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장지역 고지도와 옛길

        이종봉(Lee Jong-Bong)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1

        본고는 기장 옛길을 고지도 등의 문헌 자료와 현지답사 등을 통해 검토하였는데,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장은 남북을 축으로 산이 위치해 있고, 이러한 산을 중심으로 하천들이 발달되어 있다. 기장 옛길은 산 · 하천의 끼고 발달해 있었다. 옛길의 주위에는 기장에 부임한 수령과 기장을 순시한 관찰사의 비문(금석문) 등이 있어서, 이곳이 기장 옛길이었음을 명확하게 밝혀주고 있다. 둘째, 기장 옛길은 현장답사와 고지도를 통해 검토한 결과 『해동지도』와 『1872년 군현지도』에 묘사된 부분이 제일 정확하였다. 반면 일부 고지도에는 기장 옛길을 부분적으로 잘못 표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장 옛길을 묘사하면서 잘못된 지도를 원본으로 삼은 결과로 여겨진다. 따라서 기장 옛길은 『해동지도』와 『1872년 군현지도』를 활용하여 복원의 중요한 토대로 삼아야 한다. 셋째, 기장 옛길은 나름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양산에서 기장으로 오는 옛길은 행정적 기능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이는 옛길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수령들의 금석문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넷째, 기장 옛길은 현재 이전의 옛길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 있는데, 이를 복원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알리는 중요 자료로 삼을 만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old roads of Gijang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old maps and the field work. First, there is located a mountain on the axis of north-south in Gijang, and a river spreads out around this mountain. The old roads of Gijang were unfolded along the mountain and river. There were the inscriptions of the then officials and provincial governors around the old roads of Gijang, which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se roads were the old ones of Gijang. Second, according to my examination of old maps and my field work, the roads of Gijang depicted in Haedong-Jido and Old County Maps in 1879 are most exac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identified that some of the old maps partly mis-marked the roads of Gijang. It seems that these errors resulted from making a model of wrong maps when depicting the roads of Gijang. Thus, by using Haedong-Jido and Old County Maps in 1879, one must take this as a important foundation for restoring the old roads of Gijang. Third, the old roads of Gijang have their own feature. The old roads from Yangsan to Gijang had many administrative functions.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officials' inscriptions located around the old roads. Fourth, the old roads of Gijang are the place which has the past old roads' traces in its keeping. One can have enough precious materials to reveal the local identity by restoring this.

      • KCI등재

        디지털 옛길 복원의 의의와 활용 가능성: 전라북도의 교류길을 중심으로

        김미숙(Kim Misook),이정덕(Yi Jeongd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역사와 문화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옛길’ 복원의 의의와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것이다. 특히 교류사적인 관점에서, 전라북도 옛길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문화관광자원으로써 디지털 옛길 복원에 따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디지털 옛길은 기존 문물교류길과 같은 역사기록에 근거한 길 찾기를 넘어 지역사람들이 지닌오랫동안 이용될만한 지리학적 이동 경로의 네트워크 복원과 교류의 의미를 지닌다. 이에 일본의고지도를 활용한 옛길 복원의 사례를 소개하고 전라북도의 현황을 제시하여, 현재 진행 중인 디지털 방식으로 옛길 복원의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옛길 복원’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와 지역교육 등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론과 실제가 상호 접목된 교육 자료로 활용할수 있다. 둘째, ‘디지털 옛길’을 현장의 역사 및 유물유적과 연결한 역사 테마가 있는 도보 관광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비대면 시대에 지역의 과거 변화를 알 수 있는 역사여행관광 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명의 고속도로의 중간경유지로서 가치가 있는 전라북도 지역의 이미지 제고 및 위상을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effect behind the restoration of the ‘old road,’ where people can experience both the history and culture . In particular, an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histo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s of the old roads in Jeollabuk-do, and to present the usability of digital old roads as resources for cultural tourism. The expected effects of the “Digital Old Road Program,” as identified via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resource in which theory and practice are grafted together in terms of local history and understanding. Second, the “Digital Old Road” can be used as a walking tour program with a historical theme that connects with the site’s history and relics. Third, it can be used as a historical tourism product in the non-face-to-face era, representing the changes in the region. Lastly, it can enhance the image and status of the Jeollabuk-do, which is valuable as an intermediate transit point of a civilization The digital ‘old road’ concerns the restoration of a network of geographic travel routes in context of the local community; routes which can and have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routes beyond thos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 such as the past inter-civilization roads. In addition, a Japanese case regarding the restoration of old roads via the use of old maps was introduced as a leading example of exploring ways to utilize the old roads discovered in Jeollabuk-do.

