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김승영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6

        This thesis deals with achievements of Horak Debate and predicts the future of the task. Aggressively, it can be summed up in three key issues for Horak Debate. First, ‘Debate on Human Nature’, whether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essential of human mind. Second, ‘Debate on Mibalsimchesunseonron’, whether human has good and evil at the same time. Lastly, ‘Seongbeomshimdongie’, what is the essential difference in the minds of saint and commoner. Analyzing on the issue of ‘Inmulseongdongie’, it is meaningful that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has been set as a major theme. In depth analysis of human nature leads to study achievement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rgument type as studying with ‘benxin’ and ‘temper’, ‘individual’ and ‘others’. The study of good and evil defines it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lief of pure sorority and the belief of pan-moralism. These studies have found what theoretical association is related with the system of Mibal. Based on overall existing studies, Horak Debate has been accumulated to study a lot since 2000. It disproves that not only increasing the quantities of study, but also improving the qualities of it. Many researchers develop their own logic to get to the core of argument and detail oriented. While the previous majority study had comprehensive views of argument, the following study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expanded to the details. Besides these expectations, there is issue of originality or identity that an essential exploration of argumentation. 이 글은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를 조명하고 앞으로 과제를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호락논변의 핵심적인 쟁점을 거칠게 말해서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는데, 첫째로 인간의 본성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라는 ‘인물성동이논변’, 인간 마음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 곧 사람의 마음에 선과 악이 동시에 있는가를 따지는 ‘미발심체유선악논변’, 그리고 성인과 범인의 마음에 있어서 본질적 차이가 무엇인가라는 ‘성범심동이논변’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 문제에 관한 연구를 분석해보면, 인간본성에 대한 탐구를 논변의 주요 주제로 설정하여 탐색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인간의 본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본심’과 ‘기질’, ‘개인’과 ‘타자’ 등으로 대비시켜 연구한 것이 논변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미발시 선악의 문제에 관한 연구는 순수도덕주의의 신념과 법도덕주의 신념의 차이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발논변의 체계와 이론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밝혔다고 볼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호락논변에 대한 연구가 2000년 이후에 많이 축적되어가고 있다. 그만큼 연구의 양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의 질도 향상되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논변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 나름의 논리를 계발하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있어서도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논변의 포괄적인 조망이 다수였다면, 앞으로 연구는 논변의 쟁점에 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확대되어 정밀한 연구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호락논변(湖洛論辨)에서의 인간본성(人間本性) 논의에 관한 고찰(考察)

