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운전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순열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1

        본 연구는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운전자 62명을 대상으로 위험감수성 및 위험감수성 하위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운전자 집단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4시간 단회기 운전자 교육과 기존의 4시간 운전자 교육을 실시하였다. 2주후 위험감수성 수준을 교육전과 비교하였을 때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위험감수성 수준이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위험감수성의 향상 정도는 위험감수성(Risk Sensitivity: RS) 측정 문항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위험감수성 측정문항은 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험지각과 불안정서에 대한 부분을 측정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은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의 위험감수성 수준은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복측정 ANOVA와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해서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4시간 단회기의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기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위험감수성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서 개발된 위험감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이 운전자들의 위험 운전행동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다양한 운전자 위험행동에 적용 가능한 위험감수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 및 환경요인과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정석,홍아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isk-taking climate on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rocess engagement,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managerial risk-taking. 370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to analyze the data. Following are the result of study: First risk-taking climate had a positive impact only on radical creativity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mediate the relationship of risk-taking climate and radical, incremental creativity. Second, on low managerial risk-taking group,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taking climate and radical creativity and mediating effect of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These results mean that active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and external explor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in common to express radical and gra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s risk-taking climate and the leader's risk-taking tendency must be supported for radical creativity. 이 연구는 위험감수 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 속에서 창의적 과정몰입과 외부 네트워킹행동의 매개효과와 리더의 위험감수경향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업 구성원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위험감수 풍토는 급진적 창의성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위험감수 풍토와 급진적, 점진적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창의적 과정몰입과 외부 네트워킹행동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리더의 위험감수 경향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리더의 위험감수 경향이 낮은 집단에서는 위험감수 풍토와 급진적 창의성간에 관계가 없었으며, 위험감수 풍토가 외부 네트워킹행동을 통해 급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급진적, 점진적 창의성 발현에 공통적으로 구성원의 적극적인 창의적 인지과정 활용과 외부 탐색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급진적 창의성 발현을 위해서는 조직의 위험감수 풍토와 리더의 위험감수 경향이 뒷받침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감수 풍토 조성과 리더의 적정수준 위험감수 독려를 위한 HR부서의 역할을 제시하고 구성원이 창의적 과정몰입과 외부 네트워킹행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급진적, 점진적 창의성 발현을 위한 환경 마련과 구성원 역량개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BART와 K-DOSPERT로 알아본 한국인의 위험감수경향

        홍종인(Jong In Hong),이영렬(Young Ryeol Lee),김경희(Kyoung Hee Kim),박진영(Jin Young Park),박성혁(Sung Hyuk Park),이건석(Gunsuk Lee),이재원(Jaewon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0 사회정신의학 Vol.15 No.1

