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규대졸자의 비영리영역과 영리영역간 직업이동과 직무만족 변화

        강철희(Chul Hee Kang),허수연(Soo Yeon Huh),이지만(Ji Man Lee),정승화(Seung Wha Chung),조상미(Sang Mi Cho)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2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과 영리조직의 영역 간 직업이동과 조직원의 직무만족도 변화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영역 간 이동 현상에 대한 이해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 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패널조사자료(GOMS)를 토대로 직무만족의 연도 간 변화치를 측정하는 1차 차분모형을 활용한다. 비영리조직에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이들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영리조직으로부터 비영리조직으로 이직한 집단, 비영리조직으로부터 영리조직으로 이직한 집단, 영리조직에 남아있는 집단 등의 직무만족 변화를 비교한다. 분석결과, 한국 사회에서도 영역 간 직업이동은 활발한데, 특히 비영리조직으로부터 직업 활동을 시작한 이들에게서 이러한 현상이 보다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수준을 보면, 비영리조직에 남아있는 집단의 만족 수준이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세 집단의 경우에 비해서, 비영리조직에 남아있는 집단의 만족도의 부정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직무만족의 다양한 구성내용을 중심으로 네 집단 간의 비교를 수행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전혀 연구되지 않았던 주제인 영역 간 직업이동과 직무만족의 변화라는 현상이 제공하는 함의를 논의한다. Little research has empirically examined cross-sector job mobility between non-profit and for-profit sector despite the rise and increased importance of this phenomenon in Korea. Using the panel data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changes in job satisfaction (overall score and 10 facet scores) associated with four types (retention at non-profits, turnover from non-profits to for-profits, turnover from for-profits to non-profits, and retention at for-profits) of cross-sector job mobility among college graduates by employing a first difference model. Major results reveal that (1) in the group of retention at non-profits, ``overall job satisfaction`` is consistently higher; (2) in the group of retention at non-profits, negative change in ``overall job satisfaction`` is the largest; (3) in the group of ``for-profits to non-profits,`` negative change in ``stability of employment`` is the smallest; (3) in the group of ``non-profits to for-profits,`` negative change in ``job contents`` is the smallest; (4) in the group of ``non-profits to for-profits,`` negative change in ``weekly work hours`` is the largest; (5) in the group of retention at non-profits, negative change in ``potential growth & development`` is the largest; and (6) in the group of retention at non-profits, negative change in ``social reputation`` is the smallest;. This study has made a start in a new area of inquiring attempting to explain cross-sector job mobility and rais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 및 조직효과성 관계

        송영선 ( Young Sun Song ),이희수 ( Hee Soo L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과 조직이 평생학습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차원에서 조직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 유형은 조직효과성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적합한 조직문화 유형의 변화전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습조직 구조영역은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미치지 않고 학습조직 사람영역을 매개로 할 때 영향을 주므로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람영역 요인의 수준을 먼저 고려하여 높여야 한다. 셋째, 조직문화 유형은 학습조직 사람영역을 매개로 하였을 때 구조영역에 영향을 주므로 학습조직화를 위해서는 사람영역의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준을 높여야 한다. 넷째, 조직문화 유형은 학습조직 수준과 조직효과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의 모든 수준에서 다양하고 역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조직문화의 변화전략이 우선적으로 선행되고 연계되어야 한다. 다섯째, 조직효과성을 위하여 학습조직 모형의 정교화뿐만 아니라 실행방향 및 우선 순위 전략이 제시되었다는 데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In a learning organization which is equipped with knowledge and learning abilities, knowledge is created and shared and learning is done continuously in all the personal, team and organizational levels. And a learning organization can ha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f it is linked to a uniqu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irstly, since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primary factor that has the most immediat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top priority must be placed on the works intended to change the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ly, the learning organization`s structure level does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has an influence when the people level is used as a medium and thus the factors in the people level must be considered first to create a learning organization. Thirdly, as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is made possible only if the people level is used as a medium, priorities must be put on the factors in people level rather than the structure level. Fourthly,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the learning organization level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o the strategies for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must be preceeded and connected to enable diverse and dynamic learning at all levels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rstly,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the three variabl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learning organization level simultaneously. Secondly, it can be highly evaluated that the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execution and the mechanism in the priorities of the strategies deducing a creative and positive learning organization model.

