의 상관성에 주목하면서 ‘사실주의 저자성’ 개념의 가능성을 시론(試論)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창작은 외부 사실을 진실되게 있는 그대로 반영해야 한다는 사실주의 미학 담론은 저자성 개념의 재구성에 주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저자성 개념에 대한 법적-미학적 분석과 관련한 낭만주의 저자성 담론의 내용과 한계를 고찰함과 동시에, 19세기 사실주의와 법적 담론과의 영향적 관계를 살펴본 후, 사실주의 저자성 개념의 가능성을 타진할 것이다. 또한 본고는 작가, 창작과정 및 창작방식에 관한 사실주의의 특징을 살펴본 후, ‘시간과 공간에 대한 주관적 해석과 저자성’, ‘상호텍스트성과 저자성’ 및 ‘매체의 맥락 전환과 저자성’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사실주의와 저작권법과의 상관성을 시론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This study will analyze the notion of authorship in the copyright law from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al discourse and the aesthetical discourse. The legal-aesthetical analysis on authorship has been accomplished by Anglo-American scholars since 1980s. They asserted that modern copyright law had been derived from the Romantic authorship which distorts the reality of collaborative creative process. Although the problem of Romantic authorship could be recognized, the deconstruction of authorship would have a risk to break down the copyright system. In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theorize a new notion of authorship instead of Romantic authorship. Focusing on the mid-19th century discourses of copyright law and Realism, this research will construct a Realistic authorship. I suppose that the aesthetical discourses of Realism can be helpful to theorize the new notion of authorship, because Realism considers that the author can create the work not from his own ability but from intertextual borrowing. In this paper, I will ① study the contributions and problems of prior researches on the authoship, ②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m and legel discourses, ③ and then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asoning on the Realistic authorship. For this work, I try to do some preliminary research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t"s viewpoints on author and creative process.’ Especially, I will also inq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19th-century Realism and copyright law in three points, such as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time-space and authorship”, “intertextuality and authorship”, “context alteration of medium and authorship.”

      • KCI등재

        복수저자기반 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한 지적구조 분석: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곽선영,정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 정보관리학회지 Vol.29 No.1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is generall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first author because most citation databases include only the first author i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etter knowledge structure by utilizing the multiple authorship of author co-citation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 different data sets are prepared: (1) counting the first author, (2) counting all the author without limiting the total frequency, (3) counting all the author with limiting the total frequency, and (4) counting adjusted frequencies based on the order of author subscri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knowledge structure counting all the author and the one counting only the first autho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methods, there are subtle changes of cluster members for authors. 전통적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은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가 색인하는 제 1저자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제1저자 이외의 저자의 기여도가 제외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학 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복수저자기반의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하여 해당 학문분야의 지적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네 가지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1) 인용된 문헌의 제 1저자만을 고려한 저자동시인용분석, (2) 문헌당 총합 제한 없이 복수저자에게 동일한 인용빈도 부여한 저자동시인용분석, (3) 문헌당 총 합을 제한하여 인용빈도를 부여한 저자동시인용분석, (4) 저자기입 순서를 고려하여 인용빈도를 부여한 저자동시인용분석.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제 1저자만 고려한 방식과 복수저자를 모두 고려한 방식에 따라 군집형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복수저자의 인용빈도를 구하는 방식에 따라서 군집의 소속이 달라지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동저작이 증가하는 학문적 추세에 비추어서 학문의 지적구조를 밝히기 위해서는 복수저자가 고려된 저자동시인용분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저자명 모호성 해결을 위한 개념망 기반 카테고리 유틸리티

        김제민 ( Je Min Kim ),박영택 ( Young Tack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3

