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Sujin Yeom),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Taejin Cho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지예,신경순,김영희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7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ternal psychological stress, parenting-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n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0 fathers of children who were aged from 3 to 5. Data were collected by one-line survey from mothers and fathers separately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test, F-test with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1.0 program.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Also 'Bootstrapping Methods' were us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of indirec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were not directly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stress. Howeve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directly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Thus,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of a fathers were, the mor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children showed.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the different effects on the dimensio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such as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peer relationship. Father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Thus, the higher the level of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fathers were, the lower the level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children were shown. However, fathers'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us, the higher the level of fathers'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atic behaviors children showed. Thir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to effect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ather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had a mediator to reduce the negative influences of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However, fathers'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had mediated the negative influences of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 the nee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in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ling and to seek ways to encourage fathers, who have a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due to psychological stress, to engage in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to relieve their stress. It also suggests that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be appropriate to reduce the level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parent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세워진 이론적 모형을 통하여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가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을 통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아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유아교육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아 및 가족상담 현장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온라인 패널관리전문기관인 ‘Macromill Embrain Research'에 연구자가 직접 의뢰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만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패널조사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성공적인 온라인 패널조사를 위해서 조사자가 원하는 조건을 비율할당조사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택하여 NO기능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는 양육스트레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여 강압적 양육행동은 증가시키고 지지적 양육행동은 감소시켰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요인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심리적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아버지의 지지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또래관계 문제를 감소시키지만 내면화 문제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의 강압적 양육행동은 내면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또래관계 문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관계와 예측요인

        성다겸(Seong Da Gyeom),김춘경(Kim Cho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에 나타나는 문제행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기의 각 변인들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종단자료를 기반으로 전국 각 지역에 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1,231명을 대상으로 한 5차 (4세), 6차(5세), 7차(6세)년도의 3년간 추적 조사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고, 유아기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예측변인으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우울, 아버지 양육참여, 부모의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원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 하여 검증한 결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이 증가하면 외현화 문제행동이 증가하게 되고, 증가한 외현화 문제행동은 내재화 문제행동을 다시 높일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은 상호인과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결과,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활동성 기질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낮아지 며, 어머니의 우울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원인 도구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어머니가 높게 지각할수록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정서성 기질,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우울,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infants over three years. And it is analyzed how the infant s personal variables, mother variables, father variables, couple variables, social variables influen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For this purpose, autoregressive crossover delay model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were used and adapted to the data tak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infants were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temperament of the infant, the depression of the mother,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s care, the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of the parents and the social support were selected as the predictive variables to predict the problem behavior of the infa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제행동지도전략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성(Choe, Hyung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중 현재 다문화 유아를 지도하고 있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담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과 12월에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속변인인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 및 문제행동지도전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제행동지도전략은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문제행동지도전략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행동지도전략의 하위영역인 사회정서전략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사회적 규범 이해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세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신장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trategy for guiding problrm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300 infant room teachers who teach multicultural infant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infan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were tha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o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infant teacher’s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o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Also, infant teacher’s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Also, strategy for social and emotional skill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comprehension of social norm.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 개인차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 ( Jong Hoon Kim ),성지현 ( Ji Hyun S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terns of behavioral problems at home in order to ascertain if they vary according to parenting types; to determine if the pattern of behavioral problems at home affects behavio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inal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behavioral problems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 teachers of classes for 4- and 5-year olds, 224 preschool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Kyung-gi do and their mothers. Analyses findings reveal that a mother’s type of parenting behavior affects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rough behavior problems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by two indirect paths. First, one indirect path shows that a mother’s rejection is related to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home, which in turn is associated with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in a classroom, which finally is related to conflicts i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Second, another indirect path found that mother’s controlling reduces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home, which in turn relates to the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a classroom, which finally decreases conflicts i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a mother’s rejection influences a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home while autonomous parenting behavior reduces a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id not predict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background information for parent education, parent conferenc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라 유아에게 가정에서 어떠한 문제행동이 나타나고, 이러한 가정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떠한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 6곳에서 4, 5세반의 담임교사 16명과 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및 그들의 어머니 226명을 대상으로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이 유아의 가정 및 교실 내 문제행동을 통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간접경로는 두 가지 경로로 나타났다. 첫 번째 간접경로는 어머니의 거부적인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내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교실 내의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간접 경로는 어머니의 통제적인 양육행동이 가정에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켰고, 이는 다시 교실 내의 외현화 문제행동도 적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부적인 양육행동은 가정에서 유아의 내재적 문제행동의 원인이 되고, 자율적인 양육행동은 가정에서 내재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러한 관계가 교실 내에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긍정적인 기관 적응과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해 부모의 양육에 대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다면적 문제행동과의 관계 탐색

