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포드 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이 신학에 미치는 함의 연구 : 바버, 미즐리, 브룩 & 칸토어를 중심으로

        백충현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3

        This paper is written as a part of a general joint research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r the past three years, which is “An Envisionment of 21st Century Natural Theology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Gifford Lectures: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Theology- Philosophy-Natural Science.” Here new understandings of nature in Gifford Lecture are examined centering on Ian G. Barbour, Mary Midgley, John Hedley Brooke & Jeffrey Cantor. First, nature is not a purely objective nature as it is, but a kind of concept of nature. Second, subjective aspects such as psychological, fanciful imaginary, aesthetic,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are at work in this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Third, for a complete understanding of nature, the holistic unity of life or the totality of the world needs to be recognized, in which everything is relationally connected. Fourth, for a full understanding of nature, admiration and respect for nature must be restored. Then this paper proposes that a theological view of nature should be in dialogue with natural sciences today, while specifically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new understandings of nature on theology. First, since nature is not a purely objective nature as it is, theology should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nature thoroughly and closely in order to present a theological view of nature. Second, in the process of the understanding and idealization of natur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must be sufficiently secured in the discussion of faith, belief, and grace. Third, it must be fully acknowledged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are in relationship, and for this, deep research must be conducted even into the relationship of the Trinity. Fourth, in order to fully secure reverence and admiration for nature, theological aesthetics based on the glory and beauty of God must be fully considered in the theological view of nature. Through this work,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provide much help and many insights to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 today. 본 논문은 2019-2022년에 진행된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 “기포드 강연 연구를 통한 21세기 자연신학의 모색: 신학-철학-과학의 학제 간 연구”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기존의 1년차 연구의 내용과 2년차 연구의 내용을 본 논문의 의도에 맞게 정리하면서 기포드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을 이안 바버, 메리 미즐리, 존 헤들리 브룩 및 제프리 칸토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네 가지 공통점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첫째, 자연은 있는 그대로의 순수객관적인 자연이 아니라 자연에 대한 일종의 개념이라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개념화의 과정에 심리적, 공상적, 상상적, 미학적,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인 주관적 측면들이 작동한다는 점이다. 셋째, 자연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모든 것들이 관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삶의 통전성이나 세계의 총체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자연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자연에 대한 경탄과 존경이 다시 회복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다음에 본 논문은 기포드 강좌에서의 재로운 자연관이 신학에 미치는 함의들을 구체적으로 탐구하면서 오늘날 자연과학과 대화하는 신학적인 자연관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개괄적으로 제안한다. 첫째, 자연은 있는 그대로의 순수객관적인 자연이 아니기에 오히려 신학은 신학적인 자연관을 분명하게 제시하여야 하며 하나님과 자연 사이의 관계를 충분히 밀접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자연에 대한 이해 및 관념화의 과정에서 주체와 객체 사이의 상호연관성이 신앙, 믿음, 은혜에 관한 논의에서 충분히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세계의 모든 것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계성 안에 있다는 점이 온전히 인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로까지 깊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자연에 대한 경외와 경탄이 온전히 확보되려면 하나님의 영광과 아름다움에 근거한 신학적 미학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신학과 자연과학의 대화와 만남에서 오늘날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에 많은 도움과 통찰을 제공하여 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자연신학 그리고/또는(and/or) 자연의 신학