        동명이인의 저자를 구분하는 것은 웹에서 문서 색인과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동명이인의 저자 구분은 웹사이트 상에서 같은 이름을 갖는 여러 명의 사람이 존재했을 때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논문은 동명이인의 저자 구분을 위해 개념망 기반의 카테고리 유틸리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술회의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안된 방법은 저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제목, 요약, 공동저자, 소속)을 반영한 저자 온톨로지와 개념망을 활용한다. 저자 온톨로지는 OWL API와 휴리스틱한 방법을 사용하여 반자동으로 구축 되었다. 저자명 모호성 해결은 개념망 기반 카테고리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저자 온톨로지 내에 존재하는 동명이인 저자(Candidate Authors)들로부터 해당 논문에 관련된 정확한 저자를 결정한다. 카테고리 유틸리티는 각각의 저자간의 intra-class 유사성 와 inter-class 비유사성을 기본적인 개념으로 하는 평가 함수다. 이에 비해 개념망 기반 카테고리 유틸리티는 모호성 해결을 위해 개념망이 갖는 개념 정보를 추가로 활용한다.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개념망 기반 카테고리 유틸리티가 일반적인 카테고리 유틸리티에 비교해서, 저자명 모호성 해결에 있어서 10% 정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98%의 정확도를 보였다. Author name disambiguation is essential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document indexing, retrieval, and web search. Author name disambiguation resolves the conflict when multiple authors share the same name label.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approach which exploits ontologies and WordNet-based category utility for author name disambiguation. Our method utilizes author knowledge in the form of populated ontology that uses various types of properties: titles, abstracts and co-authors of papers and authors’ affiliation. Author ontology has been construc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mantic web areas semi-automatically using OWL API and heuristics. Author name disambiguation determines the correct author from various candidate authors in the populated author ontology. Candidate authors are evaluated using proposed WordNet-based category utility to resolve disambiguation. Category utility is a tradeoff between intra-class similarity and inter-class dissimilarity of author instances, where author instances are described in terms of attribute-value pairs. WordNet-based category utility has been proposed to exploit concept information in WordNet for semantic analysis for disambiguation. Experiments using the WordNet-based category utility increase the number of disambiguation by about 10% compared with that of category utility, and increase the overall amount of accuracy by around 98.

      • KCI등재

        저자 식별을 위한 전자메일의 추출 및 활용

        강인수(In-Su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논문의 저자는 일반적으로 저자명으로 표현되며, 저자명을 통한 저자의 표현 및 관련 논문의 검색은 해당 시스템의 정확률과 재현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는 같은 저자명을 적는 여러 다른 형태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같은 저자명으로 논문에 기술되었으나 실제 서로 다른 사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논문의 저자로 출현하는 동일한 인명 표현을 실세계의 서로 다른 개체로 구분하는 저자 식별 처리가 필요하다. 기존 저자 식별의 자질로, 논문의 기본 서지 항목들인 저자, 논문제목, 출처 등이 사용되었으나, 저자 식별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새로운 자질의 도입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 개인의 고유 식별자로 기능할 수 있는 저자의 전자메일주소 자질을 저자 식별 문제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 원문으로부터의 저자 메일주소의 추출 문제를 다루고, 추출된 메일주소 자질이 저자 식별에 미치는 영향을 대용량 테스트셋을 통해 평가하고 분석한다. An author of a paper is represented as his/her personal name in a bibliographic record. However, the use of names to indicate authors may deteriorate recall and precision of paper and/or author search, since the same name can be shared by many different individuals and a person can write his/her name in different form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disambiguate same-name author names into different persons. As features for author resolution, previous studies have exploited bibliographic attributes such as co-authors, titles, publication information, etc.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email addresses of authors to disambiguate author names. For this, we first handle the extraction of email addresses from full-text papers, and then evalu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email addresses on author resolution using a large-scale test set.

      • KCI등재

        저자 식별에 기반한 저자 그래프 생성

        강인수,Kang, In-Su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1

        이상적 저자-망은 그 노드가 저자를 표현하도록 정의된다. 그러나 실제 자동 생성되는 대부분 저자망의 노드는 저자명을 저자 식별자로 사상시키는 어려움으로 인해 단순히 저자명으로 표현된다. 실 세계 저자를 표현하기 위해 이처럼 저자명을 사용하여 저자망을 구성하는 것은 서로 다른 동명 저자들이 하나의 저자명 노드로 병합됨으로 인해 저자망의 특성을 왜곡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공저 관계에 의존하여 저자명이 갖는 중의성을 해소하고 저자 노드로 구성된 저자망을 자동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공저자 자질의 특성상 이 알고리즘은 과소군집오류를 희생하면서 과다군집오류를 최소화하는 군집 결과를 만든다. 실험에서는 한글 동명 저자명이 출현한 실제 서지레코드 집합을 대상으로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를 제시한다. While an ideal author graph should have its nodes to represent authors, automatically-generated author graphs mostly use author names as their nodes due to the difficulty of resolving author names into individuals. However, employing author names as nodes of author graphs merges namesakes, otherwise separate nodes in the author graph, into the same node, which may disto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 graph. This study proposes an algorithm which resolves author ambiguities based on co-authorship and then yields an author graph consisting of not author name nodes but author nodes. Scientific collaboration relationship this algorithm depends on tends to produce the clustering results which minimize the over-clustering error at the expense of the under-clustering error. In experiments, the algorithm is applied to the real citation records where Korean namesakes occur,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저자는 어디에 있는가?