        조준오(Jo Junoh),나정(Na J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관심을 갖고, 유아의 일상적인 스트레스 수준과 다면적인 문제행동 및 문제행동의 각 하위 변인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총 189명이며, 담임교사가 개별 유아를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검사를 면접을 통해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ANOVA)과 Scheffe 사후검증 및 다변인공변량분석(MANOVA)과 Bonferroni 사후검증을 통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유아의 다면적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유아의 다면적 문제행동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또래관계, 발달, 기본생활습관, 정서 문제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관계, 발달, 기본생활습관 및 정서 문제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도덕성 문제행동과 성 문제행동은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 범주를 확장시켜서 일상적 스트레스가 기본생활습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새롭게 제시 했다는 점, 문제행동의 예방과 개입 시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을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hassles and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young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among young children i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lative levels of their daily hassles. Secon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s of daily hassles and the impact these differences made to their peer relationship, development, emotion, basic living habit which comprise the four subfactors of the early childhood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inventory were checked after the mutual influence of the six subfactors was controlled. The young children who had a better level of daily hassles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level of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in some subfactor.

      • KCI등재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김선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며,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의 영향이 교사-유아관계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20곳에 재원중인 만 4와 만 5세 유아 188명과 유아의 어머니 188명, 그리고 유아의 담임교사 44명이다. 연구결과 유아의 활동성 수준이 높고 긍정적 정서 수준이 낮으면 유아의 불안․공포감 행동문제와 주의산만성 행동문제 수준은 높아지며, 유아의 활동성 수준이 높고 적응성 수준이 높으면 유아의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 수준은 높아졌다. 교사-유아관계가 갈등적일수록 유아의 불안․공포감 행동문제, 주의산만성 행동문제 및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 수준이 높아지며, 교사-유아관계가 친밀하지 않을수록 주의산만성 행동문제 및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 수준은 높아졌다. 또한 유아의 행동문제(불안․공포감 행동문제와 적대감․공격성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활동성과 적응성)의 영향은 낮은 갈등 수준과 높은 친밀감 수준으로 특징지어지는 긍정적인 교사-유아관계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높은 갈등수준과 낮은 친밀감 수준으로 특징지어지는 부정적인 교사-유아관계에 의해 강화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that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ve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further, explor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One hundred and eighty eight young children, 4 and 5 years of age , their mothers, and forty-four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1. Activ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significantly affect anxious-fearful and hyperactive-distractive behavior problems. Activity and adaptability temperament significantly affect hostile-aggressive behavior problems. 2.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affects all of the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noted above and Intima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affects hyperactive-distractive and hostile-aggressive behavior problems. 3. Effects of temperament (activity and adaptability)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xious-fearful and hostile-aggressive behavior problems) a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posi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increased by nega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s.

      • KCI등재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치원 경력 교사의 인식, 경험과 요구 분석