      • KCI등재

        水原發 금강산 옛길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수원 선비 지상은의 金剛錄을 중심으로 -

        박부원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stories on Old Trails between the Ancient Doctrine of Gyeonggi(京畿) and Mt. Geumgang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Culture Contents. It attempts to examine how the Old Trails can be recon structed to find its contemporary value utilizing humanities resources like Mt. Geumgang Yusangi or Mt. Geumgang travel account. Yusangi is not only a well-structured literary work, but also a historical record. Geumgangrok(金剛錄)which was recently published by Suwon Museum is a Yusangi by a Suwon native who spent about 29 days traveling around Mt. Geumgang and returned to Suwon. The Yusangi can be used as a source of reconnecting various places mentioned in the traveller’s journey to and fro. More speci fically, this paper conceives an idea to develop a culture content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For example, by examining the Yusangi, it situates Suwon, Gyeonggi-do as a point of departure and Mt. Geumgang as that of arrival while embracing the places in-between on the Old Trails and Goryeo and Choseon Dynasty as a historical background. A local culture content must be based on historical facts. Likewise, if a content distorts historical facts, it may not be able to claim its credibility even if it offers some interesting elements of a story. With that in mind,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through the Mt. Geumgang Yusangi. Two things were compared. One is Dowondo(桃源道)out of 22 postal station systems connecting to Gaegyong, a capital city of Koyro Dynasty from Goryeo-sa(高麗史). This other is Gyongheungje path 2 from Shin, Gyong-Jun’s Dorogo(道路考), and it was then confirmed through Daedongyeojido(大東與地圖). It was, first of all,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Mt. Geumgangsan Yusangi is an object of the culture Archetype with its unique value as a cultural resource. Secondly, the Yusangi can serve as an agency or a source of accommodating different culture contents. Finally, one of the important things to note in the work of Old Trails of Mt. Geumgang is that Korea is at a juncture to embrace a new era of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with the land tour of Mt. Geumgang possibly beginning soon,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it is ‘now’ to start thinking about what kinds of valuable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developed and available to the travelers to Mt. Geumgang. 본 연구는 금강산 유산기라는 인문자원을 활용하여 현재적 가치로 재구성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화콘텐츠의 활용적 시각으로 경기천년 금강산 옛길 개발 가능성을 재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산기는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작성된 문학작품이면서 역사적 기록물이다. 최근 수원박물관에서 발간한 금강록은 수원사람이 29일간에 걸쳐 금강산을 유람하고 수원으로 돌아와서 작성한 유산기이다. 이런 금강산 유산기는 특정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여정에 포함된 지역과 지역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소재로 활용가능하다. 출발지 수원과 금강산을 유람하고 수원으로 돌아온 기록을 가지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아우르는 시공간 연계콘텐츠를 기획하였다. 지역문화콘텐츠는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 완성된 콘텐츠의 재미요소가 충분하더라도 역사적 사실 요소를 왜곡한다면 콘텐츠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 이에 고려사 기록을 통해 고려시대 개경을 중심으로 각 방면으로 연결되는 22역로망 중 도원도와 조선시대 신경준 도로고의 경흥제2로를 기반으로, 금강록의 구간을 대동여지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금강산 유산기를 기반으로 금강산 옛길 구현이 가능하였다. 이를 현재적 가치로 활용하기 위해 금강록을 소재로 한 ‘수원의 금강산 옛길’, 천년경기 소재로의 ‘금강산 경기옛길’, 남북협력 콘텐츠로의 ‘금강산 평화탐방 경기옛길’ 등 3가지 루트의 시공간 옛길 개발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금강산 유산기 콘텐츠는 보편적 문화원형의 객체로서 이미 하나의 완결된 문화자원이기도 하면서 다시 또 다른 콘텐츠 간 연계의 소스로 제공해줄 수 있는 중간재, 혹은 촉매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소재이다. ‘금강산 옛길’의 현재적 가치로의 구현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곧 시작되는 ‘금강산 육로관광’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할 것이며, 향유자에게 어떤 향유요소를 통해가치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바로 지금’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API를 적용한 서울 옛길 12경의 시퀀스 분석

