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기관의 환경안전과 녹색구매 연계방안

        이정임,강철구,황지현,전소영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Environmental safety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s becoming an issue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chemical products. Therefore,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harmful factors is being strengthened under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safety management plan for childrens activity space.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on ‘environmental safety and green purchas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or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in this study, 94.1%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green purchases were necessary for the environmental safety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use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when renovating facilities in relation to the activity space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as high at 91.3%, indicating that the provision of eco-friendly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and consulting is necessary. In the case of product purchases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mall, private, and daycare centers have stronger demands for green purchas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troduction of policies related to environmental safety and green purchases for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s necessary with a focus on relatively small early child care institutions. As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purchasing green products after COVID-19, purchasing through the Internet was 73.2%, followed by purchasing through the Green Purchasing Support Center (43.5%). It is recommend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local Green Purchasing Support Center for support. Promo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green purchase and environmental safety are required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refore, the cooperation system of the relevant departments such as the Gyeonggi-do Environment Bureau and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need to be established and suppor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Gyeonggi Environmental Energy Agency as an enforcement agency to conduct green purchase and environmental safety affairs, and to use the Gyeonggi Green Purchase Support Center and the Gyeonggi Childcare Support Center as support agencies.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that encourage green purchasing and environmental safety to be effectively created together by including comfortable environment creation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criteria of green purchasing certific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덕목에 관한 연구

        김향미(Kim Hyang Mi),김덕선(Kim Duck Su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에 있어서 인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성교육은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며,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의 덕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 특성의 각 항목과 인성과의 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유아기는 발달 특성과 접목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유아기에 나타나는 발달 특성의 각 항목이 인성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발달 특성에 따라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기 발달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등이 있다. 이러한 학문체계에서 유아기 발달 특성을 분석해보면, 첫째, 신체 및 운동 발달이다. 둘째, 놀이 활동이다. 셋째, 인지능력의 발달이다. 넷째, 정서 발달이다. 다섯째, 성격 및 사회성 발달이다. 인성교육의 덕목으로는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 등을 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은 유아기에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덕목은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life cycle is made very effective in its infancy, and to present th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ecessary toughness characteristics of grafted and de-velopment. The reason is that each item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early childhood, because it is effective to execute the charact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general,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ories,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social psychological theory developed in Ericsson. Haebomyeon analyz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system, first, the physical and motor development. Second, the play activities. Thir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Fourth, the emotional development. Fifth,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Ther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caring,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filial piety and so on. In conclusion, character education is important to conduct research in early childhood through the present, and its virtues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유아기 상징적 놀이에서 나타나는 판타지의 교육적 함의

        오경희(Oh, Kyo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상징적 놀이에서 나타나는 판타지의 배움과 돌봄의 융합적 특성의 강조를 통해, 유아기 판타지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그 동안 유아교육과정에서 배제되었던 판타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교육학적 논의에서 판타지가 왜 중요한지를 인식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먼저, 판타지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기 판타지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아기의 판타지가 가지는 창조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유아기 판타지의 돌봄과 배움의 융합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유아기 판타지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논의들은 무엇보다 유아기 판타지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힘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판타지 교육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여긴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educational meaning of fantasy in the early childhood imaginative play by emphasizing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nd caring in early childhood fantasy. In the meantime, it was exclude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to arouse interest in fantasy by fantasies pedagogical discussion on wh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is to contribute to. Accordingly,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ntasy and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fantasy centered on the nature of childhood fantasy to have seen creative characteristics. Next, the childhood fantasy of the "care", "learning", "convergence" b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ildhood fantasy was browsing. Childhood fantasy of all these discussions about the meaning of education by broadening the width of recogni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specifically, a fantasy of looking for ways to b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민하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1

        타인과 긴밀한 정서적 유대감을 가지려는 인간 성향인 애착은 내적작동모델로 기능하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어머니의 성인애착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만족도 역시 긍정적 심리 요인으로 기능하면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애착인 성인애착이, 그리고 삶의 질을 반영하는 삶의 만족도가 양육행동 중 애정적 양육행동에 더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통해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는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내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331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하였으며 SPSS PC(15.0 version)프로그램의 단순 및 표준적 중회귀분석을 통해 유의수준 .05미만에서 자료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은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은 성인애착이 낮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을 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설명력은 성인애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 역시 삶의 만족도보다 성인애착에 의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애정적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에 있어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삶의 만족도보다 더 영향력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외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는 애정적 양육행동보다 거부적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힘이 더 크다는 것이다. 이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을 높이기보다 거부적 양육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 어머니 원가족 건강성, 자기분화, 부부갈등 간 구조적 관계