        우지숙(Ji-suk Wo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3

        최근 몇 년 사이에 학술논문을 둘러싼 분쟁이 심화되었다. 또한 학술논문에 대한 저자의 권리와 저자에 대한 보상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다. 학술저작권 분야에 상당히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핵심적인 당사자인 저자들은 별다른 반응이 없다. 본 연구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학술저작권 분야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그 변화가 저자의 권리나 학술정보의 유통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관련 학술지와 저자인 학자들에게는 어떤 함의를 갖는 것인지 살펴본다. 전통적으로 학술논문의 저작과 발간을 담당해온 당사자들인 저자와 학회들은 논문을 비영리적 저작물로 보고 재산권의 행사에 무심한 편이다. 학술논문의 유통을 담당하는 대표적 기관인 도서관은 학술정보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오히려 저작권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반면 저자로부터 저작권을 신탁 받아 관리하고 저작권료를 징수하는 저작권관리단체의 도서관 및 상업DB 유통 기관에 대한 공격적인 소송이 국내 학술저작권 논의를 이끌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술논문 저자의 배타적 권리 행사와 저자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 강조된다. 결과적으로 학술 저작물의 상업화 과정이 견고해 지고 공공 영역에서까지 학술 저작물의 유통이 위축된다는 점에서 학술정보에 대한 저작권의 강화는 오히려 저자에게 이익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작권 제도에 대한 비판적 역사가들은 저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저자가 아니라 인쇄시대 출판/유통업자의 상업적 요구에 의해 생겨났음을 강조해 왔다. 배타적 권리로서의 저작권이 저작물의 생산과 유통에 필요한 도구와 자원을 가진 자본가에게로 이전되어 저자는 오히려 저작물에 대한 통제권을 잃고 소외된다는 것이다. 학술 저작물 분야에서도 예외 없이 저자의 소외 현상은 일어나고 있는 듯하다. 다만 저자의 권리를 강조함으로써 파생된 이익을 얻는 역할을 출판/유통업자가 아니라 새롭게 대두한 저작권관리단체가 하고 있다. 학술정보의 유통과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미래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과 고민, 공론화 과정을 통한 학회의 입장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Recently disputes regarding scholarly works have escalated. Strong arguments for protecting authors' rights and compensating authors of scholarly works have been mad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scholarly journals' copyright policies, but the authors of those scholarly works remain silent.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changes in copyright of scholarly works have been made, what influences those changes have on the authors' rights and the distribution of scholarly works, and what implications those changes have on the scholarly community. Authors and scholarly journals tend to regard scholarly journals as non-commercial works and have not been interested in exercising property rights of the works. Libraries that are the major outlets of the distribution tend to regard copyright as an obstacle for wide circulation of scholarly works. The copyright management institute that was established to promote authors' rights and collect royalties for the authors who aggressively filed charges against libraries and commercial database and distribution companies leads the debate regarding copyright of scholarly works. As a result, scholarly journals and societies began to adopt copyright policies that purport to have the authors' copyright transferred to the journals and societies as a condition to publish their articles. The commercialization of scholarly works is underway, and the distribution of scholarly works even in the public sector is withered,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authors who care more about having their work read and cited than about receiving financial compensation. The alienation of the author that was noted by critical scholars of the history of copyright seems to continue in the area of scholarly works in the digital era. It seems to be the time for scholars and scholarly societies to take an interest in the distribution of scholarly works and the future of scholarly communication.

