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이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university educational institutions started online classes in earnest. Therefore, this study also used online classes and online feedback from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and examined some of their effects. Regarding the subject of J University [Human and Community], 12 units of online lectures, online interim reports and final reports, and online final tests were conducted by 145 college students for 15 week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se online classes, the lecture was operated by providing 28 online information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nline these classes, it is not possible to make various gestures and verbal interactions using body language and through making eye-contact. Thus, immediate feedback regarding tasks and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In online classes, online feedback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to induc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ersonality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whole personality(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sub-areas of 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Of course, sinc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online classes for specific subjects at J University,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prepare for cases in which offline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disasters and problems within the university itself, and to ensure that online classes are properly operated through the fusion of various technologies of the fourth society within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tent and improve the technical abilities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online classes. Second, although in university education, low-dimensional thinking such 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y be impacted through online classes, but there may be limitations in improving high-dimensional thinking methods such as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rd, since university liberal arts lectures are operated by combining offline and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acknowledging various forms of online education and their multiple forms. Lastly, the fact that university lectures are operated through online classes means that university professors must play both the role of teacher and the role of tutor.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각급 교육기관이 온라인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대학 교양강좌를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J 대학교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2개 단원의 온라인 강의, 온라인 중간및 기말보고서, 그리고 온라인 수시 및 기말 테스트를 15주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는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온라인 피드백 28회 제공하여 강의를 운영하였다. 인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아이컨텍과 다양한 제스쳐 및 직접 언어적 상호작용을활용할 수 있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과제와 활동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을 대신 활용하여온라인 수업의 학습자의 수동성을 보완하여 좀 더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교육이 재난과 재해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는 것과 4차 사회의 각종다양한 기술들이 교육과 융합되면서 대학교육이 온라인 수업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여 학습자의 성장과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의 준비와 진행을 위한전문적 교수자의 컨텐츠 제작 관련 기술적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둘째, 대학교육의 전공 및 교양교과영역에서 지식과 이해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저차원적 사고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가 될수 있지만 교과 내용에서 적용과 분석, 종합 및 평가 등의 고차원적 사고 방식의 향상과 역량중심교육을 구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셋째, 대학 교양강좌가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융합되어 운영된다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유형에 따라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대학강의가 운영된다는 것은 대학교수가 teaching의 역할과 tutoring의 역할까지 겸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특정 교과목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 과정에서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효과검증을 위해서 동일 교과목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접근 중에서 교양강좌에 적합한온라인 수업 형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유형별 실재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오정숙 ( Jungsook Oh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2020년 COVID-19로 인해 상당수의 대학수업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대학의 여건, 교수자의 준비도, 학생들의 요구, 교과목의 성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온라인 수업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비실시간 녹화강의, 그리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의 학생 활동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2020학년도에 이루어진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며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그리고 수업 성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다양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해 어떤 인식과 요구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응답자들은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그리고 수업 성과에 대해 가장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비실시간 녹화 강의가 그 뒤를 이었으며, 자료 및 활동 중심 수업에 대해 교수 실재감, 학습 실재감, 그리고 수업 성과 인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온라인 수업 유형별 효과 및 비효과적 요인은 다양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효과적 요인은 대면 강의와 유사하게 참여 시간의 제약이 있는 것이었고, 이는 동시에 비효과적 요인으로도 인식되었다. 비실시간 녹화 강의의 경우, 사전에 준비되어 체계적이며, 학습자의 수준과 상황에 맞게 반복 학습이 가능하고 편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주도성이 부족한 학생들은 수업을 미루다 한꺼번에 들어 학습의 질이 낮고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및 활동 중심 수업의 경우, 활동 참여 기회가 증대되었다는 긍정적 의견과 더불어 교수자가 직접 제작하지 않은 유튜브 등의 자료를 사용하다 보니 수업과의 개연성 및 체계성 부족과 과도한 활동 및 과제 부담이 지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효과적 온라인 수업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Owing to COVID-19, many virtual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2020. Online courses comprised real-time online classes, virtual recorded lectures, and student activity-based real-time and non-real-time classes. The choice depended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university resources, instructors’ preparation levels, students’ demands, and features of the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educational performance of various online classes, and their demands in the various types of online classes in the academic year 2020.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pondents perceived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o real-time online classes the most positively. This was followed by virtual recorded lectures, resources, as well as student activity based on real-time and virtual recorded classes.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effectiveness and ineffectiveness factors varied based on the types of online classes. Constrained participation time was recognized as an effective factor in online real-time lessons. However, this time constraint was also recognized as an ineffective factor. The advantages of non-real-time recorded lectures included possible advanced prepara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repetition. However, it may be ineffective for students with a lack of initiative because they tend to delay classes, resulting in poor learning quality and increasing psychological pressure. Where instructors used YouTube and other materials not produced by the processors for resources and student-activity based classes, the lack of connection in the classes required students to do excessive activities and tasks. The various implications of effective online classe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수업 방법과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ashdorj Chingiskhuu,이정은(Ju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teaching methods and factors affecting professor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Mongolian colleg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4 professors at Mongolian colle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nline teaching methods, professor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at the school level, and investigated online learning support and online class preparation promotion conditions. Results The most common online class method conducted by Mongolian college professors was sharing PPT recordings, followed by real-time video classes and sharing lecture videos the least. The professors perceived the school’s online learning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negatively, but perceived their own online class promotion condition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positively. There were two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 of professors at Mongolian college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at Mongolian colleg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nline learning support system such as various devices, internet environment, and LMS. Based on them, pre-education that supports Mongolian professors to conduct online classes satisfactorily should be provided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ditions and self-efficacy of online classes. 목적 본 연구는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수업 방법과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몽골 전문대학 소속 교수 총 3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수업 방법 실태를 조사하고,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만족도, 자기효능감, 성과기대를 조사하고, 학교 차원의 온라인학습 지원, 온라인수업 준비 촉진조건을 조사하였다. 결과 몽골의 전문대학 교수자가 가장 일반적으로 진행한 온라인수업 방법은 PPT 녹화자료의 공유였으며,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수업의 활용이 많았고 강의 동영상 공유의 방법이 가장 적게 활용되었다. 교수자는 학교의 온라인학습 지원과 온라인수업 만족도를 부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자신의 온라인수업 촉진조건과 자기효능감, 성과기대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몽골 전문대학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수업 성과기대의 두 가지였다. 결론 몽골의 전문대학 온라인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제반 기기와 인터넷 환경, LMS 등의 온라인학습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몽골 교수자가 온라인수업을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전 교육을 제공하여 온라인수업 촉진조건과 자기효능감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대학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 모형 개발 연구

