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부패예방 구조분석: 학부모 관점을 통한 이해

        유길한(Yoo, Gil-H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2

        이 연구는 교육부패 관련 연구들을 중심으로 교육부패예방 지표를 개발하고, 학부모가 바라본 교사의 정당한 교육, 윤리적ㆍ비차별적 사고, 문제제기 및 부당행정 거부, 교육의 공정성을 포함하는 교육부패예방 요인, 교사의 부패예방 인식, 교사의 부패예방 행동, 교사의 청렴 효과성, 학교의 청렴 효과성에 대한 인과구조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구조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의 샘플은 경남에 초등학생을 둔 시와 읍면지역의 학부모 1,600명을 대상으로 층화표본추출 방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샘플 1,351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 교육부패예방을 위한 학부모 모델의 최종모델은 적합한 모델로 판단되었다. 학부모가 바라본 과거 교사 행위에 근거한 교육부패예방 요인 중에서 청렴행위와 효과성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는 교육의 공정성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사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부모는 교사의 문제제기 및 부당한 행정의 거부에 대하여 일정 정도의 의구심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으나, 이 보다 큰 긍정적 간접효과로 인하여 최종의 총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부모가 바라본 교사의 교육부패예방 요인 중에서 학부모는 정당한 교육의 강조라는 적극적 행위를 예방적 행위인 비차별적 및 윤리적 기준에 부합한 사고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ctors of educational corruption prev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s, focusing on education - related corruption studies. In addition, the indicators are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fair education of teachers, ethical and non-discriminatory thinking, problem-solving and unfair administration rejection, fairness of education, prevention factors of educational corruption, teacher perception of corruption prevention, Teacher"s Integrity Effectiveness and School"s Integrity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caus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Based on this, it is a stud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model The sample of the study was a stratified sampling of 1,600 parents who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ity and rural area of Gyeongnam Province, and analyzed 1,351 samples of meaningful s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nal model of the parental model for the prevention of educational corruption was judged as a suitable model. Among the preventive factors of educational corruption based on the past teachers" behaviors as seen by parents, the implications for integrity and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seem to think negatively about the fairness of education. Second, the parents have a certain degree of suspicion about the teacher "s problem and the rejection of unjust administration, but the final total effect is positive because of the greater positive indirect effect. Finall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preventive factors of educational corruption of the teachers, the parents considered active act of fair education emphasis more important than non - discriminative and ethical standards.

      • KCI등재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정서 해소 프로그램이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하혜숙(Ha Hye Suk),김명섭(Kim Myung Seo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성희롱 예방교육에서 부정적 정서 해소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 이수자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학기 초 대학의 교수 성희롱 예방교육이 진행되는 현장에서 수집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실험집단에는 116명, 통제집단에는 143명이 할당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 참여자들의 태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정서 해소 성희롱 예방교육은 인지·정서·행동 모든 영역에 있어 일반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효과크기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성희롱 예방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negative emotion of participants, on attitude change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This data was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ere professori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was conducted. Two hundred fifty-nine professors participated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under 1 of 2 groups: negative emotion mitigation program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evention education, participa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 change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affect mitig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program in all aspects of the attitude change and the effect sizes were also relativel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culty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were discussed.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적용방안 연구

