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이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university educational institutions started online classes in earnest. Therefore, this study also used online classes and online feedback from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and examined some of their effects. Regarding the subject of J University [Human and Community], 12 units of online lectures, online interim reports and final reports, and online final tests were conducted by 145 college students for 15 week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se online classes, the lecture was operated by providing 28 online information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nline these classes, it is not possible to make various gestures and verbal interactions using body language and through making eye-contact. Thus, immediate feedback regarding tasks and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In online classes, online feedback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to induc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ersonality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whole personality(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sub-areas of 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Of course, sinc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online classes for specific subjects at J University,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prepare for cases in which offline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disasters and problems within the university itself, and to ensure that online classes are properly operated through the fusion of various technologies of the fourth society within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important to create content and improve the technical abilities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online classes. Second, although in university education, low-dimensional thinking such 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y be impacted through online classes, but there may be limitations in improving high-dimensional thinking methods such as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rd, since university liberal arts lectures are operated by combining offline and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for acknowledging various forms of online education and their multiple forms. Lastly, the fact that university lectures are operated through online classes means that university professors must play both the role of teacher and the role of tutor.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각급 교육기관이 온라인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하여 대학 교양강좌를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J 대학교 [인간과 공동체] 교과목을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2개 단원의 온라인 강의, 온라인 중간및 기말보고서, 그리고 온라인 수시 및 기말 테스트를 15주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는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온라인 피드백 28회 제공하여 강의를 운영하였다. 인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성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아이컨텍과 다양한 제스쳐 및 직접 언어적 상호작용을활용할 수 있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과제와 활동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을 대신 활용하여온라인 수업의 학습자의 수동성을 보완하여 좀 더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교육이 재난과 재해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는 것과 4차 사회의 각종다양한 기술들이 교육과 융합되면서 대학교육이 온라인 수업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여 학습자의 성장과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온라인 수업의 준비와 진행을 위한전문적 교수자의 컨텐츠 제작 관련 기술적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둘째, 대학교육의 전공 및 교양교과영역에서 지식과 이해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저차원적 사고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가 될수 있지만 교과 내용에서 적용과 분석, 종합 및 평가 등의 고차원적 사고 방식의 향상과 역량중심교육을 구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셋째, 대학 교양강좌가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이융합되어 운영된다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유형에 따라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대학강의가 운영된다는 것은 대학교수가 teaching의 역할과 tutoring의 역할까지 겸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특정 교과목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운영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 과정에서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효과검증을 위해서 동일 교과목으로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다양한 접근 중에서 교양강좌에 적합한온라인 수업 형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수실재감 양상 분석 -EBS 초등 국어 온라인 라이브 특강을 중심으로-

        이선영(Lee, Sun-young)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7 No.-

        코로나 19 사태는 국어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4주 동안 전국적으로 실시된 EBS 실시간 온라인 초등 국어 수업 15편을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방송 수업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했다. 교사들은 1분에 한 번꼴로 학습자의 댓글 반응을 인용하며 활발하게 학생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학습 동기나 목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대상의 수업에서는 교수실재감 형성을 위해 수업 설계 및 실행 측면에서 학생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발화가 많았다. 학생 역시 교사와 관계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교사는 이를 공적 관계로 수업 담화에 반영하려 하였다. 담화 촉진 측면, 직접 교수 측면에서는 온라인 특성 상 지연된 학습자 반응 시간을 메우기 위해 교사가 자문자답하거나 보충 발화를 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학생의 댓글 반응을 선별하여 인용하고 이에 대해 유도, 평가 발화를 이어나갔다. 이와 같은 교사의 학생 반응 연속 인용전략은 보다 많은 학생 반응 사례를 제시하여 전체 수업의 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해 나가려는 시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온라인 수업에서는 비선형적 특성 상 대면 수업에서보다 학생의 요청이나 질문이 교사의 발화보다 먼저 나오거나 교사가 학생-학생간 소통을 촉진하려는 시도도 나타났다. 본고는 온라인 수업의 실태 파악에 초점을 두었지만 추후 온라인 수업 상황에 적합한 학생 반응 발화 인용 전략의 효과 및 적절성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COVID-19 outbreak has made online classe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15 EBS Synchronous online Korean elementary classes conducted nationwide for 4 week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real-time online broadcasting classes. Teachers tried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students by quoting the responses of learners once a minut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form a sense of teaching reality in online classes, as it is difficult to consistently maintain learning motivations or goals. There were many utterances to ㅁ make a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 terms of instruction design and practice to foster a sense of teacher presence. Students also tried to mak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eachers tried to reflect these interactions as a public domain. In terms of facilitating discourse and direct teaching, he teacher answered one’s question to substitute the delayed learner’s response time. Besides, the teacher selected and cited the responses of students’ comments and continued to prompt and evaluate them. This listing of student response citation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construct common knowledge of the entire class by presenting more examples of responses.