        유효인(hyoin You),고선(Sun Ko),신유정(Yoo-Jung S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3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의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인식, 경험,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성 행동(문제)의 관리⋅대응지침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모색 및 실제적인 성 행동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고자 한다. 방법 유아 성 행동에 대한 유아 경력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에 참여한 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2일부터 총 10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결과는 SPSS 25를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중복 문항의 경우 응답 빈도에 따른 순위를 산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 성 행동(문제)와 대응 및 지도 관련 교사 인식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성 행동(문제)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해 교사는 보통 수준이라고 가장 많이 답변(45%)하였으며, 유아의 성 행동을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생각한다는(54%) 답변이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성 행동(문제) 대응 및 지도가 필요하다(100%)고 설문에 참여한 모든 교사가 답변하였다. 유아 성 행동(문제)와 대응 및 지도 관련 교사의 경험에 대한 주요 결과로는 유아 성 행동(문제)에 대한 경험이 있다는 답변(79.%)과 가정과의 상담을 통해 (20.8%) 대응 및 지도 하였다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유아 성 행동(문제) 대응 및 지도에 대한 교사의 지원 요구 및 인식의 주요 결과로는 협력을 위한 주체가 가정(45%)이라고 가장 많이 답변하였으며, 교사교육이 매우 도움이 된다(52%)고 가장 많이 답하였다. 또한 유아 성 행동(문제) 대응 및 지도를 위한 대책으로는 유치원 환경 및 상황의 개선(31%)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 교사 대상 유아 성 행동(문제)과 관련한 연수가 꾸준히 이루어져 교사의 대응 및 지도 전문성을 강화해야 하며, 성교육 및 성행동(문제) 주제의 부모교육 필요성, 다양한 성 행동(문제) 사례집 발간 및 보급의 필요성, 예비교사단계에서 유아 성 행동(문제)관련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In this research,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regarding sexual behavior in children, we understand the application status of guidelines for managing and responding to sexual behavior (problems), find ways to operate them more effectively, and provide practical sexual behavior teacher education.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Methods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experience, and needs of experienced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sexual behavior, 153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e 1 Teacher Training’ in Gyeonggi-do for a total of 10 days starting January 2, 2024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survey with a total of 25 questions.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using SPSS 25, and in case of duplicate questions, rankings were calculated based on response frequency. Results Regarding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 and the sexual behavior (problem)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recognizing dolls related to play and guidance, the majority of teachers (45%) answered that they were at an average level, and that they considered children's sexual behavior as behavior. Thinking (54%) is the most common. Additionally, all teachers responded that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guidance are needed (100%). The main results regarding the instructor's experience related to infant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response and guidance include responses indicating that they have experience with infant sexual behavior (problems) (79.%) and response and guidance through consultation with families (20.8%). I think it got the most answer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families celebrate parties (45%) as the main form of recognition and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for play and guidance of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education was very helpful (52%). . Additionally, the most common need was for improvements in small environments and situations (31%) that represent response and guidance to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Conclusions Training related to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for teachers to strengthen teachers' response and guidance expertise,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on the topic of sex education and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various sexual behavior (problem) casebook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sexual behavior (problems) is needed at the pre-service teacher stage.

      • KCI등재

        유아의 기질,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차이 및 영향 연구

        최항준(Choi, Hang J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활동수준, 반응강도), 아버지 양육행동(강압적, 방임적, 논리적 설명)을 군집분석하여 각 집단 간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 내재화 문제행동(정서불안,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D”시의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만 3∼6세 유아 355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활동수준 기질은 강압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질은 강압적 · 방임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수준 기질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이 발생하였고, 반응강도 기질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강압적 · 방임적 양육행동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많은 반면, 논리적 설명 양육행동은 상위집단에서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덜하였다. 또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아의 반응강도․활동수준 기질, 아버지의 논리적 설명 · 강압적 양육행동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아의 반응강도 기질, 아버지의 논리적 설명 · 강압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기질 활동수준 · 반응강도가 높으면 아버지는 논리적 설명보다는 강압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고 유아의 외현화 ·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이 높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질적 특성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부정적 양육행동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by analyzing the infant’s temperament (activity level) and father"s nurturing behaviors (coercive, neglectful, logical explanation).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ggression, atten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emotional anxiety, anxiety/depression, somatic symptoms, atrophy) among th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5 infants aged 3-6 years and their parents who were reimbursed at the day care center of "D" city. The data for the study were verified by SPSS 18.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tivity level temperament is a coerc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 response intensity temperament was found to be coercive · neglectful nurturing behavior. The activity level temperament was also a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ggression, attention) in the upper group. The response intensity temperament appeared to be externalizing․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the higher group. The father"s coercive · neglectful nurturing behaviors were mostly externalizing․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the upper group. On the other hand, logical explanation nurturing behaviors were less externalizing ·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in the higher group. Through this study, the father had more coercive nurturing behavior when the infant"s activity level · response intensity level was higher. Thus, we confirmed that the infant"s externalizing ·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could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ant’s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vent the infant’s problem behaviors, which should provide multifaceted efforts to ensure that the quality of negative nurturing behaviors can change problem behaviors to positive nurturing behavio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이희영,최태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