        이세현,임정훈 한국교육공학회 2024 교육공학연구 Vol.40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온라인 수업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역량 모형 개발을 위해 먼저 선행문헌 탐색으로 원격교육 및 이러닝에서의 교수자 역할,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역량 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온라인 수업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거나 온라인 수업을 우수하게 실천하여 온 교수자를 대상으로 행동사건면접(BEI)과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잠정적 역량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역량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역량 모형은 총 2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 56개의 행동지표로 개발되었다. 역량군은 온라인 수업을 위해 분석, 설계, 개발 등과 같은 수업을 준비하는 역량인 ‘온라인 수업 기획’ 역량군과 수업 실행, 평가 및 성찰 등과 같이 온라인 수업을 직접 운영할 때 필요한 역량인 ‘온라인 수업 실행’ 역량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되고 보편화된 지금, 시․공간을 초월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에 관심을 갖고 온라인 수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 및 대학 교수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온라인 수업을 실행하고 있거나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는 온라인 수업이 잘 설계되고 운영되었는지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로, 대학의 교수법 교육 담당 기관에서는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to effectively conduct online classe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les of instructors in distance education, instructor roles in e-learning, and technology utilization teaching competencies in education setting. Behavioral Event Interviews (BEI)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professors with experience in online teaching. preliminary competencies were derived, and the final set of competencies was developed using two repeated Delphi surveys. The final competency model consisted of 2 competency groups, 16 competencies and 56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for university professors. The first competency group is ‘the Online Teaching Planning Competencies’, which includes the skills needed to prepare for online classes, such as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The second competency group is ‘the Online Teaching Implementation Competencies’, which are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conduct online classes directly, such as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reflection.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iversity professors or instructors who want to implement online classes especially because of its growing popularity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can provide university professors with a checklis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charge of professor training,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 KCI우수등재

        FGI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음악 수업 개발 방향 탐색

        민경훈(Kyung Hoon Min),임은정(Eun-Jung Lim)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음악 수업 콘텐츠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학교음악 수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율적 온라인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초⋅중⋅고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집단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서면 응답과 실시간 영상 면접을 통해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자료는 FGI질문 문항과 답변 내용에 따라 주요 주제 단위로 온라인 음악 수업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구체적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음악수업 콘텐츠는 온라인 음악 수업 환경의 개선과 온라인 음악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변화, 온라인 음악 수업에 최적화된 수업 플랫폼의 개발, 국가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수업 콘텐츠의 개발, 실시간 음악 수업을 위한 학교 맞춤형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online music class content and provide directions for efficient online content development applicable to school music class site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non-face-to-face group interviews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collected survey data through online written responses and real-time video interviews. The researchers used the survey materials as concrete measures for developing online music class content on the main topic basis,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answer of the questions. This study shows that online music class content requires improvements in the online music class environment, changes in positive perception of online music classes, development of optimized class platforms for online music classes, development of music class contents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school-specific software.

