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반 교사의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민감성에 관한 연구

        현정희,김정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자격유형, 교육경력)과 어린이집의 환경적 변인(기관유형, 담당 영아 연령, 담당 영아 인원)에 따른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영아전담전문교육과정에 참여한 보육교사 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382명이며,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 측정 도구는 민광미(2014)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자격유형, 교육경력) 중 자격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환경적 변인(기관유형, 담당 영아 연령, 담당 영아 인원) 중 기관유형에 따라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어린이집의 환경적 변인 중 자격유형, 교육경력, 기관유형이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민감성을 높이고자 하는 개인의 부단한 노력과 어린이집 근무환경의 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based on their demographics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qualification type,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ir environment (institution type, infant age, infant personnel in char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2 infant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infants and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sensitivity measure for teachers was developed by Min kwang - mi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itivity of the infant teachers and the childre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qualification type and educational experience from among the teachers’ demographics (age, final education, qualification type,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from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for the daycare center (institution type, infant age, infant personnel in charg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type of qualifi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type of institution from among the teachers’ demographic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for the day care center are factors affecting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tant improvement in sensitivity and in the nursery work environ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KCI등재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수학지도지식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성민경,김지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8 아동과 권리 Vol.22 No.4

        Objectives: This research verifies whether an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relates to play teaching efficacy and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 also examine if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diates the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random-sampling method that was sent to 210 teachers-in-charge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BM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mathematical education knowledg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Infant teachers’ high level of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correlated with the high level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diated the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for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to predict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lus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variables for predicting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beyond the current research that overconcentrat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bfor the improvement of infant teachers’ quality mathematical teaching and eventually assuring infants’ right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athematics experience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놀이교수효능감, 수학지도지식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은 놀이교수효능감, 수학지도지식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수학지도지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만 1세 및 2세반 담임교사 210명을 임의로 표집하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Wilcox-Herzog와 Ward(2004)에 의해 개발된 교수적극성 척도를 김양은과 김연하(2008)가 한국 유아교사에 적합하도록 번안, 서정민과 이정화(2017)가 수학활동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한 것을 영아교사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측정을 위해 신은수, 유영의 그리고 박현경(2004)에 의해 개발되고, 이재진(2013)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지식의 측정은 홍희주(2012)에 의해 개발된 수학지도지식 측정도구를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및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수학지도지식은 수학지도적극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높은 수준의 수학지도적극성을 가진 영아교사는 높은 수준의 놀이교수효능감과 높은 수준의 수학지도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을 예측하는 관계를 수학지도지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즉,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면서 동시에 수학지도지식을 매개로 수학지도적극성을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경로가 존재한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영아교사의 수준 높은 영아수학지도를 통해 영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어머니 양육지식, 영아 발달 및 COVID-19 시기 가정양육환경을 중심으로

        서소정 ( Seo Sojung ),이지현 ( Lee Jihyeon ),송지연 ( Song Ji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어머니 양육지식, 영아 발달 및 COVID-19 시기 가정양육환경의 차이와 어머니-영아 조화적합성 예측요인을 규명하고, 어머니-영아 간의 상호작용 관련 질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영아와 어머니 5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현장관찰을 통해 양적·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수준에 따른 세 집단별(상, 중, 하) 주요 연구변인의 차이 및 집단분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각 집단을 대표하는 9쌍을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및 주요 연구변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를 예측하는 변인은 어머니 상호작용 및 영아 발달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의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질적 특성에 있어 유사성 및 차이점이 나타나, 양적 결과를 어느 정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관련 연구 및 자녀 양육 실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fferences in mother-infant temperamental goodness of fit as related to mother-infant interaction, mother’s parenting knowledge, infant development, and infant-rearing home environment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examined in-depth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on-site observations of 50 mother-infant dyad who attended subsidized child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From the collected data,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main study variables and group classification predictors according to the mother-infant temperamental goodness of fi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ine pair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representing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mother-infant temperamental goodness of f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background and major research variables of the study, and the variables predicting this were mother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Also,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findings to show that there were both common and group-specific patterns in associations with mother-infant interaction.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2014년 - 2024년 「영아교사」관련 학술논문 연구동향 분석

