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에서 자기평가 교육 내용 연구

        양경희 ( Yang Kyounghee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8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평가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쓰기를 위한 자기평가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쓰기 교육에서 자기평가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서의 자기평가를 ‘학습자가 쓰기 전(全) 과정에서 쓰기 수행을 진단하고 문제를 파악하여 쓰기 수행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피드백을 위한 정보로 정련하는 일련의 성찰적 행위’로 규정하고 자기평가의 과정을 준거의 적용, 반성적 성찰, 결과의 정보화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기평가 이해하기’, ‘자기평가하기’라는 교육 단계와 지식(아는 것)과 기능(하는 것)을 범주로 하는 교육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쓰기에서 학습자의 자기평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구체적인 교육의 방향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교육 내용의 정밀화, 실제 수업 상황에 자기평가 교육을 녹이는 방안 모색, 자기평가에 작용하는 조정 기제 탐색이라는 남은 과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aimed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for such a self-assessment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lated training in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self-assessment in writing was defined as a series of reflective actions in which learners examine their writing performance throughout the process of writing, identify problems,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for positive change in writing performance, and convert it into informatio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was presen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riteria, reflection, and information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In addition, a training program on self-assessment was prepared and the contents of this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self-assessment ability of learners and simultaneously identifies a specific direction for related training.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refine the educational content, identify ways to implement self-assessment and related education in the actual classroom, and establish a coordination mechanism that facilitates self-assessment.

      •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평가(self-assessment)방법

        남형채,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3 No.1

        수행평가는 학생들이 자신의 수행에 대한 평가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주고, 정답이나 오답뿐 아니라 그 이상의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평가이다 특히 수행평가의 한 방법으로서 자기평가는 학습과 이해에서 자신의 진보를 능동적으로 모니터하고, 자신의 수학적 지식, 과정, 태도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자기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수행을 평가함으로써 수업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자기평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학생들로부터 평가자료를 모으는 방법에는 자기보고서, 점검목록, 수학 저널, 동료평가 등이 있다. 자기평가가 수학 수업의 일부분이 되면 학생들은 다음 세 가지 영역에서 진전이 있을 것이다: 독립적인 학습자가 되기, 자신의 학습에 대한 통찰을 갖기, 학습 과정에 대해 더욱 자발적이고 흥미를 갖기, 자기평가 방법이 성공하려면,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갖도록 하고, 다른 학생에게 자신의 능력이 드러나는 두려움을 극복함으로써 공동으로 협력하게 도와주는 것이다. Performance assessment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become active participants in the evaluation of their own work, an evaluation that is interpreted as more than right or wrong answers. In particular, as a part of performance assessment, self-assessment is the process of actively monitoring one's own progress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of examining one's own mathematical knowledge, processes, and attitudes. Through self-assessment, students take part in the instruction process by evaluating their own performances. This article discuss how teachers can foster student self-assessment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Methods for collecting assessment data from students are the follows: student report, inventory, mathematics journal, peer assessment, etc. When self-assessment becomes part of mathematics program, students will grow in three important areas : in becoming an independent learner, in gaining insight into their own learning, and in showing more initiative and interest in the learning process. To make the self-assessment method a success, teachers should let students have confidence and earn their cooperation by let them overcoming fear to be known the their ability to other students.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에서의 무성의 응답에 대한 학생의 자기평가의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강의평가에 학생 자신에 대한 자기평가문항을 포함시켰을 때 무성의한 응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기평가가 강의평가에서의 무성의 응답을 구분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자기평가는 강의평가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학생의 자기평가는 강의평가의 무성의 응답을 낮추는가, 학생의 자기평가는 강의평가의 무성의 응답을 정확하게 구별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가, 학생의 자기평가가 강의평가의 무성의한 응답에 끼치는 영향은 학생의 성별, 재적기간에 따라 상이한가 등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A대학에서 실시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1학기에 실시된 강의평가에서 얻어졌다. A 대학은 2009년에 1학기에 출석율, 예습과 복습, 참여도, 과제와 시험, 예상 학점 등 다섯 가지로 구성된 자기평가를 강의평가에 포함시켰다. 2009년과 그 이전의 연도에 사용된 강의평가는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는 강의평가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평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강의평가에서 무성의 응답을 줄이지는 않았다. 셋째, 자기평가는 강의평가에서 무성의 응답을 더 정확하게 구별하도록 도움을 준다. 넷째, 자기평가를 포함시켜도 학생의 성과 학년은 강의평가에서 무성의 응답 비율에 여전히 영향을 주었다. 이상을 요약하여 자기평가는 강의평가에서 학생의 태도를 변화시켜 무성의한 응답을 줄이지는 못하지만, 무성의한 응답을 정확하게 구별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plore effects of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effort and participation on their ratings of teaching in college courses, and to find how to utilize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to discriminate the insincere from the consistent responses in student ratings of college teach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s, three study questions were derived as followed: Do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affect student rating of teaching? Do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reduce the consistent responses in student ratings of teaching? Can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be used to discriminate the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consistent of student rating of teaching?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the results of student ratings of teaching and their learning from 2007 to 2009 administered in the spring semester at A university. The university included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in 2009, which was consisted of five questions: Attendance, preparation and review, participation, assignments and exams, and expected grade.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tudent ratings of teaching. Secondly, the inclusion of the questions for student ratings of learning didn’t help reduce the consistent responses in student ratings of teaching. Thirdly,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helped discriminate better the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consistent responses. Fourthly, the number of the consistent responses in student ratings of teaching were differed by the students’ sex and years, though the items for student ratings of learning were included. In sum, student ratings of their learning didn’t help change student’s attitude on student ratings of teaching and reduce the ratio of the consistent responses, but were found to be useful to discriminate the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consistent ones.