        洪正根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8 No.-

        호락논변은 ‘人物性同異論爭’, ‘聖凡心同異論爭’, ‘未發心體有善惡論爭’을 포함한 다양한 소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호락논변에 스며있는 인간의 본성문제를 개인의 본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한원진과 이간의 인물성 논쟁은 조선의 많은 학자들이 참여하는 거대한 학술 논변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시대에 발생한 호론과 낙론 사이의 인물성동이 논쟁은, 한국 주자학에서의 본성 논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원진의 性三層說을 개인의 본성 측면에서 분석하여 재구성 하면, 그의 학설에 나타난 개인은 두 측면의 본성을 동시적으로 가지고 있는 존재였다. 한원진의 성론에서, 개인이 갖추고 있는 因氣質의 본성은 正通한 기질을 타고난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있는 것으로, 偏塞한 기질을 타고난 다른 존재들은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그의 학설에서 개인은 또한 인의예지의 본성 외에 超形氣의 리(태극)로서의 본성 또한 동시적으로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초형기의 본성은 논리적으로 상정된 본성으로서 인의예지의 본성이 아니다. 이 초형기의 성 단계에서는 모든 존재자들의 본성이 상호 같다고 할 수 있다. 이간 또한 한원진과 마찬가지로 각 개인이 인의예지의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개인의 본성은 인의예지의 본성 하나 밖에 없다고 보았다. 그는 인의예지의 본성이 곧 초형기의 본성이고, 초형기의 본성이 곧 인의예지의 본성이기 때문에, 두 성을 구분지어 나누어 보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외형적으로는 이간과 한원진은 동일하게 각 개인이 인의예지의 본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이간이 말하는 인의예지의 본성과 한원진이 말하는 인의예지의 본성은 다르다. 이간의 학설에서 나타난 개인이 갖추고 있는 인의예지의 본성은 형기를 초월한 人物同의 본성이지만, 한원진의 학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개인이 갖추고 있는 인의예지의 본성은 형기를 초월하지 않은 人人同 · 人物異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한원진과 이간 이후의 호론과 낙론학자들의 본성론은, 대체로 이 두 사람의 본성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동아시아 다른 나라의 주자학에서는, 한국의 호락논변에서와 같은 개인의 본성적 측면에서의 논의를 분석해 내기가 어렵다. 한국의 호락논변은 주자학이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었던 거대한 학술논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朝鮮是以朱子學爲中心的國家。這其中,湖洛論辨是在朝鮮朱子學精密硏究及其發展過程中産生的一場學術論辨。這場論爭始於南塘韓元震(1682~1751)和巍巖李柬(1677~1727)之間,後來擴展向全國學術界。不僅如此,這場論辨還一直持續了200余年,而且在論辨的主題也是朝鮮性理學的主要論点。 湖洛論辨的主題有很多個,其中大主題主要包括人物性同異論爭、聖凡心同異論爭以及未發心體有善惡論爭等。本論文將集中考察人物性同異論爭,幷在此基礎上分析湖洛論辨中個人本性的問題。 湖論的代表學者是韓元震,他認爲人的本性由三層結構組成,分別是人與人同而人與物異的因氣質之性、人與物相同的超形氣之性以及人人異、犬犬異、牛牛異的雜氣質之性。幷將前二者歸類爲本然之性,而後者爲氣質之性。因氣質之性與超形氣之性雖然都是本然之性,但前者是屬於仁義禮智的實事之性,而後者則是將太極和理上升爲本然之性的層次。 洛論學者李柬從一原和異體的觀點上來探討本然之性和氣質之性。他認爲,本然之性應該從一原的觀點上,而異體之性應該從異體的觀點上討論才是正確的。他認爲,本然之性是超形氣階段上的人物相同的性,而氣質之性是各個存在因爲氣質的差異而出現的人物異、人人異、犬犬異、牛牛異的性。他認爲,韓元震所說得因氣質之性和雜氣質之性都是氣質之性。 因爲對本然之性和氣質之性的迥然不同的規定,所以二人無法實現觀點上的合一。自從二人展開論爭以後,朝鮮越來越多的學者參與其中,使之發展成爲一場巨大的學術論辨。尹鳳九 、李顯益、蔡之洪 、宋能相、魏伯圭等學者支持韓元震的主張,從而展開了各自的觀點。金昌翕、魚有鳳、李宰、吳熙常、樸弼周 、金元行、洪直弼等其他學者則支持李柬的同論主張。雖然他們對人物性同異的見解、邏輯的展開方式等存在若幹的差異,但其實他們的人物性論差異卻幷不是很大。 “孟子認爲本然之性是善的”可以用“孟子認爲本性是善的”來置換。換言之,本然之性可以用本性來解釋。從這個觀點來看,朝鮮時代湖論和洛論之間本然之性的論爭可以認爲是朱子學中本性的論爭。 如果從個人的本性方面來分析韓元震的性三層說幷進行再構成,那么可以認爲他的學說中的個人同時具有兩個層面的本性。人所具有的因氣質的本然之性是只有稟受正通之氣而生的人才具有的,稟受偏塞氣質的其他存在是不具有的。 韓元震學說中的個人除了具有仁義禮智的本性外,還同時具有作爲超形氣之理(太極)的本性。超形氣之性雖然從邏輯上可以上升到本性的層次,但它幷不是仁義禮智的本性。在超形氣的階段,所有存在的本性都是相同的。每個人的本性因爲其所具有的異體階段上氣質的差異而不同。韓元震認爲這時的性是氣質之性。 与韓元震一樣,李柬也主張每个人都具有仁義禮智的善的本性。但是他認爲個人的本性除了仁義禮智的本性之外沒有其他的。他指出,仁義禮智的本性就是超形气的本性,超形气的本性就是仁義禮智,因此不能將二者分開而區別對待。 因此,從表面來看,李柬和韓元震都毫無例外的認爲人具有仁義禮智的本性。但是,從內在來看,李柬所說的仁義禮智的本性与韓元震所說的是有差異的。李柬學說中個人所具有的仁義禮智的本性是超形氣的人物相同的本性,然而韓元震學說中的本性則是因氣質(非超形气)階段的、人人同而人物异的本性。 李柬和韓元震以后湖論和洛論的本性論基本上沒有脫离二者的本性論。而東亞其他國家的朱子學中則很難提取幷分析出像韓國湖洛論辨中出現的個人本性的層面這個問題。由此可見,韓國的湖洛論辨說明了朱子學中蘊含著朝向新層次發展的可能性,是一場巨大的學術論爭。