        박선환(Park Sun 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에 보다 근원적․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육적․정책적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요인별 학교폭력 예방교육 적용방안을 도출하였 다. 2015년 10월부터 2018년 12월에 걸쳐 학교폭력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입증된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우수사례들을 수집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국내 우수사례 분석대상은 교육부 및 교육청의 학교폭력 예방 우수사례 모음집, 학교폭력예방 종합포 털 자료, 방송 및 유튜브 영상자료, 학교폭력예방 우수학교 교사 12명의 면담자료이다. 이를 통해 ‘어울림 프로그램, 예체능 활동, 인성교육, 학생자치활동, 또래중재 및 또래상담, 대안교실, 언어문화 개선, 특별교육,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캠페인’ 등 총 10개 활동영역을 도출하고 그 내용과 성과를 제시하였다. 외국 우수사례 분석은 학교폭력 예방 국제세미나 및 포럼 자료집, 교육정책 포럼, 외국 학교폭력 예방우수학교 및 프로그램 홈페이지, 방송 및 유튜브 영상자료, 국제포럼 및 세미나 발표 자 총 4명의 면담자료이다. 이를 통해 ‘KiVa Koulu, 행복수업, 학교스테이션, Olweus 프로그램, 인성․시민의식 교육 프로그램, Second Step’을 도출하고 그 내용과 성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환경 요인별 적용방안으로는 학교스테이션 및 행복수업의 도입, 즐거운 학교환경 조성, 인성교육의 강화,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명확한 학교규칙 설정, 카운슬링 마인드의 생활지도와 민주적 학급 운영, 예체능의 활성화와 다양화, 지속적․체계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제안하였다. 개인적 요인으 로는 공격성, 적대감, 분노가 많은 학생, 좌절, 자포자기, 우울감, 불안이 높은 학생, 학교폭력 목격자 및 방관 학생으로 분류하여 그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nd political measures that provide more fundamental and efficient access to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From October 2015 to December 2018, the commission collected and interviewed outstanding cases of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Korea and abroad. Subject to the analysis of the outstanding cases in Korea are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against school violence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education office, broadcasting and youtube video materials, and interview data of 12 teachers of good schools against school violence. Through these efforts, a total of 10 areas of activity including eulim program,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y, peer-to-peer counseling, alternative classroom, language culture improvement, special education, connections with families and communities, and campaigns were derived and their contents and achievements were presented. Analysis of foreign best practices is the interview data of a total of four presenters of international seminars and forums against school violence, educational policy forums, broadcasting and youtube video materials, international forums and seminars. Through this, KiVa Koulu, happiness class, school station, Olweus Program, Personal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Second Step were derived and its contents and achievements were presented. The study found that the application methods for each school environment factor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school stations and happiness classes, creation of pleasant school environment,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establishing clear school rules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living guidance of counseling minds and democratic class operation, revitalizing and diversifying entertainment programs, and continuous and systematic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s a personal factor, the application was proposed by classifying students with a lot of aggression, hostility, anger, frustration, desperation, depression, anxiety, school violence witnesses, and bystanders.

      • 예방교육의 실천적 도전과 문화적 맥락의 재해석

        윤만근 돈보스코 청소년 영성 사목연구소 2021 가톨릭청소년교육사목연구 Vol.- No.1

        본 논고는 예방교육(preventive system)이라는 ‘단어’로 인하여 축소되고 제한될 수 있는 예방교육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기존 ‘용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 문화에서 직면할 수 있는 예방교육의 실천적 도전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예방교육’의 본질적인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하여 본 논고는 역사적 배경 안에서 ‘예방교육’ 용어의 등장 배경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예방교육의 핵심 요소와 이를 적용하는 실천 전략인 ‘assistenza’의 본질적 기능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이질적 문화에서 예방교육의 가치가 어떻게 실천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례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예방교육의 실천은 교육자들의 예방교육의 가치에 대한 내면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가치는 교육 조직 내에 예방교육의 구조적 요소에 스며들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예방교육 실천의 도전적 요소들을 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여, 예방교육의 교육적 가치가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인지적 관점의 폭력예방교육을 위한 법제화 방안

