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정화(Kim, Jung Wha)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과 유아인권교육과 관련한 교사의 인식 변인, 인권감수성 변인에 따른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개인 변인 중 교사의 최종학력, 기관유형, 연령, 담임반 유아연령,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 변인 중에서 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예언하는 가장 경력한 변인은 교사의 최종 학력이었다. 교사의 인권교육 관련 인식변인에 따른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차이를 보면,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지도, 유아인권교육 관련 연수경험, 인권 관련 내용 인지도, 유아인권교육 운영여부 등 변인 모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육관련 인식 중에서 교사의 인권 교수효능감을 예언하는 가장 경력한 변인은 유아인권교육 운영, 인권교육 중요성, 인권감수성, 인권내용 인지 순이었고 이 4개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변량은 26.6%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repanci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s, human rights aware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s well as bring to light their influences on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human rights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03 teachers working at differen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teachers depending on their final education backgrounds, types of institutions, ages, experiences, and ages of young children teachers were in charge of. Among these factors, the one that was the most indicative of teaching efficacy was the teachers’ levels of education. Additionally, when looking at discrepancies in the efficac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eachers’ percep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raining experience, awareness on human rights issues, and human rights education framework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four factors that had influences on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cluded managing programs for young children’s rights in centers,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ha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cognizing contents of human rights, all of which contribute to 26.6% of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장애 유아 인권교육 방향성 탐색

        박계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ducted from 2005 to 2016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a result, researches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re very inadequate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es on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Although research types were vari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NURI curriculum and to fabricate a manual of educational method to realize human rights education in kindergarten.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should include human rights factors that reflect the situation and needs of the times,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are mostly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that internalize the value of respecting human rights and habituate human-friendly behavior through direct activities related to the learner's experience, as suggested by recent human rights studies. Dependent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change of attitude and behavioral aspect of infants.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fan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ethodolog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recently. 본 연구는 2005년도부터 2016년까지 수행된 국내 유아 인권교육 관련 연구 동향과 추후 연구 방향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인권교육관련 국내 논문 17편의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및 연구 유형에 따른 일반적 동향을 살펴보았고 연구의 유형에 따른 연구 내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아 인권교육 연구의 추후 연구 방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관련 연구는 수적으로 매우 부족하여 추후 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연구의 실행과 효과 검증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일과 안에서의 인권교육 실현을 위해 누리과정 연계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방법 매뉴얼 제작이 매우 필요함이 나타났다. 질적연구 분석 결과, 인권교육 활동에 시대적 상황과 요구를 반영하는 인권 요소를 포함하고 누리과정 운영 시 인권 범주의 요소들이 균형 있게 실행되는 것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실험연구에서 활용된 독립변인은 대부분 최근의 인권 관련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된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인권 존중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인권 친화적 행동을 습관화하는 교수방법과 활동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인은 이와 맥을 같이하여 유아의 태도와 행동적 측면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본 연구는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근까지 거의 관심을 받아 오지 못한 장애 유아 인권교육의 실행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구미향,황소영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7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대표하는 총 4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Q 표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시행 전과 후에 동일한 Q 소팅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대한 인식 유형은 단일 유형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들은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한 권리로 인식한 반면 발달권과 참여권에 대해서는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었다.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아교사의 인권 의식은 ‘비차별적 생명존중과 폭력으로부터의 보호’와 ‘권리주체자로서 능동적인 참여와 성장’ 이라는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후 유아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생존권과 보호권을 중요하게 생각하던 9명의 교사는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인권의식이 오히려 공고해 졌으며, 6명의 교사는 유아의 참여권과 발달권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의식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김정화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학년, 인권 관련 교육경험, 유아권리협약 인지도,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성 인지도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389명이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은 보통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으로, 책임지각이 가장 높았고 결과 지각이 가장 낮았다. 변인들 중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성 인식도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개인효능감이 결과 기대감보다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인권교육 관련 경험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상황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을 강조하는 접근법의 유아인권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 consists of 389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College in Seoul.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slightly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those affected by the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action on child's human rights, groups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human rights had higher scores.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is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according to grade,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awareness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awareness of interest in and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ry and efficacy i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not only for prospective teachers who lack experience in child human rights education but also hor approaches that emphasize situation-oriented problem solving.

