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경례(Lee, Kyung-Rei),문혁준(Moon, Hyuk-J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0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교사 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서 실시된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가한 영아교사 143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은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조절능력과 교수효능감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은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성인애착의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모두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정서조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영아교사 성인애착의 불안애착이 낮을수록,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력은 교사효능감 중 돌봄, 정서조절능력, 성인애착의 불안애착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effects of infants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f 142 infant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re above the average but infant care teacher"s adults attachment was lower than them. Seco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infants 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but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Third, teacher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infant care policy system.

      • KCI등재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종금,전정민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경기도와 경기외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일원 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사회적지지, 놀이교수효능감,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놀이교수 효능감, 사회적 지지는 서로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 놀이교수효능감에 대한 신념이 가장 강력하게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영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적 지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으로는 교사의 허용적 태도, 교사의 반응적 태도, 경험의 다양성, 적극적 활동참여 순으로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infant class teachers and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by surveying 310 infant class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and around Gyeonggi-do. For the data collected, th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tiliz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firstl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teachers, the social support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Secondly, the valu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and the social support indicate positive association. Thirdly,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s revealed from variables in which most influences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is the belief of the play teaching efficacy. Lastly, sub-variabl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at are affected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teachers, the social support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have significance in order of permissive attitude, responsive attitude, range of experience, activeness for activities of teachers

      • KCI등재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김옥주,조혜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미만의 영아를 보육하는 경력 1년 미만의 영아반 초임교사가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현장의 요구조사를 기초로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안)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안)의 시행·평가 및 수정·보완을 통하여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표는 '영아보육과정의 계획과 통합적 운영 및 평가 능력을 기른다, 영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놀이지도 능력을 기른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학부모와의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상담할 수 있다, 영아의 개인차를 고려한 일상생활지도를 할 수 있다, 영아의 건강 및 안전을 지도, 관리할 수 있다.'이다. 교육내용은 '영아보육과정의 계획·운영·평가, 영아의 발달과 놀이지도, 영아-교사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부모-교사의 신뢰로운 관계형성, 영아의 일상생활지도, 영아의 건강 및 안전관리'에 따른 20개의 하위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은 강의, 토의, 워크숍, 역할극, 어린이집 현장관찰, 사례나누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선정되었다. 교육담당자는 영아반 보육경험이 있는 경력교사와 어린이집 원장 및 유아교육·보육관련 교수이다. 교육시간은 총 20시간 6회기를 교육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나, 교육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이상의 교육내용과 운영방법을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 대상 컨설팅이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교사의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안소영(An, So 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 대상 컨설팅이 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컨설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12월까지 6개월간 전문 컨설턴트 3인이 252명의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컨설팅은 영아보육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 하위 범주중 허용적 태도와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컨설팅을 통한 영아보육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민감성에서의 변화 양상은 개입하기보다는 지켜보기, 영아 입장에서 생각하기, 부모와 협력하기, 계획-실행-평가 연계하기의 네 가지 양상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컨설팅은 첫째, 교사의 수업 기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교사가 영아에게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둘째, 컨설팅 과정에서 교사가 영아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을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셋째, 교사 역할의 이유와 목적에 대해 고민함으로서 교사 역할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 of consult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care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nsulting for infant care teachers on sensitivity of teachers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To this end, 3 professional consultants performed on 252 infant care teachers for 6 months from Jun∼Dec 2016 and analyze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consulting has effect on improving sensitivity of infant care teachers and permissive attitude among subcategories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re were 4 changes in interaction between the infant-teacher and the sensibility of the infant daycare teacher through consulting; observing rather than interrupting, thinking from the infant’s point of view, cooperating with parents, and connecting planning-practicing-evalu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study concluded with 3 proposals for consulting targeting infant daycare teachers. First, th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to concentrate on infant rather than focusing on education technique. Second, the teachers must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not just infant in the consulting. Third, th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to by giving meaning to their role as teachers through consider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teacher’s role.

      • KCI등재

        영아교사의 학력, 경력, 민감성, 교수효능감 및 어린이집 기관풍토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우수경(Woo Soo 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교사의 학력, 경력, 민감성, 교수효능감 및 어린이집 기관풍토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영아반 담임교사 2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8년 8월 1달간이었다. SPSS를 이용하여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 분석을 위하여 Mplus로 측정모형 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가장 큰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다음으로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경력은 교수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풍토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교수효능감과 민감성에 대한 영향과 상관을 고려할 때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ant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career, sensitivity, teaching efficacy,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order to get a comprehensive grasp of teacher variables affecting teacher-infant interactions. Participants were 233 teachers of one- or two-year-olds who attende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18. Internal consist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firstly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followed by measurement and structure model analyses using Mplu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input variables. Structure model analyses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sensitivity had the biggest direc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followed by teaching efficacy. Second, infant teachers’ career showed a direc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and indirect effect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ird,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limate had no direc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but seemed to affect indirectly teacher-infant interactions taking its effects on and correlations with teaching efficacy and sensitivity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관계

