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산 함유 액상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변화

        김영선,이창은,이긍주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3

        본 연구는 규산 함유 액비(LFSi)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줄기 밀도, 뿌리 길이, 엽록소 함량, 예지물 및 양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FSi 1,000배 처리구(SiF-1), LFSi 500배 처리구(SiF-2) 및 LFSi 250배 처리구(SiF-3)로 구분되었다. LFSi 처리 전후에 토양화학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FSi 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때, 잔디 품질은 7월, 10월 및 11월 조사에서 높았으며, 엽록소 함량과 잔디 예지물은 10월 27일 조사에서 증가하였다. 줄기 밀도, 뿌리 길이, 잎조직 내 질소 함량 및 칼륨함량은 LFSi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잔디 잎 조직 중 규소함량은 칼리 함량이나 줄기 밀도와 정의 상관성을 보였고, 줄기 밀도는 잔디 품질이나 엽록소 함량과 각각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규산 함유 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잎 조직 중칼륨 함량이나 줄기 밀도가 증가되어 가시적 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uperintendents have used a silicate fertilizer to improve a resistance of turfgrass against several diseases, drought damage and wear str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silicate (LFSi) on changes of turfgrass quality and growth by investigating visual quality, chlorophyll content-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total chlorophyll, root length, shoot length, dry weight of clipping, and nutrient content in leaves tissu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s; control fertilizer (CF), SiF-1 (CF + 1 ml m−2 LFSi), SiF-2 (CF + 2 ml m−2 LFSi), and SiF-3 (CF + 4 ml m−2 LFSi). As compared with CF, soil chemical properties, visual turfgrass quality, chlorophyll content, and dry weight of clipping of LFSi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Contrastingly, shoot density, root length, and the content of nitrogen or potassium were increased by application of LFSi. The content of Si in the tiss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tassium content or shoot length, and similarly shoot density positively with chlorophyll content or visual quality,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LFSi improved the turfgrass quality by increasing shoot density or K content in leaf tissue of creeping bentgrass.

      • KCI등재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 특성

        권민영 ( Min Young Kwon ),김선희 ( Sun Hee Kim ),성주한 ( Joo Han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겨울철 눈이 내린 도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용해되어 도로주변의 수목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제설제로 이용되는 염화칼슘 처리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생장 특성, 광색소함량, 광합성 효율, 엽록소형광반응을 측정하고 식물체 및 토양 분석을 하였다. 실험구는 무처리(대조구), 9mM(0.5%), 18mM(1.0%), 54mM(3.0%)의 총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용해액을 신초가 나기 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500ml씩 살포하였다. 염화칼슘 처리 결과, 처리 후 30일째 염화칼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5% 처리구부터 총엽록소함량, 광합성율, 증산율, 기공전도도, 광계Ⅱ활성이 감소하였고 특히 3.0% 처리구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엽록소a/b는 염화칼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분이용효율은 1.0% 처리구에서부터 증가하였다. 처리 후 50일째 3.0% 처리구는 고사하여 측정할 수 없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엽록소a, 엽록소b, 총엽록소함량, 광계Ⅱ활성, 광계Ⅱ광화학효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2+와 Cl-이 잎과 토양에 축적되어 수분의 흡수와 전자전달의 방해에 기인한 것으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수고생장율의 50% 이상 저하를 가져왔다. 염화칼슘의 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장율은 감소하고 생리적 활성은 둔화되었고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해졌다. To prevent freezing of the road by fallen snow, Calcium chloride(CaCl2) as a deicer is used to very often and it can be harmful to roadside tre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cium chloride(CaCl2) as a deicer on growth and physiological traits of Acer triflorum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Cl2 . We measured growth, chlorophyll contents, gas exchangement characteristics,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in plant and soi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four treatments including 0mM(control), 9mM(0.5 %), 18mM(1.0 %), 54mM(3.0 %). Before germinating new shoot, the dissolution of CaCl2 was irrigated twice interval of a week. At 30 days after treatment, all treatments decreased total cho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Cl2 and especially, they significantly reduced in 3.0 % treatment. In contrast, chlorophyll a/b ratio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CaCl2 concent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increased in 1.0 % and 3.0 % treatments. At 50 days after treatment, all treatments were decreased in chl a, chl b, total chlorophyll content, carotenoid content, photosynthetic capacity,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and quantum yield of photosystemⅡ(ΦPSⅡ) compared with control and 3.0 % treatments were withered. Ca2+ and Cl- were accumulated in leaves and soil, which inhibited water absorption and electron transport and it caused the reduction of height growth rate more than 50 %. Althoug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and CaCl2 concentration, all treatments decreased in growth rate and physiological activity slowed down. As time passed, these results got worse. Therefore we need to take a measure earlier in order to minimize damage of trees.