        김선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Seoul's History and Urban Basic Plan (2015), follow-up work on future urban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future of the city as a whole, is essential for managing the old city center of Seoul. To increase the value of Seoul as a mega-city, it is necessary to find its own narrative through the excavation and recording of old roads in Seoul, but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context of the collapsed city to find a possibility that is suitable for the present day. For this, the city's street culture is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reading a real city begins by walking, and walking begins on the street. Therefore, we investigate of 12 old roads at the Four Gates in Seoul. (Method) This study was collected and processed using Open API data from August 2019 to December 2019 and uses the r3.4.1, ArcGis Pro2.2.1 program. We use Google's API to provide detailed collection sources, how to use them, and examples. The collected data is saved in JSON format and converted to CSV format. The temporal range is from the beginning of Choson to February 2016 through the selection of old road surveying and recording targets, the creation of old road maps from 2014 to December 2018, and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through February 2016. Currently, the spatial extent corresponds to three dongs (administrative divisions) in Jongno-gu, Seoul, and seven dongs in Jung-gu, Seoul. (Results) Looking at the density change of the number of photos surveyed from August to December, clusters were formed in Namsan-dong Cheon-gil, Jingogae-gil, Jeongdong-gil, and Anguk-dong Cheon-gil.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length of the old road and the number of photos were irrelevant. In other words, Beijing Cheongil and Muksa Dongcheon-gil are 1.9 km and 1.8 km, respectively, ranking eighth and 10th in the number of photos even from a relatively long distance. In addition, there is no interesting sequence when walking except for the walls and paths of the palace, along the west wall of Jongmyo and Changdeokgung Palace. In addition, people in Muksa Dongcheon-gil, which is located around Jungbu Market and Bangsan Market, continue to visit the market on special occasions, but there is no activity that attracts much attention today.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secure an identity that applies to contemporary Seoul, not just immersing oneself in the historical value of the 12 old roads.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eople who use the city of Seoul, there is a need for raw data that utilizes various SNS-linked services for marketing in Seoul.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의「역사 도심 기본계획(2015)」수립 이후 도심부의 미래상과 추후 유지 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실천하기 위한 후속 작업은 현재 서울 옛길의 구체적 사업을 위한 첫걸음이다. 메가시티로서 서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서울 옛길의 발굴과 기록으로 고유의 결을 찾되, 끊어진 도시 맥락을 분석하여 동시대에 적합한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의 거리문화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면 실제 도시를 읽는 첫 번째 행위는 보행을 통해서이고 그 보행은 거리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울 옛길 12경의 시퀀스를 조사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8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Open API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집 및 가공하며, r3.4.1, ArcGis Pro2.2.1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수집 소스, 활용 방법, 예제 등을 상세히 제공하는 Google API를 활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JSON 형식으로 저장, CSV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가공 단계로 분석한다. 시간적 범위는 조선 초에서 2016년 2월까지 옛길 조사 및 기록화 대상의 선정을 통해 2014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옛길 지도 작성과 DB 구축이다. 공간적 범위는 현재 서울시 종로구 3개 행정동과 중구의 7개 행정동에 해당하며, 옛길 12경을 서울시에서 분류한 특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남산동천 길과 진고개 길은 서울 사대문 안의 최대 상업시설로 입지가 굳혀져 많은 사진이 전송되었다. 다양한 상업공간이 즐비하다. 정동길은 정동 23-8번지에서 정동 34-3까지 가로로서 너비 18m의 1차선 도로이다. (결과) 사진 개수에 따른 월별 밀도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남산동천 길, 진고개 길, 정동 길, 안국동천 길은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즉 길의 길이와 사진 개수는 무관하였다. 반면 북영천 길과 묵사동천 길은 각각 1.9㎞, 1.8㎞로 상대적으로 긴 거리에도 사진 개수가 8위, 10위였다. 종묘와 창덕궁의 서쪽 담을 따라 이어진 북영천 길은 고궁의 담과 차도를 제외하면 보행 시 흥미로운 시퀀스가 없다. 그리고 중부시장과 방산시장 주변인 묵사동천 길은 특별한 목적을 위한 시장 방문은 이어지고 있으나, 시공간적으로 주목을 끌어당기는 시퀀스는 없다. 바로 이러한 부분이 소셜 미디어 데이터에서 이미지 양을 결정한다고 본다. (결론) 옛길 12경에 대한 역사적 가치에만 몰입하지 않고 동시대 서울의 맥락을 적용한 정체성 확보가 중요하다. 서울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와 단계적 추진을 위해 세계화에 맞춘 서울시만의 특성에 적합한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다. 서울시의 마케팅을 위한 SNS 연계 서비스를 다각적으로 활용하는 로 데이터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경기옛길의 지속적인 운영 방안 연구 - 일본 구마노고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선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6

