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탑승 예약 시스템 설계및 구현

        허성수,최영곤,박유현 한국산업정보학회 201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6

        국내 저상버스 서비스는 2004년부터 최근까지 이동이 불편하고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를 위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저상버스 운행 정보가 미비하여 교통약자가 이를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증가하기 위해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이용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저상버스의 운행 정보와 탑승하고자 하는 저상버스에 탑승예약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예약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저상버스 개선방안

        김기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2004년부터 저상버스 도입을 시작으로 현재 70.2%로 매년 도입률은 증가하고 있지만,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불편함은 해소되지 않는 실정이다. 교통약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용자들은 버스 시설과 버스운행정보 인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버스, 버스 운행정보 개선에 활용될 유니버설디자인관점에서의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국내외 버스 서비스 관련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과 서울시 H여객 저상버스, 일본 오사카 논스텝 버스에 대한 현장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교통약자 경험분석을 실시하여 버스 이용상의 불편사항 및 개선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이후 조사 분석내용을 종합하여 저상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버스 승하차구의 시인성 확보, 휠체어 사용자 지정공간의 프리 스페이스 마련, 휠체어 사용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바 설치, 탑승객 수를 고려한 충분한 개수의 하차벨 설치 및 높이 통일화, 교통약자 하차벨과 일반 하차벨과의 구분, 단차 인지를 위한 시인성 확보, 교통약자를 위한 LCD방식의 운행정보 디스플레이 적용 및 그래픽 개선, 승객의 1/3 정도의 비상용 망치 설치, 비상용 망치 설치 위치 인식을 위한 시인성 확보, 교통약자 탑승 전 차내 승객 사전 정보 알림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사항으로는 인적서비스, 버스 배차 간격 개선과 교통약자 탑승예약 시스템 개발에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저상버스 시설, 운행정보에 대한 문제점뿐만 아니라 인적서비스 개선과 교통약자를 위한 탑승예약 시스템 개발 등에 대한 요구도 나타났지만, 연구의 범위를 고려해 개선방안 내용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개선방안에 기초한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저상버스 제작업체, 지자체, 운행업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한 통합적 사고의 접근이 필요하며,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저상버스 개선방안은 향후 버스 서비스 디자인 개선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실태 및 요구 분석

        조영길,정세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P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저상버스의 이용 실태 및 운행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저상버스 이용경험이 있는 중증 지체장애인 10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증장애인의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원인, 이용 횟수, 이용시간, 동반자, 환승방법, 저상버스 운행 정보습득 경로에 대한 이용자 특성을 밝혀내었다. 둘째, 저상버스 운영에 대하여 중증장애인들은 만족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중증장애인은 저상버스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으로 운전기사의 태도와 탑승 시 불편사항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요금 부분에서는 대중교통 바우처 도입과 운전기사 부분에서는 저상버스에 대한 정보제공 및 친절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중증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에 대한 개선점과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actices and needs of the low floor bus for the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1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t was found about the reason, time, partners, transfer methods, way to how to find the bus service information on using the low floor bus. Second, the average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use of the low floor buses was low. Third, the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demanded to change bus drivers’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nconvenience of bus boarding system. As well, they requested to introduce public transportation voucher and disability perception education for the bus driv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편의제공의무로 포섭된 휠체어 승강설비, 저상버스 도입의무와 장애인의 버스 이동권의 규범구조 - 대법원 2022.2.17. 선고 2019다217421 판결을 중심으로 -

        차성안(車城安)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2 사회보장법연구 Vol.11 No.2

