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의 「이씨절중초(李氏折中鈔)」 고찰 Ⅰ

        이난숙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studies the 「lishizhezhongchao(李氏折中鈔)」 of 『Yeohakseoeon(易學緖言)』 written by Jeong Yak-yong(丁若鏞). 「lishizhezhongchao」 suggests that the article was selected from the writings of li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In this respect, a thorough masterpiece of the comments made in 「lishizhezhongchao」 along with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Jeong Yak-yong’s main role and liguangdi’s Yeohak(易學) has been reviewed. 「lishizhezhongchao」 describes the analysis of more than 37 Chinese scholars starting from Han Dynasty, Zhengxuan(鄭玄), Yufan(虞翻), and Yi(魏), Song(宋), Won(元), Meng(明), Qing(淸)’s scholars and up to liguangdi(李光地). Jeong Yak-yong acknowledged eleven scholarly interpretations by Wei leWeng(魏了翁), Shuyan(兪琰), Huyuan(胡瑗), Wang zongyun(王宗傳), Qian zhili(銭志立), Chao shuozhi(晁說之), Xiang anshi(項安世), Yufan(虞翻), Guo zhongxiao(郭忠孝) and Zhuzhen(朱震). On the other hand, Jeong Yak-yong negatively criticized 60 scholarly interpretations. Jeong Yak-yong recognized the editorial purpose and undertakings to restore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by dividing 『Yijing』 and 『Yichuan』 in 『Zhouyizhezhong』 and placing 'major scripts(『Zhouyibenyi』)' in the presence of 『Zhouyizhezhong』. Furthermore, Jeong Yak-yong also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guaxu(卦序) by liguangdi. The negative assessments were made by extracting interpretations that did not meet the purpose of editing. It contrasted because of the theories related to wuxiang, guabian(卦變), muji of yaobian(爻變), analytical adoption of tuxiangshuo(圖象說), suanshujia(算數家) and especially the analysis of sangbyeon(象變), yeokdo(易道) and guaxu(卦序). Jeong Yak-yong commented on the theory of hypergeology and the exegetics, asserting that the guabian wa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process of ancient 『Zhouyi』. Due to this reason, Jeong Yak-yong was evaluated as a "disaster" of Chinese epidemiology. As a result, it can be noted that Jeong Yak-yong’s yeokhak revealed the original meaning of 『Zhouyi』 and attempted a fusional interpretation of shangu(象數) and yili(易理). And Jeong Yak-yong’s yeokhak tries to clarify the dynamic connection of the forming elements of ci·bian·xiang·zhan(辭變象占). 이 글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역학서언(易學緒言)』·「이씨절중초(李氏折中鈔)」의 세부적인 내용을 고찰한 논문(Ⅰ)이다. 「이씨절중초」는 정약용이 ‘이광지(李光地)의 『주역절중(周易折中)』 가운데 『주역』 해석사례를 가려 뽑아 논평한 역학비평론’이며, 세부적인 내용으로 저술 목적과 논평한 중국학자들, 10가지 논제의 구성 및 중국학자의 해석에 대한 정약용 긍정과 부정의 평가를 고찰하였다. 정약용은 한(漢)대 정현(鄭玄)과 우번(虞翻)을 비롯하여 위(魏), 송(宋), 원(元), 명(明)대 학자들 및 청(淸)대 이광지(李光地)까지 중국학자 37명이 해석한 총 70여 가지의 해석사례를 『주역절중』에서 발췌해 논하였다. 『주역절중』 「범례」는 『주역절중』이 『역경』과 『역전』을 나누어 편집하고, 『주역본의』를 앞에 두어 고경(古經)의 뜻을 회복하려 한 문헌임을 말하고 있다. 정약용은 근본적으로 이러한 편집목적을 긍정하고, 괘서(卦序)의 뜻을 온전히 해명해야 한다는 이광지의 주장을 명론(名論)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위료옹, 유염, 호원, 왕종전, 전지립, 이광지, 조열지, 항안세, 우번, 곽충효, 주진의 11가지의 해석사례를 긍정 평가하고, 더불어 『주례』, 『서경』, 『예기』 등을 고증해 훈고한 글자의 의미와 『주역』 해석사례를 긍정하였다. 반면 『주역절중』에 수록된 이광지의 안설(案說)과 중국학자들의 60여 가지의 해석사례는 조목조목 부정 평가하였는데, 그 이유는 『주역절중』의 편집목적과 다른 해석이기 때문이었다. 그 내용들은 물상의 취상(取象), 괘변(卦變), 효변(爻變)에 무지함과 도상(圖象)과 수리(數理) 해석 등이며, 상변(象變), 역도(易道)의 해석, 괘의 배열, 훈고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정약용은 괘변이 역을 지은 도【作易之道】라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괘변설에 무지하여 수용하지 않은 채 한대의 상수 해석방법론의 원형까지 폐기해 버린 이광지와 중국학자들의 해석들을 부정 평가하였다. 또 산수가의 학설로서 역수를 해명하여 설시법의 근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한 이광지 역학을 결국 정약용은 중국역학사의 ‘재앙’이라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정약용의 「이씨절중초」는 이광지의 청대 역학과 『주역절중』에 수록된 중국학자들에 대한 해석 및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씨절중초」를 통해서 정약용의 역학이 고대 『주역』의 역의(易義)를 토대로 상수와 역리의 융합적 해석과 사변상점(辭變象占)의 핵심 요소의 유기적 연관성에 초점을 둔 『주역』 해석의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역「잡괘전」의 착간 논쟁 연구 − 내지덕(來知德)과 이광지(李光地)를 중심으로 −