        연구목적: 위험감수경향을 5개의 항목별로 평가할 수 있는 영역별 위험감수척도(Domain-specific Risk-taking Scale;DOSPERT)의 한국어판인 K-DOSPERT를 제작하여 표준화하고, 전산화된 위험감수경향 검사인 풍선위험검사(Balloon Analogue Risk Task;BART)와 K-DOSPERT를 사용하여 한국 정상인의 위험감수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50명의 성인 남녀가 K-DOSPERT 표준화 연구에 참여하였다. 신뢰도 평가를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타당도 평가를 위해 제 11 판 한국판 바렛충동성검사(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위험 행동 및 위험인지점수의 상관성을 기존 외국 연구와 비교하였다. 또한 41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BART와 K-DOSPERT 를 시행하여 두 검사결과를 비교하고, 성별 및 손잡이에 따른 위험감수경향을 알아보았다. 결 과: K-DOSPERT의 Cronbach’ s alpha 계수는 위험감수 및 위험인지 모두 0.84였고, 항목별로는 사회성을 제외한 나머지 위험 항목이 0.6 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BIS와 비교한 결과 위험감수경향이 높을수록 충동성이 높은 모습을 보였다. 위험행동과 위험인지점수는 서로 역 상관관계를 보여(r=-0.55, p<0.01) 외국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BART와 K-DOSPERT를 함께 시행한 결과 BART지수가 높게 나타난 집단이 K-DOSPERT 결과 위험감수성이 높게 나타났고, 남자및 오른손잡이는 여자 및 왼손잡이를 포함한 양손잡이에 비해 위험감수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결 론: K-DOSPERT는 한국인의 위험감수경향을 평가하는 도구로 적합하며, 위험감수경향의 평가가 필요한 개인 및 특정 집단에 대한 BART와 K-DOSPERT의 이용을 통해 추후 사회문제의 예방 및 대책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Objectives:This study aims to make and standardize Korean version of Domain-specific Risk-taking scale(KDOSPERT) that can evaluate risk-taking propensity according to five risk domains, and look into risk-taking propensity of Koreans by using computerized behavioral task Balloon Analogue Risk Task(BART) and K-DOSPERT. Methods:150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K-DOSPERT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reliability evaluation, the study calculat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looked into relations with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and compared relations with risk taking and risk perception with existing oversea researches. In addition, it conducted BART and K-DOSPERT to 41 men and women to compare results of the two tests and examine risk-taking propensit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handedness. Results:K-DOSPERT’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dicated that both risk taking and risk perception were 0.84, and risk domains except for social domain were shown more than 0.6 and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BIS, the higher risk-taking propensity was, the higher impulsiveness was found. As risk taking and risk percep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0.55, p<0.01) which is similar to foreign study result. BART and K-DOSPERT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 BART index had higher risk-taking propensity according to K-DOSPERT results, and men and the right-handed had higher risk-taking propensity than women and the left-handed and the mixed-handed. Conclusion:K-DOSPERT is suitable as a tool to evaluate risk-taking propensity of Koreans, and it is expected to help prevent social problems and prepare for countermeasures by using BART and K-DOSPERT to individuals and specific groups that need the evaluation of risk-taking propensity.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재무위험감수성향 영향요인 연구

        장연주(Youn Ju Jang),최현자(Hyun Cha Choe) 한국FP학회 201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5 No.2

        본 연구는 재무위험감수성향(Financial Risk Tolera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 각 영향요인의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007 펀드투자자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Grable(2008)이 제시한 이론적 모델을 토대로 실증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무위험감수성향의 영향요인을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경험 및 인식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재무위험감수성향 수준에 따라 고위험추구 집단, 위험추구 집단, 위험중립 집단, 위험회피 집단의 4집단으로 구분하고 위험중립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다항로짓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재무위험감수성향은 연령, 성별 등의 인구학적 요인과 교육수준, 직업, 금융자산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투자경험, 객관적 및 주관적 금융이해력, 향후 경기에 대한 전망 등 경험 및 인식관련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위험감수성향에 대해 판단할 때에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 하며, 재무위험감수성향이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금융소비자의 재무위험감수성향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경험이나 지식 등 경험 및 인식관련 요인을 통해 변화를 유도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위험회피 집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여성이나 중노년층이고, 교육수준과 객관적인 금융이해력 수준이 낮으며 투자경험이 없는 소비자였다. 이것은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소비자의 경우 위험회피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financial risk tolerance, including not only demographic or financial factors but also factors related to experience or cognition. Using the 2007 Survey of Funds Investors, the empirical model modified conceptual model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by Grable (2008) was test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financial risk tolerance is affected by not onl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education, occupation, and financial assets, but also factors related to experience or cognition such as investment experience, subjective and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economic prospects. This result suggested that financial risk tolerance is a construct affected by multidimensional aspects and cannot be measured directly with measurement consisting of a certain aspect. Therefore, when estimating financial risk toleranc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Second, financial risk tolerance is affected by factors related to experience or cognition such as investment experience, subjective and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economic prospects tha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financial risk tolerance is changeable and provides political and working level implications. Thus we should seek realistic solutions with factors related to experience or cognition such as knowledge, and experience to change levels of financial risk tolerance toward a favorable direction. Thir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group of risk averse is female, middle or old aged. Also, they have no investment experience and their level of education and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is low.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the vulnerable included in the group of risk averse is strong. Thus, political support that enhances the capacity of risk management for the vulnerable is needed.

