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 권리 관련 기후위기 문제에 대한 아동⋅청소년 인식 및 대응 활동 참여 실태 조사

        김민주,이성희,신동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3 No.1

        이 연구는 아동 권리와 관련한 기후위기 문제를 아동·청소년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활동의 참여 실태는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국에 있는 660명의 초·중·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동 권리와 관련한 기후위기 문제 인식, 기후위기 대응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참여 실태를 온라인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설문 문항별로 분석하였고,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독립 표본 T 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은 아동 권리와 관련한 기후위기 문제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데, 관련 교육을 받았는지에 따라 기후 정의 의식, 기후위기에 대한 전반적 의식, 기후위기 대응 행동 의향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동·청소년들은 아동 권리와 관련한 기후위기 대응 활동이 주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 있을 것이라고 보았지만 정부 정책이나 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그보다는 낮을 것으로 보았다. 셋째, 아동 권리 관련 기후위기 대응 활동에 40.2%의 아동·청소년이 참여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참여 여부에 따라 아동·청소년들의 기후위기 관심도, 지식의 정도, 심각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아동·청소년의 권리와 관련지어 기후위기 대응 교육을 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기후위기 대응 행동 의지를 높이고 기후위기 관련 의사 결정에 아동·청소년이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몽골 아동이 지각한 가정경제 및 가정분위기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경험의 차이

        덜거르마,류다현,정소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ld abuse experiences among the levels of home economy and family atmosphere perceived by Mongolian children. A total of 250 students in grades 6, 7, and 8 of A Middle School in Tuv aimag Zuunmod ho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cale measu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scale of the levels of home economy, and the scale of experiences of child abuse. The questionnaires in Korean were translated by a Mongolian expert in translation and underwent a verification proces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ongolian surveyors. The frequenci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collected data were obtained and two-way ANOVAs and Scheffe t-test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to verify differences in experiences of child abuse by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for the levels of home economy and family atmosphere perceived by Mongolian children, the effects of interactions and the main effect of the levels of home economy on the child abuse experience were shown to be not significant while the main effect of the family atmosphere level was shown to be significant. When concretely examined, the levels of family atmosphere perceived by the children were three levels; not peaceful, moderate, and peaceful, and these three lev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subtypes of physical abuse experience,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neglect experience, and the overall child abuse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of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family atmosphere as 'not peaceful' had more experiences of all kinds of abus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본 연구는 몽골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로서, 가족 요인인 가정경제와 가정분위기의수준에 따라 아동학대경험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Tuv aimag Zuunmod hot에 있는 A 중학교 6, 7, 8학년 25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문항, 가정경제수준 척도, 가정분위기수준 척도, 그리고 아동학대경험 척도였으며, 한글로 된 질문지를 몽골의 번역전문가가몽골어로 번역한 후 검증과정을 거쳐 몽골의 조사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수준별 아동학대경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원 분산분석과 Scheffe t-test를 SPSS 25.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몽골 아동이 지각한 가정경제수준과 가정분위기수준은 아동학대경험에상호작용의 효과와 가정경제 수준의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가정분위기수준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동이 지각한 가정분위기 수준은 ‘화목하지 않음, 보통, 화목함’의 세 수준으로 신체적학대경험, 정서적학대경험, 방임경험의 세 하위 유형과 전체 아동학대경험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정분위기를 ‘화목하지 않음’으로 지각하는 아동의 집단이 모든 학대경험이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위기 아동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책무 및 역할연구

        조은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0 宗敎敎育學硏究 Vol.34 No.-

        기독교교육은 언제나 삶의 자리에서 시작한다. 현재 우리 한국의 상황 속에서 아동들에 대한 보고는 위기를 느끼게 한다. 전반적으로 배움의 과정에서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친구, 또는 부모와의 관계가 건강하고 전인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위기” 속에 놓여있는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정의 해체와 빈곤의 심화 등으로 육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상황 속에서 위기를 맞이하는 아동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이 감당해야 하는 빈곤에 놓인 아동들에 대한 교회교육적 책임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교회교육적 책임을 논하기 위한 신학적 근거는 기독교 신앙의 통전성이다(시편 146편). 기독교교육차원에서 살펴보았을 때 개신교 아동교육의 주요한 체계인 ‘주일학교’의 태동이 빈곤과 위기상황에 놓인 아동들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응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 사회 속에 놓인 빈곤아동들을 위한 이론적 실제적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독교교육의 응답과 책무를 모색하였다. 첫째, 기독교교육의 디아코니아적 활동에 대한 관심과 간학문적 접근이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둘째, 현재 교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회아동교육의 영역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아동센터의 운영, 아동을 위한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 같은 교육을 통하여 위기에 처한 아동들에 대한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의 사회 참여적 활동 및 책임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연합적이고 교단적 차원에서 해야 하며 교회의 사회적 책무 및 참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와 노년기 삶의 만족도:국민연금 소득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연,김민정 한국사회정책학회 2023 한국사회정책 Vol.30 No.3