        대법원은 버스 회사가 저상버스를 도입할 의무까지 부담하지는 않지만, 버스에 대하여 휠체어 탑승설비를 설치할 의무는 부담한다고 판시하였다. 제1심 법원은 ‘휠체어 승강설비 등 승하차 편의’의 제공을 명하였는데, 휠체어 승강설비 도입 전까지는 대안으로 ‘사업자측 보조자를 통한 승하차’도 허용하였다. 그 논거는 교통약자법 시행규칙 별표 1에서 휠체어 승강설비 설치의무를 임의적 선택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항소심 판결은 인적 서비스를 통한 대체 가능성을 부정하면서 휠체어 승강설비의 제공만을 명하였다. 버스회사의 편의제공의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한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 제13조 제2항에서 버스에 대하여 휠체어 승강설비의 설치를 의무화한 교통약자법 시행령 별표 2만을 준용하고, 교통약자법 시행규칙 별표 1은 준용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항소심의 위와 같은 견해는 결론적으로 타당하다. 교통약자법 시행령 별표 2에 따른 버스에 대한 휠체어 승강설비 설치의무를 임의적 선택사항으로 변경한 교통약자법 시행규칙 별표 1의 관련 내용은 모법의 위임범위를 벗어나고, 장애인의 이동권을 침해한 위헌, 위법의 규정으로서 무효라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은 모든 버스에 대해 즉시 휠체어 승강설비 설치의무를 인정한 항소심 판결과 달리, 장애인인 원고들이 향후 탑승할 구체적, 현실적 개연성이 있는 노선 범위 내에서 휠체어 탑승설비를 단계적으로 설치해 나가도록 의무의 이행기를 정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의무의 이행기를 정하여 단계적 도입을 명한 부분은 타당하나 원고들이 탑승할 구체적•현실적인 개연성이 있는 노선에 한정한 것은 그 법적 근거가 불명확하고 다수 원고들의 소제기로 쉽게 무력화될 수 있다. 의무 이행기의 단계적 설정은 대폐차로 인한 버스 교체 시점과 사실심 변론종결 시점 사이의 중간시점을 기준으로 하되, 일정한 증감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원고가 저상버스 또는 휠체어 승강설비가 설치된 버스의 도입을 청구하여 버스회사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식의 청구를 하였음에도, 대법원이 저상버스는 부정하고 휠체어 탑승설비만을 인정한 것은 부당하다. 휠체어 탑승설비와 저상버스 중 하나를 선택할 버스 회사의 선택권을 되살리는 형태로 판결의 주문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실태 및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김광백(Kwnagback Kim),전지혜(Jihye Jeon) 한국사례관리학회 2024 사례관리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운행하는 저상버스에 대한 이용 실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경험을 토대로 정책 함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모니터링지를 기반으로 하는 빈도분석의 양적연구와 조사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질적연구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중증 장애인 4명을 모집하였고, 모집된 장애인에게 교육을 통해서 조사의 객관성을 담보하였다. 빈도 분석과 주제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첫째 저상버스의 80.4%는 탈 수 있었지만 19.6%는 탑승할 수 없었다. 둘째,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접근성은 77.5%가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저상버스 운행과 관련하여 승강구 리프트(경사판)는 24.5%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저상버스 운전기사의 친절도와 관련하여 28.2%는 불친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하차 장소와 관련한 실태 조사에서 다양한 불편함이 있음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이동권 개선을 위한 차별 근절, 저상버스 승ㆍ하차장 유니버셜 디자인 설계 도입, 저상버스 매뉴얼 보급과 운전자 교육, 다양한 저상버스 확대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ctual usage of low-floor buses operat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se th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using frequency analysis based on monitoring sites and qualitative research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fou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use wheelchairs were recruited, and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was ensured through training for the recruit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of the surveyed sit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80.4% of the low-floor buses were accessible, but 19.6% were not. Second, 77.5% of the bus stops were accessible. Third, 24.5% of the platform lifts (ramps) were not operational for low-floor buses. Fourth, regarding the friendliness of low-floor bus drivers, 28.2% were found to be unfriendly. Fifth, the survey revealed various inconveniences related to the place of aligh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led to policy recommendations on the need to eradicate discrimination, introduce universal design for low-floor buses, distribute low-floor bus manuals and driver training, and expand the number of low-floor buses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wheelchairs.

      • KCI등재

        교통약자의 거주 분포와 통행특성을 고려한 저상버스 노선 선정 -부산시를 사례로-

        박지호 ( Ji Ho Park ),남광우 ( Kwang Woo Na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2

        고령인구와 장애인구의 사회경제적 활동증가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보장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정부는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법제도적 측면의‘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일부개정 하였다. 개정된 법 내용에는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기준과 설치대상 지원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운행노선 조정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교통약자의 통행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채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거주분포와 통행목적을 분석하여 현재 운행하고 있는 저상버스 노선을 교통약자의 이용편리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상버스 노선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교통약자 거주분포의 분석지표로는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커뮤니티 뉴딜 자료를 활용하였고, 통행목적의 분석지표로는 교통약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교통약자 셔틀버스 노선현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약자의 이동수요가 높고,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A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이동수요는 낮으나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C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통약자의 통행수요와 저상버스 운행노선 현황이 상당 부분 불일치하며, 비효율적인 저상버스 배치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운행 중인 저상버스 노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치하고자한다. The guarantee of transportation for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is increasingly necessary owing to their growing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In March of 2013, a partial amendment to the law for transportation of the vulnerable was made by the government, to make more convenient transport a legal requirement. The amendment describes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of transport facilities, and its support available. However, the adjustment of low-floor bus routes is not included. Therefore, low-floor buses are operating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handicapped. This study evaluates the current low-floor bus system user experience by considering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vulnerable customers and analyzing their reasons for using public transport. As a result of this work, adjustments to current bus routes are proposed.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vulnerable people has been assessed using the supporting materials of the urban renewal project in Busan City, and their reasons for using public transport have been collected by a survey of the target user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group A, which has good accessibility, was in high demand, but provided the most limited service. Whereas group C, which also has good accessibility but was in low demand, provided its service most frequently. The data show the supply and demand inconsistencies of low-floor buses, and the inefficiency of bus route allo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s to current method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low-floor bus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박재국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1