      • KCI등재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 특성

        권민영,김선희,성주한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겨울철 눈이 내린 도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용해되어 도로주변의 수목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제설제로 이용되는 염화칼슘 처리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생장 특성, 광색소함량, 광합성 효율, 엽록소형광반응을 측정하고 식물체 및 토양 분석을 하였다. 실험구는 무처리(대조구), 9mM(0.5%), 18mM(1.0%), 54mM(3.0%)의 총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용해액을 신초가 나기 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500ml씩 살포하였다. 염화칼슘 처리 결과, 처리 후 30일째 염화칼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5% 처리구부터 총엽록소함량, 광합성율, 증산율, 기공전도도, 광계 II활성이 감소하였고 특히 3.0% 처리구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엽록소a/b는 염화칼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분이용효율은 1.0% 처리구에서부터 증가하였다. 처리 후 50일째 3.0% 처리구는 고사하여 측정할 수 없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엽록소a, 엽록소b, 총엽록소함량, 광계II활성, 광계II광화학효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2+와 Cl-이 잎과 토양에 축적되어 수분의 흡수와 전자전달의 방해에 기인한 것으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수고생장율의 50% 이상 저하를 가져왔다. 염화칼슘의 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장율은 감소하고 생리적 활성은 둔화되었고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해졌다. To prevent freezing of the road by fallen snow, Calcium chloride(CaCl2) as a deicer is used to very often and it can be harmful to roadside tre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cium chloride(CaCl2) as a deicer on growth and physiological traits of Acer triflorum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Cl2. We measured growth, chlorophyll contents, gas exchangement characteristics,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in plant and soi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four treatments including 0mM(control), 9mM(0.5 %), 18mM(1.0 %), 54mM(3.0 %). Before germinating new shoot, the dissolution of CaCl2 was irrigated twice interval of a week. At 30 days after treatment, all treatments decreased total cho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Cl2 and especially, they significantly reduced in 3.0 % treatment. In contrast, chlorophyll a/b ratio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CaCl2 concent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increased in 1.0 % and 3.0 % treatments. At 50 days after treatment, all treatments were decreased in chl a, chl b, total chlorophyll content, carotenoid content, photosynthetic capacity,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and quantum yield of photosystem II(ΦPSII) compared with control and 3.0 % treatments were withered. Ca2+ and Cl- were accumulated in leaves and soil, which inhibited water absorption and electron transport and it caused the reduction of height growth rate more than 50 %. Althoug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and CaCl2 concentration, all treatments decreased in growth rate and physiological activity slowed down. As time passed, these results got worse. Therefore we need to take a measure earlier in order to minimize damage of trees.