        본 연구는 생애과정관점에 기반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 경험이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국민연금 소득액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16차 자료를 활용, 2021년 기준 만 65세 이상 3,224명을 두 코호트로 구분하여 잠재계층분석 및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는 아동기 주거주지, 경제적생활상태, 학업중단경험, 원가족해체경험, 부(모)학력의 위기 정도 및 양상에 따라, 저위험형, 고위험형, 경계형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며, 한국전쟁시기 아동기를 겪은 코호트1이 코호트2에 비해 저위험형이 적고 고위험형이 많게 나타나는 등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코호트 모두에서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 유형이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저위험형 대비 고위험형일 때 노년기 삶의 만족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가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효과는 국민연금 소득액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특히 저위험형 대비 경계형(코호트2) 및 고위험형(코호트1,2)에서 국민연금 소득액이 높을수록 조절효과가 강화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생애초기인 아동기에 겪은 위험 경험이 노년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위험축적모델의 작동을 실증하였으며, 이에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에 대한 조기개입과 더불어 특정시점의 위험이 생애후기경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전생애적 접근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조절해주는 국민연금의 영향력이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 정도가 클수록, 그리고 최근 코호트에서 더 확대됨을 고려하여, 연금 수급시기 지연 및 소득대체율 하향의 개혁방향에 대한 보다 신중하고 세밀한 접근과 국민연금 사각지대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 pension income from a life course perspective. First, we find that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low-risk, high-risk, and borderline in both cohorts, but cohort 1 has fewer low-risk cases and more high-risk cases than cohort2. Second, in both cohorts, the type of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has an invers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with higher risk individuals reporting lower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Third, the national pension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 of childhood socioeconomic crisis on later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strengthened by higher national pension income in the borderline(cohort2) and high-risk(cohort1,2) groups. This study confirms the operation of the risk accumulation model that childhood socioeconomic crisis experiences affect later life, and suggests a whole-life approach to intervene early in childhood socioeconomic crisis and prevent it from leading to later life experiences. Given that the impact of the national pension is greater for the more severe childhood socioeconomic crisis and the more recent cohort, we suggest a careful and detailed approach to the reform direction of delaying pension receipt and lowering the income replacement rate, and an active discussion on the blind spots of the national pension.

      • KCI등재

        위기아동 보호를 위한 가정위탁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봉수(Bong-Soo Kim),김도우(Do-Woo Kim),이은주(Eun-Joo Lee) 한국공안행정학회 202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2 No.2

