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안세영(Se-young Ahn),정안성(Ahn-seong Jeong),신동훈(Dong-hun Shi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대내외적으로 식품산업클러스터, LOHAS, 에스닉푸드, 할랄푸드 등 식품산업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품의 부재료로만 인식되던 소스는 이러한 기류에 힘입어 국내 및 해외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식품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적인 요소, 곧 식품산업의 반도체라 할 수 있는 소스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차후 전라북도에 건립될 소스센터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스산업의 산업연관분석결과, 생산유발계수는 2005년 2.0에서 2010년 2.3로 나타났으며, 전 산업으로 보았을 때 6번째로 높게 측정되었다.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계수의 연평균 증감률을 보았을 때, 투자부문이 68.5%로 전 산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영향력계수는 2005년에 1.1로 음식료품 1.1보다 1단계 높은 6위로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1.2로 음식료품 다음으로 6번째로 높게 측정되었다. 영향력계수의 연평균 증감율은 0.8%로 8번째로 높게 증가하였다. 감응도계수는 2005년 0.6에서 2010년 0.5으로 통합된 31개 부분 중에서 27번째로 낮았다. 감응도계수의 연평균증가율로 보았을 때, -1.1로 나타났다.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2005년 0.7에서 2010년 0.6으로 측정되었으며, 31개 부분 중에서 17번째, 18번째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최종수요항목별 부가가치 유발계수 중 투자부문은 연평균 증감율이 57.2%로 통합된 31개 부문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and compare impacts of Sauce Industry on the national economy as being highly increased interest in the potential and power of growth about food industry being caused by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Food Valley, LOHAS, Ethnic Food and so on. To achieve this, we reintegrated 168 sector into 31 sector focusing on Sauce using input-output table at constant price(2005, 2010) which the bank of Korea announced, and measured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n value added inducement,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Sauce through integrated input-output table at constant price. According to input-output analysis of Sauce industry,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increased from 2.0(2005, 11th) to 2.3(2009, 6th). Investment sector’s annual average increased 68.5% respectively. Sauce industry weight of domestic total production inducement sum increased from 3.8%(2005, 11th) to 5.5%(2009, 7th).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decreased from 1.1(2005) to 1.1(2010). Its index decreased slightly.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decreased ?1.1%.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changed slightly, but value added inducement sum increased 69.8%.

      • 소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안세영(Se-young Ahn),정안성(An-sung Jung),신동훈(Dong-hun Shi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05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산업발전종합대책(2008)’, 한식의 세계화, 식품산업클러스터 등으로 인해 식품산업에 대한 잠재력과 성장력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진 가운데 식품산업의 반도체라고 할 수 있는 소스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소스산업에 대한 기존의 정의를 살펴보고 새롭게 정의를 했다. 또한 소스산업의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5년, 2010년 불변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소스산업을 중심으로 168개 소분류표를 소스산업을 중심으로 31개 부문으로 통합하였다. 2005년 산업연관표 에서는 소분류의 조미료(27), 유지 및 식용유(28), 기타식료품(30)이 소스로 분류되고 통합되었으나 분류 기준이 변경된 2010년에는 소스가 조미료 및 유지(18)로 통합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68개 부문 중 조미료 및 유지(18)을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소스로 분류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합된 산업연관표를 통해 소스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전후방 연쇄효과, 수입유발효과 등을 계측하였으며, 각 효과별로 연평균 증감율을 살펴보았다. 각 유발효과를 토대로 소스산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소스산업의 산업연관분석결과, 생산유발계수는 2005년 2.054에서 2010년 2.321로 나타났으며, 전 산업으로 보았을 때 6번째로 높게 측정되었다. 최종수요항목별 생산유발계수의 연평균 증감률을 보았을 때, 투자부문이 68.57%로 전 산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영향력계수는 2005년에 1.168 로 음식표품 1.150보다 1단계 높은 6위로 나타났으나, 2010년에는 1.219로 음식료품다음으로 6번째로 높게 측정되었다. 영향력계수의 연평균 증감율은 0.86%로 8번째로 높게 증가하였다. 감응도계수는 2005년 0.617에서 2010년 0.583으로 통합된 31개 부분중에서 27번째로 낮았다. 감응도계수의 연평균증가율로 보았을 때, –1.14로 나타났으나, 전산업의 연평균 증가율이 대부분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이고 있었다.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2005년 0.701에서 2010년 0.653으로 측정되었으며, 31개 부분중에서 17번째, 18번째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최종수요항목별 부가가치 유발계수중 투자부문은 연평균증감율이 57.23%로 통합된 31개 부문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종수요항목별 부가가치유발액의 연평균증감율은 투자에서 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출에 의해서도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and compare impacts of Sauce industry on the national economy as being highly increased interest in the potential and power of growth about food industry being caused by Food Industry Development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2008)",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Food Valley, and so on. To achieve this, we reintegrated 168 sector into 31 sector focusing on Sauce using input-output table at constant price(2005, 2010) which the bank of Korea announced, and measured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n value added inducement,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Sauce through integrated input-output table at constant price. According to input-output analysis of Sauce industry,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ncreased from 2.05(2005, 11th) to 2.32(2009, 6th). Investment sector’s annual average increased 68.5% respectively. Sauce industry weight of domestic total production inducement sum increased from 3.8%(2005, 11th) to 5.5%(2009, 7th).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decreased from 1.16(2005) to 1.15(2010). Its index decreased slightly.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decreased –1.14%.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changed slightly, but value added inducement sum increased 69.8%.