        Old Trails in Gyeong-gi Province are footpaths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ootpaths were built based on the six main roads that ran through Gyeong-gi Province.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Old Trails in Gyeong-gi Province started in 2013 by opening Samnam Trails and Uiju Trails and will continue until 2017, when the project is completed. This article reviews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status of the Gyeong-gi Old Trails and what should be done to make its operation sustainable. Local cities such as Gwacheon, Anyang, Uiwang, Suwon, Hwaseong, Osan, Pyeongtaek as well as Goyang and Paju participated in the restoration projects of Samnam Trails and Uiju Trails, led by Gyeong-gi Provinc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in charge of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Trails and Beautiful Hiking, an NGO that has explored trails for hiking, signed an MOU to restore the Trails and since 2014, the two organizations have been involved in its management and operation with a full responsibility. So far, it has been the government office that took the initiative in its operation. However, in order to make the operation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should expand further. In this regard, we can find some insights in the case of Kumano Kodo (熊野古道) of Japan, which has developed old routes with historical meanings into trails for walking. The old routes are mainly operated by Wakayama, a local government, but also, local people and NGOs cooperate with the city government. The case of Wakayama can be a good example that shows how the private sector community should be nurtured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Gyeong-gi Old Trails. 경기옛길은 조선시대 옛 도로망 중 경기도를 지나는 6개의 대로(大路)를 기초로 하여 조성된 도보길이다. 본 연구는 2013년 삼남길과 의주길 개통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조성 완료 예정인 경기옛길의 관리·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지속적인 관점에서 지향해야 할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삼남길과 의주길은 경기도를 중심으로 각각 과천·안양·의왕·수원·화성·오산·평택시와 고양·파주시가 참여하였고 연구와 관리·운영을 맡고 있는 경기문화재단, 도보길을 개척한 민간단체인 아름다운도보여행이 MOU를 체결하여 조성하였으며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관리와 운영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관(官)이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있지만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영역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에 경기옛길과 유사한 속성인 역사성을 갖춘 옛길을 도보길로 개발한 일본 구마노고도의 사례에서 유익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특히 구마노고도 와카야마현의 운영 방식은 관주도의 사업이지만 지역주민과 민간단체가 함께 협력하여 운영해 나가고 있다. 와카야마현의 사례는 경기옛길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민간커뮤니티가 어떠한 방법으로 육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좋은 모델이 될 수 것이다.

