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교사 민감성 분석
이선희,이승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반의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교사 민감성의 전반적 경향 및 교사의 개인적?기관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상호작용 경향과 교사 민감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어린이집 만 1세 영아반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자유놀이시간에 교사당 1시간의 관찰(30분 비디오 녹화)을 실행하여 영아-교사 상호작용 에피소드를 분석하였으며, Bigelow 등(2004)의 민감성 측정도구로 교사 민감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1세 영아반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영아-교사 상호작용 에피소드 빈도는 교사당 평균 10.14회, 지속시간은 평균 134.44초, 1회당 상호작용한 영아 수는 평균 2.23명이었고, 교사에 의해 시작되고 종료되는 비율이 영아에 의한 것보다 높았다. 변인에 따라서는 교사의 학력, 영아반경력, 담당 학급의 교사 대 영아 비율, 집단 크기, 자유놀이시간의 양에 따라 관찰범주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따라가기와 비계설정하기 간에는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학력, 교직경력, 영아반경력, 교사 대 영아 비율, 집단 크기, 자유놀이시간의 양에 따라 민감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 상호작용 경향과 교사 민감성 간의 관계는 종료 주체 영아와 따라가기, 지속시간과 비계설정하기 간에는 정적상관이, 상호작용한 영아 수와 따라가기, 종료 주체 교사와 따라가기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배세은(Se Eun Bae),문혁준(Hyuk Jun M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만 1세, 2세의 영아반을 보육하는 교사 3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사후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연령, 경력, 소지자격증, 결혼여부)에 따라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은 영아반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영아 간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와 교사의 행복감과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happiness, occupational stress, and efficacy of teachers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s. The subjects were 349 infant classroom teacher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és post-hoc,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s was differed by teacher’s age, work experience, license, marital status. (b) Happiness, occupational stress, efficacy of teacher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were related one another. (c)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teacher’s efficac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preparing policies for teachers in order to maintain high-quality interaction in childcare facilities.
영아교사 성인애착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서민희,유경훈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teacher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This study subjects were 189 infant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ere used to test adult attachment types, teacher efficacy scale,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measurement tool. The collec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 among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xplanatory power, reliability test to verify reli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fant attachmen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ha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effect of the adult attachment typ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to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Thir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re was meaningful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상관성 및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의 영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 영아-교사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영아상호작용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안정애착과는 정적 상관이, 회피애착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사효능감과 영아상호작용과는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은 반응적 태도와 적극적 활동 참여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보였고, 회피애착은 반응적 태도에만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허용적 태도에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들이 의미 있는 영향력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셋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학급운영관리, 영아상호작용, 교수활동은 교사의 반응적 태도, 적극적인 활동 참여, 허용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및 정서노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연구1)
이혜정,이경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 및 정서노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애착척도(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Brennan 등, 1998), 정서척도(Emotional Scale; Gilstrap, 2005), Infant-Toddler Child Care HOME(IT-CC-HOME; Bradley 등, 2003) 중 ‘상호작용’ 척도 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은 안정형, 두려움형, 무시형, 몰두형 순으로 나타났고 정서노동은 자연적 행동, 내면적 행동, 표면적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안정형 애착유형을 가진 교사가 두려움형 애착유형 교사보다 교사-영아 상호작용 중 반응적 태도가높아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정서노동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경우,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 중 적극적인 활동참여, 경험의 다양성, 교사의 반응적 태도, 교사의 허용적 태도와 매우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면적 행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적극적 활동 참여와 낮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경험의 다양성, 교사의 반응적 태도, 교사의 허용적 태도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의 중요한 시기인 영아기를 담당하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 및 정서노동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안정적애착과 정서노동이 영아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아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교사와 영아의 사회,정서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혜진,이정욱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관련변인이 영아-교사의 사회.정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둘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도 관련 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 교사-영아 사회.정서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t검증과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차이는 연령, 학력, 소지자격, 전체경력, 영아반 경력, 기관형태로 구분하여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정서지도관련 과목 이수에 따른 차이는 양성교육과정에서의 이수여부, 현직교육과정에서의 이수여부를 구분하여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두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공문으로 배포한 후 관찰을 허락한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이다. 연구결과는 영아교사 전체 교사경력 및 영아반 교사경력이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정서지도관련 과목을 이수여부가 영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교육에서 정서지도 관련 교육 이수여부 또한 여아-교사의 사회.정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 및 현직교육에서 정서지도 관련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
황혁(Hwang, Huyk),문혁준(Mun, Hyuk-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대전 지역의 영아보육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3.0으로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PRCSESS macro 3.3을 이용하여 매개분석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은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었으며,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역할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넷째, 영아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다중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인정해주고 보육교사들의 의사를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는 어린이집 조직 문화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role-performance of the Infant child care teacher.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0 teachers who were Infant child care teacher in the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Daejeon.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23.0.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ncluded ver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mediated pathways using PROCESS macro 3.3.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also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Infant child care teacher 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ole-performance. Thirdly, empowerment does serve a mediation effects in relation with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Fourthly,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serve a mediation Effects in relation with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Lastly,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In particular, it suggests the need for a culture of organizing day care centers to recognize the expertise and autonomy of Infant child care teachers and to freely express the will of child care teachers.