        박주현,김정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4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약 10년간 영아교사를 대 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ISS(학술연구정보 서비스)에 발표된 학술논문 315편의 주제어와 초록을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주요 주제어와 토픽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시기별 연구방법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6년에 49편으로 발행되었고, 2022년에는 10편 으로 나타냈다. 2023년엔 양적 연구가 11건, 질적 연구가 17건으로 질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TF와 TF-IDF 분석에서 영아교사, 교사_영아, 보육, 어린이집, 전문성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주요 단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교사_영아와 영아교사 간에 가장 높은 연결 강도를 보여 두 주제 간에 상 호작용이 빈번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토픽모델링 분석으로 도출된 토픽은 3개로 토픽1 ‘영아교사의 심리적 건강과 직무만족도’, 토픽 2 ‘교육 환경의 안전과 권리존중’, 토픽 3 ‘교육 방법과 교사_영아 간의 상호작용’으 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와 관련된 연구 주제를 알 수 있어 향후 「영아교사」관련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ver approximately ten years, from January 2014 to April 2024, focusing on infant teachers. To accomplish this, we utilized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on the keywords and abstracts of 315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s over time, the year 2016 had the highest number of publications with 49 papers, while 2022 showed the lowest with 10 papers, and in 2023, quantitative research amounted to 11 papers, and qualitative research to 17 papers, indicating active qualitative research. Second, in the TF and TF-IDF analyses, the terms‘infant teacher’, ‘teacher_infant’, ‘childcare’, ‘daycare center’and‘professionalism’showed the highest frequencies. Third, the major word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at‘teacher_infant’and‘infant teacher’had the strongest connection intensity, demonstrating frequent interactions between these topics. Fourth, the topics derived from topic modeling were identified as: Topic 1‘Educators’psychologic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Topic 2‘Safety and rights respec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and Topic 3‘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_infant inte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key themes in research related to‘infant teachers,’providing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infant teachers.

      • 영아교사의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에 관한 연구

        김정희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의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을 살펴봄으로써, 영아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영아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ANOVA, Scheffé의 사후검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일중독의 차이는 연령의 경우 50대 이상이 20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직무효능감에 있어서는 학력의 경우 행정 및 역량강화에서 대학원재학이상 교사가 고졸, 전문대졸, 4년제 대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이직의도는 수업수행 효능감과 일과운영 효능감, 학부모 관계형성 효능감, 행정 및 역량강화 효능감에서 이직의도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설립유형에서는 보호효능감에서 국공립어린이집이 가정어린이집에 비해 높았다. 행복감에 있어서는 연령의 경우 자기조절 행복에서 20대 보다 40대, 50대 이상 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직의도의 경우 외적 행복, 내적 행복, 자기조절 행복 모두에서 이직의도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영아교사의 일중독과 직무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한 결과, 직무효능감 요인 중에서 영아교사의 행정 및 역량강화 효능감, 보호효능감 순으로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직무에 대한 효능감을 높여 내는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영아교사의 개별 특성에 따른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의 차이를 검토하고 이들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는 측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영아의 월령 및 성별에 따른 영아-부모관계 및 영아-교사관계의 연구

        김선미(Kim, Sun-M),최진숙(Choi jin su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영아의 월령 및 성별에 따른 영아-부모관계 및 영아-교사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고 영아-부모관계와 영아-교사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J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18~30개월 영아와 부모 120명과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Piant(2001)의 영아부모관계와 영아-교사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9월 7일부터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SPS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영아-부모관계는 영아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아-교사관계는 영아의 월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아-부모관계는 영아-교사관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부모관계와 영아-교사관계에서 안정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영아의 월령과 성별을 고려한 부모와 교사의 상호작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ant-parent a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the infant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relevance between the infant-parent a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18~30 months infants who attend nursery schools located in J Province, with their 120 parents and 50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Pianta(2001)’s Infant-Parent and Infant-Teacher Relationship Scale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7th to 28th of September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parent relationship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of the infants. Seco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the infants. Lastly, infant-parent relationships were meaningfully interrelated to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his result shows the need for proper interaction between infant-parent a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considering age and gender of the infants in order to build stable and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them.

      • KCI등재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

        김래은,장우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Teacher: Focusing Mediating Effect of Emotion Control StrategyRaeeun Kim & Wooshim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tested for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using the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econd, the teacher efficacy significantly explaine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ignificantly explaine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Sobel's te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a factor that can supplement the teacher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Key Words: Infant Teacher,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 Control Strategy, Mediating Effect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김 래 은*ㆍ장 우 심**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대구・부산・경북・경남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조절책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정서조절책략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영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 중 내면행위와 자연행위 책략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책략이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검증 결과, 영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서조절책략은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보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핵심어: 영아교사,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조절책략 □ 접수일: 2022년 7월 15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유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U1 Univ., Email: versus486@u1.ac.kr)** 교신저자, 유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U1 Univ., Email: cws5501@u1.ac.kr)