      • KCI등재

        방송 및 정보통신 거버넌스 법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IT영역의 행정조직 구성 법원리를 중심으로 -

        김현경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1

        우리 헌법상 국가구조원리로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는 민주주의원리, 법치주의 원리, 사회국가원리 등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헌법상 국가구조원리를 기반으로 현재 IT영역에 있어서 조직설계의 한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T의 속성상 IT정책영역은 그 업무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타 업무와의 중복 및 이로 인한 갈등 상황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또한 IT정책은 본질적으로 ‘속도’, ‘변화’ 및 ‘공격’에 따른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문적 변화관리와 위험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IT 거버넌스는 지금까지 이러한 IT의 속성을 조직설계에 반영함에 있어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하위법령에 의한 중요 추진조직의 신설, 조정 및 협업·협치 메커니즘의 부재 등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에 기반 한 조직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선 법치주의 원리의 구현으로 IT영역의 독자성 확보를 위한 조직법적 기틀이 확립되어야 한다. 「정부조직법」에 IT전담기관의 설치가 명확히 규정되어져야 하며,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가 담당하는 IT기능이 재통합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임제 방식의 단독 행정기관의 설치만으로는 IT의 융합·접목적 속성을 반영할 수 없으므로 민관협력·갈등조정체계를 법률에 규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구는 한시적·일회성 정책기구가 아니라 상설기구로서 조정·협력의 거버넌스를 통한 민주주의 원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부처 간 갈등 해결이나 협력기조가 이러한 협의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언론의 자유라는 민주헌정체제의 핵심적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독임제적 기구의 성격이 탈피된 독립성이 우선인 기구로 재탄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정조직 법정주의’의 실천으로서 대통령 비서실, 대통령 직속기관, 합의제 행정위원회에 의한 정책기능의 확대는 지양되어야 하며, 가급적 행정각부 상호간의 기능 재배분이나 통합, 폐지와 같은 조직개편을 통해서 정책이 기획, 집행되어야 할 것이다. Generally it was accepted that Constitutional principles that form the national structure is the principle of democracy, principle of rule of law, and principle of Social States. This paper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e organizational design of IT sector and proposes improvement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tate structures. IT policy area is unclear and overlapping boundaries of their work, and work in the IT area sometimes overlaps with the work of other policy areas, therefore policy conflicts with other areas are caused. As well as the IT inherently involve the 'speed', 'change', and a 'risk' according to 'attack', so professional change & risk management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se risks. Korea's IT governance has gone through a lot of trial and error as far reflecting these attributes in the IT organization design. The important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by a sub-decree, not law, and a mechanism to adjust conflict and cooperate was not established. As a result, the organization design based on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had not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first,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a legal framework for ensuring the uniqueness of the IT area as the implementation of rule of law. Installati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 for which IT policies are fully responsible should be clearly defined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And the existing IT function of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needs to be integrated into such a IT department. In addition, resolving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ministries and the cooperation mechanism based on democracy must be provided by law. This can be implemented as a committee form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The committee shall be an organization that operates on a permanent rather than temporary organization. Meanwhile,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o ensure the freedom of the press needs to be re-born as Independence Organization. In addition, as the practice of a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al principles, enlargement of the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by the Office of the President and the Representative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policy will be planed and enforc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such as reallocation, integration or cancellation of functions.

      • KCI등재

        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영역, 학습원천 및 학습 성공지표에 관한 질적 연구