        South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phase in 2017 with the elderly accounting for 14% or higher of the entire population. It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phase in 2026. The mobility handicapped,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re expected to grow continuously, and the demand for transport service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will definitely increase further. Thus, there is thus a need for various research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low-floor buses among the mobility handicapped.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s of getting on and off transportation means, time of departure and arrival, purpose of use, and frequency of use by the day among the mobility handicapped by making us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ir use of special transport service run by the mobility support center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The study then proposed a method of selecting locations for low-floor bus stops to reflect the distribution and need of getting on and off transportation means among the mobility handicapped with such spatial analysis techniques as geocoding, overlapping analysis, buffer analysis, and generate tessellations. Finally, the study selected 228 locations for low-floor bus stops in Cheonan and reported a need to add 35 low-floor bus stops after eliminating the ones where the locations overlapped the old ones. 우리나라는 2017년 노인비중이 14% 이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앞으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와 같은 교통약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는 지자체마다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저상버스의 정류장 위치와 노선 등이 교통약자의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아 이용률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위치, 출발시간, 도착시간, 이용목적, 요일별 이용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오코딩, 중첩분석, 버퍼분석, 공간분할 등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의 승하차 분포와 수요를 반영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천안시의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를 선정한 결과 228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기존의 정류장과 입지가 중복되는 정류장을 제외하면 신규로 35개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도입의 효과에 대한 연구 : 노년층을 중심으로

        김지영(Kim Ji Young),이종호(Rhee Jong Ho),오승훈(OH Seung Hwo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1D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꾸준히 증가하는 고령인구의 사회활동과 경제활동을 보장해주기 위한 교통산업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고령인구의 이동권을 보장해주기 위한 많은 정책들이 시행되어 지고 있으며, 최근 2003년부터 서울시를 중심으로 교통약자를 위해 승ㆍ하차시 계단을 없앤 저상버스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저상버스의 도입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효과를 버스운행시간에 많은 영향을 주는 승차시간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연령의 승차시간은 1인당 평균 0.8초의 단축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노인층의 경우 1.1초인 약 36%의 시간이 단축되어 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시간 감축은 버스운행시간 단축으로 이어져 운영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The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to the aging one.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has been in creasing rapidly. For their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more convenient transport services have to be offered. Specifically, increasing mobility is one of the most urgent policies for them. One action of the policy in Seoul has introduced low floor buses since 2003. This paper shows how low floor buses affect on passengers' boarding and alighting time through the field survey.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low floor buses can reduce average boarding time by 0.8 sec, especially, by 1.1 sec (about 36%) for elderly passengers. These outcomes expect total bus operating hours as well as headways could be reduced, and operating cost and passengers' waiting time could be saved.

      • KCI등재

        저상버스 도입진단 매뉴얼 개발 연구

        이승준,김성연,이원준,박현준,이철기,김남선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6

        With the recent revision of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n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Act, bus business operators must introduce low-floor buses when scrapping bu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outes where low-floor buses cannot be operated, bus business operators can be exempted from introducing low-floor buses with the approval of their transportation administrative agency according to Article 4-2 of Enforcement Regulation of the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 According to the data from the Korea Bus Transportation Associations Federation, approximately 5.9% of all city bus routes were surveyed as the exceptions to introducing low-floor buses. Nevertheless the proportion is expected to increase because some regions with difficulties introducing low-floor buses are not included when calculating the proportion. By confirming the process of approving exceptions for introducing low-floor buses through local governments, there was no specific examination method or standard for approval of exceptions. Hence, there is the problem that some routes are approved as exceptions to introducing low-floor buses, even though low-floor buses can be operated on those rout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nual that can objectively diagnose the overall operation environment of low-floor buses, such as road geometry and road facilities. Future research plans to apply it to more cases and improve it for more precise application in various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