      • KCI등재

        음악과 원격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온라인 도구의 교육적 접근

        이선미(Lee Seon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논문은 음악과 원격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온라인 도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원격수업과 온라인 도구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온라인 도구를 원격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도구를 ‘원격 교실 온라인 도구’와 ‘수업 활용 온라인 도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실 공간 대체 온라인 도구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하나의 교실을 대안할 수 있는 것으로 교실로의 활용이 가능한 도구로 보았고, 그 외에 교실 내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도구는 수업 활용 도구로 구분하였다. 본고는 온라인 도구의 교육적 접근을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여 활용 방안을 논하였다. 각 단계별유용한 온라인 도구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단계별 특성에 따른 온라인 도구의 사용으로 원격수업에서 실재감을 높이며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목의 특성과 교수자의 수업 목표 등에 따른 온라인 도구의 선택과 활용 방법이 원격수업을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대면 수업에 있어서 온라인 도구 활용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online tool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usic remote learning. First of al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mote learning and online tools were explored to present practical methods for applying online tools to remote lear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online tools categorized into “Remote classes” and “Online tools for application to learning”. The tools for video classroom space alternative online deal with video conference platform in priority. And it wer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classroom and tools for application to classroom and the others as class application tools for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classrooms. This paper classified educational approaches to online tools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finishing step and explored utilization methods. It also purposed to present useful online tools for each step and subsequent class examples. Furthermore, it can be intended to improve the sense of reality in remote classes by using online too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and promot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learner and learner.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method of appropriate online tool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subjects and lesson goals suggest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help lead remote learning to succes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som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utilizing online tools in face-to-face learning.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 온라인 수업 사례로 본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식

        서미옥(Suh Mee-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전통적인 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수업방식으로 변한 수업 상황을 맞이한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온라인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의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2020년도 여름학기에 수강한 교육대학원생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30명이다. 이들은 2020년도 6월부터 8월까지 15주 동안 실시된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을 경험하였다. 설문 조사는 종강 무렵에 온라인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출석을 점검하는 교수전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이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과제물과 성적 평가에서 몇 가지 개선할 점이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평가방법도 교수자가 혼자서 평가하는 것보다 동료들의 상호평가, 자기평가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셋째, 이들은 온라인 수업에서도 토론이나 협동 학습,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설계의 질적인 보완과 학습 동기와 관련된 부분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ing design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facing a class situation that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to unexpected online classes due to Corona 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s graduate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took the 2020 summer semester. They took courses in video recording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for 15 weeks from June to August 2020.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onlin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cognized the need for a teaching strategy to check attendance in various ways in online classes. Second, the subjects recognized that there were some improvements in the assignments and grade evaluation in online classes, and it was desirable to use various methods such as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rather than the instructor s own evaluation. Third, the subjects recognize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should be enhanced through discus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activities in online classes. Fourth, the subjects recognized that qualitative supplementation of class design and learning motivation in online classes.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의 다학제적 학습효율성에 관한 연구 -소규모 고등학생 대상으로-