      • KCI등재

        자기조절자원 고갈과 평가모드가 제품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태엽(Kim, Tae Yeop),이진용(Lee, Jinyong)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3번의 실험을 통해 자기조절자원 고갈 여부가 선한 제품과 악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평가모드(독립평가 혹은 공동평가)와 의사결정과업(선택 혹은 평점과업)에 따라서 어떻게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참가자들을 자기조절자원이 고갈된 집단과 고갈되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고, 독립평가 혹은 공동평가 상황에서 각각 선한 제품과 악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 응답하도록 했다. 실험 1은 평가모드에 따라서 자기조절자원 고갈 여부가 평점과업에서 선한 제품 혹은 악한 제품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독립평가 상황에서 자기조절자원 고갈여부에 따라 선한 제품과 악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기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참가자들은 악한 제품보다 선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지만, 자기조절자원이 고갈된 참가자들은 선한 제품보다 악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자기조절자원 고갈과 선한 제품과 악한 제품에 관련된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와 달리 공동평가 상황에서는 자기조절자원 고갈여부에 관계없이 선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악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보다 높았다. 실험 2는 의사결정과업 유형(즉, 선택, 평점과업)이 참가자들의 제품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공동평가 상황에서 선택(2개 대안 중에서 선택하는 과업)과 평점(2개 대안에 선호도 평점을 제시하는 과업) 2가지 의사결정과업을 사용했다. 기존 연구들은 자기조절자원 고갈 상황에서 선한 제품과 악한 제품 2가지 대안 중에서 선택하는 과업(즉, 공동평가 과업)을 채택하였고 자기조절자원이 고갈되었을 때 악한 제품을 더욱 많이 선택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동평가 상황에서 자기자원 고갈 여부가 악한 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실험 1의 결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차이가 의사결정과업, 즉 선택(기존 연구) 혹은 평점과업(본 연구)의 차이에 의한 것인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2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선택과업에서 자기조절자원이 고갈된 참가자들은 선한 제품보다 악한 제품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평점과업에서 자기조절자원의 고갈된 응답자들이 선한 제품에 대한 선택 비율(평점과업 점수를 이용하여 선택으로 변환한 결과에 따른 비율)이 악한 제품보다 여전히 높았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 평점과업을 바탕으로 선택을 하도록 했을 때 자기조절자원 고갈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기존연구들에 의하면 자기조절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고갈이 되면 효과적인 자기통제를 하지 못하여 쉽게 유혹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공동평가 상황에서 평점과업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택하도록 하였을 때에 자기조절자원 고갈의 효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an evaluation mode (separate evaluation vs. joint evaluation) and a type of decision tasks (rating or choice) moderate the effect of self 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on the preference of vice and virtue products with 3 experiments.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signed either to a depletion or a control condition. They were asked to state their preferences of vice and/or virtue product(s) in the joint evaluation mode or in the separate evaluation mode. Experiment 1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valuation modes on the preference of vice and/or virtue product(s) in rating task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ource depletion. We found that resource depletion affects participant’s preference(s) of vice and/or virtue product(s) under the separate evaluation condition. If participant’s self regulatory resource was not depleted they preferred the virtue product to the vice product. However, if participants’ self regulatory resources were depleted they preferred the vice product to the virtue product.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previous research on resource depletion and the evaluation of vice vs. virtue products. In contrast, in the joint evaluation condition, regardless of self regulatory resource states, participants preferred the virtue product to the vice product. The main goal of Experiment 2 was to examine why our results of Experiment 1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research. We used 2 types of decision tasks of choice (choice between vice and virtue products) and rating (evaluations of both vice and virtue products) under the condition of a joint evaluation mod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used only choice tasks between vice and virtue products in resource depletion, and revealed that people tended to choose vice products when self regulatory resource were depleted (vs. not depleted). However, our results were differed from the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resource depletion did affect evaluation of a vice product in joint evaluations. We tested the effect of decision tasks, especially between choice (previous research) and rating (our research) tasks in order to understand why the different outcomes are produced. Based on 2 Experiment, in the choice task (choice between vice and virtue products), depleted participants chose a vice product over a virtue product but not-depleted participants chose a virtue product over a vice product. In rating tasks (where subjects evaluated both vice and virtue products), participants chose a virtue over a vice product both in depleted and not-depleted conditions (in terms of the percentages based on transformed rating task scores in order to produce choice results). Finally in experiment 3, we found that when choice tasks based on the evaluations of rating tasks could reduced negative effects of self 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The previous research revealed that those who ran out of regulatory resource might easily be tempted by a vice product, when people’s self regulatory resource is limited. However, through two experiments, we found a joint evaluation mode combined with a rating task can weaken depletion effects of preferring a vice product.