      • KCI등재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Authorial Audience Criticism and Its Pros and Cons

        Sun Wook Kim(김선욱)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8 Canon&Culture Vol.12 No.1

        본 논문은 신약 신학자인 워렌 카터(Warren Carter)의 ‘저자의 청중비평’(authorial audience criticism)이란 방법론을 소개하고 이것의 장점과 단점을 연구, 평가하는 것이다. 카터는 로마 제국의 사회, 정치, 문화, 경제 및 종교의 가치 체계와 관련하여 신약 성경의 본문들을 주해하는 작업을 했다. 그는 ‘저자의 청중’(authorial audience)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본문을 해석하는 작업을 시도했는데, 저자의 청중이란 저자가 글을 쓸 때 그가 염두에 놓은 독자를 의미한다. 이 방법론은 저자의 청중이 누구이며 어떤 신분과 상태에 놓여있는지를 상정한 후, 저자의 청중의 관점에 따라 본문의 의미를 파악해나가는 것이 저자의 청중 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카터는 저자의 청중은 ‘실제 독자’(real [or flesh-and-bone] reader)나 ‘내재된 독자’(implied reader)와는 다른데, 전자는 역사적으로 실제 독자가 누구인지를 확실히 밝힐 수 없고 후자는 역사성을 배제한 채 본문으로부터만 상정된 독자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본다. 저자의 청중이란 실제로 저자의 글을 읽는 역사적 인물(들)과 관련 있지만, 동시에 저자의 마음속에 있는 독자란 측면에서 본문이 그려내고 있는 독자이기도 하다. 카터는 이렇게 저자의 청중이란 독자를 설정하고 이에 근거해서 복음서의 본문들을 해석하는데, 필자는 그의 전공분야인 마태복음에 관한 주석과 글들을 토대로 그가 이 방법론을 통해 어떻게 본문을 해석하는지를 연구하였다. 그는 저자의 청중으로서의 마태 공동체가 오론테스 강에 위치한 수리아 안디옥이라는 거대한 도시의 하층 계급으로 있으며, 사회, 정치적으로 소외받고 비천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주장한다. 카터는 이러한 저자의 청중을 상정한 후 ‘대항-서사 읽기’(counter-narrative reading)를 제시하는데, 이는 로마의 제국의 신학과 하나님 나라의 신학의 긴장 관계 속에서 마태복음을 읽어나가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마태복음은 소외받은 자들에게 로마 제국주의의 체제를 거부하고 새로운 대안의 세계로서의 하나님 나라를 갈망하게 만든다. 필자는 카터의 방법론을 독자 반응 비평의 한 갈래로 보지만, 그가 극단적 부류가 아닌 다소 온건한 부류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카터가 제시한 저자의 청중 비평은 극단적 독자 반응 비평가들처럼 현대의 해석 공동체나 독자의 시각으로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단방향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누구인지를 역사적인 준거들을 통해서 설정하며 그에 따른 본문 해석을 가한다. 하지만 필자는 카터가 확실하지 않은 역사적 가정들을 통해 저자의 청중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과도한 해석상의 의미들을 본문 속에 주입시켰다고 본다. 다시 말해, 저자의 청중의 상태와 특징을 해석을 위한 하나의 틀로 설정한 후, 그 틀 안에서 모든 본문을 해석해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또 다른 해석 방법의 틀인 사회-과학적 접근 방법론은 예수의 사역의 핵심인 속죄 등의 의미를 보여주지 못하며, 그에 따른 기독교 신앙의 신학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필자는 본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 카터의 방법론의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uthorial audience criticism and evaluating its pros and cons with a case study of Warren Carter’s works. Cater employs authorial audience criticism to interpret the writings of the New Testament (NT) with a counter-narrative reading against the social, political, cultural, economic, and religious value systems of the Roman Empire. He adopts the concept of “authorial audience” that refers to the reader whom the author keeps in mind. He first determines who the audience is and what situations they were placed under and experienced; and then the texts are read and interpreted along with this audience and their experiences. According to Cater, authorial audience indicates neither the real (or flesh-and-bone) reader nor the implied reader. As for the real reader,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who this historical reader is; and as for the implied reader, there exists a limitation because this reader is only projected by the text with the exclusion of the historical contexts. Authorial audience, however, is not only the real reader who was actually reading the author’s writing, but also the implied reader whom the text projects in that the authors bear in his mind. Carter first defines the identity of the authorial audience by examining both text and context, and then interprets the NT writings in view of authorial audience. In this study, I investigate and evaluate Carter’s work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Gospel of Matthew that is his major field in the NT. He argues that Matthean community (audience) was located in Antioch on the Orontes River in Syria, which was one of the largest cities in the Roman Empire at that time. Matthean community, however, belonged to a lower class in this urban city and suffered under the opposition, contempt, and isolation, while living as a marginal group. Carter also suggests the counter-narrative reading which is to find the resistance of Matthew’s community against the evils of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structures in the Roman Empire. In so doing, there happen tensions between the theology of the Roman Empire and the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which lead to discover the alternative worldview of God’s reign by rejecting the Roman imperialism. I believe Carter’s authorial audience criticism is one of the reader-response criticisms and his approach belongs to a moderate category, not radical. Though radical reader-response criticism performs interpretation as a one-way function by the ideology of the reader or the interpretive community, his approach has a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in that it provides the reliable controllers to interpret the text by considering the audience who is in author’s mind. In spite of its positive aspects, his approach has limitation because it begins with uncertain historical assumptions. After sett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of Matthean community, he excessively put these characteristics into the text. In addition, his another approach of the socio-political criticism, which is useful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audience, does not show the central meanings of the NT writings, such as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and so it is hard to provide the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In the last part, I evaluate Carter’s authorial audience criticism and suggest its pros and cons.