        윤지훈(Jihoon Yo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본 논문은 자연신학(theologia naturalis)과 자연의 신학(theologia naturae)의 호혜성에 대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과 자연을 다루는 두 신학은 비슷해 보이지만 두 개념을 상반된 방법론으로 다룬다. 자연신학은 자연적으로 신을 인식하고 통찰하는 반면, 자연의 신학은 신학적으로 자연을 탐구한다. 한편으로 자연신학은 인간의 이성과 이를 기반으로 얻어진 자연 현상에 대한 법칙에 기초하여 신의 존재를 논증한다. 신 존재 증명을 위한 논증은 무신론에 대항한 기독교 변증학의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의 종말론적 의미에서 세계의 종말까지 신의 존재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신 존재 증명 자체에 대한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자연신학적 무신론 논쟁에서 끝없는 소모전이 계속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자연의 신학은 반대로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의 관점에서 자연과 자연 현상 및 법칙에 대한 보편적 이해를 찾는다. 이를 위해 다른 학문 분야로 분류되는 신학과 자연과학을 중재하는 매개체가 제시되는데,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매우 논쟁적이다. 이처럼 두 신학이 각기 다른 난관 속에서 한계에 직면하여 이를 타개할 혁신적인 방법과 방향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두 신학의 호혜성은 그 방법과 방향이 될 수 있다. 두 신학은 상반된 도구와 대상을 바탕으로 논증하기 때문에 이들을 상호 협력 연구가 불가능한 절대적 상반 관계로 보기 쉽지만, 이들은 이미 암묵적으로 논증을 서로 차용하고 있다. 이것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두 신학의 호혜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협력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에서 논하는 연구의 관건이다. 본 논문은 이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기 위해 먼저 두 종류의 현대 자연신학 ―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의 전통적인 자연신학과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새로운 자연신학 ― 과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자연의 신학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두 신학 사이의 상반 관계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상반 관계를 과학신학의 당면한 상황으로서 두 신학의 호혜성을 그 당면한 과제로서 규정하고, 이들의 협력을 촉진하는 이들의 호혜성에 대한 비판적 비교 연구를 간략하게 제안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value and necessity of bringing the study of Natural Theology (theologia naturalis) and the Theology of Nature (theologia naturae) together. These two theological approaches, which both deal with God and nature, seem similar, but in fact treat the two concepts with opposing methodologies. For Natural Theology God is the focus of inquiry using natural reason, whereas for the Theology of Nature it is nature that is explained by means of God. On the one hand, Natural Theology argues for the existence of God based on human reason and the laws of natural phenomena based on reason. Arguments for the proof of God’s existence have been used as a useful tool in Christian apologetics against atheism. Natural-theological atheism , however, is a position that continues to be debated. This is because the criticism of the proof of God’s existence itself depends on Christian eschatology. In other words, the controversy over God’s existence cannot be settled before the end of the world and, therefore, objections to the notion of God’s existence on natural grounds are still valid. On the other hand, the Theology of Nature seeks a universal understanding of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and la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God. To this end, this paper presents a middle way between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which are classified as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This is a controversial undertaking. Both Theologies face limitations and require innovative methods and directions to overcome them. Bringing the two Theologies more closely together may offer a helpful method and new direction. Since the two Theologies are based on opposite methods and objects, it is easy to view them as in an absolutely contradictory relationship in which it is impossible mutual cooperation research, but they have already implicitly borrowed arguments from each other. The key is to objectively prov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heologies by systema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innovative alternatives that promote their cooperation. In order to discuss the valu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this article firstly looks into two types of modern Natural Theology – William Lane Craig’s traditional Natural Theology and Alister Edgar McGrath’s new Natural Theology. Next it inquires into Wolfhart Pannenberg’s Theology of Nature. It then examines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ologies. Based on my findings, I show this contradiction to be the present dilemma of scientific theology and the raproachment of these two theological methodologies as its immediate task. I also briefly propose a critical comparative study of their reciprocity in promoting their cooperation.