      • KCI등재

        자기성장평가모델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인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재철 ( Kim¸ Jae Chul ),최종근 ( Choi¸ Jong Ke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자기성장평가모델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자기성장평가모델은 평가가 교수학습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통합된 것이라는 평가의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등장한 것으로, 그 특징을 학생주도 평가·개별화·즉시적 피드백 평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기성장평가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질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활용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은 각각 D광역시의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실험군 2,561명과 통제군 925명 총 3,486명이었다. 공분산분석을 통해 자기성장평가모델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평가모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인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학업성취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자기성장평가모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척도 중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 대해서, 인성의 하위척도 중 자기존중, 배려·소통, 사회적 책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교육환경에서 평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 학생주도로 행해지는 개별화 평가와 즉시적인 피드백을 중시하는 평가가 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자기성장평가모델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해 NEIS 시스템에 연동하는 등의 행정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과 종단 설계를 활용하여 자기성장평가모델의 중·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lass by using the self-growth evaluation model(SGEM). SGEM, emerged from the process of changing paradigm in which evaluation is inseparable from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summarized as student-led evaluation, individualization, and immediate feedback. This study used heterogenous pre and post design for 3,486 elementary students in the 3rd and the 4th grades enrolled in D city. Results obtained from the ANCOV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GEM had no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but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sonality. Second, the SGE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self-respect, care and communic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personality scale. Su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rection of evalu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setting should be individualized and immediate feedback.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and of longitudinal study to verify long-term effects of the SGEM were suggested.

      • KCI등재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초ㆍ중등학생의 자기평가 연구동향 분석

        장윤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초‧중등학생 자기평가 관련 연구의 동향과 주요 주제를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을 통해 논문명 또는 주제어에 자기평가를 포함하며, 초‧중등 교실 상황에서 자기평가를 적용하였거나 자기평가 적용을 위한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등 학습자 중심 평가의 일환으로 자기평가를 연구한 논문 113편을 분석자료로 선정하고, 이들 논문의 국문초록을 토픽모델링 기법의 하나인 LDA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13편의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주제로 분류되었다. 주제별 출현 확률이 높은 단어와 각 주제로 할당된 연구논문 초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평가의 효과성 검증’, ‘자기평가 결과의 일관성 검증’, ‘자기평가에 대한 질적 이해와 활용 방안 모색’으로 각 주제를 명명하였다. 주제별 분포는 ‘자기평가의 효과성 검증’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 두 주제의 비중은 비슷하였다. 연구 수행시기에 따른 주제 분포의 변화를 비교하면, 자기평가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90년대 후반에는 ‘자기평가 결과의 일관성 검증’의 비중이 높았고, 2000년대 이후 ‘자기평가의 효과성 검증’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최근에는 ‘자기평가에 대한 질적 이해와 활용 방안 모색’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기평가 연구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ends and primary topics in domestic research on self-assessment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topic modeling. A total of 113 papers with title or key words related to self-assessment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Korean abstracts of these papers were analyzed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 discern latent topics. Consequently, the 113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topics. namel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Validation of consistency in self-assessment results’, and ‘Qualitative understanding and exploring applicability of self-assessment’. The distribution of topics revealed that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constituted the largest proportion, while the proportions of the other two topics were similar.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topic distribution over time, in the early stages of self-assessment research, the proportion of ‘Validation of consistency in self-assessment results’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However, as time progressed, the proportion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exhibited a gradual increase, and in more recent times,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understanding and exploring applicability of self-assessment’ was relatively high.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ng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elf-assessment research.