      • KCI등재

        만 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영역과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 분석

        원혜경 ( Hye Kyung Won ),조숙영 ( Suk Yo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만 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영역과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을 본 연구의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3세의 생활주제 10권에 포함된 676개의 활동과 만 4세의 11권에 포함되어 있는 731개의 활동이다. 분석결과 첫째, 5개영역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은 3세 1,840개, 4세 2,195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아인권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영역은 만 3, 4세 연령 모두 사회관계영역으로 3세 597개, 4세 787개를 다루고 있었으며, 그 중 ‘참여’에서 3세 287개, 4세 402개로 나타나 유아인권교육내용을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전체 생활주제 가운데 만 3, 4세 연령 모두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에서 유아인권교육 내용을 가장 높게 다루고 있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는 전체생활주제 가운데 3세 242개(13.2%), 4세 252개(11.5%)로 나타났으며, 그 중 ‘교육과 휴식’에서 3세 142개, 4세155개로 나타나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3, 4세 연령에 따른 유아인권교육 관련 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체계적인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추후 개발될 교육과정에서 유아인권교육관련 활동을 계획.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presented in the area and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for the ages of 3-4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The subject of analysis consists of 676 activities included in the 10th volume of life themes for age 3 and 731 activities in the 11th volume of ag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nt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appeared in 5 areas includes 1,840 for age of 3 and 2,195 for age of 4. Area that dealt largely with the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was the social relation domain for both 3 and 4-year-olds that 597 were conducted for 3-year-olds and 787 for 4-year-olds, and it was identified that ‘participation’ covered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most importantly with 287 for 3-year-olds and 402 for 4-year-olds. Second, among entire life themes, the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was treated most importantly in life theme of ‘spring, summer, fall, winter’ for both 3-year-olds and 402 for 4-year-olds. There were 242(13.2%) life themes of ‘spring, summer, fall, winter’ for 3-year-olds and 252(11.5%) for 4-year-olds, and among them, ‘education and rest’ was treated most importantly with 142 for 3-year-olds and 155 for 4-year-old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s in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plan and develop activities for 3 and 4-year-olds related to child’s human righ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l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which will be required in developing systematic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and which will be needed in plann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related to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i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을 위한 고민

        권귀염(Kwon, Kyee-Yu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다양한 인권적 이슈들이 부각됨에 따라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권교육이 시행되고 인권 친화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강조되고 있다.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의 측면에서도 유아인권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유아교육 현장의 인권 상황은 긍정적이지 못하며 교사들의 인권의식 역시 부족함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인권교육은 단순히 인권을 내용으로 한 프로그램 도입으로의 접근이 아니라 인권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인권의 실천, 태도, 가치 확립을 지향하는 인권을 통한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아동관 및 실천행위에 대한 점검과 반성, 인권적 관점에서 하루 일과를 바라보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should be first considered for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ing diverse social changes and frequent child abuse accidents, it is urgent to implement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build child-rights friendly environment. However, the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terms of teacher’s and children’s human rights are not positive. Teachers’ perception on child rights is limited. In this condition, befor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e need to focus on establishing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teachers and children respect each others’ needs and rights. Teach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s another key to successfully plant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need to make effort to examine their views on children as well as everyday practices.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 탐색

        윤재희,유향선,이효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This paper aims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for educating young children about human rights. In order to do this, the author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and categorized ke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key contents are respect for self,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other living things. Based on the key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ke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reflected in the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However, particular domains, for example the domain of social-relationships, were included in the key contents of huma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a greater degree than other domains. Also, respect for living things wa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4- and 5-year-old childre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urrent field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prepared by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properly initiate human righ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re- and in-service teachers needs to take a course to raise their awareness about human rights. Also, educational materials and instrument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needs to be evaluated in order to evaluate which materials contribute best to tackling prejudices related to minorities in a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유아 인권교육 관련 선행문헌을 고찰한 다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내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 인권교육에 관한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유아 인권교육내용의 분석준거로 ‘나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존중’,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인권교육내용은 인권에 대한 태도와 가치를 기반으로 하며 그 핵심내용을 '자신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존중', 그리고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들 수 있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나와 타인 그리고 생명체에 대한 존중’이 고르게 반영되어 있다. 유아 인권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교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유아 인권교육에 적절한 교재 및 교구의 평가․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인권교육 경험을 통한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권교육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Y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0명과 담임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대화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은 권리를 삶에 적용하며, 권리를 중심으로 연대하고,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유아가 인권교육을 경험함으로써 스스로가 권리 주체자임을 인식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유아기가 인권교육의 적기임을 밝힌다. 둘째, 유아들이 인권 친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유아 인권교육의 내용이 지식적인 측면보다는 인권 친화적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한다. 셋째,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통해 권리 옹호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바람직한 유아 인권교육의 방향은 궁극적으로 권리 옹호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인권감수성에 근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To this end, ten 5-year-old children and two homeroom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Y city"s day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implementing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alogue and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were as follows: applying rights to life, solidarity with rights, and a process of realizing right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appropriate to teach young childre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oneself as a person with rights by experiencing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rough the formation of a human rights-friendly community, the content of young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forming a human rights-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on the intellectual side. Third, young children show the possibility of growing up as a rights advocate through the appearance of young children practicing the actions to defend the rights of oneself and othe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based on human rights sensitivity focusing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ultimately with the aim of implementing human rights advocacy actions.