      • KCI등재

        SNS 기반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숙향(Suk Hyang Jung),정희정(Hee J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SNS를 기반으로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6단계 절차에 따라 SNS를 기반으로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S시 S구에 거주하는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17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은 10회기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는 SNS를 기반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결과 분석을 위해 χ2 검정 및 공변량분석과 질적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기반으로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영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가족건강성과 영아의 행복감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질적자료에서 SNS를 기반으로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나타난 영아기 자녀 아버지가 인지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가족건강성, 영아의 행복감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SNS를 기반으로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이 영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향상시켜 가족건강성을 높이고 영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아버지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버지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of infants ba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Method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developed a education program based on SNS for fathers of infants, following a 6-step procedure and the effect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17 fathers of infants who live in S City, S District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17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conducted through a non-face-to-face approach using SNS. To analyze the program results, χ2 tests, ANCOVA,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NS-based father education program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parental engagement of fathers with infants. Second, participants in the program exhibited enhanced family well-being and increased happiness in their infants. Third, qualitative data revealed changes in fathers' perception on parental engagement, family well-being, and infants' happiness throughout the SNS-based father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foundational data indicating that an SNS-based father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of infants can enhance parental engagement, elevate family well-being, and increase infants' happiness. Th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a basis for father education and suggesting strategies to promote father education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의 양상

        한영미(Han, Young-mi),김희진(Kim, Hee-ji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5

        본 연구는 놀이와 일상생활 맥락 중에 나타나는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의 양상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 1세와 만 2세 각 9학급씩 총 18학급에서 오전 일과를 촬영하고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을 포함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 사건을 표집하였다. 그리고 영아 또래 상호작용 사건을 맥락 유형(놀이 vs. 일상생활), 시작 유형(영아 vs. 교사), 교사 지원 여부 유형(유 vs. 무), 교사 지원 이후 지속 유형(지속 vs. 중단)으로 나누어 사건 유형별 빈도 및 지속시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건 유형에 따른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 지원 행동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아들은 일상생활 맥락보다 놀이 맥락에서 또래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상호작용도 더 길게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 맥락보다 일상생활 맥락에서 이루어진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영아는 긍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을 많이 하고 교사는 영아 중심 지원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들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s of interaction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appearing during play and routine daily life contexts. To examine into the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video recording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play and routine daily life in the 1 and 2-year-old classe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was based on event sampling which included infants’ social behaviors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s. Each event was divided into a type of context(play vs. routine daily life), start-up (infant vs. teacher), teacher’s support(with vs. without) and continuity after teachers’ support (continuity vs. discontinuity).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infants’ social behavior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 of incident was investigat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frequency of infant interaction was higher and the duration of the interaction also appeared longer during the play situation than during routine daily life situations.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ants’ social behavior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according to event type. In particular, infants tended to show more positive attempts and responsive behaviors, and teachers tended to show more child-centered support in the context of routine daily life rather than pla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 KCI등재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에 관한 질적 탐구

        우현경 한국보육학회 2022 한국보육학회지 Vol.22 No.2

        Objective: The present study pursued to provide the frame of explanation and to examine the teacher's practical experiences of infant-centered⋅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videos of play cases for the infant and toddler classes aged 0 to 2 years old in six daycare centers that were selected for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Competition.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 methods of Grounded theory, the three-step analysis consists of open coding, axis coding, selective coding.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the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experience as a play supporter beyond the simple description of what teachers do. Results: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started to support play by observing and reading the infant and toddler's play behavior sensitively. And teachers provided time, space, and play materials as an environment that could lead the infant and toddler to play. Teachers supported Infant and toddler to fully enjoy play by using methods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al level, and they were following the infant and toddler's play by observing and reading the play behavior while playing.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role of teachers as play supporter in the infant-centered⋅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and to conduct that various case studies and semantic analysis stud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놀이사례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경험을 분석하여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광역지방자치단체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놀이사례 동영상 공모전에 당선된 6개소 어린이집의 영아반 놀이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0세반 1개소, 1세반 3개소, 2세반 2개소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방법을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3단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이에 따른 영아들의 놀이경험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영아의 행동을 민감하게 읽어내는 데서 놀이지원을 시작하였고, 영아를 놀이로 이끌 수 있는 환경으로서 시간, 공간, 놀이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발달 수준에 적합한 방식을 활용하여 영아들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였으며, 놀이 진행 중에도 놀이 행동을 읽어내며 영아들의 놀이를 따라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영아반 교사역할을 제시하는 유용한 자료일 뿐 아니라, 영아반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추후 다양한 사례 발굴 및 의미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