        2021년 8월 보육원에서 생활했던 두 청년이 잇따라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두 청년의 상황은 조금 달랐다. 숨진 ㄱ씨(19)는 만 18세가 된 후 자립을 원했지만 보육원에서는 시설을 나가지 말 것을 권했다. 그는 시설 소속의 ‘보호연장아동’이었다. 또 다른 청년 ㄴ씨(19)는 우울증을 겪었고 원가정 복귀(보육원 퇴소)를 여러 차례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ㄴ씨는 원가정이 있는 아동보호치료시설로 보내졌다. 시간이 지나고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나온 ㄴ씨는 만 18세가 되기 보름 전에 원가정으로 되돌아갔다. 시설에서 만기 퇴소를 하지 않은 ㄴ씨 같은 이들을 ‘중간 보호종료아동’이라고 부른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ㄴ씨처럼 보호가 중단된 아동은 1367명이다. 연 2500명 수준인 ‘보호종료아동’의 절반이 넘는 수치다. 보건복지부의 ‘보호대상 아동 현황보고’ 집계에 따르면 가정위탁 보호율은 가정위탁사업이 도입된 2013년 이후 20%대에서 2020년 25.9%, 2021년엔 29%로 증가했으나, 보호가 필요한 아동 중 가정에 위탁되는 경우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아동복지법」 제3조 제4호에 따르면 보호대상아동이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은 시설입소가 아닌 입양, 가정위탁 등 가정형 보호서비스를 받도록 하고 있다. 이는 동법 제48조에 의거하여 지방자치단체는 보호대상아동에 대한 가정위탁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시․도 및 시․군․구에 가정위탁지원센터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 및 증진을 위해 관련 법률 및 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나, 보호종료아동은 여전히 자립의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호종료아동의 가장 대표적인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 그 다음으로 심리 및 정서적 어려움으로 자아존중감과 유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보호종료아동은 보호가 종료된 후 시간이 지날수록 불안, 우울의 정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적절한 심리 및 정서적 지원의 부재로 인해 그 어려움이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호종료가 되는 아동들은 위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고, 가족관계의 어려움, 생활고의 고통 등을 참지 못하고 앞에서의 사례들처럼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위기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한 사례관리 및 아동의 안전을 보호하는 시설은 자립을 돕기 위해 필수적인 요건이지만 위탁가정의 고령, 질병, 경제적 어려움 등 복합적인 어려움으로 고위험군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위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가정위탁제도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The home consignment system provides protection for children exposed to crisi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s a necessary system for children subject to crisis protection to live in foster hom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id that from June 22, 2022, children subject to protection can be extended to 25 years old (to 24 years old) at their will, allowing them to enter society after fully preparing for self-reliance. Until now, children living in child care facilities had difficulty living alone at an early age,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elf-reliance preparation, except in some exceptional cases (schools below universit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t the age of 18. With this revision, if the self-reliance ability is insufficient during the extension of the protection peri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terminate the protection measures by comprehensively determining one's intention and level of self-reliance preparation. However, consignment families still lack childcare support funds, supply and demand costs far from reality, and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systems. It is not easily accessible to general families, such as strict management of related agencies, notification of the return of supervisory agencies to the original course, qualification of foster families, screening, and management issues. It has been almost 20 years since the home consignment system was established, but it is still a big homework for us. The United States goes through complex procedures and screening to become a foster family, but because there is no soci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family consignment, it provides various social services to foster families such as housekeeper dispatch services, day care,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number of protected children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repeated child abuse, and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already living in facilities have long been discussed. It is urgent to protect children in crisis by revitalizing the foster family system suitable for our reality.

      • KCI등재

        경제위기(經濟危機)가 저소득가구(低所得家口)의 아동학대(兒童虐待)에 미치는 영향(影響) 분석(分析)

        이현주 ( Hyonjoo Lee ),박소영 ( Soyoung Par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保健社會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원인을 밝혀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경제위기 이후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상황변화가 아동학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경제적 상태가 열악한 경우 아동학대의 발생이 높지만 그렇다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모든 가구에서 아동학대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경제적으로 문제가 있는 가구에서도 아동학대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찾아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경제적 상황변화가 가족의 생활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가족의 생활변화가 아동학대로 이어지게 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하에 본 연구는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상황변화가 아동학대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가구의 경제적 상황변화가 가족의 생활변화를 통하여 아동학대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설명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의 소득변화는 아동학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생활 변화는 아동학대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족생활 변화 변수인 부부갈등, 자녀의 학업성적, 자녀의 비행, 부모갈등 중 부부갈등과 자녀의 비행이 아동학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 상황변화는 가족생활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위기 이후 소득의 변화가 가족생활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러한 가족생활의 변화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경제적 상황변화를 겪을지라도 가족유지체계의 결속력 수준에 따라 아동학대의 발생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경제위기 이후 증가한 저소득 가구의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마련함에 있어서 단순히 가구의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아동학대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우며 변화된 가족생활을 회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족생활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한 사회사업적 접근이 이러한 대응의 하나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 of child abuse in Korea.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financial change affect child abuse in low income families. Child abuse is more prevalent when financial conditions become worse. But financial condition are not sufficient to explain child abuse, because child abuse cannot be found in all families which experience financial crisis. This study proposes that child abuse is caused by the change in family life, this change is caused by the change in the financial condition. Based on this propos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family life and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change on child abuse, then compares these influenc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nancial change does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 abuse. But the change in family life does have an influence on child abuse. Among the various types of change in family life, mother-father conflict and delinquent behavior of children influence child abuse. The financial change influences changes in family life. This result means that the proposition of this study is valid. In most families, even if they experience financial difficulties, the closeness of the family takes precedence. Child abuse has increased after IMF in Korea.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hild abuse, improving financial condition of family is not sufficient. Restoration of the family life is necessary. Social work intervention is one of the common approaches to this solution.