      • KCI등재

        길 문화콘텐츠의 생태학적 해석 - 경기옛길을 중심으로 -

        유영초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Trail-walking has been established as a major cultural content for travel and health. A lot of walking trails such as Ollegil, Dullegil, etc. have been built, and the proposal of building ‘Korea Dullegil’ at the level of a national policy was made. But there have been no basic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way is this?’, ‘What people is it that walk?’, ‘Why do they walk?’, and ‘How is it that they should walk?’, raised yet. Instead, in most local governments, the authorities concerned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gains, such as promoting tourism in the regions, through building trails. In this paper, the present writer will consider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Way’ in the first place and then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Gyeonggi-yetgil(the old routes in Gyeonggido Province).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the vision and the way of restoring the Gyeonggi-yetgil will become clear in conclusion.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reviewed, Way has the whole significance beyond the sense of a specific physical space for walking. It contains not only the abstract itinerary of the past times, the journey of life of the past people, the lifestyles and methods of the people, but it contains philosophical attitudes and norms on which the principles originated from such times and people have been projected, as well. In addition, we could tell that in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of Way is implemented the principle of Lao Tzu, who said that people learn from the earth, the earth learns from the sky, and the sky follows Tao(道) and Tao(道) learns from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Way, which has embodied such principle of the nature, have been inscribed the functions fulfilling biological, social, political, cultural, philosophical, and religious desires of human beings. In terms of the natural ecology condition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yeonggi’, the Gyeonggi-yetgil(the old trails in Gyeonggido Province) will be the space functioning as the basic road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in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it will be the way to spiritual enlightenment or the way to wisdom in terms of the implication of old routes. Therefore, the Gyeonggi-yetgil will establish itself as the old routes of wisdom in Gyeonggido Province,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function as the basic route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and make way to the future through the nature and the history condensed in itself. The vision of the Gyeonggi-yetgil will consist in paving way for the current that to consolidate its identity the owners of the routes build ‘the basic route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of their own accord. For this sak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cology, such as network, diversity, circularity, systemic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routes. The Gyeonggi-yetgil should promote the network and the circularity between society and ecosystem, and enhanc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routes through bringing itself to politic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issues on the basis of its history and the nature. 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value, philosophy, knowledge, and methodology of walking should be developed, and by means of that system the Gyeonggi-yetgil should serve as a future-oriented and developmental role model. Specifically, a positive outlook and understanding for natural ecology such as historic great aged trees and traditional ecology in the Gyeonggi-yetgil is necessary. And it should contain not only a variety of ‘trail schools’ but also ‘the route for healing and meditation’, ‘the route to peace’ for overcoming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inking’ and ‘the feminine-friendly route’ in gender perspective, etc. 길 걷기가 여행과 건강 등의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자리잡았다. 이는 올레길, 둘레길, 숲길 등 각종 지역 브랜드와 명칭의 500여개의 1200여개의 걷는 길 코스가 이를 반증한다. 그러나 길 문화콘텐츠들이 대체로 ‘이 길이 어떤 길인가?’, ‘왜 걷는가?’, ‘누가 걷는가?’, ‘어떻게 걸을 것인가?’와 같은 이런 근본적인 의미의 기능이탑재된 것이 아니라 대체로 막연한 지역관광활성화의 경제성 측면이 더 부각되어보인다. 본고는 우선 ‘길의 본질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경기옛길의 정체성을 규명해 보는 가운데, 길의 의미에 정초한 비전과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검토한 바로는, ‘길’은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의 이동을 위한 걷는 길은 물론, 추상적인 시간이 담긴 여정, 생활양식과 방법, 나아가 철학적인 태도와 규범 등 세상의 총체적 원리를 포함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호프스테드의 문화 이해에 따른 상징과 의례, 영웅과 가치의 측면을 걷는 길에적용하여, 우선 걷는 길의 문화적 표층인 상징과 명칭을 이해하기 위해 경기옛길의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경기’의 자연 생태적 조건과 역사적 의미로 볼 때한반도의 중심에서 사방의 근본기능을 수행하는 곳이 되며, ‘옛길’의 종교적 함의가 주는 측면에서는 깨달음의 길, 지혜의 길이라는 의미를 확인했다. 따라서 경기옛길은 ‘한반도에서 사방의 근본이 되는 경기의 길로서 길에 응축된 자연과 역사를 통해 미래를 열어가는 지혜의 옛길’이라는 정체성을 갖는다.