        김형주,이주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influence between the mother's role in the family-of-origin health, mother's differentiation of self, marital conflict, and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35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 and G to measure the variables of childhood child problem behavior,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mother'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confli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s the mediating variabl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conflict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ren. Results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mother’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other’s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ouple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fully mediated the level of mother's differentiation of self in th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rital conflict and mother differentiation of self between the and the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of the infant children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Conclusions For this reason, it was verified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in the mother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venting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measures were sought to prevent and reduce problem behavior of early childhood.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원가족 건강성, 어머니 자기분화, 부부갈등,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와 영향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S, G 소재 유아교육기관 재원 중인 435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자녀 문제행동, 어머니 원가족 건강성, 어머니 자기분화, 부부갈등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독립변인으로 어머니 원가족 건강성 매개변인으로 자기분화, 부부갈등 종속 변인으로 자녀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을 선정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원가족 건강성은 어머니 자기분화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은 유아기자녀의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은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에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원가족 건강성이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에 있어서 어머니 자기분화 수준이 완전매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가족 건강성과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 사이에 부부갈등과 어머니 자기분화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 발현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 어머니의 자기분화 수준울 높이는 것이 핵심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 기관에서는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자기분화 증진 프로그램개발과 부부갈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및 전문기관 연계하는 역할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기 시지각 발달과 캐릭터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정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7 No.2

        한국은 개인의 가치관 변화와 사회의 구조변동으로 인하여 급격한 출산율 저하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2004년 합계출산율은 1.16명으로 세계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이처럼 점점 줄어드는 출산율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자녀들의 교육에 대해 더욱 관심이 주목되고 있고, 유아기의 교육은 개인적인 발달과 성취뿐만 아니라 사회, 국가적으로도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유아기의 발달특성과 학습방법, 시지각에 대한 문헌적 연구와 시지각 원리에 의해 객관화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요인을 친근감에 두고, 이 친근감을 시지각적으로 유발하게 하는 조형의 특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선호도와의 관계를 캐릭터의 단순성을 대전제로 하여 순수성, 정면성, 도식성으로 분석하였다. 실질적 사례분석은 유아대상으로 한 브랜드의 캐릭터를 디자인 다속성 분석법을 통해 시지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15개의 캐릭터 샘플을 통해 느끼는 Arnheim의 10가지 시지각 요소들 중 유아기 시지각 발달에 맞는 조형적 단순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총 15개의 캐릭터 중 전체를 100%로 볼때, 47%가 순수성(간결성)의 요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67%가 정면성의 캐릭터였고, 54%가 외곽선을 가진 도식성이 고려된 캐릭터였다. 이는 다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캐릭터에 비해 단순성 요소의 정도가 높게 분포되었다. 둘째, 캐릭터의 단순성(간결성, 정면성, 도식성)의 요소와 선호도의 상관관계는 전체 74%가 단순성이 높을수록 선호도가 높게 분석되어, 유아기를 대상으로 하는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 요소 중 단순성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형태, 균형, 표현 등의 시지각 요소 외에도 운동, 역학요소 등 다양한 요소들과 캐릭터디자인에 관한 연구도 향후 진행되기를 기대하며, 상품캐릭터가 아닌 다양한 캐릭터 등에서도 시지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birthrate in Korea is rapidly going down due to the change of individual values and social structures. So average birthrate is 1.16 per person, Korea is one of the lowest birthrates in the world. Child education is throwing the spotlight compared with declining birthrate in Korea. Infant education is getting recognized for needs and importance in the perspective of countries as well as individual developments and achievements. This thesis is for the literature study of development features, studying methods and visual perceptions of infancy. And decision factors to be objective by the study are on familiarity. And I would like to write formative features that make visual and perceptional familiarity time to time. I analyzed innocence, frontlet and diagramming based on simplicity of character. The actual example test for infancy is to target brand charters and analyze visual perception elements through Multi-Attribut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result of experiments, if characters easily recognized by infants are used with simple formal compositions, they are interested more in characters than in colors. Suitable characters are able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favorites through hailing for infant products. I look forward to studying exercise and dynamics elements except thesis-form, balance, expression and so on. And I strongly look forward to studying the visual perception for various characters beyond product characters.

      • KCI등재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 고찰

        지옥정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clarifies the contextual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Australia, focused on the state of Queensland. This study uses three methods: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materials, interview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specialists, and field observation in Queensland state. The analysis of contextual backgrounds shows the following: 1) overall empha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ll education levels; 2) reflection of sustainability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3) strengthening the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 maintaining consistency in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government offices. Moreover, this study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as the following: 1) activ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organizing networks; 2) empha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at a national level; 3) united efforts from the related personnel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4) emphasis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are determined to be the following: 1) administration of program focusing on sustainability; 2) a whole setting approach; 3) particip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4) raising preschool children's awareness as citizens through participation in local social issues; and 5)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constructivism. In conclusion,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begin in early childhood, and every related institution, organization, and concerned party in the community should join forces with 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세 가지로서 관련 문헌과 인터넷 자료의 수집 및 분석, 퀸즈랜드 주의 유아기 환경교육 전문가 면담, 그리고 퀸즈랜드 주 내의 유아기 환경교육현장 참여관찰이다. 분석결과,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은 ‘교육 전 분야에서 환경교육 중시’, ‘유아교육과정에 지속가능성 반영’, ‘유아교육체제 강화’, ‘유보관리관청의 통합을 통한 일관성 있는 교육 추진’이었다. 그리고 발전과정 상의 특성은 ‘유아기환경교육네트워크 조직을 통한 환경교육 활성화’, ‘국가 차원에서 유아기부터의 환경교육 중시’, ‘유아교육 관계자 연합 노력’, ‘지속가능성 관점 강화’로 나타났으며, 현행 환경교육 운영 상에 나타난 특성은 ‘지속가능성 추구의 프로그램 운영’, ‘기관 전체 접근’, ‘형식적 교육기관 외에도 다양한 기관이 환경교육에 참여’, ‘유아의 지역사회 문제 참여로 시민의식 고양’,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활동’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환경교육도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유아기를 시작 시점으로 한 환경교육’으로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형식적 교육기관에서의 환경교육을 넘어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 단체, 그리고 관계자들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 KCI등재