      • KCI등재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에 관한 연구

        김명희 ( Kim Myeong Hee ),김지연 ( Kim Ji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을 파악하며, 위험감수놀이 확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식은 어떠하며, 위험감수놀이 운영,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2021년 1월 18일부터 2021년 3월 15일까지 면담이 이루어졌다. 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인식은 부족했으나, 위험감수놀이가 유아들에게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험감수놀이에 영향을 끼치는 교사의 특성은 교사의 성장과정 및 부모의 양육방식, 위험에 대한 태도, 교사의 성별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에서의 위험감수놀이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위험감수놀이 실시 시 어려움은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의견 차이, 기관의 철학 및 환경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감수놀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위험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과 학부모, 교사, 기관이 놀이 학습공동체 형성을 통한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regarding the risky play by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o help promote the risky play in the field. The perception of the risky play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risky play and obstacle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were observed.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eachers did not have enough awareness of the risky play, they agreed that the risky play is necessary for childre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isky play was influenced by their growth, parents up-bringing and gender. Seco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tated that children’s risky play has not been implemented enough at childcare centers.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face when the risky play were opinion differences with the children’s parents or fellow teachers, the institution's philosophy and environment. They also responded that as a way to revitalize risky play, it is necessa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risk and to make practical efforts by building a learning community of parents, teachers, and childcare centers.

      •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과 위험에 대한 인지와 두려움과의 관계

        김혜금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6 아동중심실천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에 위험에 대한 인지와 위험에 대한 두려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6년 3월을 기준으로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 2, 3학년 아동으로서 만 6-8세 아동 150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아동의 위험에 대한 인지 검사, 위험에 대한 두려움 척도, 그리고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 측정 도구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에 있어서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과 아동의 위험에 대한 인지 및 위험에 대한 두려움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독립변인인 아동의 연령, 성, 위험에 대한 인지, 그리고 위험에 대한 두려움이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은 아동의 연령 및 성과 상관이 있었다. 연령이 적을수록 위험 감수 행동을 더 많이 하였고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은 위험 감수 행동을 보였다. 둘째,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은 아동의 위험에 대한 인지와 위험에 대한 두려움과 의미있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은 아동의 연령 및 성별, 위험에 대한 인지, 위험에 대한 두려움 요인에 의해 설명되었다. 즉 학령기 저학년 아동은 연령이 높을수록, 여아 일 경우, 위험에 대한 인지를 잘 할수록, 그리고 위험에 대해 두려워할수록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요인이 안전사고 상해 위험에 미치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학령기 저학년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아동의 위험 감수 행동, 위험에 대한 인지, 위험에 대한 두려움

      • KCI등재

        폭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위험감수 성향이 고열량 음식 섭취에 미치는 영향

        신성경,이장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2

        본 연구는 중독행동 유발과 관련이 있는 위험감수 성향이 폭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고열량 음식 섭취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총 465명의 대학생을 폭식 척도의 절단점을 기준으로 심각한 폭식경향(40명)과 중간 수준의 폭식경향(40명)으로 분류한 뒤, 모든 참여자에게 풍선 위험 과제로 위험감수 성향을 측정하고 보거스 맛 테스트로 고열량 음식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풍선 위험 과제는 풍선이 터지기 전까지 팽창시켜 금전적 보상을 획득하는 과제로, 각 개인이 풍선이 터지는 위험을 언제까지 감수하는지 확인하여 위험감수 성향을 측정한다. 실험 결과, 위험감수 성향이 폭식경향자의 고열량 음식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감수 성향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여 폭식경향자의 고열량 음식 섭취량을 위험감수 성향이 변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폭식경향과 위험감수 성향이 모두 높은 경우 고열량 음식 섭취량이 가장 많은 반면, 폭식경향과 위험감수 성향이 모두 낮은 경우에 고열량 음식 섭취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위험감수 성향이 폭식경향자의 고열량 음식 섭취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두 요인이 결합된 위험감수 성향이 높은 심각한 폭식경향자는 고열량 음식의 위험을 감수하고 자극적인 맛의 고열량 음식을 추구하는데 비해, 위험감수 성향이 낮은 중간 폭식경향자는 고열량 음식의 맛과 위험을 추구하지 않으므로 고열량 음식 섭취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sk-taking which causes addictive behaviors on high-calorie food intake in University students with binge eating tendency. For this purpose, 465 undergraduates were divided into severe-binge group (n=40) and moderate-binge group (n=40) using binge eating scale. All participants did the Balloon Analogue Risk Task (BART) to assess risk-taking and the bogus taste test to measure the high-calorie food intake. BART is a computerized task pumping a balloon to get monetary compensation until it pops up, participants can decide either to keep pumping a balloon with risk or stop pumping to save money.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signifying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binge eating tendency and higher risk-taking level consumed the most high-calorie food while individuals with lower binge eating tendency and lower risk-taking level consumed the least high-calorie food. This suggests that risk-taking is a factor moderating the high-calorie food intake of binge eaters, severe-binge eaters with high risk-taking pursue the palatable taste and take the risk of high-calorie food, whereas moderate-binge eaters with low risk-taking do not pursue the taste and risk of the high-calorie food and show the least intake.