      • KCI등재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 교섭의 가능성

        이종수(Lee Jong-su)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18세기 西人을 중심으로 전개된 人物性同異論爭은 성리학을 한층 심화시킨 철학논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런데 17세기 말에 이미 太極論辨이 있었다. 태극론은 朱子가 理一分殊에서 統體一太極과 各具一太極의 개념을 도출해 낸 것으로서 性의 본체론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태극논변은 인물성동이논쟁을 예비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태극논변의 주역은 박세채와 권상유, 그리고 조성기와 김창흡이었다. 권상유는 인물성이론의 대표적 학자였던 권상하의 동생으로서 그의 태극론은 인물성이론의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고, 김창흡은 김창협의 동생으로서 인물성동론을 이끌었던 인물이므로 그의 태극론은 인물성동론의 근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7세기 말에 佛家에서는 心性論爭이 있었다. 그 내용이 雲峰大智에 의해 간행된 『心性論』에 남아 있는데, 논쟁의 주된 쟁점은 一性說과 多性說이었다. 일성설은 ‘중생의 法身이 전체적으로 하나이다(人人法身摠爲一者)’라는 주장이고, 다성설은 ‘중생 저마다 완전한 법신을 가지고 있다(人人法身各各圓滿)’고 하는 주장이다. 佛家의 두 논쟁은 儒家의 태극논변과 매우 흡사한 논리를 가지고 있다. 가령 유가의 各具太極은 불가의 人人法身各各圓滿과 상응하고, 統體太極은 人人法身摠爲一者와 대응하고 있다. 各具太極과 各各圓滿은 人物의 개별성을 강조한 것이고, 統體太極과 摠爲一者는 人物의 전체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유불간의 논리가 유사함에 따라 양자 사이에 어떤 사상적 교섭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작성되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佛家의 심성론은 洛學의 인물성동론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김창흡의 태극론과 불교의 심성론이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김창흡은 불교에도 매우 조예가 깊었고 평생 승려들과 交遊하였던 인물이다. 당시 유학자들이 사찰에서 독서하면서 승려들과 교유하는 것은 다반사였지만, 특히 洛學의 성리학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7세기 말 儒家와 佛家의 本性論은 儒佛交涉의 산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18th century, an academic argument arose concerning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人物性同異論爭) among members of the Seo-in (西人) Faction. This argument has been judged to be the reason fo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But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other argument about taekeuk (太極 the source of the dual principle of yin and yang). Chu Shi had derived ideas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 (統體太極)' and 'each things contain their own taekeuk (各具太極)' from the theory of the one principle and its diversity. The theory of taekeuk consists of the ideas, and it is the ontology of the mi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gard the argument about taekeuk as the beginning of the argument abou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which was led by Park Se-chae, Kwon Sang-yu, Jo Seong-gi, and Kim Chang-heup. Kwon Sang-yu is a younger brother of Kwon Sang-ha,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Thus his theory of taekeuk was likely to be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On the other hand, Kim Chang-heup is a younger brother of Kim Chang-hyeop,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So it is possible to see his theory of taekeuk a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 argument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mind (心性)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A Buddhist monk named Woonbong Daeji published a book titled “shimseongnon (心性論 a thesis on the nature of the mind)”. This book tells us that the argument was mainly about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一性論) and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多性論). The form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dharma-kāya (法身 the body of dharma), but that it only achieves completion and perfection when all minds are united(人人法身摠爲一者). The latt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an autonomous mind and all beings are complete and contain perfect dharma-kāya (人人法身各各圓滿). This argument is logically similar with the argument abou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e Confucian idea of 'each thing contains its own taekeuk' matches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while the idea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 matches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in logic. The former match emphasizes the haecceity of all beings, and the latter match emphasizes the holistic feature of all beings. When one consider this logical similarity, it is possible to draw a possibility of ideological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uddhism is based on the idea that all beings posses their own nature of Buddha. Thus the Buddhist theory of the nature of the mind matches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of the Nak school (洛學) and is similar to Kim Chang-heup's theory of taekeuk. He had a profound knowledge of Buddhism and associated with Buddhists throughout his life. It was very common that a Confucian studying at Buddhist temple and associating with Buddhists at the time, especially Confucians from the Nak school.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above, the theories of the original nature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likely to be derived from the ideological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고찰: 본성과 세계관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제성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4