      • KCI등재

        중국 교육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

        상리(Sang Li),장일주(Zhang Yizhou),장몽택(Zhang Mengz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중국 통계청이 2017년의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중국 교육산업의 국민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 교육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업연관표 기초분류 149개 산업을 32개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중국 교육산업의 생산유발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소득유발계수, 생산세유발계수, 노동유발계수 등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교육산업을 중심에 놓고 교육산업이 전체산업 속의 위치와 다른 산업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중국 교육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중국 2017년 교육산업의 생산유발계수 열합계는 1.719, 행 합계는 1.063, 감응도계수는 0.012, 영향력 계수는 0.020, 소득유발계수는 0.667, 생산세 유발계수는 0.035, 최종수요 10억 위안이 발생할 경우 노동유발계수는 총 31,254명(간접15,541명, 직접15,713명) 등을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 교육산업의 진일보 발전을 위하여 정부의 지지, 기술도입과 새로운 운영 모델의 응용, 정책적인 규정, 제도의 개선과 시장에 대한 효율적인 감독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pple effect of the Chinese education industry on the national economy by using the industry-related table of 2017 by the China Statistical Office to use it as policy data for revitalization of the Chinese education industry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149 industries in the basic classification of the industry-related table were classified into 32 industries.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s, by analyzing the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sensitivity coefficient, influence coefficient, yield inducement coefficient, production tax induction coefficient, and labor induction coefficient,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and to find out the economic impact of the Chinese education industr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 2017, the total production induction coefficient of Chinas education industry was 1.7188, the row total was 1.0626, the sensitivity coefficient was 0.01211, the influence coefficient was 0.01958, the income induction coefficient was 0.6667, the production tax induction coefficient was 0.035, and the final demand was 1 billion yuan. When this occurs, the labor induction coefficient shows a total of 31,254 persons (indirect 15,541 persons, direct 15,713 pers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that government support, technology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new operating models, policy regulations, and efficient supervision of the system and president are requir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Chinese education industry.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경제적 영향력 분석