        김동진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2 No.-

        ‘Is there a Cuojian in Zagua?’ The dispute over this topic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I-Ching studies. There has been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Revisionist’ faction that argues people should recognize Cuojian and should understand Zagua through the revised script, and the ‘Preservationist’ faction that insists people should understand Zagua as the original script. In this debate, the former (the Revisionists) had to secure justification for revising the script, and the latter (the Preservationists) had to present a working theory that could explain the Zagua more consistently. In the process, both factions (or parties) showed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Zagua’s authoring intent. Lai Zhide, a representative of the Revisionist faction, sought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uojian revision through the theory of Cuo Zong, which is the King Mun’s creation principle of I-Ching, is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scripture. Therefore he asserted that Zagua is to exhibit Cuo Zong theory. Li Guangdi, a representative of the Preservationist faction, trie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preserving the meaning of the script by explaining the Zagua with the theory of Hu Ti. Therefore he contended that the intention of Zagua is the theory of Hu Ti. Thus, the issue of contention did not stop at ‘whether Cuojian exists’; rather it extended to ‘authoring intent’ of the Zagua. ‘「잡괘전雜卦傳」에는 착간錯簡이 존재하는가?’ 이 문제를 둘러싼 착간 논쟁은 역학사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로, ‘착간개정파’와 ‘경문고수파’가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이 논쟁에서 착간개정파는 통행본 64괘의 배열원리를 근거로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고, 경문고수파는 ‘협운설’, ‘호체설’과 같은 새로운 해명원리를 바탕으로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마련하려 했다. 그러나 양측의 정당화 방식에는 여전히 난점이 존재하였다. 착간개정파는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왜 「잡괘전」에서도 지켜져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해명해야 했고, 경문고수파는 착간개정파와 같이 「잡괘전」을 일관되게 해명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양측의 논쟁은 「잡괘전」 저작 의도를 둘러싼 논쟁으로 확대되었다. 착간개정파를 대표하는 내지덕來知德은 64괘의 배열에 나타나는 ‘착종錯綜’을 성인의 주역 창작 원리인 음양의 ‘대대對待’와 ‘유행流行’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이 착종의 원리가 주역 전체에 일관되어 있다는 ‘착종설’을 제시함으로써,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잡괘전」에서도 일관되게 지켜져야 함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착종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경문고수파를 대표하는 이광지李光地는 호병문의 호체설을 「잡괘전」 전체로 확장하고 대과 이후의 불규칙한 배열을 ‘순환호체설’로 해명함으로써, 「잡괘전」의 전체 배열에 ‘호체互體’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호체의 원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양자의 「잡괘전」 이해는 매우 상이한 듯이 보이지만, 이광지 또한 호체설의 四象을 통해 우주자연의 변화를 드러내려 했다는 점에서 양자가 「잡괘전」에서 본 易의 원리, 즉 착종과 호체는 “一陰一陽之謂道”의 異名同實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지식인의 李光地 수용과 비판