      • KCI등재

        길 위의 인문학 박물관: 문경새재 옛길의 세계유산적 가치

        최종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8

        This article studied the historical, cultural and scenery importance of the Mungyeongsaejae Old Route and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uthenticity, integrity, issues of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roblems of zoning of World Heritage Protection, etc. as a World Heritage in the perspective from that the Mungyeongsaejae Old Route is a part of the Yeongnamdaero Main Road, the latter is also a part of the World Heritage of Silk Roads. Since the newly exploited from the Three Kingdoms Era, the Mungyeongsaejae Old Route of the Yeongnamdaero Main Road, that is consistently transmitting its traditional ways of life, has utilized as a war road between Goguryeo and Baekje, and between Goguryeo and Shilla in the field of military, a communication road between Giho Province and Yeongnam Province, and between Korean Peninsular and Japan Islands in the field of culture, a trade road between Seoul and Yeongnam, and between Korean Peninsular and Japan Islands in the field of economy, and an envoy road between Korean and Japan in the field of policy, and today it is revitalizing the road as a cultural tour road based on the human contents and eco-cultural landscape. This article attempted to interpret the Mungyeongsaejae Old Route of the Yeongnamdaero Main Road through an approach of the inscription application of the Tentative List of the World Heritage based on the human content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on the road, a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n the landscape side of the road in view of the museum and cultural heritage. 이글은 ‘문경새재 옛길’이 ‘영남대로 옛길’의 일부로서 ‘실크로드 연속유산’의 일부라는 관점에서, 문경새재 옛길의 역사적·문화적·경관적 의의와 세계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 보전관리의 쟁점, 보호구역 설정의 문제점 등을 탐구하였다. 전통적인 삶의 양식이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영남대로 문경새재 옛길’은 삼국시대부터 개척된 이후로 군사분야의 전쟁의 길(고구려와 백제, 고구려와 신라), 문화분야의 교류의 길(기호지방과 영남지방, 한반도와 일본), 경제분야의 교역의 길(서울과 영남, 한반도와 일본), 정치분야의 사신의 길(한반도와 일본)로 이용되었고, 오늘날 인문콘텐츠와 생태문화경관을 기반으로 문화관광의 길로 활성화되고 있다. 이글은 길 위에 펼쳐진 역사, 문화, 지리 같은 인문콘텐츠와 길 주변의 문화경관에 관한 유·무형유산을 박물관 또는 문화재 관점에서 영남대로 문경새재 옛길을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신청을 추진하는 접근법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충남옛길의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패턴디자인