      • KCI등재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수업 방법과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ashdorj Chingiskhuu,이정은(Ju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teaching methods and factors affecting professor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Mongolian colleg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4 professors at Mongolian colle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nline teaching methods, professor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at the school level, and investigated online learning support and online class preparation promotion conditions. Results The most common online class method conducted by Mongolian college professors was sharing PPT recordings, followed by real-time video classes and sharing lecture videos the least. The professors perceived the school’s online learning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negatively, but perceived their own online class promotion condition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positively. There were two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 of professors at Mongolian college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at Mongolian colleg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nline learning support system such as various devices, internet environment, and LMS. Based on them, pre-education that supports Mongolian professors to conduct online classes satisfactorily should be provided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ditions and self-efficacy of online classes. 목적 본 연구는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수업 방법과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몽골 전문대학 소속 교수 총 3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수업 방법 실태를 조사하고,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만족도, 자기효능감, 성과기대를 조사하고, 학교 차원의 온라인학습 지원, 온라인수업 준비 촉진조건을 조사하였다. 결과 몽골의 전문대학 교수자가 가장 일반적으로 진행한 온라인수업 방법은 PPT 녹화자료의 공유였으며,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수업의 활용이 많았고 강의 동영상 공유의 방법이 가장 적게 활용되었다. 교수자는 학교의 온라인학습 지원과 온라인수업 만족도를 부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자신의 온라인수업 촉진조건과 자기효능감, 성과기대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몽골 전문대학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수업 성과기대의 두 가지였다. 결론 몽골의 전문대학 온라인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제반 기기와 인터넷 환경, LMS 등의 온라인학습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몽골 교수자가 온라인수업을 만족스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전 교육을 제공하여 온라인수업 촉진조건과 자기효능감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 KCI우수등재

        FGI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음악 수업 개발 방향 탐색

        민경훈(Kyung Hoon Min),임은정(Eun-Jung Lim)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음악 수업 콘텐츠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학교음악 수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율적 온라인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초⋅중⋅고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집단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서면 응답과 실시간 영상 면접을 통해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자료는 FGI질문 문항과 답변 내용에 따라 주요 주제 단위로 온라인 음악 수업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구체적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음악수업 콘텐츠는 온라인 음악 수업 환경의 개선과 온라인 음악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변화, 온라인 음악 수업에 최적화된 수업 플랫폼의 개발, 국가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수업 콘텐츠의 개발, 실시간 음악 수업을 위한 학교 맞춤형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online music class content and provide directions for efficient online content development applicable to school music class site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non-face-to-face group interviews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collected survey data through online written responses and real-time video interviews. The researchers used the survey materials as concrete measures for developing online music class content on the main topic basis,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answer of the questions. This study shows that online music class content requires improvements in the online music class environment, changes in positive perception of online music classes, development of optimized class platforms for online music classes, development of music class contents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school-specific software.