        신재식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To understand the academic tradi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understand about the scholars who pulled the strings during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Lee guang ji was a point man to Emperor Kangxi as he was not only supervising many projects but also carried out academic exchanges with famous scholars in that time. Joseon scholars which focused on trend of Qing dynasty's researchs took a profound interest in him. Therefor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Lee guang ji in late Joseon Dynasty is useful to explain his influence over the academic circles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When Lee's theory came in, Joseon scholars took note of his work, the leading compilation of research paper of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looked on the positive side of his work. Lee's theory was very compelling work both his target of study and to make Neo-Confucian authentic. It is little wonder that joseon scholars accepted his work with favorable comment because it deepened scholar´s knowledge of Orthodox neo-confucian in Joseon's academia. However, there has also been criticism of Lee's theory in present times. His version of the past was far from the purpose of original Neo-Confucian as he used the ideology to rationalize ruling by the barbarians. It has created hostility and criticism of his theory because his theory was regarded as a hearsay. Lee's opinion of 'Classic of Changes' and 'Great Learning' would be criticized for these reason by Jeong Yak-Yong and Kim Mae-Soon. As a result of those things, negative publicity of his work was because of his version of the past. 조선 후기 학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한 명말청초 학술 수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李光地(1642~1718)는 강희 연간 학계의 핵심인물로서 당대 쟁쟁한 학자들과 교유하고 각종 사업을 주관한 인물이기 때문에 청나라 연구동향에 주목하던 조선 지식인이 큰 관심을 가진 바 있다. 그러므로 이광지에 대한 조선 학계의 인식은 명말청초 학설이 조선 후기 학계에 미친 영향을 해명하는 유용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이광지의 학설이 유입되었을 때 조선 지식인은 주자학 연구서 편찬을 주관한 이력에 주목하고 그 성과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이광지가 추구한 연구목표, 주자서 정본화 작업은 매우 설득력 있는 것이었다. 주자학 연구가 심화된 조선 학계에서 그러한 성과를 호평하고 수용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하지만 곧 이광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이광지의 행적이 이민족 통치 합리화 작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중화중심의 위계질서를 추구하는 주자학의 취지와는 거리가 멀다고 느꼈던 것이다. 그에 대한 반감은 곧 이광지 학설 비판으로 이어진다. 이광지의 이설이 주자학의 취지에 반하는 이단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와 관련하여 정약용은 서양의 기하학 이론을 수용하고 주자가 수용한 卦變說을 폐지한 이광지의 易學을 비판하였고, 김매순은 왕수인의 『古本大學』 체제를 따른 이광지의 大學說을 힐난하였다. 이것이 반유가적 행적과 결부되면서 이광지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는 데 일정한 작용을 하였다.

      • KCI등재

        『주역절중·계몽부론』을 통해서 본 동서문화접변 - Joachim Bouvet의 「天尊地卑圖」와 李光地의 「加倍變法圖」에 나타난 파스칼 삼각형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방인 한국실학학회 2023 한국실학연구 Vol.- No.46