        김혜진(Kim, Hye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상 최초로 벌어진 교육과정 전 과목 온라인 수업에 관한 연구로 온라인수업으로 진행함에 따른 학과별 문제점과 한계점을 설명하고 대안점을 모색한다. 고등학생 대상으로 FGI와 설문조사로 온라인 학습효과 및 온라인 수업에 적절성에 관한 논의를 하여, 온라인 수업의 다학제적인 학습효과 및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해외 온라인 학교 설립과 온라인 공개수업(MOOC)에 관한 이슈를 반영하여 K-MOOC, 즉 수강인원이 제한 없이(Massive), 수강 가능한(Open,) 웹 기반(Online) 강좌(Course)를 2015년부터 2017년까지 130억 예산을 들어 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을 이용하는 학생과 이수율은 저조했으며, KOCW(Korea OpenCoursWare, 대학 공개강의 공동 활용 서비스)사업 강좌와 중복 사용되는 점 등을 들어 예산과 효율성에 관해 문제가 대두되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전 교과과정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에 학과별 유형과 특징이 있을 것으로 보고, 학과별 온라인 수업을 적용했을 때에 공통되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온라인 수업에 관한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상호작용과 학업 수준에 따른 플랫폼 개선으로 보았다. 이과는 실습하는 과목에 대한 질적 개선이 두드러지게 보였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태보다는 동영상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과는 학습환경 조성에 다른 기기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보였다. 예체능 학과는 다른 학과보다 온라인 학습하기에 많은 문제점과 한계점이 있었다. 학습자료 부족으로 관련 콘텐츠를 사용함에 저작권 문제와 학습활동 저장 및 유포에 따른 문제, 질의응답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수업 과정을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며, 수업 내용전달의 어려움으로 제도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생 1학년 5명, 2학년 3명, 3학년 2명 총 10명 대상으로 2회에 걸쳐 FGI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2회로 진행한 FGI의 결과는 온라인 수업은 과학, 수학, 국어, 영어, 상담이론으로 이론 수업에 적합하다고 보았고, 컴퓨터 기기 상태 및 접속상태에 이른 학습집중력 저하와 상호소통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았다. 설문조사는 인적사항 이외 10문항으로 온라인 이해, 온라인 학습집중력, 온라인 수업의 학습도움,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 온라인 학습영향력, 온라인 수업 시 다른 활동, 온라인 수업 시 딴생각 정도로 총 10문항으로 구성했으며, 문항 신뢰도 통계량 Cronbach의 알파 0.748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학업 수준을 고려한 완충 학습방법에 관한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성을 갖춘 콘텐츠제작과 제도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19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이 더 나은 미래 교육문화에 발전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다학제 간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online classes in all subjects of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due to COVID-19, explain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ach department and seeking alternatives. It was started to find ways to effectively grow online classes by discuss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and appropriateness of online classes through a survey with FGI for high school students. Reflect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overseas online schools and online open classes (MOOC), the project began with a budget of 13 billion won from 2015 to 2017 for K-MOOC, Massive, and Online courses. However, the completion rate of students using online classes was low, and problems regarding budget and efficiency emerged, citing overlapping use with the Korea Open CoursesWare (KOCW) project course.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o conduct all curriculum as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we looked at common problems and limitations when applying online classes for each department. It was viewed as a common problem with online classes as interaction and platform improvement according to academic level. The science department showed remarkabl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subjects practiced, and it was found that video online classes were preferred over real-time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other device problems emerged in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a positive learning attitude was show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The department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had more problems and limitations in online learning than other departments. Due to the lack of learning materials, they can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process in consideration of copyright problems, problems caused by storage and distribu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problems of not being free to answer questions, and have institutional limitations due to difficulties in delivering class contents. Based on these contents, a survey with FGI was conducted twice with a total of 10 high school students: 5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3 second-year students, and two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two-time FGI showed that online classes were suitable for theoretical classes with science, mathematics, Korean, English, and counseling theories, and that the biggest problems were poor concentr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The survey consisted of 10 items, including online understanding, online learning concentration, online class learning help, online class satisfaction, online learning influence, other activities during online class, and thinking online with a total of 10 items. Item reliability statistic Cronbach The alpha of 0.748 was measured. As a resul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sufficient interaction should be made on the buffer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academic level, and it seems that various contents production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sought. A new perception shift on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should be a continuous study for a better future educational culture.

      • KCI등재

        온라인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수실재감 양상 분석 -EBS 초등 국어 온라인 라이브 특강을 중심으로-