      • KCI등재

        가계투자에서의 위험감수성향 판별변수조사 및 위험감수성향에 따른 가계재무관리 특성 분석

        허경옥(Kyungok Huh),유수현(Soohyun Yoo) 한국FP학회 201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첫째, 가계투자와 관련한 위험감수성향을 나타내는 요인을 조사하고 위험감수성향에 따라 위험감수형, 위험중립형, 위험회피형 집단으로 구분한 후 이 세 집단을 판별하는 변수가 무엇인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3 집단이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가계경제 및 재무구조 특성, 가계재무비율, 가계재무의 객관적?주관적 재무복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 예금을 보유한 가계, 주식을 보유한 가계, 매월 저축을 하는 가계의 위험감수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금액수, 월보험지출액수는 위험감수형 집단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총부채액수는 위험회피형 집단에서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총자산중 실물자산비율은 위험회피형 또는 위험감수형 집단이 위험중립형 집단에 비해 높았고, 유동성을 나타내는 총자산중 금융자산의 비율은 위험중립형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계순소득은 위험회피형 집단에서 7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위험중립형 집단에서 44만원, 위험감수형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관적 재무복지수준은 위험감수형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결혼여부와 연령이 위험감수형, 위험중립형, 위험회피형 집단중 중 어디에 속할 것인지를 판별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In this research, first, we searched elements which indicate inclinations of risk acceptance related to household investment, divided into risk acceptance, mid risk, and risk avoidance according to inclinations of risk acceptance and researched variables to distinguish the three groups. Also, we studied if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economy and financial structure, household financial ratio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welfare of household with the above three groups.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high inclination of risk acceptance in households which have savings every month, graduated students, households with deposits and households with stocks. Also, in risk acceptance groups, the amount of deposits and monthly insurance costs were meaningfully high. The whole amount of debt was much more in groups of risk avoidance. Second, the real assets to total assets ratios of the group of risk acceptance or of risk avoidance,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 And it showed, the highest ratio of financial assets to total assets which appears liquidity in a group of mid risk. Third, the household net profits were the highest, at 780,000 won for the risk avoidance group, 440,000 won for the mid risk group, and a deficit in the risk acceptance group. In contrast, the subjective financial welfare level was meaningfully high in a group of the risk acceptance group. Finally, age and marital status are meaningful variables to distinguish risk acceptance, mid risk and risk avoidance groups.

