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치중화(致中和) -기질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신순정 ( Soon-jeong Sh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이기(理氣)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정립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통해 심(心)·성 (性)·정(情)·의(意)의 관계를 연속선상에서 요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율곡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상적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변통의 묘리를 발휘하여 현실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율곡사상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그가 중국 정주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본질 적으로는 『중용』과 『주역』의 시중(時中)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율곡은 때(時)의 적의성이라는 점에서 시중의 중용의 의미를 중시함과 더불어 ‘치중화(致中和)’를 실천론적 이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 논문은 송대 성리학의 연장선상 위에 선 율곡이 어떠한 인식[앎]의 지평에서 현실성[때]을 담보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질변화의 교육적 태도를 통해 도덕교육방법론의 현대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Yin-Xim-Do-Xim-Shou(人心道心說), he creatively reveal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continually. On one side he suggested the way of ideal man, on the other side he was showed adaptablity to the real world. So I think Yulgok had placed emphasis on the Zhongyong(中庸) and Yijing(周易), so he point out the meaning of ShiZhong (時中). Then he had high ideals practical Zhi-Zhonghe((致中和). So This paper is to find out his foundation of epistemology, and then to know It‘s modern meaning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s Implication on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So We ca find out Ji(機) is very important the transition of Qi-Zhe(氣質).

      • KCI등재

        율곡의 ‘理氣之妙’가 성선론의 새로운 전개에서 갖는 의의

        김기현(金起賢) 한국양명학회 2004 陽明學 Vol.- No.11

        율곡 성리학의 연구에서 ‘이기지묘’가 중요하게 다루어진 것은 대체로 1980년대를 거치면서부터이다. 그 이전의 율곡 성리학 연구에서는 전통의 성리학계에서나 현대의 학계에서나 이기지묘가 특별히 주목받은 예가 거의 없다. 근년의 연구에서는 갈수록 이기지묘가 율곡 성리학의 연구에서 핵심 논제의 하나로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것이 하나의 추세로 굳혀져 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율곡이 말하는 ‘이기지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서는 심지어 성리학 전공자들조차도 난처해하는 면이 있다. 이에 우리는 이 논문에서 이기지묘의 철학적 함의와 율곡의 이기지묘가 성리학의 전개상에서 갖는 의의를 집중적으로 논구해 보고자 한다. 몇몇 선구적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듯이, 이기지묘는 율곡 성리학에 서 다양한 의미를 함축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기지묘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를 소극적 의미와 적극적 의미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이기지묘의 소극적 의미란 이와 기의 관계에 관하여 성리학계의 모든 성리학자들에게 공통된 이해를 가리키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와 기의 ‘不相離ㆍ不相雜’을 가리키고, 율곡이 주로 말하는 방식으로는 이와 기의 ‘-而二, 二而一’의 관계를 말한다. 이기지지묘의 적극적 의미란 성리학의 여러 체계 가운데 오직 율곡 성리학에서만 확보되는 의미이다. 우리가 말하는 이기지묘의 적극적 의미는 소극적 의미 규정으로는 이와 기의 관계에 대한 의미 규저에 있어 불명료하거나 엄정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엄격한 의미 규정을 가르킨다. 그 핵심은 우주의 어떠한 존재, 어떠한 운행도 이기지묘의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데에 있다. 율곡 성리학의 '이기지묘'는 송대 이후로 전개된 성선론의 새로운 전개상에서 주요한 의의를 갖는다. 맹자의 성선론을 기준으로 말할 때, 송대 이전의 성선론은 非性善論 계열과의 경쟁 구도 위에 전개되었다. 이 구도가 송대에 이르자 크게 바뀌어 맹자의 성선론이 독주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그러나 이것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철학적 관심 및 설명력에 있어서 송대 이전의 성선론이 不善에 대하여 대체로 외면, 또는 배제하는 태도를 취했다면, 송대 이후에 대두된 성리학은 분선(악)에 대하여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兩性論 구조의 인성론 전통이 주자에 의해 單性論 구조에 전환되었던 것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율곡의 이기지묘는 이렇게 성선혼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노정된 성리학설의 미비점 또는 문제점을 보완 하거나 해결해 준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무용의 심미 확장을 위한 이기지묘(理氣之妙) 연구