        김윤경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4

        본 연구에서는 석유산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피기 위하여 1970년, 1975년, 1980 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석유 관련 산업들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도출하였다. 대상부문은 원유, 천연가스, 석유화학기초제품, 석유제품, 나프타, 연료유, 기타석유제품, 기초유기화학물질, 유기기초화학제품, 유기화학중간제품, 기타유기화학기초제품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석유산업 및 석유제품산업들의 감응도계수는 영향력계수보다 크다. 기술 발전과 생산공정의 변화로 석유제품의 역할이 대체되면서 석유제품산업의 감응도계수가 달라지고 있다. 이는 경제 체제 내에서 석유 관련산업의 모습과 역할들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중국 유통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2012년 투입산출표를 기준으로-

        최정석 한국중국문화학회 2017 中國學論叢 Vol.0 No.56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and economic effect, to use the Chinese market, to use the Chinese market, to produce the perfect consumption system, ,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of all, in the influence coefficient, the professional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ranked first, the industry category was 3.780887, accommodation catering industry ranked second 2.600737, other manufacturing ranked third to 1.370608, this sector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As of the end of 2016, the proportion of the second manufacturing sector was 39.8%, the proportion of the tertiary industry was less than 51.6%, but the second manufacturing industry still had a great impact on the Chinese economy, and this was the Chinese government's Chinese manufacturing 2025 policy and other policies related to. Secondly, in terms of inductance coefficient, the chemical industry ranked first 3.451570, metal smelting and rolling process ranked second 2.891365, electricity and heating production supply ranked third to 1.932049, distributed 1.932049-3.451570.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influence coefficient analysis, the impact of raw materials and energy, which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sector rather than the service sector, is also a policy that affects the long-term projects of China's distribution industry and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of 2025. 본 연구는 중국 유통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중국 투입산출표의 완전소비계수를 1차 자료로 활용하여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분석함으로서 중국정부의 정책과 배경, 시사점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향력계수(후방연관효과)를 보면,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부문이 전문설비 제조업이 3.780887, 숙박 및 요식업이 2.600737, 기타 제조업이 1.370608로 1.370608-3.780887에 분포되어 중국 유통산업의 발전이 중국 제조업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국 국가통계국 2016년 기준, 2차 제조업의 비중은 39.8%, 3차 서비스업의 비중은 51.6%보다 낮지만 아직까지 중국경제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더불어 중국정부의 제조업 업그레이드를 위한 중국제조 2025 정책 등 여러 정책과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응도계수(전방연관효과)를 보면,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부문이 화학공업이 3.451570, 금속제련 및 압연가공업이 2.891365, 전력, 난방생산 및 공급이 1.932049로 1.932049-3.451570에 분포되어 영향력계수의 분석결과와 비슷하게 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 발전에 필수적인 원자재 및 에너지 부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고, 또한 중국정부의 중국제조 2025정책뿐만 아니라 중국 유통산업에 영향을 많이 주는 장기적인 프로젝트인 일대일로 정책과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유통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김용준,최정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According to WTO entry and complete opening of distribution market in 2004,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try to attract investment capital into service industries and make them absorb overlabor of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 Recently China show a steady expanding tendency. Especially after global economic recession in late 2008, the major countries showed poor growth of their economy. China, however, achieved 8.7% growth exceeding their scheduled 8% growth in 2009 with the pump-priming policy of Chinese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high growth of Chinese economy, China is considered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world economy. Furthermore China is also said could replace US market. This paper is to analyze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ed with governmental measures to expand domestic demand has related to national economical ripple effect from macro-economy aspect by using an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2007. We can show the importance of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and it has how large part of weight possess in sensitivity and influential figure of all industries. We also figure out how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effect Chinese economy by comparing and analyzing definitely related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researched by using sensitivity and influential figures of Chinese input-output table 2007 designed by Wassily Leontief. 중국 유통산업은 2001년도 WTO가입과 2004년 유통시장의 완전개방에 따라 대부분의 외국인 투자자본을 서비스 산업으로 끌어들여 서비스산업을 통해 1, 2차 산업에 발생하는 과잉 노동력을 흡수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최근 서비스산업의 개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2008년 말 글로벌 경기침체 이후, 전 세계 주요국의 경제성장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정부의 각종 경기부양을 위한 내수 진작 정책의 성과로 2009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목표치인 8%를 초과하여 8.7%를 달성하였다. 중국의 높은 경제성장이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세계경제 성장 축의 하나로 중국의 역할이 거론되고 있고 나아가 미국을 대체하는 수요시장으로서의 중국에 대해서도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정부의 내수확대정책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는 중국 유통산업을 중국 2007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거시적인 측면에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논문이다. 중국 유통산업이 중국 전체 산업에서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 측면에서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중국 유통산업의 중요성을 파악해 본다. 또한, 중국과 한국의 유통산업 자체의 구체적인 전․후방 연관 산업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 유통산업이 향후 중국경제에서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이의 분석을 위해 사용할 연구도구로는 레온티에프(Wassily Leontief)가 고안하여 사용된 2007년 중국 투입산출표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경북권과 타권역간 관광산업의 경제효과에 대한 비교 분석