      • KCI등재후보

        저자는 죽지 않았다: 케빈 밴후저의 커뮤니케이션 작인자를 통한 성경해석의 새로운 지평

        이정희 ( Jeong Hee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4 조직신학연구 Vol.46 No.-

        이 연구는 해체주의에 의해 해체된 저자를 부활시켜 저자 중심의 해석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케빈 밴후저(Kevin J. Vanhoozer, 1957~ )의 신학적 해석학을 고찰한다. 해체주의자 데리다는 의미론을 “차연”의 기호론으로 대체하였는데 이는 오랫동안 교회가 견지해 온 저자중심의 성경해석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신적 저자에게 영감 받은 인간저자에 의해 무오하게 기록되었다고 인정되던 성경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독자들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인해 저자가 의도한 의미는 위협받게 되었다. 밴후저는 종교개혁의 통찰들을 재천명하면서 언어행위철학에 대한 창의적 재발견을 통해 신적 소통행위 모델의 신학적 해석학으로 저자중심 해석을 복원하고 자 한다. 밴후저의 작업은 크게 두 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축은 데리다의 저자해체에 대한 분석과 비판이다. 두 번째 축은 데리다의 저자해체 논증을 반박하며 데리다에게서 해체된 저자를 학제간 연구들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작인자로 부활시키는 논증이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목표는 커뮤니케이션 작인자로 부활한 저자가, 근대적 저자와 해체주의의 의미비실재론을 극복하며, 교회가 전통적으로 지지해 온 저자중심의 성경해석학을 더 나은 방식으로 회복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두 번째 목표는 밴후저의 신학적 해석학이 복음주의노선과 개혁신학에 부합하는 성경해석학임을 주장하며 전망을 타진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Kevin Vanhoozer’s theological hermeneutics, which seeks to revive an author-centered interpretation by resurrecting the author that has been deconstructed by deconstructionism. Deconstructionist Jacques Derrida replaced semantics with a semiotics of différance, which had a serious impact on the author-centered biblical interpretation that has long been upheld by the church. The authority of the Bible, long recognized as inerrantly recorded by human authors inspired by the divine author, has been undermined, and the intended meaning by the author has been jeopardized by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readers. Vanhoozer aims to restore authorcentered interpretation by reaffirming the insights of the Reformation and through a creative rediscovery of Speech Act Theory, advancing a theological hermeneutics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 model. Vanhoozer’s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axes. The first axis is an analysis and critique of Derrida’s deconstructionist approach to the author. The second axis is an argument that refutes Derrida’s logic of author deconstruction and revives the author deconstructed by Derrida as a communication agent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author, as the communicative agent, can transcend the anti-realism of deconstructionism and modern authorship, and restore the author-centered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at the church has traditionally supported in a better way. The second objective is to demonstrate that Vanhoozer’s theological hermeneutics align with the Evangelical trajectory and Reformed theology in biblical interpretation, while also gauging its prospects.