      • KCI우수등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옥상녹화 식물의 생리적 반응

        박성식,최재혁,박봉주,Park, Seong-Sik,Choi, Jaehyuck,Park, Bong-Ju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2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해 맥문동, 울릉국화, 비비추, 돌나물, 잔디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용적수분함량, 엽과 토양의 수분포텐셜, 엽록소 a와 b함량, 엽록소형광,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항산화물질을 측정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측정결과, 무관수 일수가 경과하면서 용적수분함량 부족에 따라 식물은 점차 고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울릉국화가 가장 먼저 고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잔디, 비비추, 맥문동 순이었으며, 돌나물은 고사하지 않았다. 비비추, 맥문동, 돌나물은 3주 이상 생존하여 내건성이 높은 식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 a와 b는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났는데, 초기부터 중기까지 일정한 함량을 유지 후, 급격히 감소하는 I유형에는 비비추, 잔디와 초기에는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중기 때 급격히 증가 후, 감소하는 II유형에는 울릉국화, 맥문동, 돌나물로 구분되었다. 용적수분함량과 증발산량은 모든 식물 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엽록소형광 측정결과, 내건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돌나물이 가장 늦게 감소하였고, 잔디와 돌나물은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 후 고사하였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속도는 초기에 높은 활성도가 나타났으나, 용적수분함량의 감소로 인하여 식물체가 기공을 닫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물질 측정결과, 건조스트레스가 증가하면 항산화물질의 양 또한 증가하나, 높은 스트레스가 유지되면 이러한 화합물이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항산화물질의 증감은 내건성 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drought tolerance of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Sedum sarmentosum Bunge and Zoysia japonica Steud. for an extensive green roof. In order to assess drought tolerance of green roof plants, several criteria were measured such as volumetric water content, leaf and soil moisture potential, chlorophyll a and b, chlorophyll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rate and antioxidants. The results of the drought tolerance measurement of green roof plants focused on the gradually withering of plants from lack of volumetric water content. D. zawadskii was the first to show an initial wilting point, followed by Z. japonica, H. longipes and L. platyphylla in order while S. sarmentosum showed no withering. It was concluded that H. longipes, L. platyphylla and S. sarmentosum were highly drought tolerant plants able to survive over three weeks. Furthermore, chlorophyll a and b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ype I, which kept regular cont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period and suddenly declined, like H. longipes and Z. japonica; and Type II, which showed low content at the beginning, sharply increased at the middle stage and decreased, like D. zawadskii, L. platyphylla and S. sarmentosum.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consistently declined in all plant species. The analysi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results that S. sarmentosum, which had relatively high drought tolerance, was the last to decline, while Z. japonica and S. sarmentosum withered after rapid reduction. At first,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showed high activity, but they lowered as the plant body closed stomata owing to the decrease in volumetric water content. Measuring antioxidants showed that when drought stress increased, the amount of antioxidants grew as well. However, when high moisture stress was maintained, this compound was continuously consumed. Therefore, the variation of antioxidants was considered possible for use as one of the indicators of drought tolerance evaluation.