        Joachim Bouvet(1656-1730) was appointed by King Louis XIV of France as one of the royal mathematicians and sent to China. Bouvet taught Western mathematics to the Emperor Kangxi(1654-1722), who ordered Li Guangdi(李光 地, 1642-1718) to insert several geometric figures, including Pascal’s Triangle, into the Zhouyizhezhong(周易折中: Balanced Annotations of Zhouyi). Li Guangdi gave Pascal’s Triangle a new name, Jiabeibianfatu(加倍變法圖: Chart for the modified doubling method) and put it into the Qimengfulun(啓蒙附論: Appendix on the Introduction to the Zhouyi) of the Zhouyizhezhong. However, Li Guangdi did not link Pascal’s triangle to Western mathematics, but rather interpreted it based on the theory of Cheng Dawei(程大位, 1533-1606) and Shao Yong(邵雍). On the other hand, Bouvet gave Pascal’s Triangle a new name, Tianzundibeitu (天尊地卑圖: Chart of Heavenly Superiority and Earthly Subordination) and, like Li Guangdi, interpreted Pascal’s Triangle relying on Cheng Dawei and Shao Yong. Although their way of thinking was fundamentally different, Bouvet and Li Guangdi were able to find a common denominator through the mathematical numbers. The Pascal’s triangle originally had nothing to do with the Yijing but it came to be recontextualized in connection with the Yijing. However, unlike Li Guangdi who intentionally excluded the connection with Christianity or Western mathematics, Bouvet tried to discover the composition of God's creation in the Yijing. Since their purpose was fundamentally different, the interpretation could not but be the “tongchunagyimeng”(同床異夢, to share the same bed but have different dreams). However, the academic exchanges they shared in Forbidden City(紫禁城, Zijincheng) through the Yijing remained one of the most impressive scenes in the dialogue between East and West civilizations.

      • KCI등재

        유럽 예수회 선교사들의 『주역』 이해 ─ 유클리드의 기하학과 서양 수학이 『주역』 해석에 미친 영향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9 다산학 Vol.- No.34

        The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i.e., Zhouyi, or Book of Changes) by Jesuit missionaries manifests how the text was transformed and integrated with other sources during an East-West cultural exchange and globalization. The Jesuit interpretation exhibits the influence of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 figurism(索隱主義) and Western mathematics. While both attempted to understand the Yijing on the basis of a Western worldview, they brought about very different outcomes. Despite its foundation on a Christian worldview, figurism was approved only by some Jesuits and remained a comparably isolated theology, whereas the Jiheyuanben(幾何原本: Elements of Geometry), namely, the Chinese translation of Euclid’s Elements, had a long-lasting influence on the Chinese scholars. When it comes to the concept of taiji(太極: Supreme Ultimate) and yin-yang(陰陽), Matteo Ricci cast doubt on them because they were presented in numbers and geometric figures in Zhou Dunyi(周敦頤)’s Taijitushuo(太極圖 說: Explanations on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In the philosophy of Aristotle, numbers and geometrical figures are not substances but attributes. Ricci followed Aristotle’s idea in that he regarded taiji and yin-yang as mere conceptual existences. Joachim Bouvet was one of the King’s Mathematicians (Mathématici-ens du Roy) dispatched to China by Louis XIV. In his view, taiyi(太一: Supreme One) is another name for taiji and the yi(一: One) represents the substance of the ultimate existence. He also believed that numbers, diagrams, and images are crucial instruments for representing the essence of the ultimate existence. In the “Qimengfulun”(啓蒙附論: Appendix on the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hanges) of the Zhouyizhezhong(周易折中: Balanced Annotations of Zhouyi), there are included many geometrical figures that turned out to be Bouvet’s work. It was Emperor Kangxi who urged Li Guangdi (李光地) to insert Bouvet’s chart in the Zhouyizhezhong. This shows the Emperor Kangxi’s strong interest in the western mathematics. Interest in Western mathematics notably increased during the Qing dynasty, and Jiao Xun(焦循)’s case clearly illustrates the tendency of interpreting the Yijing through mathematics. Jiao Xun, influenced by Euclid and Mei Wending(梅文鼎), enthusiastically applied mathematic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However, Jeong Yak-yong(丁若鏞), a contemporary of Jiao Xun, was against this method. For Jeong, the Yijing has nothing to do with mathematics or geometry and it would be absurd to overlay it with some significance that was not intended by the original author. 예수회 선교사들의 『주역』 해석은 동서양의 문화 교류 속에서 『주역』이 세계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겪었던 변형과 융합의 과정을 보여준다. 예수회 선교사들의 『주역』 해석에서는 색은주의索隱主義(figurism)와 서양수학의 적용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두 가지 관점은 모두 서구적 세계관의 기초 위에서 『주역』을 이해하려는 시도였으나, 그 결과는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색은주의는 기독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있었으나, 예수회 내부에서도 승인되지 못하는 고립된 이념으로 머물렀다. 반면에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번역한 유클리드(Euclid)의 『기하원본』은 『주역』 해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리치가 태극太極과 음양陰陽의 개념을 비판했던 까닭은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태극과 음양이 수數와 기하학적 도형으로 표현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따르면 수와 기하학적 도형은 실체가 아니라 속성에 속하기 때문에 관념적 존재에 불과하다. 조아킴 부베는 루이 14세가 중국에 파견한 국왕수학자(Mathématici-ens du Roy)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조아킴 부베는 태극의 또 다른 명칭이 태일太一이며, 일一이라는 수數가 궁극적 존재의 실체적 특성을 표현한다고 생각하였다. 부베는 수와 도상圖象이 궁극적 존재의 본성을 표현하기 위해 필수적 수단이라고 생각하였다. 이광지李光地가 『주역절중周易折中』을 편찬하면서 많은 기하학적 도형을 포함시킨 것은 부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청대에는 서양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주역』을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은 초순焦循의 역학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초순은 유클리드와 매문정梅文鼎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역』의 해석에 수학을 적극적으로 응용하였다. 그러나 조선朝鮮의 유학자 정약용丁若鏞은 초순과 같은 시대에 살았던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학을 『주역』 해석에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하였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주역』과 수학은 본질적으로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주역』의 저자가 원래 생각하지 않았던 의미를 원의原義에 덧씌우는 것은 잘못이다.