      • 가구주의 위험감수성향에 따른 가계금융자산 포트폴리오 구조 분석

        허경옥,이현진,최미향 한국재무학회 2010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05

        본 연구에서는 가구주의 위험감수성향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에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가계경제적 특성, 가계금융자산 포트폴리오 항목별 자산규모 및 항목별 구성비 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가구주의 위험감수성향, 사회ㆍ인구학 적 특성, 가계경제적 특성이 가계의 금융자산 항목별 자산증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주의 위험감수성향 에 따라 구분한 집단의 자가 소유여부, 자가외 부동산 소유여부, 총금융자산, 총소득, 근로소득, 보험, 계, 빌려준 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주의 위험감수성향에 따라 구분한 집단의 가계금융자산 항목별 구성비를 살펴본 결과 위험회피유지형과 위험회피로변화형은 예금과 같은 안전자산보유 비중 이 높았고, 위험추구유지형과 위험추구로변화형은 예금과 같은 안전자산은 물론, 주 식과 같은 위험자산과 보험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산항목별 증가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예금은 지방에 거주 하는 경우, 자가를 보유한 경우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식은 연령이 낮을수록, 대 졸이상의 학력자, 관리직, 임금근로자, 자가 보유자, 개인 근로소득과 순자산과 부채 가 많을수록, 그리고 위험추구로변화형 집단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험은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 기타 지방에 거주자, 거주외 부동산을 소유한 자, 근로소득과 순자산이 많을수록, 위험추구로 변화형 집단의 경우 증가할 가능성이 높았다. 계는 여성, 기혼자, 근로소득이 많을수록, 위험추구형과 위험추구로변화형일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광역시 지방에 거주하는 경우, 위험추구형일 경우 타인에게 돈을 빌려줄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ehold economics situation, especially on portfolio budget size of each item and the component ratio difference among groups divided by the finance risk tolerence of householder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oes socio-democratic characteristics, household economic situation, and risk tolerance of house holders affect whether financial asset is increased.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regarding the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ariables of a family’s own house and property, total financial assets, annual household total income, and annual earned income of a householder,insurance, a credit union, and lent money. Second, risk-averse group 1 and group 4 had a large part on safe assets like savings while risk-taking group 2 and 3 showed high percentage on insurance as well as risky assets like stock. Third, people who lived in a local area and had their own house had a possibility of money-deposit increase. As to the stock, when people were young, in an administrative position and a wage earner, and had a bachelor’s degree or above, their own house, and personal wage income, net worth and debt, the variable risk-taking type had a more possibility of money-deposit increase than the risk-averse type. With regards to the insurance, people who were young and a variable risk-taking type, married, lived in a local area, had property besides their living house, wage income and net worth had a bigger possibility of insurance increase. As to a private personal banking, people who were women and the risk-taking type and the variable risk-taking type, married, and had wage income showed a bigger possibility of private personal banking increase. Regarding the lent money, people who lived in a local area had a bigger possibility of lenting their money to their people.

      • KCI등재

        위험감수성(Risk Sensitivity) 측정문항 개발과 그 적용의 타당성 : 불안정서와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이순열 한국교통연구원 2015 交通硏究 Vol.22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validate and develop a risk sensitivity measure i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the administration of a questionnaire in Korea. As a result, a 35-question risk sensitivit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414 drivers located in seven regions in Korea. The factors analysis revealed two meaningful factors (anxiety Emotion and risk perception) out of the nine total factors. When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primary factor was calculated, all sub-scale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Cronbach's α. Correlations with risk driving behaviors (speeding, drunk driving, etc.) and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DS-CBS) supported consistently the validity of the risk sensitivity measure. Finally the result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운전자가 경험하는 교통상황에서 발생된 위험에 대한 주관적 위험 예민함을 측정할 수 있는 위험감수성 측정문항의 개발과 사용 타당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서 414명의 운전자들에게 35개의 위험감수성 예비문항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불안정서, 위험지각) 요인으로 구성된 총 9개 문항의 위험감수성(RS)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들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양호한 값이 나타났다. 타당화 연구를 위해서 위험감수성(RS) 측정 문항과 위험 운전행동 경험들(음주운전 시도횟수, 음주운전 처벌횟수, 과속단속 경험횟수, 기타 법규위반 경험횟수)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위험감수성(RS) 측정 문항은 위험한 운전행동 경험들과 모두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감수성(RS) 측정 문항 점수의 고·저에 따라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역행적 운전행동과 교통안전에 도움이 되는 순행적 운전행동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의 역행적 대처요인과 순행적 대처요인에 위험감수성(RS) 측정 문항 점수 상위 25%와 하위 25%로 운전자 집단을 구분하여 더미변수 변환을 통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위험감수성이 높고 민감한 운전자 집단의 역행적 운전행동은 줄어드는 반면에 순행적 운전행동은 증가하였고, 반대로 위험감수성이 낮고 둔감한 운전자 집단의 역행적 운전행동은 증가하는 반면에 순행적 운전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위험감수성(RS) 측정 문항 개발(불안정서와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한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