        강화영(Hwa Young K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발전해온 특수산업으로 특정 지역의 자연 환경, 풍속, 유적 등의 특성을 소재로 그 지역의 특유한 소재를 가공하여 생산하기도 하므로 문화상품 생산은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고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한 산업이다. 특히 여행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다양화 되는 추세에 따라 타 지역을 방문하여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경험하는 과정으로 여행의 소중함은 현대인에게 매우 중요한 생활양식이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본 논문은 국내 공예문화산업 분류체계 구축 및 공예지원사업 평가모델 개발사례와 세계대백제전에 참여했던 문화상품관의 판매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충남옛길의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패턴디자인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국내에 조성되고 있는 ``길`` 사업을 통한 여행과 관광은 기존의 차별화된 도보 여행으로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함은 물론이고 잊혀졌던 지역을 개발하여 방문한 여행객을 통해 그 지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도보 여행에서 체험할 수 있는 매력을 주고 있다. 그 사례로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과 제주도의 올레 길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화상품은 지역의 홍보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많은 ``길``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상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현대에 맞는 다양한 지역의 상품들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발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충남의 캐릭터인 거북이를 모티브로 다양한 패턴을 개발하고, 조성하고 있는 충남옛길의 산업화 전략을 위해 충남이 가지고 있는 문화와 지역적 특성을 크게 3개의 길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태안바라길은 태안 지역의 아름다운 바다와 생태 체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코스로 태안의 특산물인 조개의 이미지를 살린 모티브를 디자인하였으며, 둘째 고성가도는 지역의 고성을 이은 것으로 옛성을 따라 백제의 역사과 삶을 체험하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코스로 다양한 성의 이미지를 담은 성곽을 모티브를 디자인하였다. 셋째 백제길은 백제의 옛길을 따라 걷는 코스로 백제의 문화를 대표하는 금동대향로의 봉황을 모티브를 디자인하였으며 여기서 개발된 모티브를 패턴화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길 사업은 그 동안 충남도내 옛 이야기가 묻어있는 30여 곳을 발굴하고 충남을 대표하는 역사 문화적 가치와 그 지역관광산업의 활성화와 경제적 가치 창출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사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충남 옛길을 위한 문화상품개발을 통해 충남의 고유성과 상징성을 반영한 무형의 소재들을 유형화하여 패턴을 개발과 함께 제품 기획 및 문화상품 개발 전략을 세우고 충남을 상징하는 다양한 캐릭터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충남의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창의적인 패턴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Cultural products are included to special industry which has been developed focused on a nation`s traditional culture, processing peculiar material of a certain region on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custom, relics etc. This industry can encourag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create high added value. Especially, according to a trend of increased needs for travel,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experiencing new things in other regions, travel has come to be a very important life style for contemporary people. To meet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pattern design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of the old road in Chungnam district,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andcraft culture industry and the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cases of handcrafts support business and sales status analysis of cultural goods shops participating in 2010 World Grand Baekje Exhibition. Travel and tourism through ``Path`` business under way in Korea not only contributes to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but also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ravelers to experience a regional culture by developing a forgotten region. The cases are Santiago pilgrimage road in Spain and Olre-gil in Jeju-do. These cultural products contribute to publicity of region as well as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In the situation where many ``Path`` business are under progress, various regional products fit to this age should be developed by refreshing recognition on cultural products. For such a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strategy of Chungnam old roads, this study examined cultur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ungnam old roads with roads largely divided to three ones-Chungnam old roads is under construction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patterns based on motif of turtle which is character for Chungnam. First, Taean Bara-gil has the course to arrange experiences for beautiful sea and eco-system in Taean area. A motif to use image of shellfish, the special product of Taean was designed. Second, Old fort paths consist of paths connecting old forts. Along the paths, people can experience the history and life of Baekje and feel nature. Motif for fortress including image of fort was designed. Third, Baekje path has the course for people to take an walk along old paths of Baekje. Fabulous bird of gilt bronze great incense burner representing Baekje culture was designed. This study, through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for Chungnam old roads, developed patterns by classifying invisible material reflecting peculiar and symbolic aspects of Chungnam, and focused on development of creative pattern design utilizing various characters symbolizing Chungnam based on strategy of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적용한 서울 사대문 안 옛길 경관의 가치 분석