      • KCI등재

        『주역절중(周易折中)』에 대한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파의 반응 양상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u Xi朱熹’s Zhouyibenyi周易本義 as the original text, was bound with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程氏易傳, and included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啟蒙. In addition, Qimengfuiun啓蒙附論 where Li Guang-Di李光地 studied the meanings of Yixueqimeng易學啟蒙 geometrically was also attached to Yixueqimeng易學啟蒙. To Zhengzu(正祖),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an exemplary book. Zhouyizhezhong(『周易折中』) considered as an example by Zhengzu(正祖) was written in support of Zhu Xi(朱熹)’s position as it was also revealed in his Yijing(『易經』) of Jingshijianyi(『經史講義』). Yet, while Zhengzu(正祖) regarded Neo-Confucianism as the right study, he also opened a way for scholars to study other theories. Those who took a positive view of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later came to face a new situation whe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hadn’t succeeded Neo-Confucianism faithfully, but had been written just by a royal order.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ad a negative attitude to Li Guang-Di(李光地)’s opinion because, most of all,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of Diantanglixuepai(殿堂理學派) and accepted Yangmingxue(陽明學).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원본으로 하고 정이(程頤)의 『정씨역전(程氏易傳)』을 합본한 책이며,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啟蒙)』까지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이광지가 『역학계몽』의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연구한 『계몽부론(啓蒙附論)』도 『역학계몽』 뒤에 첨부되어 있다. 정조에게 있어서 이광지의 『주역절중』은 모범이 되는 서적이었다. 정조가 『주역절중』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그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역경』에서도 드러나 있듯이 주희의 입장을 옹호하여 서술된 책이다. 그러나 정조는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여기면서도 학자들에게 다른 학설도 공부할 길을 열어 놓았다. 이광지의 『주역절중』에 긍정적이었던 인물들은 후에 이광지의 『주역절중』이 주자학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지 못하고, 단순히 칙명(勅命)에 의해 『주역절중』을 저술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돌아서게 된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이광지의 견해에 부정적이었던 결정적 이유는 그가 전당리학파(殿堂理學派)의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고 양명학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절중의례(折中義例)」에 보이는 신후담 역학요소의 개념 분석과 성호문인의 『주역절중(周易折中)』 논변