        정현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09 법학논집 Vol.14 No.2

        아동과 청소년들이 폭력을 답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부터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훈련과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각종 법률에서 명시한 폭력예방교육이 학교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성희롱 등 7가지 정도이지만,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학교폭력예방교육과 성교육에 불과한 정도이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폭력범죄들은 가부장적인 사회문화구조와 성의식과 무관하지 않으며, 다양한 폭력유형들 간의 내재적 연관성을 주목한다면, 각종 폭력예방교육은 폭력에 대한 불관용 및 평화적 갈등해결능력의 배양이라는 공통적인 가치와 목표 하에 통합될 수 있다. 폭력예방교육은 인권교육을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며 성교육의 방향도 함께 설정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성인지적 폭력예방교육의 통합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기존의 법률의 개정 차원이 아닌 새로운 통합입법의 제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통합법이 언제 입법이 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므로, 여성부 소관인 여성발전기본법에 통합규정을 두는 일부개정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또한 현 단계에서는 교육내용을 실질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성교육을 통합적 폭력예방교육으로 완전히 대체하고, 교과목 중에 인성교육과 성교육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덕, 기술·가정, 사회, 체육과목의 부분을 인성교육, 성평등, 건전한 성의식의 함양이라는 교육기본의 이념에 상응한지를 검토하여 새롭게 개편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protect juveniles against violenc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several previous violence preventive education. Education programs such as “sexuality education” and “violence preventive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at school, based on the regulations such as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Act on the Prevention of Sexual Traffic”, “Act on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ct on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ct on Child Welfare” etc. However, those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regarded as an unimportant educational subject. In addition, there are no appropriate guidelines on the education. According to studies on violence causes, most violent crimes are reported to be related to male-dominated and patriarchal societies. Gender discrimination combined with patriarchal system is likely to ratify men’s violence against women. Therefore, all sorts of violence including school violence,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etc. should be handled together and several violence preventive education should also be integrated based on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s. In the future, a single act on education in gender perspective, for example, “Act on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legislated.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박창언(Park Chang 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현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교육부 령으로 제시하는 개정 법률 안이 제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하위 입법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법제화를 위한 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교육과정의 관계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제출된 개정 법안의 제안 이유와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법제화 방안 탐색을 하였다. 논의 결과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반영 방안은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과 국가 교육과정을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은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과 같이 직접적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사항을 교육하여야 할 부분에 해당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법령 체제를 정비하여야 하는 외형적인 측면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와 내용 및 방법의 내용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부분에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총론은 교과에 해당되는 사항을 일괄적으로 제시하거나 각론의 지침에 해당되는 내용이 제시되므로, 구체적인 사항보다는 지침의 역할을 하는 사항 위주로 제시하였다. 각론은 해당 교과별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교과별 성취기준의 반영 정도를 달리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현재의 교과별 반영 비중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반영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눈데 시사를 준다. This study suggested legislation for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in curriculum fiel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urriculum, and then examines the grounds for offer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proposed amendment in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he regulations an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methods reflected through regulations are time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on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 time of education is properly set at four hours each year. The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 the understanding, case study, and coping method of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eaching methods are lecture method instruction, field study, and role play etc. The plan to apply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proposes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 matter curriculum. The general guideline prescribes the guidance related to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he subject matters curriculum reflects achievement standards by each subject.

      • KCI등재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관련 법·제도 개선 방안

        구미영(Miyoung, Gu)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叢 Vol.56 No.-

        공공기관은 성희롱 예방교육, 방지조치 시행 여부를 매년 여성가족부장관에게 제출하고 점검받도록 양성평등기본법령이 규정하고, 금융상품 판촉 영업 등과 연계한 무료교육을 예방교육으로 인정하지 않는 등 교육의 수준과 이행 실적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리, 감독이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반면에 민간기업 관련해서는 예방교육의 질적 수준을 관리할 수 있는 법·제도적 근거가 부재하거나 형식적으로 작동하는 한계가 있다. 예방교육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강사의 위촉과 자격, 타 교육과의 병행이나 상품판촉과의 결합으로 인한 교육의 수준 저하를 관리감독할 근거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고용노동부 소관 법정교육 중 하나인 장애인 인식개선교육과 산업안전보건교육 강사의 경우 법령에서 강사의 자격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전문교육기관의 자격과 교육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법령을 해석, 적용하고 있다. 이 논문은 민간기업에 초점을 맞추어 성희롱 예방교육의 근거 법령과 제도를 분석하고 예방교육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선방안으로는 예방교육 강사의 자격 기준을 법률로 정하고, 양질의 교육을 위해 남녀고용평등법에 규정하였으나 유명무실한 상황인 ‘지정예방교육기관’ 및 ‘승인강사양성과정’ 관련 규정을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민간기업 대상 예방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공 책무 규정을 신설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 관련해서는 상품판매 홍보 방식의 교육 관련 사업주에 대한 과태료 부과 규정을 신설하고 경영진 및 관리자 대상 교육의무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Gender Equality Act stipulates that public institutions submit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and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measures to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very year for inspection. In addition, government-level monitoring of training and implementation are systematically implemented, such as not recognizing free training linked to sales or promo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 for regulating the quality level of the training in private sectors. There is no requirement for the appointment and qualifications of the training instructor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training. As a result, the problems of private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the issuance of instructor qualifications with only a two-hour lecture, were criticized by Parliament in 2019.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structors for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training an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which are one of the statutory training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law stipulates the qualifications of instructors in detai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ws and systems that are the basis for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focusing on private companies, and to derive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training.