        권아름(Kwon, Ah-Reum),백지연(Paek, Jeeyon),마크 누펠드(Neufeld, Marc)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영역, 학습 성공지표, 학습원천을 도출하고 이들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세부 연구 목표로는 첫째, 신입비서가 조직사회화의 과정에서 배우고자 하는 학습영역을 도출하고, 둘째, 학습원천을 도출하고, 셋째, 학습 성공지표가 무엇인지 도출하여, 마지막으로 학습영역별로 나타나는 학습 성공지표를 도출하고 성공지표별로 그에 대한 원천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절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다층적 조직사회화 학습이론을 선정하여 조직사회화 학습과정에 관련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작성한 후, 총 23명의 신입비서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면담내용은 전사한 뒤, 코딩작업과 범주화 작업을 거쳐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직사회화의 학습영역은 직무역할 수행, 동료집단, 조직의 역사․ 목표․ 가치관, 조직의 미래전망으로 확인되었다. 조직사회화의 학습 성공지표는 자신의 역할과 부가적인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 조직과 사회적 융합을 이룸, 내적 안정성의 향상, 조직에 대해 긍정적으로 외부에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원천은 동료, 상사, 멘토, 공식적 사회화, 조직문서, 전임자, 개별학습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대상자의 선정과정에서 실제 비서직의 종사자와 유사한 산업군의 분포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결과를 따로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urce, area, and success indicators of learning occurring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reflecting on the specificity of the new secretary and to establishing basic data to help organiz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arning area that a new secretary tries to achieve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Second, what is the learning source in the new secretarial organization? Third, what is the indicator that the new secretary succeeded in adapting to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learning? Fourth, what are the success metrics for each learning area achieved through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learning process, and what is the source of the success metric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developed a new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23 times interviews based on, a new model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Cooper-Thomas and Anderson(2006). Twenty-three new secretarie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learning areas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ve been identified in four ways. The role of the new secretary, his or her peer group, the organization"s history, goals and values, and the future outlook of the organization. Indicators that showed that the learning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successful were as follows: successfully fulfilling their role, carrying out additional roles, enhancing social cohesion within the organization, enhancing internal stability within the organization, and positive external descriptions of the organization. Learning source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re determined by identifying factors from whom they have learned from such as colleague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predecessors, and individual learning. Finally, learning areas, learning sources, and learning success metrics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s. If learning the task role and learning a peer group are successful, the individual role and additional roles are performed well. The success of learning about the organization"s history, objectives, and values has resulted in reaching a successful indicator of achievement and social cohesion. Learning about the organization"s future prospects has been confirmed to be met with an indication of its role, internal stability, and an indication of positive external representation of the organization. Sources of learning success indicators are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predecessor studies, and individual learning. Social cohesion with the organization is learned through peer, supervisor, mentor,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and predecessor. Social cohesion with the organization is learned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programs, organizational documents and predecessors, Internal stability is achieved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documents. Finally, the success metrics for positive external descriptions are learned through peers, supervisors, mentors, form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documents. This study has two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similar industrial distribution of actual secretarial staff to the actual secretary of the research. Second, a study by results of the employment status is necessary.

      • KCI등재

        정보조직분야의 주요영역 및 내용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최예진,정연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1

        This study derives the main area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vered in the formal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suggests content elements for each area. Literature research, content analysis, survey and expert evaluation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s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was composed of four areas: information organization in general, classification, inventory, and practice, and a total of 31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The content elements derived from each area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and helpful data when designing syllabus or teaching subjects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area of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through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s when condu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설문조사 및 전문가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조직분야를 정보조직일반, 분류, 목록, 실습이라는 4영역으로 구성하고, 총 31개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역별로 도출된 내용요소들은 정보조직분야 교과목에 대한 강의계획안이나 교수 요목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별 내용요소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조직분야 교육내용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순수한’ 민간조직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1 민주주의와 인권 Vol.11 No.2

        <P>중국 사회에서 민간조직은 일정한 절차에 따라 등록하면 되도록 법률적인 장치가 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로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민간조직으로 등록하기란 매우 힘들다. 중국사회에서 민간조직의 관리는 민정부(民政部) 산하의 민간조직관리국(民間組織管理局)에서 하고 있다. 그런데 민간조직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민영기업이나 공신력 있는 조직의 하부기관으로 들어가야만 하게 되어있다. 하지만 중국정부에서는 민간조직이 범람하자 공문을 통해서 공신력 있는 조직에 민간조직을 하부기관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P><P> 이처럼 중국에서는 합법적인 민간조직으로 등록하기도 힘들지만, 등록한 후에는 국가 기관에서 알게 모르게 시행하는 간섭이 심하기 때문에 자율적인 민간조직으로 운영하기란 힘들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대부분의 민간조직은 공신력을 갖춘 민간조직으로 등록하기보다는 오히려 ‘순수한’ 민간조직의 형태로 존재하면서 자신의 발전을 추구한다. 또 한편으로는 인터넷이란 공간을 통해 투명한 재정과 활동사항을 공개하면서 스스로 공신력을 쌓아나가고 있다. 이는 국가의 영역이 아닌 사회의 영역이 보다 확장되어 가고 있는 중국사회의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P>