      • KCI등재

        존 매쿼리의 자연신학과 변증법적 신론

        윤철호 한국조직신학회 2020 組織神學論叢 Vol.58 No.-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John Macquarrie's natural theology and his natural theological theism. Macquarrie (1919- 2007) is a Scottish Anglican theologian and one of the leading theologians of the 20th century, shoulder to shoulder with Barth, Bultmann, Tillich, and Pannenberg, etc. Macquarrie is called an existentialist, a systematic theologian, a natural theologian or a philosophical theologian. The reason why natural theology is “natural” theology is not because God is treated in the same way as phenomena of nature, but because God is explored by natural human resources that are common to all, without appealing to any particular source of knowledge. The characteristics of Macquarrie's natural theology appear in his book "The Principles of Christian Theology," and his doctrine of God based on natural theology appears in his book "The Inquiry of Divinity". "The Inquiry of Divinity" is that which was published based on Macquarrie's lecture delivered under the same heading in a Gifford Lecture at St. Andrews University, 1983-84. The intention of Gifford to found the Gifford Lecture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ased on natural order and the ability of human reason without relying on special revelations in the Bible. Macquarie presents “dialectical theism” through natural theological arguments that faithfully reflect Gifford's intentions. This paper examines Macquarie's natural theology centered around the themes like revelation-epistemology and anthropological proof of God's existence, and then investigates his natur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dialectical theism. 이 글은 존 매쿼리(John Macquarrie, 1919-2007)의 자연신학과 그의 자 연신학적 신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쿼리는 스코틀랜드 성공회 신학자로서, 바르트, 불트만, 틸리히, 판넨베르크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20세기의 대표적인 신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매쿼리 는 실존주의자, 조직신학자, 자연신학자 또는 철학적 신학자 등으로 불린다. 자연신학이 “자연”신학인 까닭은 하나님이 자연의 현상과 동 일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기 때문이 아니라, 어떤 특수한 지식의 원천에 호소함 없이 모두에게 공통된 자연스러운 인간의 자원에 의해 탐구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매쿼리의 자연신학의 특징은 그의 책 『기독교 신학의 원리』에 그리고 자연신학적 신론은 그의 책 『신성의 탐구』에 잘 나타난다. 『신성의 탐구』는 매쿼리가 1983-84년 성 앤드류스(St. Andrews) 대학에서 개최된 기포드 강좌에서 동일한 제목으로 행한 강연 내용을 출판한 것이다. 기 포드 강좌를 창시한 기포드의 의도는 성서에 나타나는 특별계시에 의 존하지 않고 자연 질서와 인간 이성의 능력에 기초한 자연신학의 가능 성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매쿼리는 기포드의 의도를 충실히 반영하는 자연신학적 논증을 통해 “변증법적 신론”(dialectical theism)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매쿼리의 자연신학을 그의 계시 인식론과 인간학적 하나님 존재 증명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의 자연신학적 신 이해인 변증법적 신론에 대해 고찰한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 자연신학의 가능성과 현실성 - 칼빈의 자연이해를 중심으로 -

        임영동 ( Young Dong L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2 No.-

        본 논고는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자연신학 가능성과 현실성”이라는 연구를 통해 현대 기독교 자연신학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자연신학에 관한 올바른 인식과 논의가 그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한 때이다. 20세기 이래로 우주과학과 다윈진화론은 기독교 창조신학 ‘실재론’에 대한 많은 도전과 의문을 던지고 있다. 이제는 기독교 신학이 인간의 타락과 구원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창조세계에서도 활동하고 계시는 하나님에 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그러나 자연신학과 자연과학에만 치중할 경우 기독교 본질을 잃어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기독교 전통신학, 특히 종교 개혁가 칼빈의 신학사상을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까지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칼빈의 신학이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 자연신학을 위해서 칼빈의 자연이해를 고찰하려 한다. 첫째, 자연신학의 기원과 계시의 관계를 머리로 다루었다. 둘째, 바르트(Karl Barth, 1886-1968)와 브룬너(Emil, Brunner, 1889∼1966)의 자연신학의 갈등과 논쟁을 통해서 칼빈의 자연신학에 관한 개연성을 논한다. 셋째, 칼빈의 자연신학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넷째, 칼빈의 자연이해를 통해 자연신학의 현실성을 다루려 한다. 그 방법에 있어서 칼빈의 과학관을 함께 살피려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dern Christian natural theology through the study of “the possibility and reality of Calvin’s natural theology”. Today, right recognition and discussion about natural theology are more necessary than ever before. Since the twentieth century, space science and Darwin’s theory of evolution have been challenging and questioning the ‘realism’ of Christian creation theology. It is now time for Christian theology to focus not only on depravity and salvation of human beings, but also on God who is active in the created world. However, we can not but depend on Christian traditional theology, especially the religious reformist Calvin, because if we focus only on natural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We can get out of the truth of the Christianity. It is true that Calvin’s theology is at the center of Reformed theolog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Calvin’s natural understanding for Christian natural theology. First, I tre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 of natural theology and revelation. Second,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Calvin’s natural theology through the conflicts and controversies between Barth and his natural theology. Third,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alvin’s natural theology. Fourth, we try to deal with the reality of Calvin’s natural theology. I try to look at Calvin’s science in the way.