        본 논문은 간재 전우의 본성과 세계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물성동론을 검토하였다. 왜 세계관에 주목하는가? 우선 그것은 인물성동이논변의 성격에 관련되며, 다시 이것은 성리학적 세계관이 위기에 봉착해 있던 당대의 상황과 공명하며 전우가 인물성동론에 주목할 이유를 새삼 환기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면들을 조망하기 위해서 기독교 선교사인 에른스트 파버의 태극 비판에 대한 전우의 반론, 화양서원 묘정비에 삽입되어 논란을 일으킨 송시열의 언급에 대한 전우의 논평, 수암 권상하의 인물성이론에 대한 전우의 반박, 그리고 조선 말기에 인물성동론과 이론의 지양을 표방한 기정진의 인물성론에 대한 전우의 비판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런 몇 가지 측면들은 각각 근대화와 서구 문명의 침투에 대한 대응, 전통의 성리학 담론에 대한 해석의 우위 고수, 그리고 당대에 새롭게 주어진 이론적 대결에 대한 응전이라는 의미 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러 측면에 대해 간재가 대응한 방식은 실질적으로는 낙학계 전통의 인물성동론에 대한 반복과 강조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몇 가지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성리학적 세계관과 본성의 관련이라는 중요한 문제에 연관된 인물성동이론의 토대에 대한 이해를 환기할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Jeon Wu’s Claim t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world view. Why do we pay attention to ‘world view’? First of all, the issues of the debate of sameness or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animal nature are closely related to the world view, further, this feature of the debate resonated with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Neo-Confucian world view was in crisis. As a result, Jeon Wu becam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claim t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To illuminate these aspects,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three materials: Jeon Woo's refutation of Ernst Faber's criticism of the Great Ultimate(太極), Jeon Woo's refutation of Gwon Sangha’s claim that 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different, Jeon Woo's refutation of Ki Jungjin’s theory of human and animal nature. Each of these aspects shows a response to modernization and the penetr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dherence to the superiority of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Neo-Confucian discourse, and a response to a new theoretical confrontation given to the time. The way Jeon Wu responded to these aspects can be summed up as a repetition and emphasis on the theory of the Nak school(洛學) tradition to which he belongs. Nevertheless, by looking at these aspects comprehensively, we can evok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the theory of human and animal nature, which is attributed to a fundamental matter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eo-Confucian world view and nature.