      • KCI등재

        스포츠 영역의 성범죄에 대한 형사법상 특별 취급의 정당화 여부와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

        정배근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0 스포츠와 법 Vol.23 No.1

        A society is made up of various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 operates according to purpose and interests. What is unique is that one cannot identify the nature of an organization by unifying it – public or private. In the context of diversified societies and the interconnected necessity of each area, there is no complete private sphere in terms of autonomy and management oversight. From this, the problem of state interference and the scope of control arises in relation to various descriptive issues. This paper discusses the sexual violence in sportsarea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 consciousness. Recently, sexual violence crimes in the sports field, combined with changes in the social perception of sexual crimes triggered by the me-too movement, asks some strong reactions. Thus, new criminal composition and weighted sentences may be required for sex offenses in specific areas, hier in sports area. This paper examines the justification for special treatment of criminal offenses in the sports sector. To this end, we first analyze the organizational specificities of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sector and argue that these special elements cannot be resolved by the enactment of special laws. In light of such organizational specificity, I would like to propose an effective countermeasure in harmony with the entire legal order. 한 사회는 다양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적과 이해관계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해가는 모습은 여러 분야에서 발견할 수 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어떤 조직의 성격을 공적이냐, 사적이냐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분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사회가 다변화되고 각 영역간의 연계적 필요성이 두드러지고 있는 배경에서, 자치와 관리 감독의 관점에서 볼 때 완전한 사적인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국가의 간섭과 통제의 범위에 대한 문제는 다양한 각론적 문제와 관계하여 발생한다. 본 논문은 스포츠 영역에 있어서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성폭력이라는 각론적 주제를 가지고 논하고 있다. 최근 스포츠 영역에서 발생되는 성폭력 범죄는 미투 운동으로 촉발된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맞물려 모종의 강력한 리액션을 요구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하여 특정 영역에 대한 성범죄에 대해 새로운 구성요건과 가중된 형량을 요구하기도 한다. 본 고에서는 스포츠 영역에서 발생하는 성범죄에 대한 형법상 특별취급이 정당한지에 대해 진단한다. 이를 위해 우선 스포츠 영역에서의 성폭력 범죄가 기인하고 있는 조직적 특수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별 요소가 특별법 제정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결론을 논증한다. 이어 그러한 조직적 특수성에 착안하여 전체 법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효율적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 대안으로 법적 판단 이전 단계에서 프로세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것, 형법의 개입보다 행정적 제재를 통할 것, 국가의 지나친 간섭보다 자율성에 기초하여 스포츠 조직의 자정적 기능을 유도할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 공공조직의 학습조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DLOQ모형을 활용한 중앙정부조직의 심층적 탐색

        한상일,정무권 한국행정연구원 2008 韓國行政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앙정부의 학습조직화 정도를 측정하고 다른 유형의 조직과 비교하며 측정결과를 토대로 공공조직의 학습조직적 특성이 만족감과 효능감에 어떻게 연계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에서 공공부문에서 학습조직에 대한 이론과 학습조직 이론의 발전과정을 검토하고 통합적 학습조직 이론에서 학습을 구성하는 영역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학습조직 특성의 분석을 위해 학습조직특성영역설문(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s questionnaire: DLOQ)을 소개하고 DLOQ에 의한 한국 공공조직의 학습조직화정도의 측정결과를 소개한다. 그리고 한국 공공조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학습조직의 수준을 다른 유형의 조직과 비교할 뿐만 아니라 개인적 만족감 그리고 효능감과의 관계도 제시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 중앙정부의 학습조직 특성은 민간기업과 비교하여 낮은 편이다. 특히 대화와 연구의 활성화, 비전형성을 위한 권한위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적 특성과 구성원의 만족감, 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신이 속한 조직의 학습조직 특성이 높다고 인식한 구성원의 만족감과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