      • KCI등재

        과학시대, ‘신’에 대한 현대 자연신학의 논의 ― R. 스윈번과 R. 스태나드의 신 이해 그리고 신정론에 대한 대답들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조직신학회 2021 組織神學論叢 Vol.64 No.-

        본 논문은 과학시대에 신 존재를 논하는 현대 자연신학의 새로운 시도들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R. 스윈번의 ‘궁극적인 확고한 사실’로서의 신, R. 스태나드의 ‘초-정신’으로서의 신 그리고 이들의 신정론에 대한 대답을 다루며, 그럼으로써 자연과학의 최신 연구결과들 안에서 재해석된 신학적 논의들의 의미와 한계를 제안하게 된다. 자연신학이란 전통적으로는 자연에 대한 탐구로서, 계시와 다른 자연의 빛, 즉 이성 안에서 그리고 그 이성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자연 안에서 신 존재에 대한 근거 제시가 가능하다는 전제를 가진다. 그리고 스윈번과 스태나드는 이러한 자연신학적 전제 아래에서 현대과학을 통해 ‘신의 존재’ 및 기독교교리를 새롭게 해석한다. 2장은 스윈번의 자연신학에 대한 이해와 ‘궁극적인 확고한 사실’로서의 신 이해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스태나드의 자연신학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초-정신’으로서의 신 이해가 다루어진다. 4장은 스윈번과 스태나드가 자연신학과 신 이해를 통해 대답을 시도하는 신정론의 문제를 살펴본다. 5장은 글을 요약하고 이들이 시도하는 자연신학의 의미와 그 한계를 제안한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attempts of modern natural theology to understand and present the Being of God newly in the scientific age. To this end, this thesis uses R. Swinburne’s God as the ‘ultimate brute fact’, R. Stannard’s God as the ‘super-mind,’ and their answers to theodicy. Forthemore and thereby, within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f natural science, a reinterpreted understanding of God, its meaning and limitation are proposed. Natural theology is traditionally an inquiry into nature, with the premise that God’s argument and inquiry are possible. And Swinburne and Stannard interpret the ‘Being of God’ and Christian doctrine anew through modern science under these natural theological premises. Chapter 2 examines Swinburne’s understanding of natural theology and God’s understanding as the ‘ultimate brute fact.’ Chapter 3 deals with Stannard’s understanding of natural theology as well as God’s understanding as a ‘supermind.’ Chapter 4 examines Swinburne’s and Stannard’s answer about theodicy problems. Chapter 5 summarizes the text and suggest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natural theology.

      • KCI등재후보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과학적 신학과 삼위일체 자연신학 - 계시 인식론 중심으로 -

        임영동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This dissertation is the study on new cognition of the divine revelation viewed through Alister E. McGrath. By this study I deeply approached the new cognition of revelation called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based on ‘scientific theology’ established by McGrath. Until now, in the philosophy and theology, we have said the notion of two worlds of revelation, that is, the transcendental and natural worlds: the nature and recognition of reality which is expressed by the special revelation and the common revelation. Christian traditional theology has divided the recognition of dualistic revelation by describing the special revelation as what is about the salvation of trinity God and the common revelation as what is about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I think that McGrat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establishing his theological method to allow dualistic revelation recognized as monism. The main point of argument being treated in this studies is to complement and extend the theory of God’s revelation by integrating the special revelation which has been mentioned in the Christian theology, and the natural revelation which has been made to talk with each other through natural science,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as being monistic. The enlargement of revelation makes God’s revelation stand out sufficiently by observing the reality of a posteriori experience which presupposes God’s revelation which has already been taken first. This method is the system which natural science, natural theology and philosophy resonate. This system builds up the new epistemology of Christian revelation which is called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which special revelation and natural revelation integrate. This research will be the dialectic study against the thinkers of antichristianity, too. 이 논문은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를 통해서 본 새로운 신적 계시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맥그래스가 세운 과학적 신학 체계 위에 삼위일체적 자연신학이라는 새로운 계시 인식을 심층적으로 접근한다. 그동안 철학과 신학은 두 계시의 세계, 초월적 세계와 자연적 세계에 대한 관념을 말해 왔다. 즉 특별계시와 일반계시로 나타나는 신적 실재(reality)의 본질과 그 인식이다. 기독교 전통신학은 특별계시를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에 관하여 서술하고 일반계시를 창조주 하나님의 지식에 관하여 서술함으로써 이원론적 계시인식을 구분하여 왔다. 맥그래스는 이원론적 계시 인식을 일원론적 계시 인식이라는 신학 방법론을 세워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중심적 논지는 기독교 신학에서 말하는 특별계시와 자연계시를 통합한 하나님의 계시를 보다 보완 확장하여 일원론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있다. 이 계시의 확장은 이미 선취된 하나님의 계시를 전제(前提)한 후험적 경험의 실재를 관찰하여 하나님의 계시를 풍족하게 드러낸다. 이 방법론은 자연과학과 자연신학, 그리고 철학이 공명할 수 있는 체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체계는 ‘삼위일체적 자연신학’이라는, 즉 특별 계시와 자연계시를 통합하는 새로운 기독교 계시 인식론을 세운다. 이 연구는 반기독교 사상가들에 대항하는 변증적 연구도 될 것이다.