        김선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enery of the old streets inside the the Four Main Gates of Old Seoul, preferred by SNS users, which is a new network of relationships that instantly reproduces while sharing all the information that citysumer feel while walking on. I compared, contrasted, and excavated the 「Doseongdaejido」 among the existing city maps and the cadastral map of Seoul in 2015. The historical origin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12 scenic spots including that Okryudongcheon-gil, Samcheongdongcheon-gil, Angukdongcheon-gil, Jesaengdongcheon-gil, Bukyeongcheon-gil, Heungdeokdongcheon-gil, Jeongdong- gil, Namsandongcheon-gil, Pildongcheon-gil, Muksadongcheon-gil, Jingogae-gil, Gurigae-gil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nalyze data by walking area, season, month, and space, from May 1, 2020 to June 30, 2021, I used the Open API to analyze with ArcGIS Pro 2.4 program. Thorough historical verification and restoration are also important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various projects related to Seoul’s Old Road. However, it is essential to the strategy of the old road inside the Four Main Gates of Old Seoul to reflect the contemporary paradigm in the city and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of citysumer and apply them to the road. The meaning of the road in the city is not a stuffed relic, but the flow of time, the meaning of space, and the values of the citizens living the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big data on SNS where unspecified people transmit data in real time to exchange opinions and activities. 본 연구는 서울 사대문 안의 옛길을 직접 걸으면서 느끼는 정보를 불특정 다수 와 공유하면서 재생산하는 새로운 관계망인 SNS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경관을 파 악하고자 출발하였다. 현존하는 도성도 가운데 가장 크고 정확한 「도성대지도」와 2015년 서울시의 지적도를 비교, 대조, 발굴한 옛길과 옛물길을 포함한 581개의 길 가운데 서울시가 지정한 옥류동천길, 삼청동천길, 안국동천길, 제생동천 길, 북영천길, 흥덕동천길, 정동길, 남산동천길, 필동천길, 묵사동천길, 진고개길, 구 리개길 등 12경의 역사적 유래와 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행영역별, 계절별, 월별, 공간별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2020년 5월1일 부터 2021년 6월30일까지 Open API를 활용하여 ArcGIS Pro2.4의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서울 옛길과 관련한 다양한 사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철저한 역사 적 고증과 복원도 중요하지만, 동시대의 패러다임 반영과 시민들의 선호도 파악 이 서울 옛길 전략에 필수적이다. 이처럼 도시의 길은 박제된 유물이 아니라 시 간의 흐름과 공간의 의미, 그리고 그곳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의 가치관을 담기 때 문에, 불특정 다수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의견과 활동을 교류하는 체 험의 빅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다.

      • 옛길을 활용한 수원 화성의 역사,문화 탐방로 네트워크 계획에 관한 연구

        ( Jeoung Suk Lee ),( Se Hwan C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9 No.1

        본 연구의 사례지역인 수원 화성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성곽과 행궁 등의 물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역사문화지역으로 국내 관광객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는 문화재이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적인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화성 성내의 지역경제는 매우 낙후 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는 수원 화성 성내는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개발여건이 열악한 상황이며, 수원 화성을 찾는 관광객이 성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원 화성지구 내의 옛길을 활용한 역사문화 탐방네트워크를 제안함으로써 성내에 존재하는 역사문화자원의 연계를 도모하고 역사문화탐방의 다양성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낙후된 역사도시의 지역 활성화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의 유형분류와 해석을 통해 접근성, 연계성, 잠재력 등의 기준에 의해 탐방 중심노선 및 네트워크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역사문화자원의 해석을 통해 ``옛길탐방권역``, ``테마거리권역``, ``예술탐방권역``, ``먹거리권역``, ``축제권역``, ``거점경관권역`` 등 6개의 권역별 특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이를 토대로 역사, 옛길, 라온, 문화, 경관의 주제를 갖는 총 5개소의 대표노선이 선정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이 정책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향후 5개소의 대표노선에 대한 세부실행과제들에 대한 연구과제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Suwon Hwaseong, was designat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site. It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comprised of physical elements including a fortress and Haenggung (temporary palace), attract not only local tourists but also foreign ones. However, the local economy is significantly underdeveloped despite its possession of such world cultural properties. The fortress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a and was therefore underdeveloped. Visitors to Suwon Hwaseong Fortress have not been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fortress. Therefore, This study promotes linkages amo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existing in Suwon Hwaseong Fortress, and in particular, proposes an historical and cultural trail network utilizing old roads. Its completion is a tribute to the local activities in the underdeveloped historical city of Suwo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ere identified and selected on the central route along with definitions of usable words in this research. A technique of selecting a central axis of old roads of Hwaseong was applied to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linkages, and potentiality, after excava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n having them interpreted and classified. Six zones of characteristics such as Old Road, Theme Street, Art, Food, Main Festival and Landscape Point were derived from interpretations o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five central routes such as Historical, Old Road, Raon, Cultural, and Landscape were selected based on them. Finally, should these conclusions be operated as policies, further research related to subdivision plans etc. would fol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