      • KCI등재

        자기평가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박영주(Park Young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The study wa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self-assessments regarding their class performance and report their experience. There were 203 students performing these self-assessmen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ir assessments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teacher. The researcher then sent each student an email with a survey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the self-assessment and analyzed the survey answer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ferential statistics. Of the 203 participants, 41.9% gave themselves the same assessment scores as the teacher, while 26.1% scored themselves higher and 32% scored themselves lower. Even though 58.1% of the students assessed themselves differently than the teacher, 68% of them reported in the survey that they were honest and objective in making their assessments. Students reported that the self-assessment form would be a more valuable tool to predict their grade in the class than the class syllabus breakdown of percentages of the grade represented by tests, projects, participation, etc..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believed their grades would be higher and their attitude in class would be better, were it give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Moreover, many students indicated that self-assessments would be useful for performance assessm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supports self-evaluation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teachers wanting to understand the comm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when making self-assessments. 본 연구는 자기평가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하여 203명의 대학생들이 자기평가지를 활용하여 자신을 평가하고 설문에 응답하였 으며, 설문결과는 기술통계와 추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평가와 교수평가의 비교에서 41.9%의 학생들이 교 수평가와 동일하게 자신을 평가를 하였으며, 26.1%의 학생들은 교수평가보다 낮게, 32%의 학생들이 교수평가보다 높게 자신을 평가하였다. 또한 설문에 응답한 68%의 학생들은 자기평가 시 솔직하고 진실한 자세로 평가에 임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자기평가 후 학생들은 강의계획서보다 명확한 측정기준을 포함하는 자기평가지 가 자신의 성적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대다수의 학생들 은 이러한 자기평가지를 학기 초에 받는다면 성적향상과 수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행평가의 평가 방법으로 자기평가 방 법을 적용하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에서 요구되어지는 자기평가를 실시하는데 있 어 자기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자기평가 시 보완해야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는데 그 의의를 둔다.

      • KCI등재

        교사전문성을 위한 자기평가 준거 개발 연구

        김지선,김혁동,이원재,이동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질적인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사의 자기평가 준거를 탐색 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원평가와 관련된 문헌연구와 FGI 면담에 참여한 교육주 체들의 의견을 토대로 6개 영역의 자기평가요소를 추출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최종 선정된 자기평가 문항에 대해 초등교사 1438명, 중등교사 1727명을 대상으로 하여 탐색적 요 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초등교사 자기 평가 영역은 5개 영역(교육자적 인성, 수업전문성, 학급운영 및 생활지도, 학교경영참여, 자기 연찬)의 5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중등교사의 자기평가 영역은 6개 영역(수업전문성, 학교경영 참여, 교수역량 강화, 학급관리, 교육자적 인성, 학생생활지도)의 51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자기평가의 구성요인과 문항들은 교사 스스로의 전문성을 점검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교사평가와는 달리 교육현장에서 교사들 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장에 적합한 교사평가의 방법이 도입되기 위해 표준화된 정량평가를 보완하여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스스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 인 자기평가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 자기평가는 교사들의 전문 성이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으로 긴밀히 연결될 수 있는 지원체제로 변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evelop the criteria of teacher self-evaluation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ix areas of teachers’ self-evaluation componen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ert group discussions with educators, and took preliminary survey. Then, teachers’ self-evaluation components were developed through the main survey both of 1438 primary teachers and 1727 secondary teachers.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ensur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is. Finally, the self-assessment areas of primary teachers appeared in five regions with 50 questions (educational personal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lassroom management, participation of school management, self-development effort); the self-assessment areas of secondary teachers appeared in six regions with 51 questions (educational personality, pedagogical knowledge, classroom management, participation of school management, professional capacity, counseling and guidanc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an monitor and reflect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self teacher’s assessment criteria tool in different educational settings. Second, various methods(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f teacher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to measur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cluding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teacher evaluation. Third, teacher evaluation should be used as a mechanism for the growing opportuniti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achievement as well.