영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개인특성과 성격유형에 따른 영아와 동료교사와의 관계탐색
노승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본 연구는 영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개인특성과 성격유형에 따른 영아와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개인특성은 보육현장에서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영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개인특성과 영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영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동료교사의 개인특성과 성격유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참여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10명을 선정한다. 영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개인특성이 동료교사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기관당 2~3명의 영아교사를 선정하고자 한다. 2023년 10월부터 11월까지 연구참여자별로 2회에 걸쳐 연구참여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대면과 비대면으로 개별인터뷰와 그룹인터뷰를 실시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개인특성과 영아, 동료교사와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심층있게 들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동료교사와 영아를 이해하고 영아교사로서의 역할과 현장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며 긍정적인 관계유지를 위한 교사교육과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오태희(Oh Tae Hee),이성희(Lee Sung Hee)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아-교사 상호작용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상호작용관련 교사 지도서 등의 문헌고찰과 요구 조사를 기초로 프로그램안을 구성하고 이를 유아교육전문가 및 유아교육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은 2년제 대학 예비교사 62명에게 180분씩 13회기 동안 실시되었으며, 교육 참여자인 예비교사가 작성한 포트폴리오 및 최종 질문지를 통해 수정·보완되었다. 최종 개발된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인 영아발달지식, 하루일과에 상호작용 기술적용, 영아 중심적 민감하고 반응적인 태도 증진이다. 교육내용은 영아-교사 상호작용 원리, 영아의 학습과 정서를 지원하는 상호작용, 영아반 하루일과에 대한 이해로 구성되었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역량 증진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내용으로 영아의 학습지원을 위한 상호작용을 포함하고 예비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실제 영아-교사 상호작용 동영상 개발 및 제시, 현장 실습, 현장 동영상 분석,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모의수업 분석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capacity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a draft was made up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data, and the program was draf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develop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13 sessions of 180 minutes for 62 two-year college pre-service teachers, an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portfolio and final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pre-service teacher. The final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help pre-service teachers gain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develop interaction skills, and promote sensitive and responsive attitudes toward infants. The course content consisted of the principle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supports for infants’ learning and emotions, and understanding of daily routines. In order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omote infant-teacher interaction competency the program included students’ practicum, video taping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analyses of the videos, lesson demonstrations and analyses of the microteaching.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근주(Lee Geun 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 differenc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t shows the older infant teachers are higher in development standard, health, knowledge.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of HR teacher in infant class has more developmental principles knowledge. And the infant teachers who has work experience in a infant nursery or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has more knowledge of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ve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lso, infant teachers are older than normal childcare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of a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are Social needs, special organization, professional ethics, level of expertise, community service tendency, fairness, autonomy, socioeconomical status order. Many infants go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nuclear family and female workers. The results of study show infant teachers are socially needed.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think they are low socioeconomical status themselves. That’s because a long working hours and low salary of infant teachers. Third, a result of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erarchy that exclude background variable and include recognition of specialty variable is follow. The infant teachers who has the higher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have higher recognition of speci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s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nd age, reeducation, job training. Als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nfluences to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발달지식 수준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발달기준, 건강안전, 양육 지식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경력이 많을수록 발달원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전담(가정어린이집)과 법인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건강안전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 연령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필요성, 전문직단체, 직업윤리, 전문적 지식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순으로 사회적필요성이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핵가족화 및 취업모의 증가로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수가 많아지면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긴 시간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체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전문성 인식 변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발달지식이 높을수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재교육 등 생활경험, 현장연수 등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영아발달 지식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영아의 기질과 영아-교사 관계에서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주연(Jooyun Y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영아의 기질적 특성인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가 영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교사 협력이 조절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어린이집 16곳의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담임을 맡고 있는 영아 123명(남아 67명, 여아 5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기질 중 의도적 통제와 영아-교사 친밀관계에 있어서 성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 부모-교사 협력은 영아-교사 갈등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모-교사 협력은 부정적 정서성이 영아-교사 갈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아-교사 친밀관계에는 영아의 기질인 의도적 통제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에 있어서 취약한 기질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부정적 정서성이 영아-교사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부모-교사 협력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보육현장에서 부모의 참여가 영아의 생활과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negative affect and effortful control on toddler-teacher relationship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 total of 41 teachers of 123 infants (67 boys, 56 girls) were recruited from 16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d hierarchial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effortful control of toddlers’ temperament and toddlerteacher intimacy. Second, toddlers’ negative affect, toddlers’ effortful control,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oddler-teacher conflict, and especially parent-teacher cooperation appeared to moder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toddler-teacher conflict. On the other hand, toddler - teacher intimacy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infant temperament, effortful control. This implies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can be a protective factor for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a potential vulnerable temperament characteristic, on toddler-teacher conflict relations. It suggests parent involvement influences toddler’s daily life 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