        부모의 공동양육 정도, 부모의 행복감, 부부갈등이 유아기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미애,김효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parenting, happiness, and marital conflict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n the happiness of infants and children. To this end, 1,359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raw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2014).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SPSS 22 program as. Specificall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as performed. Final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lped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e existence of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e., coparenting, happiness, marital conflict, and young children’s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Second, joint parenting and the happiness of fathers and mot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mothers had a higher relative influence than fathers. Marital conflict between fathers and mot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fathers had a higher relative influence than mothers. Therefore, coparenting, happiness, and marital conflict between parent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the coparenting process may also have different impacts on early childhood.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의 공동양육과 부모의 행복감 및 부부갈등이유아기 자녀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7차(2014)년도 원자료를 사용하여 취학 전 유아와 그 부모 135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SPSS 22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부모의 공동양육, 부모의 행복감 및 부부갈등, 유아기 자녀의 행복감의 요인들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공동양육, 행복감, 부부갈등, 유아기 자녀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요인들 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공동양육, 행복감은 유아기 자녀의 행복감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갈등 요인은 유아기자녀의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공동양육, 행복감, 부부갈등 요인이 유아기 자녀의행복감에 상대적으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부모가 공동양육하는 과정에서 유아기 자녀에게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척도 개발 방향 및 구성 요인 탐색

        김선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행복 관점을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척도개발 방향 및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관련 선행연구 및문헌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녀발달에 따른 어머니발달단계를 구성하여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역할과업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아기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방향 및 척도의 구성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에 척도의 개발 방향은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여러 상황 맥락을 고려한 어머니의 개인내적 행복지향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로 전문가 의견이 모아졌다.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척도의 구성 방향은 행복에 관한 어머니의 개인내적 측면, 유아기자녀 어머니의 역할과업 측면, 긍정적 관계 측면, 그리고 현실상황을 반영한 현실적·외재적요소 측면 등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nd components for flourishing measur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t based on the concept of flourishing that the positive psychology suggests implies the meaning and goals of life beyond just taking happiness as a part of positive emotions including temporary satisfaction and delight. To do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role task development stag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arent development stage theory of previous studies. Second, focus group interview data gathered through this study are based on the perception ab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components of the scal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scale was summarized as the goal of the scale, the scale composition system, the measurement method, the developmental meaning and other opinions. The components of the scale were revealed by the individual internal factor of the mother, the factor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mother's role in early childhood,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external factor reflecting reality.

      • KCI등재

        유아기 어휘력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 고찰: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 ( Park Sungmin ),임정하 ( Lim Jung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유아기의 어휘력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분석대상 논문을 바탕으로 유아기 어휘력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기 어휘력에 관한 논문 총 8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유형, 연구대상, 어휘력 변인 유형, 측정도구, 어휘력과 함께 분석된 변인들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유아기 어휘력에 대한 연구는 2010년대에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주로 횡단적 접근법을 활용한 경험적 연구가 많았다. 유아의 어휘력은 일대일 개별 면접 방식으로 평가된 경우가 많았으며, 어휘력 변인은 주로 종속변인으로 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어휘력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으로는 인지발달 영역의 변인이, 환경적 특성으로는 교육기관 특성 중 활동 및 프로그램 변인과 가족 특성 중 부모 변인이 주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 어휘력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n vocabulary size during early childhood in South Korea. First,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s and findings from studies on vocabulary size was conducted. Seco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t to vocabulary size were extracted from published articles. A total of 81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analyzed regarding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instruments, type of variable, and relev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al domain. Results indicated that the articles on vocabulary size of early childhood have been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2010s. A structured interview method was most commonly used to assess the child vocabulary size. Vocabulary size was used mainly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ross-sectional approach. Findings also demonstrat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linked to vocabulary size were primarily cognitive factors including reading skill, memory, intelligence, theory of mind, etc. Environmental factors linked to vocabulary size were mainly preschool activity and programs. Future directions on studies of vocabulary size during early childhood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