        김한주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觀光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은행(2007) 지역산업연관표에서 구분한 6개 지역 중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경북권(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관광산업의 비중과 경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은행(2007)에서 발간한 지역산업연관표 상 168개 통합소분류로부터 5개의 관광산업부문을 세분화하고, 기타 일반산업부문을 통합한 후 28×28부문에 대한 각종 승수와 영향력계수 및 감응도계수를 도출하여 경북권 및 수도권과 경남권의 관광승수와 영향력 및 감응도계수를 도출하여 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북권 관광산업의 위상과 그 효과들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경북권 전체 28개 산업부문 중 관광산업의 효과(승수)를 분석한 결과 생산효과면에서 문화오락서비스업, 음식점업, 관광교통업이, 소득효과 및 부가가치효과, 그리고 고용효과면에서 관광산업 전체가 높은 경제효과를 보이고 있다. 경북권 관광산업 전 부문이 타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적게, 쇼핑업과 음식점업이 타산업으로부터 비교적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북권 관광산업의 경제효과를 비교 평가한 결과 생산효과면에서 문화오락서비스업과 관광교통업이 수도권과 경남권보다, 쇼핑업이 수도권보다, 음식점업과 숙박업이 경남권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소득효과면에서 쇼핑업이 수도권보다, 관광교통업과 문화오락서비스업이 경남권과 수도권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부가가치 및 고용효과면에서 관광산업 전 부문이 경남권 및 수도권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경북권의 관광산업 전 부문이 수도권과 경남권의 관광산업보다 영향력을 적게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북권의 쇼핑업과 음식점업이 타 산업에 비하여 비교적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importances and economic impacts of tourism industry in Gyeongbuk area(Dae-gu city, Gyeongsangbuk-do)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ng the Capital area & Gyeongnam area by Bank of Korea(2007). For this, based on the regional I-O transactions tables of 3 areas, tourism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employment, and value-added, and coefficients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ourism multiplier of the Gyeongbuk area indicates that the output multiplier of Culture & recreation, Restaurants and Transportation/Communication is above the mean value of the overall industries; and the income, value-added and employment multipliers are above the mean value of the overall industries. And the influence coefficient of the overall parts of the tourism industries was estimated under '1', on the other side, the sensitivity coefficients of Shopping and Restaurants was estimated above '1'. And,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yeongbuk area with the other 2 areas indicates that the output impacts of Culture & recreation, Transportation/Communication are higher than 2 area; Shopping is higher than Capital area; and Restaurants and Hotels are higher than Gyeongnam area. The income impact of Shopping is higher than Capital area; Transportation/Communication and Culture & recreation are higher than Capital and Gyeongnam area. And the value added and employment impacts of the overall parts of tourism industries are higher than 2 areas. Also, the influence and sensitivity coefficients of Gyeongbuk area are lower than capital and Gyeongnam areas.