      • KCI등재

        국가 재난 위기에 처한 아동을 위한 돌봄: 가습기살균제 피해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적용과 기독(목회)상담적 돌봄

        류경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1

        The number of humidifier disinfectant victims has been significant over the past decade, and many people are still suffering. In particular, more than 38% of the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participated in play therapy among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participants conducted on stage 1-3 judges and their families. Therefore, detailed plans for children'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care practices are needed. In this study, first, the necessity and treatment factors of applying play therapy for children in danger under national disaster situations such as humidifier disinfectants were examined. Second, it introduces play therapy methods that can guide children's development and adaptation through experience in hospitals during hospitaliz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eases, and it also introduces a counseling manual applied to children affected by humidifier disinfectants in 2017. Finally, it presents the meaning of pastoral counseling for play therapy that helps children in the national disaster crisis. 2011년 역학조사요청 후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피해상황을 조사 중인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피해자 수가 상당하고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중 1-3단계 판정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상담 서비스 참여자 중 놀이치료에 참여한 유․아동은 38% 이상이었다. 그러므로 국가 재난이나 위기상황에서 아동의 문화와 발달 특징을 이해하고 위기에 처한 아동의 경험 주제를 파악하여 심리․정서 및 사회적 돌봄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 아동을 돕기 위해서는 아동의 언어인 놀이를 활용하는 접근이 유용하며, 아동이 자신의 어려움이나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바른 안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같이 국가적인 재난 상황과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을 돕기 위한 놀이치료 이론고찰과 적용 필요성, 치료적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2017년 3월부터 실시된 가습기 살균제 피해 아동을 위해 활용한 놀이치료 매뉴얼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기에 처한 아동 돌봄을 위한 의료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 적용방법과 체계적 관점에서 아동을 도울 수 있는 사례개념화 기준을 제시하였다. 상담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침으로 국가 재난 위기에 처한 아동을 돕는 놀이치료의 기독(목회)상담적 의의를 제안한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장애아동의 발달 단계적 위기대처 방안 모색을 위한 실태조사

        SunHwa Ju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시내 지역이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들의 발달 단계적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한 실태조사에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이용 장애아동의 일반적인 현황으로 대전시내에는 장애판정 받은 아동이 33개 센터에 47명 그리고장애 경계선급 아동은 67개 센터에 140명 있다. 또한 장애유형 현황으로 장애판정 받은 아동 중에는지적장애가 그리고 장애 경계선급 아동 중에는 학습장애가 가장 많다. 둘째, 물리적 환경에서 대부분의 지역아동센터 내에 장애아동을 위한 편의시설이 제대로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심리⋅사회⋅교육적 환경에서 종사자들은 장애관련 전문지식의 보강이 필요하고 정서적 대응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애아동 및 장애 경계선급 아동들은 센터 내 또래들과 의사소통이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에 대한 종사자 수용적 태도에있어서 여건은 열악한 물리적 환경과 인력부족의 이유로 원만하지 않지만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in terms of how they serve childrenwith disabilities to cope with crisis in developmental s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47 childrenat 33 centers were diagnosed with disabilities in the Daejeon area and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abilityamong them was intellectual disability, while 140 children at 67 centers were classified as borderline disabilityand a majority of them had learning disorder. Second, most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were not equippedwith necessary facilities to ser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most staff in local child care centers feltthat they would need more professional knowledge on disability and learning about emotional responseto children with disability. Finally, staff at local child care center were willing to accept children with disabilitiesdespite physical hardship and personnel constraints.