      • KCI등재

        The Impact of Online Class i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Optometry Students

        Ji-Woong Lim,Dae-Jong Kim 대한시과학회 2021 대한시과학회지 Vol.23 No.1

        목적 : 코로나 19로 인하여 전면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안경광학과 재학생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질, 수업의 환경, 성적에 미치는 요인이 학습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0년 1월 18일부터 1월 29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20명 중 총 112명(남성 61명, 여성 51명) 재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에 관련된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는 반복수강이 31명(27.7%)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으며, 단점으로는 집중력 저하가 52명(46.4%)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년에 따른 수업의 질(p=0.047)과 온라인 수업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p=0.011)은 유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학습자의 수업의 질, 온라인 수업의 환경, 성적에 미치는 요인, 학습자의 만족도는 각 변수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수업환경으로 분석되었다(p=0.002). 결론 :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의 환경적인 요소가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의 화질, 음향, LMS 시스템 및 수업에 대한 공지 등 수업의 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국의 안경광학 학생의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대표할 수는 없지만, 코로 나19로 온라인 수업을 지속해야하는 상황에서 환경적인 요소도 고려하여 학습만족도를 높여야 하겠다. Purpose : Due to COVID-19, the institution has made all its learning remote. He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quality of online learning, learning environment and factors impacting grades impact student satisfaction among optometry students.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18 January, 2020 until 29 January of the same year,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2 current student responses out of 120 students (61 males, 51 females).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for online learning and other factors were analyzed,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scertain the causative influences of these factors. SPSS was used as the analysis program. Results :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the ability to repeat learning (31 responses, 27.7%). The biggest disadvantage, on the other hand, was loss of focus (52 responses, 46.4%). The quality of lessons depending on the year of study and the impact of online lessons on grades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p=0.01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essons, environment of online learning, factors impacting grade and student satisfaction (p<0.001), and it was found that lesson environment had the biggest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p=0.002).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study has identified learning environment as a significant factor in student satisfaction. Therefore, an improvement in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improving the quality of sound and video of lectures, LMS system and notifications will be needed to ensure an optimum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In addition, although it can‘t represent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for optometry students nationwi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in a situation where online classes must be continued due to COVID-19.

      • KCI등재

        과제 수행에서 수업 소통방식에 따른 소통요인의 효과성 연구 - 프로젝트형 온라인 디자인 수업을 중심으로 -

        김도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8

        본 연구의 목적은‘프로젝트 중심형 온라인 디자인 교육’에서 효과적인 소통방식을 모색하고, 수업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 해 프로젝트의 제시방식을 문자형-음성형-영상형으 로 구분하여 5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수업을 들은 경험이 있는 대학의 1-2학년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와 MANOVA 통계분석을 시행하 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온라인 수업에서 사용되는 소 통방식에 따라 수업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다. 문자형-음성형-영상형으로 전달한 내용은 결과 적으론 모두 다른 특성이 있었다. 두 번쨰 각기 다른 특성은 소통요인 중 소통의 정확도>흥미도>몰입도의 순으로 수업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즉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의 내용이 정확하게 전달되는가를 보는 ‘정확도’에서는 소통방식에 따라 가장 유의미한 차 이를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싶게 만드는 소통의 ‘흥미도’가 소통방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몰입도’에 있어서는 소통 방식에 따라 큰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소통의 ‘정확도’에서는 영상형과 문자형으로 제공될 때 더 교육적 효과가 높았고, 소통의 ‘흥미도’ 측면에서는 ‘영상형’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디자인 교육에서 각기 다른 소통방식은 온 라인 수업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project-oriented online design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presentation method of the project was divided into character type, voice type, and video type, and the 5th class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and MANOVA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of colleges who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classes. As a result, first,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the content delivered in text-voice-video format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secon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classes was clearly revealed in the order of communication accuracy>interest>immersion among the communication factors. In other words, in the 'accuracy', which shows whether the content of the class is delivered accurately in the online class, it ha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followed by the 'interesting degree' of communication that makes people interested in design projects and want to solve them creative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mersion'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n online design education determine the quality level of online classes.