      • 칼빈의 "신의식"(Sensus Divinitatis)과 자연신학의 가능성

        이환봉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4 고신신학 Vol.- No.6

        The famous debate about the reality of general revelation and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etween Brunner and Barth is a revival issue in the current Evangelical circles, together with Calvin's interpretation of the Sensus Divinitatis and the discussion of the Reformed epistemology movement. Appealing to Calvin, Brunner went beyond confirming the reality and value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reinterpreted in the light of special revelation, inclined to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which Calvin had objected. On the other hand, Barth, also appealing to Calvin, went beyond disclaiming the natural theology of Roman Catholicism which is based on the Sensus Divinitatis and rejected so far as the reality of general revelation which Calvin had approved. In the Institutes, Calvin has obviously stated that through the Sensus Divinitatis and semen religionis, God himself has implanted in all men an awareness of his existence and divine majesty, with God’s exquisite workmanship in the world. However, Calvin said that the perception of God through the Sensus Divinitatis is not an innate or intuitional knowledge that is given naturally at birth to man. In his commentary on Romans, Calvin said that man after depravity is born not with the innate knowledge of God but only with the innate attitude of disobeying God. In the Institutes, the perception of God through the Sensus Divinitatis is not an a priori cognition but an a posteriori cognition by observing and experiencing the natural world. The Sensus Divinitatis which Calvin had understood means not an innate knowledge which has a concrete concept but an innate faculty or an internal tendency which is given in man’s heart, actuated by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bout the order and features of the external world. Only when man, in the original state before his corruption, looks at God’s workmanship which is reveled in the creative world, can he move onward to recognize automatically without any reasoning and argument, through Sensus Divinitatis that has been implanted in our hearts, that God exists. What is the reason why theologians disagree with each other about the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ased on Calvin's Sensus Divinitati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did not examine cautiously whether the viewpoint of time, when Calvin refers to Sensus Divinitatis and knowledge of God, was before or after man’s corruption. And they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what God gave objectively and what man received subjectively. When Calvin discussed the man’s ability to understand God’s works shown in the natural world, he tried to explain it in terms of the original state of man, before his corruption.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of God through man’s Sensus Divinitatis before corruption, which Calvin stated, is only a “possibility in principle” but not a “possibility in reality”. Calvin has firmly denied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natural theology by stating the limitation of man that he cannot subjectively perceive the general revelation, by the noetic effects of sin, that God has objectively given to him. 브룬너와 바르트 사이의 일반계시의 실재성과 자연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신학논쟁은 칼빈의 신의식에 대한 해석과 개혁주의 인식론 운동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오늘날 복음주의 안에서도 새로운 논쟁점이 되고 있다. 브룬너는 칼빈에게 호소하여 특별계시의 조명 하에 재해석된 일반계시의 실재성과 가치만을 인정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칼빈이 반대한 자연신학의 실제적인 가능성에로 기울게 되었다. 반면에 바르트도 역시 칼빈에게 호소하여 신의식에 근거한 로마교의 자연신학에 대한 부정에 머물지 않고, 칼빈이 인정한 일반 계시의 실재성까지 모두 부여하였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창조세계에 나타난 하나님의 놀라운 솜씨와 더불어 하나님께서 신의식(Sensus Divinitatis)과 종교의 씨(semen religionis)를 통해 우리에게 하나님 자신의 존재와 신적 위엄에 대한 어떤 지각을 보편적으로 전달하신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였다. 그러나 칼빈은 그 신의식을 통한 하나님에 대한 지각은 출생 때부터 모든 인간에게 본래적으로 주어진 본유적 또는 직관적 지식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는 「로마서 주석」에서 타락 후의 인간은 하나님에 대한 본유적 지식이 아닌 하나님을 거역하는 본유적 태도를 지니고 태어날 뿐이라고 하였다. 「기독교 강요」에서도 신의식을 통한 하나님에 대한 지각은 선험적(a priori)이 아닌 자연세계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한 후천적인(a posteriori) 성격을 지닌다. 칼빈이 이해한 신의식은 어떤 구체적인 개념을 가진 본유적 지식이 아니라 창조세계의 질서와 여러 요소들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해 작용되는 인간의 마음속에 주어져 있는 본유적 능력과 내적 경향성을 말한다. 인간이 타락하기 이전의 본래적 상태에서 창조세 계에 나타난 하나님의 솜씨를 바라볼 때, 우리 마음속에 심기어진 그 신의식이 활성화되어 하나님이 존재하신다는 것을 의식적인 추론과 논증 없이 자동적으로 지각하는 자리에 나아 간다는 것이다. 칼빈의 신의식에 근거한 자연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신학자들 사이의 상반된 견해가 드러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칼빈이 신의식과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언급할 때의 그 문맥에 나타난 시기적 관점이 인간의 타락 전인가 아니면 후인가를 신중히 검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나님이 객관적으로 주신 것과 인간이 주관적으로 받은 것 사이의 구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칼빈은 자연세계에 나타난 하나님의 행위를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을 논할 때는 타락 이전의 인간 원래의 상태에서 설명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칼빈이 언급한 타락 전의 인간의 신의식을 통한 하나님 지식의 가능성은 “원칙적인 가능성” 일 뿐이지 “실제적 인 가능성” 을 말한 것은 아니다. 칼빈은 타락으로 인한 죄의 영향으로 영적 맹목에 빠진 자연적 인간은 객관적으로 하나님께서 주신 그 일반계시를 주관적으로 올바로 읽어 낼 수 없 다는 인간의 한계에 대해 말함으로써 자연신학의 실제적인 가능성은 단호히 부정하였다.