      • KCI등재

        인격권 보호를 위한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의 과제

        최홍기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4 노동법포럼 Vol.- No.42

        직장 내 괴롭힘은 일하는 사람의 ‘노동권’을 비롯하여, ‘평등권’, ‘건강권’, ‘환경권’ 등을 훼손하는 위법한 행위일 뿐만 아니라, 일하는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격권’을 직접적으로 침해하는 행위이므로 국내외적으로 적극적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관계법령 및 기타 개별 법령 등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법적 보호 및 구제를 모색하고 있지만, 인격권을 침해하는 문제에 대한 대응 및 구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사전적 예방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인격권의 성질상 인격 내지 인격적 이익이 일단 침해된 경우에는 노동관계법령 및 개별 법령 등을 통해 법적 구제가 사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원상회복이 곤란한 측면이 없지 않고, 인격권이 보호하고 있는 법익인 생명, 신체, 건강 등은 그 자체가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법익이라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사후적 구제보다는 사전적 예방 측면이 더 중요하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격권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관점에서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에 초점을 두어 법적 검토를 해보았다. 현행 근로기준법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을 정의ㆍ금지하는 동시에 취업규칙을 통해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동법 제76조의2 및 제93조 제11호), 현실적으로는 적지 않은 사업장에서 정부의 행정지도 및 행정규칙 등을 통해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을 그 수단으로서 채택하고 있고, 직장 내 괴롭힘이 법제화된 이후 2021년 1월 19일에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의 개정을 통하여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이 안전보건교육의 내용으로 포함됨으로써(동법 시행규칙 별표5 참고), 직장 내 괴롭힘 예방과 관련한 교육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현행 근로기준법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등에 관한 사항을 취업규칙에 포함하도록 정하고 있는데, 신설ㆍ변경된 취업규칙에 대해서는 주지의무의 이행이 필요하고, 주지의무의 방법으로는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을 그 수단으로서 적극 해야 한다는 점, 일하는 사람의 인격권이 인정된다고 하면 사용자는 인격적 이익을 존중ㆍ보호할 의무(보호의무)를 부담하게 되는데, 보호의무를 근거로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 의무를 지울 수는 없더라도 보호의무 위반 여부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예방교육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점,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교육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예방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고, 그러한 교육을 교육과정 및 교육대상별로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근거는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내용, 강사의 자격 및 교육기관의 요건ㆍ관리에 있어서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안전보건교육과 관련한 규율이 위임임법의 문제가 있으므로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을 위해서는 전체적인 정비가 요구된다는 점을 밝혔다.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의 문제도 본질적으로는 인격권 보호의 문제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법적 근거와 내용을 명확히 하고,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에 대한 입법적 개선과제를 검토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일하는 사람 ...