      • 대학생의 온라인 튜터링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정경숙(Gyeng Suk Jeong)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3

        본 연구는 국내 D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튜터링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온라인 튜터링 수업에 참여한 학생 8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유형 분석요인은「학습과정」,「학습전략」,「수업진행」,「시스템」이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 온라인 튜터링 수업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온라인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튜터, 튜티 일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시스템의 편리성이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형별 인식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튜터링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온라인 튜터링 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튜터링 활동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개별화된 전략설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online tutoring class and satisfaction of class for enrolled students of D university in Korea.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83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tutoring class. The factors that analyz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are “learning process”, “learning strategy”, “class progress”, and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with online tutoring classes. First, the more the tutors and tuto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online clas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as. Second, the higher the convenience of the system, the higher the class satisfaction.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tutoring classes through recognition of each type,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online tutoring classes, individualized online tutoring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nd activated. I tried to prepare basic data for strategy setting.

      •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

        이선(Lee, Su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2020년 COVID-19로 인하여 실시한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 영어과 심화과정 4학년 학생 40명과 3학년 학생 24명이 작성한 개방형 설문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해 대면 교육실습과 마찬가지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는 교육실습의 효과를 언급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수업을 위한 매체들을 익히며 미래 교육에 대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이 중 실습경험과 실습 내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3학년과 4학년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수업실습의 경험이 있는 4학년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하여 처음에는 부정적인 생각으로 출발하였으나, 실습과정을 거치면서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3학년 예비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실습 자체에 대한 걱정보다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첫 번째 교육실습이라는 부담과 걱정으로 시작하여 지도교사의 도움과 몇 차례의 실시간 및 동영상 수업 경험을 통하여 온라인 교육실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온라인 교육실습내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실시간 수업보다는 동영상을 찍어 LMS에 올리는 수업 방법이 주를 이루었던 4학년 예비교사들은 동영상 수업의 촬영과 편집과정에서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수업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3학년의 경우, 교대에서 배운 이론적인 내용을 실제에 적용해 보며, 자신의 부족함 점과 앞으로 무엇이 필요한 지에 대하여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음을 인식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도교사의 지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온라인 교육실습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네트워크 속도, 음향 문제와 같은 기술적인 부분과 비대면 상황에서 초등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부족했음을 가장 아쉬워했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수업을 진행하거나 촬영을 할 강의실 사용의 문제, 네트워크 속도의 문제, 팀즈 사용의 문제 등을 언급하며 교육대학이 이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해 줄 것을 원하였다. 또한, 온라인 교육실습 사전교육에서 팀즈 사용 방법 뿐아니라 실시간 수업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 등에 대해 미리 알려주고 이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교육이 좀 더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들의 심화전공인 영어과 수업의 경우,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짝활동, 모둠활동을 대체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하여 알고 싶어 하였으며, 학생 간 수준 차이가 많이 나는 수업 상황과 TEE 수업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적정한 사용 비율에 대하여 알고 싶어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실습 및 온라인 교육실습의 개선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online teaching practicum.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0 fourth-year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um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0 and 24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um in the fall semester of 2020.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s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online teaching practicum was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and ten small categories.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e effect of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which allowed them to learn as much as face-to-face teaching practicum, and responded that they could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especially by learning the media for online classes. Third and fourth year pre-service teachers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online teaching practicum. Fourth-year pre-service teachers initially started with negative thoughts on online teaching practicum, but changed to positive perceptions throughout the practicum. Starting with the burden and concern of the first teaching practicum rather than worrying about the online teaching practice itself,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of online teaching practicum. Through the help of teachers and several real-time and video class experiences, they could learn about their shortcomings in planning and teaching lessons. Almost all 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most disappointed in technical aspects such as network speed, sound problems, and lack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lso mentioned the need for more practical pre-training, which not only informs how to use the programs such as MS Teams but also informs how to overcome th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in real-time classes. In the case of the English class, they wanted more guidance on the class situation where there was less interaction with students, the activities to replace group activities, and the problems of solving the level differences among students.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증진을 위한 웹 공유문서를 활용한 온라인 소그룹 수업 경험 분석