        이지설,이돈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lief that incorporating physical educa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can offer students a positive socialization experience. It also seeks to analyze dance within the context of Yulgok's Yi-Gi-Ji-Myo (理氣之妙) to demonstrate that dance embodies not only emotional beauty but also the aesthetic of sexual virtue. In this context, drawing inspiration from Yulgok's perspective on learning, this study asserts that an academic discipline that reconciles ideals with reality has the potential to bring about transformative change in the world. It employs the example of integrated sports to illustrate how education can be united with benevolent intentions to create a sense of beauty. This approach aligns with Yulgok's viewpoint. Furthermore, this study delves int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concepts. It examines the moral aesthetics of dance, an expressive activity within the realm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rituals and music. Consequently, it is revealed that the beauty of togetherness can be actualized when human consciousness is grounded in rationality during the process of harnessing energy and gaining popularity.

      • KCI등재

        연구논문 : 율곡의 심신 수양론과 체육철학적 함의

        김부찬 ( Boo Cha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6 No.-

        율곡 이이(栗谷李珥)는 퇴계 이황(退溪李滉)과 더불어 조선 성리학을 정초한 인물로서 그의 사상은 이기지묘(理氣之妙), 기발이승(氣發理乘), 이통기국(理通氣局) 등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본고는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율곡의 심신관과 심신수양론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육학의 한 분야이자 응용철학의 하나로서 체육철학은 근래 한국체육학계에 있어서 중요한 학문분야로 정립되어가고 있지만 그 주된 이론체계는 서양철학의 이론에 바탕하고 있다. 특히 서양 근대철학의 인간론 및 심신관은 우리의 전통적인 사유와 단절되어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체육철학의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유교 및 불교의 인간관과 심신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그런데 엄밀한 의미에서 율곡의 학문적 관심은 체육학의 대상인 신체와 신체활동과는 동떨어져 있다. 율곡은 한평생 내성외왕(內聖外王)을 목표로 하여 성리학적 이론을 정립하고, 또 경세의 실천을 겸했던 유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심신관과 심신수양론 속에는 몸과 몸의 움직임을 통해 완전한 인간이 되고자 하는 철학적 성찰이 담겨있으며, 이는 신체의 활동과 인간됨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체육철학의 관점과 연관되어져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에서는 율곡의 저서 가운데 『성학집요(聖學輯要)』와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심신관과 수양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어 이것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특히 수기치인(修己治人) 가운데 수기(修己)에 해당하는 성의(誠意)ㆍ정심(正心)ㆍ수신(修身)에 대한 율곡의 해석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율곡이 제시한 성실(誠實)ㆍ교기질(矯氣質)ㆍ양기(養氣)ㆍ검신(檢身) 등에 주목하여 그의 심신관과 수양론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율곡의 심신관 수양론이 지닌 함의와 현대체육철학에 있어서 율곡의 심신수양론이 지닌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Yulgok-Yi I, a Confucian scholar, developing Chosun Neo-Confucianism with Toegye-Yi Hwang, was well-known for his thought, Yigijimyo(理氣之妙), Gibaliseung(氣發理昇), and Yitonggiguk(理通氣局),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Yulgok’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in the angl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he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an applied philosophy,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the world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but the main theory is based on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ory. Especially, the viewpoint of human and mind and body of Western modern philosophy is broken off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 So the study on the viewpoint of human and mind and body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is requested to set up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fitting to Korean. In a strict sense, the interest of Yulgok’s study is far away from body and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Yulgok had established Neo-Confucianism to achieve Neseong-Oewang(內聖外王) in his whole life and practiced governing philosophy. Nevertheless there are philosophical introspection to be a perfect human being through the body and its activity in hi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It i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aking a serious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mpletion of humanity. Having those critical mind,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hi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based on his writings, 『Seonghakjibyo』(『聖學輯要』),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nd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I paid attention to his some concepts, sincerity(誠意), right mind(正心), moral training(修身), cultivating Gi(養氣), body examination(檢身), etc. I studied the implication of Yulgok’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from the angl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his thought from the modern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이기일물론”과 “이기지묘설”-정암(整庵)과 율곡(栗谷)의 이기론 비교