      • KCI등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과 노년기 우울

        전혜정(Hey Jung Jun),김명용(Myoung Yong Kim)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라 구분되는 하위집단(잠재계층)의 수와 그 형태를 알아보고, 잠재계층과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생애과정 관점에 기초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른 잠재계층과 노년기 우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을 통제한 후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른 잠재계층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 조사에서 5차 조사까지에 해당하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에서 만 65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인간 중심적 접근법(person-centered approaches)의 하나인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적용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계층을 추출하고,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잠재계층과 노년기 우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다중위기 집단, 낮은 사회적 지위 집단, 저위기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아동기에 어떤 잠재계층에 속하느냐는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및 노년기 우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중위기 집단과 다른 두 집단들 간의 노년기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는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게 남아 있었다.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 연구는 건강한 노후를 위한 장기적이고 전생애적인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노년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uided by a life-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and depression in old age by identifying subgroups among older adults according to socioeconomic risk factors in childhood. This study used the nationally longitudinal survey data (2006 to 2010)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sample included 3,779 older adults aged 65 or over. A latent class analysis, one of the person-centered approaches, was adopt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Then,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atent classes and depression in old age. This study found three groups of latent classes, which were named as the multiple risk group, the low SES group, and the low risk group. The latent classes by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current SES variables and depression in old age.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ultiple risk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still significant with current SES variables controlled. Our findings suggest that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maintain a connection with and have a predictive role in the depression of older ad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and depression in old ag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arly life circumstances on elderly health. Early stage recognition, prevention and supportive measures against childhood socioeconomic disadvantages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prevent elderly depression and further diminish socioeconomic inequality in health in old age.

      • KCI등재후보

        아동기의 다중적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

        심성보 ( Sim Seong-bo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1 No.1

        삶의 단계로서 아동기는 사회적 구성물이다. 고대의 아이들에 대한 광범위한 ‘잔인성’에서 시작하여 아이들은 ‘성인축소판’이라는 중세의 아동관을 거쳐, 그리고 근대 및 산업 사회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아동기’ 개념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다. 아동기의 독립성, 발달의 한 단계, 어린이다움, 순결성에 대한 근대적 개념의 탄생은 문명화의 서막을 열었다. 아동기의 탄생은 개인의 능력에 따른 근대화의 물꼬를 튼 진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아동기를 규제하고 통제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근대교육의 발달은 대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아동의 삶을 분절화하고 유예화시키고, 훈육의 강화와 함께 점점 계층화, 성별화를 더욱 강화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아동기의 굴절과 왜곡으로 인하여 아동기자체가 파기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아이들이 어른으로부터 분리되고 아동기와 성인기가 절연화되면서 아동기가 사회변화를 따르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가 출현하면서 아동기의 위치가 더욱 모호해졌다. 게다가 아동기가 상품화되고, 군사화되면서 아이들의 내재적 순수함이 훼손되어갔다. 이 모두 왜곡되고 굴절된 학교교육의 성격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다중적 위기를 보여주는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서 아이들의 위치를 재구성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중적 위기에 처한 아동기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아동기와 성인기의 절연에 대한 방안으로 아동기의 주체화를 제안한다. 둘째, 아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청소년기의 새로운 위치 설정을 위한 방안으로 시민으로서 청소년의 지위 인정을 제안한다. 셋째, 아동기의 상품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적이고 비판적인 숙의적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넷째, 아동기의 군사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Childhood as a stage of life is a social construction. Starting from the widespread ‘cruelty’ of ancient children, through the medieval children’s view of the ‘miniature of the adult’, we have see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discovery of children’ and ‘childhood’ with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birth of a modern concept of independence, a stage of development, childness, and purity in childhood opened the prelude to civilization. Today, however, children are in various crises. The birth of childhood is not only the beginning of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y, but it also has become a time to regulate and control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has brought about a situation in which children’s life is fragmented and deferred through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gradually increasing stratification and sexualiza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discipline. Such refraction and distortion of childhood have led to the total destruction of childhood itself. Children have been separated from adults, but as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becomes blurred, childhood which must exist as a phase of life, faces a new vacuum due to social change. The emergence of adolescence/puberty shows the positional ambiguity of childhood. The flood of consumption culture is causing multiple crises in childhood, including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and the destruction of the peaceful minds inherent in children by militarization of childhood. That is because it is conjoined with the insulation of childhood and adulthood, turning youth into second-class citizens, and combining the nature of school education with consumerism and militarism. As a result of this new situation that shows multiple crises being developed, children are forced to re-position themselves. Whereas in western academic societies, there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developmental, cultural and political concepts of childhood that are understood as social constructs, our academic system is still in rudimentary st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childhood loss and finds a measure for solving i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lemma of childhood in the multi-crises situ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childhood’s subjectification as a way to cope with the new vacuum. Second, as a way to set a new location for adolescents, one should recognize the status of youth as citizens. Third, we need a humane and critical deliberativ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Fourth, peace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needed to overcome the militarization of child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