      • KCI등재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 만족도 조사와 개선방안연구

        정선정,이은혜,이문수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5

        연구는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이하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집합교육과 이러닝으로 실시하는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5,939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4,263명). 최종적으로 회수된 유효 응답자료(4,237명)를 기술통계 및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훈련기관 관계자가 인식한 교육서비스 품질(4.42)과 만족도(4.44), 이해도(4.44) 및 도움도(4.45)는 모두 매우 높고, 교육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도 4점 이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법별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이해도 및 도움도는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으로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인식도가모든 변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방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모두는 집합교육과 이러닝에서 각각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중에서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합교육에서는 교육내용이, 이러닝에서는 자료구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방교육에서 추가적으로 희망하는 교육내용은 부정훈련 사례(70.7%), 처분규정(47.9%), NCS과정 운영 유의사항(32.8%), 훈련운영 우수사례(3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가 요구사항에서도 심화과정 개설, 훈련생 대상 부정 예방교육 콘텐츠 제공, 이러닝에서 집중할 수 있는 화면전환 및 시스템 안정성 등이 추가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의 만족도 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반영하여, 예방교육 이러닝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방교육 만족도와 이해도 및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주고, 희망사항 및 기타의견에서도 교육내용에 대한 보완이 제시되고 있어, 예방교육 내용을 다양화 하여 보다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합교육에서 교육내용 다음으로 만족도 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전달방법과 교육장소로 나타난 바, 전달력이 뛰어난 강사 배정과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교육장소 마련이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닝에서 자료구성 다음으로 이해도와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영자지원으로 나타난 바, 보다 활발한 운영자 지원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생을 대상으로 한 부정훈련 예방활동도 요구되며, 여섯째, 예방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육 요구도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trainees involved in vocational training fraud preventive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4,263 persons) of 5,939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evention education conducted by group education or e-learning in 2017. Finally we collected 4,237 effective response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4.42), satisfaction level(4.44), understanding level(4.44) and help level(4.4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articipants in the preventive education 4 and above. Second, e-learning participants' perceived level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comprehension, and help was higher in all variables than collective education's. Third, all of the sub-factors of preventive education service quality influenced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help in collective education and e-learning, respectively. In the collective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and in e-learning, the data composi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urth, desirable education contents were cases of fraud training(70.7%), disposition regulations(47.9%), NCS course operation instructions(32.8%) and training management best practices(32.4%). Additional requirements also includ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th course, the provision of anti-fraud education content for trainees, and screen switching and system stability that can be focused on e-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e-learning for prevention education more, reflecting satisfaction of e-learning is higher than that of collectiv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ntent of preventive education and to provide it more abundantly, because it has the biggest influence in common with the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help level of the preventive education. Third, education content next, the factors that have a relatively big influence on satisfaction are shown as delivery method and education place in the collectiv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 place considering the assignment of instructor and convenience. Fourth, constructing data next, the factor that have a relatively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and help are found to be operator support, and more active operator support activities are required in e-learning. Fifth, it is required to delivery prevention activity for trainees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Sixt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preventive education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학교 급별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분석

        오희정(Huijeong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등의 운영이 학교폭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폭력을 근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학교 급별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여 학교 급별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에 최근 2년간의 EDSS 교육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여러 개의 독립변수들이 각각 종속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한 모형이 무엇인지 등을 밝히는 통계적 방법인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학교폭력 예방교육 유형들이 학교폭력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급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여러 유형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은 학교폭력 발생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설명력이 전체 1.3%~1.7% 정도로 매우 작았다. 학교 급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중학교에서 영향력이 가장 작고, 초등학교에서도 1%대로 작았으며, 고등학교에서는 3.9%~8.7%로 다른 학교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고등학교급에서만 다양한 유형의 학교폭력 예방교육 중 학생 정규교과 수업 및 그 외 이루어진 학교폭력 예방교육만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일부 또래 관계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오히려 학교폭력 발생률을 높이는 부작용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따라서, 현행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가 모색되어야 하며, 보다 실효성 있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by identifying how effectively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s are preventing school violence. Also, b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effects by school grade, I tried to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each school grade. Methods Accordingl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edudata of EDSS for the past two yea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that reveals how each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and which model is most suitable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uggested how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affect the occurrence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is, those differences by school grade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conducted at school fiel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s for school violence. However, the explanations were very small, about 1.3% to 1.7%.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school grade, the influence was the lowest in middle school, the influence was small in 1% i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3.9%~8.7% in high school, showing a relatively high influence compared to other school grade. In addition, only in high school, among the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only regular and irregular subject classe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were effective. Moreover, som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using peer relationships showed side effects that increased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Conclusion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innovative changes to curr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sought, and that more effective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