      • KCI등재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20년간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김경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s sociology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of authors co-citation. This study analyzed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which were published from 1993 (first number) to 2012 during 20 years and divided 3rd times. To analyze data, Netminer 4.0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used. The conclusion is following: Firstly, the knowledge structure of sports sociology was being evolved and showed up a paradigm according to period. The more the time was elapsed, The more the ranking of citations authors were changed in network centrality. In degree centrality, first time was in order of Burnjang Lim, Iso-Ahola, Jonggil Lee, Jongyoung Lee, Williams, McPherson, Raghebm Kenyon, Coakley, Snyder, Jinkyung Park et al, 2nd time was in order of Burnjang Lim, Smith, McPherson, Jongyoung Lee, Younglin Chung, Changmo Goo, Kenyon, Jonggil Lee, Coakley, Jackson, Spreitzer et al, and 3rd time was in order of Keunmo Lee, Burngjang Lim, Younglin Chung, Hyomin Kang, Shinwook Kang, Youngmi Kim, Sangwoo Nam, Nammi Lee, Heejoon Chung, Minseok Ahn et al,. In betweenness centrality, first time was in order of Burnjang Lim, Jongyoung Lee, Minseok Ahn, Changmo Goo, Hongseol Kim, Younglin Chung, leejoong Yoon et al. 2nd time was in order of Jongyoung Lee, Burnjang Lim, Younglin Chung, Hyomin Kang, Kyungsik Kim, Suwon Lim, Yangrae Kim, Jonggil Lee, Jinkyung Park, Keunmo Lee et al. 3rd time was in order of Keunmo Lee, Suwon Lim, Kyungsik Kim, Changmo Goo, Sangwoo Nam, Changsub Lee, Nammi Lee, Heejoon Chung, Jongyoung Lee, Eunseok Lee et al. Secondly, minority authors contributed to formation of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ports sociology. In degree centrality of Korean authors, minority authors was Burnjang Lim, Jonggil Lee, Younglin Chung, Shinwook Kang, Changmo Goo, Jinkyung Park, Jongyoung Lee, Keunmo Lee, Kyungsik Kim, Hongseol Kim, Beomsik Kim. Foreign authors was McPherson, Coakley, Kenyon, Jackson, Smith, Loy, Williams, Iso-Ahola, Johnson, Snyder. In betweenness centrality, authors was Burnjang Lim, Jongyoung Lee, Keunmo Lee, Changmo Goo, Younglin Chung, Kyungsik Kim, Hyomin Kang, Jinkyung Park. 이 연구는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3년 창간호부터 2012년 12월까지 20년 동안 발간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를 대상으로 3시기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도는 전문가회의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패러다임이 존재하였다. 즉, 1기(정체성 확립기, 1993년∼2002년 1호)에서 2기(도약기, 2002년 2호∼2008년 2호)를 거쳐 3기(발전기, 2008년 3호∼2012년)로 진행할수록 피인용 저자의 중앙성 순위가 변동하였다. 활동중앙성과 매개중앙성의 경우 1기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저자들이 1기의 영향력으로 2기에서도 상위권에 유지되었다. 3기에는 1, 2기와 상이하게 새로운 저자나 기존에 중하위권에 있던 저자들이 상위권으로 이동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20년간 소수의 저자가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활동중앙성의 경우 국내 학자는 임번장, 이종길, 정영린, 강신욱, 구창모, 박진경, 이종영, 이근모, 김경식, 김홍설, 김범식 등, 외국 학자는 McPherson, Coakley, Kenyon, Jackson, Smith, Loy, Williams, Iso-Ahola, Johnson, Snyder 등의 저자가 높다. 매개중앙성의 경우 국내 저자는 임번장, 이종영, 이근모, 구창모, 정영린, 김경식, 강효민, 박진경 등의 저자가 높다. 피인용 저자의 연결망은 소수의 저자가 다수의 저자에 의해 인용되는 멱함수 분포를 보였으며,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기여한 저자군은 총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인용과 피인용 저자 간의 관계는 인용과 피인용이 ‘전혀 없는 유형’이 가장 많았고, ‘한 저자가 다른 한 저자의 논문을 인용하는 유형’, ‘두 저자가 한 저자의 논문을 인용하는 유형’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