      • KCI등재

        중국 금융산업의 투입산출 비교분석 - 2008년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

        최정석,최준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2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금융산업의 영향력 계수를 살펴보면, 2007년은 물 생산 및 공급제조업이 1.170069, 전력생산 및 공급제조업이 1.115053, 통신설비⋅컴퓨터 및 기타 전자설비제조업이 1.080031로 1.080031-1.170069에 분포되어 있었고, 이에 반해 2012년은 전문설비제조업이 3.780887, 물 생산 및 공급업이 2.623895, 계량/계측기 제조업이 1.340107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2007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응도계수 역시 변화 폭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금융산업의 감응도 계수를 살펴보면, 2007년은 금융업이 1.957427, 임대서비스업이 1.359269, 제지인쇄 및 문방용품 제조업이 1.261815로, 1.261815-1.957427에 분포되어 있었고, 이에 반해 2012년은 화학공업이 3.451570, 금속제련 및 압연가공업이 2.891365, 전력/난방생산 및 공급이 1.932049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2007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응도계수 역시 변화 폭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This study looking a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Impact Factor of China’s financial industry, 2007 was a water production and supply manufacturing is 1.170069, electricity production and supply manufacturing is 1.115053, communications equipment, computers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is 1.080031, that distributed from 1.080031 to 1.170069. A general increase in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impact factor compared to 2007. Second Looking at the sensitive Factor of China’s financial industry, 2007 was the financial industry is 1.957427, rental service industry is 1.359269, paper and printing supplies manufacturers munbang is 1.261815, that distributed from 1.261815 to 1.957427. Whereas in 2012,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sensitivity factor also increases the width change compared to 2007.

      • KCI등재

        중국 철강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비교연구 - 2002년과 2007년 중국 투입산출표를 중심으로 -

        최정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2 중소연구 Vol.36 No.1

        This Article, we first previous studies of the steel industry in China and look at the status of, all forms of research and the basic structure of industries with high correlation Leon T-F model, and then China in 2007 from the primary data presented in industries with Chinese steel industry as a whole industry sensitivity of coefficients and in terms of influence coefficients that account for how much weight are investigated. Finally, China’s 2002 and 2007 using industries with concrete before the steel industry itself. Backward linkage industries in the future by comparing the Chinese steel industry, how in the Chinese economy, will affect what will be analyzed. Its research tools used to analyze T Leon F. (Wassily Leontief) designed and used in the China factor and the influence of input output tables using sensitivity analysis is to count. 본 논문은 우선 중국 내 철강산업의 선행연구 및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모형인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및 레온티에프 모형을 알아본 다음, 중국 2007년 산업연관표에 제시된 1차 자료에서 중국 철강산업 전체 산업 중에서 감응도계수와 영향력 계수 측면에서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2002년과 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철강산업 자체의 구체적인 전․후방 연관산업을 비교분석하여 중국 철강산업이 향후 중국경제에서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할 것이다. 이의 분석을 위해 사용할 연구도구로는 레온티에프(Wassily Leontief)가 고안하여 사용된 중국 투입산출표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국내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지영한(Young-Han, Ji)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통상정보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2011년~2013년 기간의 실측표기준의 투입산출물표(Input-output Table)를 사용하여 동 기간의 국내 해외직접투자(FDI) 유입액을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30부문)기준으로 재분류 및 통합하여 적용한 결과 3개년 평균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은 15조 3,000억원이고, 평균총생산유발액은 45조 8,000억원으로 추계되었다.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의 특징은 감응도계수 및 영향력계수가 큰 산업인 화학제품, 전기 및 전자기기, 금속제품에 편중되어 있다. 특히 중간재로 활용되는 감응도계수가 큰 산업에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이루어지면 국내 경제적 산업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amou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flow into the country between 2011 and 2013, using the Input-output Table on the basis of the bench-mark table of the same period, based on the Industry Relation Table. As a result, the average amount of FDI inflow of the three years was estimated 15.3 trillion won, and the average gross product inducement amount 45.8 trillion won. The characteristic of FDI inflow is that it is weighted in the industries with the high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and the high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such as chemical products,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metal products. It is especially anticipated to attract FDI to the industry with the high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used as the intermediary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