        이기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0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영아 보육시설에서의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 기질에 따라 교사-영아 관계가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 보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주지역의 27개 보육시설에서 영아반 교사 50명과 교사가 담당하는 영아 175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시설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은 교사가 연령이 낮은 교사들보다 더 높았고, 반면,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높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아 성별과 월령에 따른 영아 기질은 차이가 없었다. 교사-영아관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여아가 남아의 경우보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어린 영아들이 교사와 더욱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직무만족도는 교사-영아 관계에서 친밀성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친밀한 교사-영아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과 의존성의 부정적인 교사-영아 관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 기질에 따른 교사-영아 관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질은 교사-영아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오태희(Oh Tae Hee),이성희(Lee Sung Hee)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아-교사 상호작용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상호작용관련 교사 지도서 등의 문헌고찰과 요구 조사를 기초로 프로그램안을 구성하고 이를 유아교육전문가 및 유아교육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은 2년제 대학 예비교사 62명에게 180분씩 13회기 동안 실시되었으며, 교육 참여자인 예비교사가 작성한 포트폴리오 및 최종 질문지를 통해 수정·보완되었다. 최종 개발된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인 영아발달지식, 하루일과에 상호작용 기술적용, 영아 중심적 민감하고 반응적인 태도 증진이다. 교육내용은 영아-교사 상호작용 원리, 영아의 학습과 정서를 지원하는 상호작용, 영아반 하루일과에 대한 이해로 구성되었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내용으로 영아의 학습지원을 위한 상호작용을 포함하고 예비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실제 영아-교사 상호작용 동영상 개발 및 제시, 현장 실습, 현장 동영상 분석,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모의수업 분석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capacity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a draft was made up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data, and the program was draf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develop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13 sessions of 180 minutes for 62 two-year college pre-service teachers, an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portfolio and final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pre-service teacher. The final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help pre-service teachers gain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develop interaction skills, and promote sensitive and responsive attitudes toward infants. The course content consisted of the principle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supports for infants’ learning and emotions, and understanding of daily routines. In order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omote infant-teacher interaction competency the program included students’ practicum, video taping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analyses of the videos, lesson demonstrations and analyses of the microteaching.

      •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및 정서노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연구1)

        이혜정,이경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 및 정서노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애착척도(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Brennan 등, 1998), 정서척도(Emotional Scale; Gilstrap, 2005), Infant-Toddler Child Care HOME(IT-CC-HOME; Bradley 등, 2003) 중 ‘상호작용’ 척도 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은 안정형, 두려움형, 무시형, 몰두형 순으로 나타났고 정서노동은 자연적 행동, 내면적 행동, 표면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안정형 애착유형을 가진 교사가 두려움형 애착유형 교사보다 교사-영아 상호작용 중 반응적 태도가높아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정서노동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경우,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 중 적극적인 활동참여, 경험의 다양성, 교사의 반응적 태도, 교사의 허용적 태도와 매우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면적 행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적극적 활동 참여와 낮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경험의 다양성, 교사의 반응적 태도, 교사의 허용적 태도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의 중요한 시기인 영아기를 담당하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 및 정서노동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안정적애착과 정서노동이 영아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혜린,황성온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보육기관에 취원 중인 만 0∼2세반 담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 및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사효능감의 중재 역할로서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infant teacher's job stress,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fficacy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41 teachers of under 2-year-old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Incheo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s efficacy as well as teacher-infant interaction: however,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eacher's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between the relations of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ort to increase teacher's efficacy may increase the positive effect toward teacher-infant interaction caused by teacher's job stress. Furthermore, the effort to decrease teacher's job stress may decrease the negative effect toward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KCI등재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탁정화(Tak, Jeong-Hwa),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방안을 탐색해 봄으로써 영아교사의 근무여건 개선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포커스인터뷰 9명, 설문지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영아교사의 어려움은 ‘힘든 근무여건’, ‘매번 달라지는 영아’, ‘부모의 협력체계 부족’, ‘영아교사역할의 혼란’의 4가지 하위범주로 구분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 이 중 영아교사는 ‘힘든 근무여건’, ‘매번 달라지는 영아’의 순으로 영아교사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영아교사의 전문성으로는 ‘생활 속으로 배움을 조화 시키는 능력’, ‘영아에 대한 풍부한 지식’, ‘맥락적 의사소통’, ‘양육과 돌봄 활동’, ‘전문성에 대한 신념’, ‘돌보고 달래는 공감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생활 속으로 배움을 조화 시키는 능력’, ‘영아에 대한 풍부한 지식’ 순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인식되었다. 영아교사의 91.8%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방안이 있을 경우,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필요한 지원방안으로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의 개발ㆍ보급이 선호되었다. 영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내용에 대한 보육경력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경력교사의 경우 부모와 상담하는 방법, 건강일지 및 개별수첩을 작성하는 방법, 업무와 보육을 병행하며 하루일과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교사의 요구도가 더 높게 보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isten to infant-toddler teachers’ difficulties and demands and to improve their own professionalism. For the study, 9 teachers participated for focus group interviews and 185 teachers participated for questionnaires in Pusan, Ulsan and Gyug-nam province through mail and personal visit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According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biggest difficulties that infant-toddler teachers face in their work were ‘arduous working condition’, ‘capricious infant-toddler’, ‘lack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nd ‘infant-toddler teachers’ role dilemma’. The participants discussed what professional roles of infant-toddler teachers are: ‘harmony with being-well, living and learning’, ‘sufficient knowledge about infant-toddler’, ‘contextual communication’, ‘parenting and caring activity’, ‘belief in professionalism’, ‘emotional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89.7% of respondents wanted to get help whenever they wanted and to offer variable programs. The purpose of the program preferred to reach them to a high proficient performance level, they also demanded that their working condition to be considered, willing participation was the best way to be active, and sustained guidance to be provided. Besides, The results of the survey for the amount of demand on necessity of help, showed that ‘the way to help early adaptation of infant-toddler in childcare center’ and ‘infant-toddler’s temperament-based teaching behavior’ were highly needed, but ‘effective daily management with balancing task and instruction’ was les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