      • KCI우수등재

        창조된 자유

        김종국(Jong-Gook Kim) 한국철학회 2009 哲學 Vol.0 No.99

        ‘창조된 자유’라는 개념으로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철학적 신학을 집약하고 평가하려는 이 글은 먼저 자연철학, 자연신학, 도덕신학의 위상과 관련한 칸트의 입장을 고찰함으로써 철학적 신학의 학적 위상을 정립한다. 이어서 자연철학 및 자연신학의 차원에서 어떻게 ‘진화론적 생명주의’와 양립하는 ‘창조’가 요나스에서 가능한가를 고찰할 것이다. 여기서는 오늘날 자연철학 및 자연신학이 결코 우회할 수 없는 물리학적, 생물학적 사태인 ‘빅뱅’ 및 ‘진화’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다음으로 도덕신학의 차원에서 인간의 도덕적 자유와 양립하는 ‘전능하지 않은 신’을 요나스가 추론하는 과정을 고찰할 것이다. 이 과정은 결국 ‘아우슈비츠로 대표되는 세계 내 악의 실존과 양립 가능한 신 개념’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지는데 이로서 논의는 전통적 ‘神政論’ 문제에 연루된다. 마지막으로 이상 ‘창조된 자유’로 압축되는 요나스의 철학적 신학이 제기한 문제들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요나스의 철학적 신학의 의의를 평가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삼위일체 자연신학 - 계시 인식론 중심으로 -