      • KCI등재

        한국철학 : 조선말 성리학자의 성리학적 개념에 대한 인식 -송래희의 『성리논변』1,2권을 중심으로-

        정성희 ( Jeong Seong Hui ) 동양철학연구회 2003 東洋哲學硏究 Vol.35 No.-

        Confucianism of the last period of Chosun was progressed towards two trends. One is disputes about the concepts of confucianism according to factional view point. The other is the tendency of practical science(實學) to search realistic solusion overcoming social conflict and political confusion. But despite of long-year dispute the concepts of confucianism were not defined. Despite of establishing theory of Bon-Che(本體論) based on the theory of Li-Ki(理氣論) problems still exist about how we could explain Bul-Sang-Ri(不相離) Bul-Sang-Jab(不相雜), and which the first is between Li(理) and Ki(氣). Theory of In-Seong(人性論) is based on the theory of Seong-Jeong(性情論), but the concept of Seong(性) is divided into Bon-Yeon-Chi-Seong(本然之性) and Ki-Jil-Chi-Seong(氣質之性), according to this a question arises whether the concept of Seong(性) is limited to humanbeing or reached to object.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authority of concepts and adjust th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are what Seong(性) is in the theory of In-Mul-Seong Dong-I(人物性同異論), and whether Seong(性) and Li(理)have mutuality in the theory of Seong-Chuk-Li(性卽理). Seong-Li-Non-Byun(性理論辨) is a very useful work published by Lai-Hui Song(宋來熙) in the last period of Chosun. Lai-Hui Song intended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concepts, and to adjust concepts of confucianism of Chosun by compiling diverse articles and studies. Therefore the study on Seong-Li-Non-Byun(性理論辨) is useful to reform confusion between concepts on the theory of Sa-Dan Chil-Jeong(四端七情論) and the theory of In-Mul-Seong Dong-I(人物性同異論).

      • KCI등재

        남당 성삼층설의 논리체계와 근대적 인문정신

        김현우 ( Kim Hyon-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남당 한원진(1682~1751)은 율곡 이이와 우암 송시열의 학풍을 이어 `尊周大義`를 표명한 조선후기의 보수적인 성리학자로, 性三層說ㆍ人物性異論 등을 제안하여 湖洛論辨을 촉발시켰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性三層說을 중심으로 그의 학설을 당위와 존재의 입장에서 재검토하고, 그가 本然之性을 통해 人과 物을 구분했다는 점에서 이 설을 인문주의적 학설로 해석하고자 한다. 그의 학설은 단순히 도덕심성론의 차원에서 주자를 중심으로 한 성리학의 논리를 엄밀히 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만은 아니다. 기존과 다른 논리는 반드시 기존 체계의 모순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즉 성삼층설은 당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동아시아 패권국으로서 청의 등장, 서학의 유행, 그리고 조선 후기 평민계층의 등장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그의 학설은 당시 시대 모순을 주자학적 체계를 확장시켜 수용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이라고 평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학설을 단순히 주자학적 체계로의 확장으로만 볼 수는 없다. 성삼층설 등 人物의 구분적 사고는 자기수양(Self-Cultivation)에서 도덕주체성(Moral Identity)으로 향하는 자생적 근대의 한 통로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는 실천을 강조한 다산의성기호설을 거쳐, 박은식의 도덕적 개인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철학적 전환의 출발인 것이다. Namdang Han Won Jin, who is known to succeed to the academic traditions of Lee Yi(李珥) and Song Si Yeol(宋時烈), and is a conservative to argue the Legitimacy of Ju(尊周大義), led to Horak dispute to releasing the theory of Seong-Samcheung(性三層說). In this paper, I study his theories with his Seong-Samcheung theory as the center and represent his theory as modern humanities him to divide the nature of originality(本然之性) by human and things of especially animal. His theory is just not something that strengthened the logical argument of Zhuzi school (朱子學). Because there were some premises to strengthen its logic. That is, the theories of Namdang reflected changes of society in that time, arising Qing as an Imperialist in East Asis, trand of Western studies, and growth of the popular party in this paper. Therefore, his theories is not just recover Zhuzi school as the ruling system of Joseon. His theory of Seong-Samcheung provided the way the society to go to modern humanities just to stress moral mind. So Namdang`s theory of humanities is the key philosophical change which is connected to Jeogn Yak Yong`s theory on human nature and expanded to individualism with the moral self-awareness in Korea modern tim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