      • KCI등재

        해부학실습에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와 해부학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감비성(Bee Sung Kam),김민정(Min Jeong Kim),주성일(Seung Il Joo),윤소정(So Jung Yune),임선주(Sun Ju Im),이상엽(Sang Yeoup Lee),윤식(Sik Yoon),백선용(Sun Yong Bae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1

        해부학실습과정은 소그룹 단위로 실습이 진행되면서 팀워크 조성, 성실성, 능동적 학습, 의사소통으로 효율적인 협동학습을 필요로 하며, 이는 전문직업성의 주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실습 과정에서의 전문직업성을 동료와 본인이 평가하여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5년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 학생의 ‘인체의 구조와 기능’ 과정에서 해부학실습에 참여한 108명의 학생들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중앙값을 중심으로 상하로 나누어 높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높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낮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낮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에 따른 4개 집단 중에서 높은 동료평가 집단이 낮은 동료평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중에서 과정시험 (F=3.24), 학점 (F=3.54), 예습시험 (F=3.94), 실기시험 (F=3.60) 성적에서 다른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를 구성하는 성적변인 사이에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그러나 성적변인 중에서 실습시험 성적은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집단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실습시험과 다른 변인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높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집단이었으며, 이어서 낮은 동료평가/ 낮은 자기평가 집단, 낮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집단이었으며 높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상대적 차이에 따른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여 이러한 분류체계가 전문직업성의 작업습관에 대한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며, 동료평가와 자기평가가 모두 높은 집단의 경우는 맥락적 학습에 보다 잘 적응하는 집단으로 생각되었다. Gross anatomy, with cadaver laboratory dissection, is in a unique position to preside over a rich number of activities such as the team work, integrity, active learning, communication in the small group-all aspects of professional condu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rofessionalism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of students in the performance variables. First-year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udents (n=108) from the Class of 2015 taking the gross anatomy course were required to do the self- and peer assessment about the professional behaviors of each of the six members of their dissecting group.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four subgroups based on their deviation from the self- and peer assessment medians, such as high peer/high self (HP/HS), high peer/low self (HP/LS), low peer/high self (LP/HS), low peer/low self (LP/LS). There were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high peer groups (HP/HS, HP/LS) in comparison with low peer groups (LP/HS, LP/L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nd-of-term (F=3.24), credit (F=3.54), pre-Lab (F=3.94), practical examination (F=3.60) score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performance variables were observed gener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in the practical examination and other variables. Th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practical examination and other variables is HP/HS, followed by LP/LS, LP/HS and then HP/LS. In conclusion, peer- and self assessment sub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This assignment would be available to evaluate work habits of professionalism in the gross anatomy laboratory. It is suggested that HP/HS group was more adaptable in the contextual leaning the gross anatomy course.

      • KCI등재

        아동의 운동 자기도식, 능력 믿음, 인지평가와 운동수행의 구조적관계

        김인수(Kim In-So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아동의 운동 자기도식과 능력믿음, 인지평가 및 운동수행과 서로 어떤 구조적 관계에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G 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14개 초등학교 5∼6학년 731명(남: 370, 여:361)을 편의표집법으로 선정하여 운동 자기도식척도, 능력믿음, 인지평가 및 운동수행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상관분석 및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운동자기도식과 능력믿음의 증가믿음, 인지평가의 도전평가와 운동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자기도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변인을 비교한 결과 운동 자기도식이 높은 집단일수록 증가믿음, 도전평가와 운동수행은 높게 나타났지만 인지평가의 위협평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 자기도식, 증가믿음, 도전평가는 운동수행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협평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델의 전반적 지수는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적 지수에서 유의한 구조경로는 운동 자기도식 → 증가믿음, 운동 자기도식 → 도전평가, 운동 자기도식 → 운동수행, 증가믿음 → 운동수행, 도전평가→ 운동수행, 증가믿음→도전평가, 위협평가 → 운동수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아동의 운동수행 모델 중 운동 자기도식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능력믿음과 인지평가,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은 구조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동 자기도식은 운동수행에 직, 간적적인 인과관계를 가지며 능력믿음과 인지평가는 운동 자기도식을 매개하여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casual relation among exercise self-schema, implicit beliefs, cognitive appraisal and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Methods: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exercise self-schema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implicit beliefs, cognitive appraisal, and performance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731 children(boys: 370, girls: 361) who were more 5th grade in G city and J province. This study used exercise self-schema, implicit beliefs scale, cognitive appraisal scale and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scale. This study used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I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schema, increasement beliefs, challenge and threat appraisal, and performance.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self-schema ⟶ increasement beliefs, → challenge appraisal, and → performance self-efficacy, increasement → performance, challenge and threat appraisal → performance. Conclusion: In this study define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schema, increasement beliefs, cognitive appraisal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increasement beliefs and challenge appraisal had positive effect(+) to the performance but threat appraisal had negative(-) effect to the performance mediator between self-schema and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