      • KCI등재

        경험학습이론 중심의 교수-학습과정 기본 모형에 터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변선주 ( Sun Joo Byun ),김숙자 ( Suk Ja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교수-학습과정 기본 모형에 터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적용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은 총 6개의 범주-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에 해당하는 16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어졌고, 각각의 활동들은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 기본 모형인 구체적 경험,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의 과정으로 진행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충청북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4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5주간 총 16회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효과가 검증되었다. 사전 ·사후 검사도구로는 유아 인권관련 태도 평가 도구(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의 과정은 양적 데이터 분석과정과 질적 데이터 분석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집단의 유아 인권관련 태도 점수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paired-samples T test 실시 결과를 중심으로 한 양적 분석 과정과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얻어진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과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유아 인권관련 태도 전체 점수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교수-학습과정 기본 모형에 터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범주별로는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에서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교수-학습 기본 모형에 터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유아들은 인권관련 내용 이해와 실천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유아들은 구체적 경험,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의 4단계 과정에서 인권과 관련된 활동을 직접 경험하게 되면서 인권 관련 지식과 태도 및 인권감수성이 변화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개발된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교수-학습과정 기본 모형에 터한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educating children on human rights. Subjects studied in order to verify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were as follows: 20 children aged 4 years (10 girls, 10 boys) from K kindergarten in Chungchoengbuk-do, and 26 children aged 4 years (13 girls, 13 boys) at S kindergarten in Gyeonggi-do. A measuring instrument developed by Kim, Kim, & Jang (2008c) was used to evaluate children`s values and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using the Instrument of the Human Rights Evaluation for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raded evaluation of the children`s behavior toward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ior to the program`s commencement, as well as a positive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behavior in five of the six categories of human rights - basic rights, equal rights, right to freedom, economic rights and political rights, though no improvement was shown in the area of social rights.

      • KCI등재후보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 비교

        정미라(Chung mi r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4

        역사적,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에서 많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양국의 유아인권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유아인권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1998년 6월에 개정된 한국의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1998년 12월에 개정된 일본의 제4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사용되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2000년부터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어 오고 있다. 인권교육의 분석을 위해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 등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인권 개념 분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일본의 유아인권교육 내용의 비교에서는 양국이 인권에 관련되는 소양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통되게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소양 내용의 선정을 각국의 처해있는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모색하는 경향 때문에 교육과정에 구현되어 나타나는 교육내용에는 유사점과 더불어 차이점이 현저하게 나타나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양국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비추어서 국내 유치원에서의 유아인권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made human life more affluent and convenient. But comparatively poor cultivation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has been threatened human life at the same time. And nowadays, bully or Wang-dda, violence, egoism, mutual indifference, etc became routinely observed behaviors in Korea and Japan' s kindergarten and schools. Therefore, They became prevailing problems in pr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wo nations. In this point, It is required human rights education to bring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This study aimed at contribute to at figuring out two natio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hildhood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reflected in korea and japan' kindergarten national curriculum. Korea and Japan have not only a many points of similarities but also differences in educational system and structure in kindergarten from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rrelation between two nations. Two nations have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the new kindergarten national curricula were revised on June 1998 in Korea, and on December 1998 in Japan. In order to explore human rights education in kindergarten, the author tried to analyze those national curricula. The tool of analysis was constructed in basic, political, social, economic rights, rights to freedom, rights of equalit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well organized in a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