        임영동 ( Young Dong L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를 통해서 본 새로운 신적 계시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맥그래스가 세운 과학적 신학 체계 위에 삼위일체적 자연신학이라는 새로운 계시 인식을 심층적으로 접근한다. 그동안 철학과 신학은 두 계시의 세계, 초월적 세계와 자연적 세계에 대한 관념을 말해 왔다. 즉 특별계시와 일반계시로 나타나는 신적 실재(reality)의 본질과 그 인식이다. 기독교 전통신학은 특별계시를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에 관하여 서술하고 일반계시를 창조주 하나님의 지식에 관하여 서술함으로써 이원론적 계시인식을 구분하여 왔다. 맥그래스는 이원론적 계시 인식을 일원론적 계시 인식이라는 신학 방법론을 세워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중심적 논지는 기독교 신학에서 말하는 특별계시와 자연계시를 통합한 하나님의 계시를 보다 보완 확장하여 일원론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있다. 이 계시의 확장은 이미 선취된 하나님의 계시를 전제(前提)한 후험적 경험의 실재를 관찰하여 하나님의 계시를 풍족하게 드러낸다. 이 방법론은 자연과학과 자연신학, 그리고 철학이 공명할 수 있는 체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체계는 ‘삼위일체적 자연신학’이라는, 즉 특별 계시와 자연계시를 통합하는 새로운 기독교 계시 인식론을 세운다. 이 연구는 반기독교 사상가들에 대항하는 변증적 연구도 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the study on new cognition of the divine revelation viewed through Alister E. McGrath. By this study I deeply approached the new cognition of revelation called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based on ‘scientific theology’ established by McGrath. Until now, in the philosophy and theology, we have said the notion of two worlds of revelation, that is, the transcendental and natural worlds: the nature and recognition of reality which is expressed by the special revelation and the common revelation. Christian traditional theology has divided the recognition of dualistic revelation by describing the special revelation as what is about the salvation of trinity God and the common revelation as what is about the knowledge of God the Creator. I think that McGrat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establishing his theological method to allow dualistic revelation recognized as monism. The main point of argument being treated in this studies is to complement and extend the theory of God’ s revelation by integrating the special revelation which has been mentioned in the Christian theology, and the natural revelation which has been made to talk with each other through natural science,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as being monistic. The enlargement of revelation makes God’s revelation stand out sufficiently by observing the reality of a posteriori experience which presupposes God’s revelation which has already been taken first. This method is the system which natural science, natural theology and philosophy resonate. This system builds up the new epistemology of Christian revelation which is called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which special revelation and natural revelation integrate. This research will be the dialectic study against the thinkers of antichristianity, too.

      • KCI등재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과학신학’에 대한 분석적 연구: 유형론적 특징과 방법론적 기획을 중심으로

        김은수 ( Kim,Eunsoo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6

        근대 과학혁명 이후 자연과학의 각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눈부신 발전은 우리가 이 우주와 자연세계 및 인간 스스로를 이해하고 바라보는 전체적인 세계관을 혁명적으로 변화시켜 왔다. 우리는 그러한 현대 자연과학 분야에서의 급속한 발전이 갈수록 우리의 삶의 전 영역에 있어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공적인 학문으로서의 중요한 책무를 가지는 신학 분야에서도 그와 더불어 다양한 측면에서 더욱 깊이 있는 간학문적인 대화의 긴급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하에,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그 자신의 신학적 연구 작업 가운데서 이 주제를 가장 중요한 신학적, 학문적 의제로 삼고 지속적인 연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가 시도하고 있는 ‘과학신학’의 핵심 내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분석하고 비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맥그래스가 ‘새로운 자연신학’에 대한 하나의 시도로서 과학신학의 기획을 위하여 취하고 있는 연구방법론을 분석함에 있어, 이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1) 먼저, 그것의 유형론적 특징과 더불어 그가 주장하는 과학과 신학의 ‘공명이론’의 핵심이 되는 주요 방법론적 전제들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2) 맥그래스가 제시하는 과학과 신학의 간학문적 대화에 있어 서로 공명할 수 있는 ‘신학적인 기초’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자연신학의 가능성과 그 중요한 함의들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3) 그의 과학신학의 구축을 위해 맥그래스가 사용하거나 수용하는 과학과 신학의 상호공명을 위한 ‘형이상학적 기초’가 되는 핵심 요소들을 분석하면서, 그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개념들인 ‘전통에 매개된 합리성’과 ‘비판적 실재론’이 가지는 실제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비평적으로 살펴보았다. Since the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startling developments in the area of the natural sciences have dramatically changed our world-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the natural world, and ourselves. Due to this rapid development of the natural sciences, which has had deep effects on all aspects of our lives, there arises an urgent need for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the natural sciences. This is one of the major responsibilities of today’s theology to the public. In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aims at carrying out a critical anaysis of Alister E. McGrath’s ‘Project for Scientific Theolog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cademic agendas in his theolgy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aspect is the approach methodology to be adopted. While analyzing McGrath’s research methodology for his ‘Scientific Theology’, I especially focused on the following specific points: (1) I examine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mportant presuppositions for his ‘Resonance Theory’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2) as the theological basis of McGrath’s ‘Scientific Theology’, I discerned the renewed understanding of ‘Nature’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the doctrine of its creation; Finally, and (3) as a scientific basis for a mutual resonanc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I explored certain key concepts, principl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Most of all, I highlighted the concepts of ‘Tradition-mediated Rationality’ and ‘Critical Realism,’ which constitutes the core of McGrath’s method of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