        이정은,김진모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all member of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n corporate.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530 members of 23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 to collect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study, which consisted of structural element scal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cale consisted of 5-point Likert-type. Two hundred eighty seven out of 53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59.8%), of which two hundred sixty nine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individu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domain and practice. That is individual performance will be high as the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prepar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sharing and creating of the knowledge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membership of members in individual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select and share adaptable topic, and share and create knowledge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actual knowledge sharing and creation will make bett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은 기업체 임직원들 중 실행공동체 활동을 경험한 사람들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성의 제약으로 인해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23개 기업의 실행공동체 참가자 53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 개인 및 조직성과, 실행공동체 특성, 개인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내용 구조화, 전문가 검토, 예비조사를 거쳐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 척도는 지식의 영역 4문항, 공동체 9문항, 프랙티스 7문항으로 총 20개의 문항이었고, 개인 및 조직성과 척도는 개인성과 12문항, 조직성과 19문항으로 5점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 Cronbach의 α값은 지식의 영역 0.87, 공동체 0.95, 프랙티스 0.85, 개인성과 0.94, 조직성과 0.96이었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총 287개가 수집되어 회수율은 약 59.8%였다. 이중 일부 자료는 무응답 및 불성실응답 등의 이유로 제거되어 최종분석에는 269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개인성과는 지식의 영역, 공동체, 프랙티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이들 모두가 개인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성과는 지식의 영역, 공동체, 프랙티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지식의 영역과 프랙티스만이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이 잘 갖추어질수록 개인성과가 높아지며, 특히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과 소속감의 향상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의 공유와 창출이 개인성과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조직성과도 적합한 주제 선정과 이것의 공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 공유와 창출이 매우 중요하며, 개인성과를 넘어 조직성과를 항상 시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지식 공유와 창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에 대한 더욱 세부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계속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캐나다 퀘벡 주 지리교육과정과 지리과의 핵심역량

        조철기 ( Chul Ki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캐나다 퀘벡 주 교육과정과 지리과 핵심역량의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먼저 캐나다 퀘벡 주 교육과정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역량은 가장 일반적인 수준의 포괄적 학습 영역에서, 중간 수준의 범교과적역량, 그리고 가장 구체적인 수준의 교과특정 역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지리과의 핵심역량은 3가지로 영역의 조직에 대한 이해, 영역의 쟁점에 대한 해석, 글로벌 시민성 함양으로, 영역에 토대하여 계열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셋째, 이러한 역량의 발달을 위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은 5개 영역의 유형(도시 영역, 지역적 영역, 농업적 영역, 원주민 영역, 보호받는 영역)에 근거하고 있으며, 각 영역별 주안점을 지정하여 범위를 한정하고 있다. 넷째, 이러한 5개 유형별 영역의 조직에 대한 학습과 더불어, 영역별 쟁점(환경적 쟁점, 삶의 질 쟁점, 개발 쟁점, 정체성 쟁점)을 연계하여 학습하고, 최종적으로 글로벌 연계를 고려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3가지의 교과특정 역량과 내용과의 연계는, 5개 영역의 유형별 지정된 주안점별로 공통개념, 중심개념 및 특정개념, 문화적 참조가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된 방식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the Canadian Province Quebec and the competencies of Geography subject. First, It 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is made up from the broad areas of learning to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and subject areas. Second, the Geography subject specificcompetencies consist of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of a territory, interpreting a territorial issue and constructing his/her consciousness of global citizenship, which have sequential structure based on territory. Third,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ies in the Geography program is based on the study of types of territories, urban territory, regional territory, agricultural territory, Native territory and protected territory that can be studies by means of various designated focuses. Fourth, the program presents four main categories of territorial issues: environmental issues, quality-of-life issues, development issues and identity issues. It also raises relating to global phenomena present in many territories around the world. Finally, 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nd the program content present concepts common to all designated focuses relating to the type of territory, central concept and specific concepts and cultural re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