        김병애 ( Kim Byung-ae )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9 No.-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of Habin Sin Hu-Dam(河濱 愼後聃, 1702 ~ 1761) interpretation of Jooyeok (『周易』, Zhouyi). Study explores the categories of time (時), location (or position, 位), characteristic (德), response and proximity (應比) and master of Gyoe (卦主) that he defined through the analysis of Yeokhak (易學) Element conceptd he studied, centering on ‘Jeoljoonguirye’ which was his book review contained in ‘Habinjeonjip (Complete collection of Habin’s writings, 河濱全集)’. These 5 concepts were originally guides created by Lee Gwang-ji(李光地) by summarizing the basics concepts of Jooyeok (周易, Zhouyi) in the preface of the main text of ‘Jooyeokjeoljoong (『周易折中』)’. Estimating the time when Sin Hu-Dam first encountered the ‘Jooyeokjeoljoong (『周易折中』)’, it is also possible that he wrote Jeoljoonguirye’ with a need to organize the Yeokhak(易學) concepts scattered after the completion of Jooyeoksangsashinpyeon (Zhouyisangsashinpyeon, 『周易象辭新編』). Therefore, this approach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exploring Sin Hu-Dam’s view on Yeokhak(易學). Judging from the fact that Sin Hu-Dam actively used the ‘Jooyeokjeoljoong (周易折中)’ which came from abroad, it is clear that Lee Gwang-Ji’s Yeokhak (易學) was already known to scholars around Sin Hu-Dam. Lee Ik(李瀷) and Choi Do-myung (崔道明) were scholars who had great influence on Sin Hu-Dam in this period and, investigation into the letters exchanged among them makes it clear that ‘alignment of the theories in ‘Jooyeokjeoljoong’ and Zhuxi’s (朱熹) Gyoebyeonnon (卦變論) which was excluded from ‘Jooyeokjeoljoong(「折中義例」)’ were at the center of their controversy. By writing ‘Jeganonpyeoncha(「諸家論編次」)’, Sin Hu-Dam expressed his deep dissatisfaction with the arrangement of the ‘Bonui(『本義』)’ in front of ‘Jooyeokjeoljoong’ and ‘Jeongjeon(『程傳』)’ in the back and argued about Gyoebyeonnon that it is more proper to study more deeply on Gyoebyeonnon itself rather than become interested in the exclusion of Zhuxi’s (朱熹) Gyoebyeonnon by ‘Jooyeokjeoljoong’, and all the Gyoe (卦) of the Yeok (易) came solely from Geon (乾☰) and Gon (坤☷). Judging from the background that Sin Hu-Dam interpreted Jooyeok (周易, Zhouyi) by actively using the methodology and Moolsangnon (Theory of material imagery, 物象論) of the Sangsoohak (Theory of Imagery-numerology, 象數學), it may seem that he was more inclined to Zhuxi’s (朱熹) Yeokhak (易學) but major arguments and logics in ‘Jooyeokjeoljoong’ within Sungho(星湖) disciple demonstrate that they established their own world of Yeokhak(易學) without being restricted by existing methodologies of the time.

      • KCI등재후보

        音韻闡微를 통한 淸代官話 聖母體系 考察

        金泰完 한국중국언어학회 2002 중국언어연구 Vol.14 No.-

        這篇文章的主要目的是用李光地與王蘭生合撰之『音韻闡微』來考察淸代官話的聲母系統, 首先是關于『音韻闡微』的著作背景蔬理, 然後主要硏究了『音韻闡微』的反切和聲母系統. 『音韻闡微』的反切系統是以“合聲系”反切, “今用”, “今從舊切”, “協用”及“借用”來改革舊制之反切。其主要貢獻是讓沒有音韻學知識的人比較容易地理解某一個字的發音, 단령일방면인몰유작반절어적확절적규정, 所以作反切的用字方式各各不一致, 結果引起了混亂和運用上的困難. 『音韻闡微』具備以36字母來歸字, 還以四等及四呼來音註的精微聲母系統. 本篇把其主要特徵規定爲“[影·疑·喩·微]母相同”, “[知·徹·澄]母與[照·穿·牀]母相近”, “[泥]母與[娘]母同音”, “[非]母與[敷]母同音”, “全濁淸化”, 其他音推定等等. 由此看來, 『音韻闡微』對于淸代官話的影響是可以把複雜的聲母系統簡略化. 단시유우당시몰유반영악화, 以及因滿族與康熙帝的存古觀念等導致了. 所以口語音, 標準音和讀書音不能長久一致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