        여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Despite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lecture-oriented classes were conducted online without major problems. However, there were doubts on whether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small group classes online as efficiently as 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evaluated the satisfaction levels of online small group classes and the strategy of using Google to encourage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students and amo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two small group classes: one class from A Medical School, with 75 students in the premedical course in medical school, the other from B Medical School with 17 respondents among 25 students of medical school. The class from A school was about enhancing motivation, and was conducted for three hours online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groups. The class from B school was on developing patient education programs. The class sessions were five weeks long, and were conducted online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groups.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ir class was evaluated with an 11-item online survey. Results It was found that 50%~60%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online small group classes were just as effective and smoothly conducted as face-to-face classes. The result of accessing the shared documents showed that approximately 85%, 83% of the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were satisfied respectively, whereas approximately 53%, 65% of the students from B Medical School were satisfied respectively. When asked about the students’ preferences on online group activities and face-to-face group activities, approximately 30% of the students from A school and approximately 59% of the students from B school preferred face-to-face classes. Conclusions Students responded that using online shared documents instead of using paper to record their discussions in group activities as they did in face-to-face group activities was a convenient and efficient way to share ideas. 목적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함에 따라 강의식 수업은 비대면으로 큰 문제없이 진행되었으나 소그룹 수업은 온라인으로 원활히진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이 연구는 온라인으로 소그룹 수업을 실행하고, 온라인 수업 중에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위하여 웹 공유문서를 활용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A 의과대학 의예과 1학년 70명과 B 의과대학 의학과 3학년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 의과대학은 동기향상을주제로 3시간 동안 온라인으로 소그룹 수업을 진행하였고, B 의과대학은 환자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내용으로 5주 동안 온라인으로 소그룹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만족도 설문은 자체개발한 11문항의 설문지로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온라인 소그룹 수업과 웹 공유문서 활용에 대한 학생만족도 분석결과, 50~60%의 학생들은 온라인 소그룹 수업이 대면수업에서와 같이 차이없이 원활히 진행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웹 공유문서에 대한 접근 용이성과 편리성을 평가한 결과, A 대학에서는 각약 85%, 83%의 학생이 만족하였고, B대학에서는 각 약 53%, 65%의 학생이 만족하였다. 수업방식에 대하여, A 대학은 약 30% 학생이, B대학은 약 59%의 학생이 온라인 소그룹 수업을 선호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큰 문제없이 온라인 소그룹 수업을 수행할 수 있었고, 대면 소그룹 활동에서 토의내용을 기록하는 전지를 대신하여 웹 공유문서를 활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다. 웹 공유문서는 교수-학생, 학생-학생 간에상호작용을 높이는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 온라인 수업 사례로 본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식

        서미옥(Suh Mee-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전통적인 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수업방식으로 변한 수업 상황을 맞이한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온라인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의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2020년도 여름학기에 수강한 교육대학원생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30명이다. 이들은 2020년도 6월부터 8월까지 15주 동안 실시된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을 경험하였다. 설문 조사는 종강 무렵에 온라인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출석을 점검하는 교수전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이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과제물과 성적 평가에서 몇 가지 개선할 점이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평가방법도 교수자가 혼자서 평가하는 것보다 동료들의 상호평가, 자기평가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셋째, 이들은 온라인 수업에서도 토론이나 협동 학습,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설계의 질적인 보완과 학습 동기와 관련된 부분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ing design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facing a class situation that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to unexpected online classes due to Corona 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s graduate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took the 2020 summer semester. They took courses in video recording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for 15 weeks from June to August 2020.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onlin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cognized the need for a teaching strategy to check attendance in various ways in online classes. Second, the subjects recognized that there were some improvements in the assignments and grade evaluation in online classes, and it was desirable to use various methods such as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rather than the instructor s own evaluation. Third, the subjects recognize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should be enhanced through discus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activities in online classes. Fourth, the subjects recognized that qualitative supplementation of class design and learning motivation in onlin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