        이선영(Lee, Sun-young)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7 No.-

        코로나 19 사태는 국어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4주 동안 전국적으로 실시된 EBS 실시간 온라인 초등 국어 수업 15편을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방송 수업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했다. 교사들은 1분에 한 번꼴로 학습자의 댓글 반응을 인용하며 활발하게 학생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학습 동기나 목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대상의 수업에서는 교수실재감 형성을 위해 수업 설계 및 실행 측면에서 학생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발화가 많았다. 학생 역시 교사와 관계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교사는 이를 공적 관계로 수업 담화에 반영하려 하였다. 담화 촉진 측면, 직접 교수 측면에서는 온라인 특성 상 지연된 학습자 반응 시간을 메우기 위해 교사가 자문자답하거나 보충 발화를 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학생의 댓글 반응을 선별하여 인용하고 이에 대해 유도, 평가 발화를 이어나갔다. 이와 같은 교사의 학생 반응 연속 인용전략은 보다 많은 학생 반응 사례를 제시하여 전체 수업의 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해 나가려는 시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온라인 수업에서는 비선형적 특성 상 대면 수업에서보다 학생의 요청이나 질문이 교사의 발화보다 먼저 나오거나 교사가 학생-학생간 소통을 촉진하려는 시도도 나타났다. 본고는 온라인 수업의 실태 파악에 초점을 두었지만 추후 온라인 수업 상황에 적합한 학생 반응 발화 인용 전략의 효과 및 적절성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COVID-19 outbreak has made online classe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15 EBS Synchronous online Korean elementary classes conducted nationwide for 4 week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classes. Teachers tried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students by quoting the responses of learners once a minut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form a sense of teaching reality in online classes, as it is difficult to consistently maintain learning motivations or goals. There were many utterances to ㅁ make a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 terms of instruction design and practice to foster a sense of teacher presence. Students also tried to mak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eachers tried to reflect these interactions as a public domain. In terms of facilitating discourse and direct teaching, he teacher answered one’s question to substitute the delayed learner’s response time. Besides, the teacher selected and cited the responses of students’ comments and continued to prompt and evaluate them. This listing of student response citation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construct common knowledge of the entire class by presenting more examples of responses.

      • KCI등재

        우리는 왜 학교에 가는가? - 온라인학기가 대학 신입생에 미친 효과

        김희삼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the socialization function of the school by analyzing how new students differ from senior students in their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and daily life in a situation where the normal socialization process of college freshmen was omitted due to the COVID-19 incident. The results of a survey of students enrolled in the five major universit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show that freshmen evalua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online classes lower than senior students, and most freshmen took online classes in an isolated environment. As a result, freshmen suffered from more difficulties such as having no friends to give and receive help with assignments, and network connection problems. In terms of opportunities to solve questions, concentration on the clas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freshmen showed lower evaluation than senior students. In the case of real-time online classes, freshmen showed a higher desire fo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ut the actual class management did not satisfy this desire, leading to their lower concentration on the class. Regarding recorded lectures, freshmen gave lower evaluations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ecorded lectures, opportunities to solve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easy preparation and review, and class concentration. As a result, freshmen were less likely to recommend online classes and less willing to take them. It was also revealed that in daily life during the online semester, freshmen were relatively inexperienced in terms of self-management and productive use of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signing classes in a way that is active i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nd reinforcing the socialization and social capital cultivation functions of schools are essential to not only improve online lectures but also persuade the significance of going to school.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학 신입생의 정상적인 사회화 과정이 생략된 상황에서 온라인수업에 대한 인식과 일상생활 등에서 신입생이 상급생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의 사회화 기능이 갖는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했다. 국내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신입생은 상급생에 비해 온라인수업의 교육효과를 낮게 평가했고, 집에 머무는 고립된 환경에서 온라인수업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신입생은 온라인수업에서 과제 도움을 주고받을 친구가 없는 문제와 네트워크 연결 장애와 같은 애로를 상급생보다 많이 겪었다. 온라인수업에서 궁금증을 해결할 기회의 충분성, 수업시간의 집중도, 학습동기부여 등에서도 신입생은 상급생보다 낮은 평가를 내렸다. 실시간 온라인수업의 경우, 신입생이 상급생보다 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해 더 높은 욕구를 보였으나, 현실의 수업 운영이 이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화강의 제공 방식의 온라인수업에 대해서도 신입생은 녹화강의의 질과 양에 대한 평가, 궁금증 해결 기회, 예습 및 복습이 용이한 장점의 활용, 수업 집중도 등에서 상급생보다 낮은 평가를 내렸다. 결과적으로 신입생은 상급생에 비해 온라인수업의 추천 의향 및 온라인강의 수강 의향도 낮게 나타났다. 나아가 온라인교육의 일반적인 장점과 잠재적 가능성에 대해서도 신입생의 평가가 상급생보다 낮았다. 한편 온라인학기 중 일상생활에서도 신입생이 상급생보다 자기관리나 시간의 생산적인 활용 면에서 상대적으로 미숙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발견은 수업을 소통과 상호작용이 활발한 방식으로 설계하고 학교의 사회화 및 사회자본 함양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온라인강의의 개선은 물론 학교에 가는 의의를 살리기 위해서도 핵심적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