        홍군 ( Jun Ho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1 No.-

        여말선초로 부터 수입되기 시작한 주자학은 이황 이이등 학자들의 창조성적인 전환(轉換)으로 한국에서 새로운 발전과 생명을 얻게 되였다. 특히 조선조 성리학은 논리적 정밀성(精微性)과 성정(性情)논의 심각성(深刻性)으로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주자학의 계승자(朱學後勁)’로 불리우는 정암(整庵)은 명나라 주자학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의 사상은 한국과 일본에 전해진 후 비교적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의 유학자 이황, 기대승, 한원진, 이현익,이항로등 학자들은 모두 글을 지어 그의 학설에 대하여 비판을 진행하였다. 이에 반해 율곡은 정암을 동시대의 유학자 이황 서경덕과 비교하여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그의 학설을 중시하였음 을 볼 때, 정암의 이기설이 율곡의 이기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준 주요이론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정암의 ‘이기일물론’과 율곡의 ‘이기지묘설’의 비교를 통하여 16세기 중한 양국에서의 주자학의 부동한 발전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In the Late period of Koryo and the Early period of Korean Dynasty, Zhu Zi`s philosophy was introduced into Korea. Because of the creative inheritance of Yi Hwang, Yi-l and other scholars, Zhu Zi`s phiolosophy was widely spread and aroused new vitality. Korean Neo-Confucianism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the East Asian Confucianism history for the characteristics of logical elaboration and theoretic profoundity . Zheng An is the representative scholar of Zhu Zi`s philoshophy in Ming Dynasty. His thoughts seemed to have great impact in Korea and Japan. Yi Hwang , Ki Dae-seung , Han Wonjin , Yi Hyeonik, Yihangro and other Korean Confucian scholars all wrote essays to evaluate Zheng An`s theory . Yulgok made a positive evaluation on Zheng An`s thought through the comparision with the theories of Zheng An and Yi Hwang . From Yulgok`s appreciation, it seems clear that Zheng An`s Li Qi theory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Yulgok`s Li Qi theory. Moreover, through the comparision between the Li Qi theory of the two, we can make out the different development paths of Zhuzi`s philosophy in China and Korea.

      • KCI등재후보

        ‘이기일물론’과 ‘이기지묘설’ ― 정암(整庵)과 율곡(栗谷)의 이기론 비교

        홍군(洪军) (사)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1 No.-

        In the Late period of Koryo and the Early period of Korean Dynasty, Zhu Zi's philosophy was introduced into Korea. Because of the creative inheritance of Yi Hwang, Yi-l and other scholars, Zhu Zi's phiolosophy was widely spread and aroused new vitality. Korean Neo-Confucianism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the East Asian Confucianism history for the characteristics of logical elaboration and theoretic profoundity . Zheng An is the representative scholar of Zhu Zi's philoshophy in Ming Dynasty. His thoughts seemed to have great impact in Korea and Japan. Yi Hwang , Ki Dae-seung , Han Wonjin , Yi Hyeonik, Yihangro and other Korean Confucian scholars all wrote essays to evaluate Zheng An's theory . Yulgok made a positive evaluation on Zheng An's thought through the comparision with the theories of Zheng An and Yi Hwang . From Yulgok's appreciation, it seems clear that Zheng An's Li Qi theory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Yulgok 's Li Qi theory. Moreover, through the comparision between the Li Qi theory of the two, we can make out the different development paths of Zhuzi's philosophy in China and Korea. 여말선초로 부터 수입되기 시작한 주자학은 이황 이이등 학자들의 창조성적인 전환(轉換)으로 한국에서 새로운 발전과 생명을 얻게 되였다. 특히 조선조 성리학은 논리적 정밀성(精微性)과 성정(性情)논의 심각성(深刻性)으로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주자학의 계승자(朱學後勁)’로 불리우는 정암(整庵)은 명나라 주자학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의 사상은 한국과 일본에 전해진 후 비교적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의 유학자 이황, 기대승, 한원진, 이현익,이항로등 학자들은 모두 글을 지어 그의 학설에 대하여 비판을 진행하였다. 이에 반해 율곡은 정암을 동시대의 유학자 이황 서경덕과 비교하여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그의 학설을 중시하였음 을 볼 때, 정암의 이기설이 율곡의 이기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준 주요이론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정암의 ‘이기일물론’과 율곡의 ‘이기지묘설’의 비교를 통하여 16세기 중한 양국에서의 주자학의 부동한 발전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