      • KCI등재

        해파리 비료 시비처리가 상수리나무 유묘의 광합성과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경철,전근우,김석우,윤주웅,김용래,이창우,서동진,한상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jellyfish Fertilizer level on thephotosynthetic responses and chlorophyll contents in seedling of Quercus acutissima. Thetreatments were regulated with the five different treatments (non-treated, 1.6, 2.7, 5.5, and 11.1 g/kg). The addition of jellyfish fertilizer increased soil water contents and leaf water potential. This canbe attributed to the colloidal of jellyfish fertilizer, enhancing the soil water-holding capacity. Thephotosynthetic activity of 1.6 g/kg treatment such as maximum photosynthesis rate, stomatal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Fv/Fm and Soil to leaf specific hydraulic conductance were clearly increased. And also, 1.6 g/kg treatment showed relatively better chlorophyll andcarotenoid contents and Fv/Fo. Similarly, The 2.7 g/kg treatment also showed relatively highphotosynthetic activity and chlorophyll contents. However, non-treated were shown the oppositetrend. Especially, the photosynthetic activity of the 11.1 g/kg treatment exhibited the lowest inspite of higher soil water contents. This implies that physiological disturbance may be due toexcessive fertilization. In conclusion, the 1.6 g/kg and 2.7 g/kg jellyfish fertilization increases soilwater-holding capacity and photosynthetic activity of Q. acutissima seedling. 이 연구는 해파리 비료 시비처리 수준에 따른 상수리나무 유묘의 광합성 반응과 엽록소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시비처리는 5가지로 조절하였다(무시비처리구, 1.6 g/kg, 2.7 g/kg, 5.5 g/kg과 11.1 g/kg). 해파리 비료 시비처리시 토양수분함량과 잎의 수분포텐셜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해파리 비료의 콜로이드 특성이 토양의 수분보유력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1.6 g/kg 처리구에서 최대광합성속도, 기공증산속도, 기공전도도, Fv/Fm 및 토양-엽 수리전도도 등 전반적인 광합성 활성이 증가하였으며(p<0.05), 엽록소와 카로테노이드 함량 및 Fv/Fo 역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유사하게2.7 g/kg 처리구 역시 광합성 활성과 엽록소 함량이 높은 것으로(p<0.05) 나타났으나 무처리구는 이와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1.1 g/kg 처리구 경우 토양수분함량은 가장 높았으나 잎의 수분포텐셜은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도한 시비에 따른 생리적인 장애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1.6 g/kg과 2.7 g/kg 해파리 비료 시비처리시 상수리나무 유묘의 토양수분 보유력과 광합성 활성이 증가됨을 알수 있다.

      • KCI등재

        다단재배에서 수확시기가 어린잎 채소의 생육과 항산화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재경(Jae Kyung Kim),강호민(Ho Min Kang),김일섭(Il Seop Kim),최은영(Eun Young Choi),최기영(Ki Yong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3

        본 실험은 벼 육묘장의 연중 활용을 위해 다단 재배상에서 벼 육묘판을 이용한 어린잎 채소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다단재배에서 단 위치 및 재배 일수가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공시 작물은 배초향(Agastsche rugosa O.)과 큰다닥냉이(Lepidium sativum L.)를 사용하였고, 코코넛코이어로 충진한 벼 육묘판에 각각의 작물을 10일 육묘한 어린잎 채소를 6단 재배상(120×45×180㎝)의 1층 저단(지면으로부터 20㎝)과 6층의 고단(지면으로부터 170㎝)에 배치하였다. 공급액은 EC 1.5 dS·m<SUP>-1</SUP>의 배양액과 지하수를 하루간격으로 번갈아 각각 격일로 공급하였고, 하루 3회, 회당 200~400ml/tray씩 두상관수하였다. 7일 또는 14일간 재배하여 수확한 후 생육 및 항산화 함량을 분석하였다. 저단처리와 고단처리에서의 재배 기간 중 일평균 누적광량 및 온도는 5.1~6.2MJ·m<SUP>-2</SUP>, 26.5~26.6℃과 9.3~9.6MJ·m<SUP>-2</SUP>, 27.5℃로 계측되었다. 배초향의 생육(초장,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은 저단에서 14일 재배되었을 때 높았고, 고단에서 재배된 배초향의 초장은 짧고, 엽수가 감소하였다. 큰다닥냉이의 초장, 엽폭, 엽수, 생체중은 저단에서 14일 재배되었을 때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졌을 때 엽장, 엽폭, 엽수는 차이가 없었다. 배초향의 수량은 적산온도와 누적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큰다닥냉이의 수량은 적산 온도 증가시 증가한 반면, 누적광량에서는 감소하여 작물간 누적광량에 따른 수량에 차이를 보였다. 배초향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고단에서 높았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졌을 때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증가하였다. 큰다닥냉이의 폴리페놀 함량은 고단처리에서 높았고,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단 위치와 재배일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한편 두작물의 총엽록소 함량은 저단에서 7일 재배하였을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고온기 다단 재배 시 생육과 품질을 고려한 어린잎 채소 재배시 육묘 후 배초향은 고단에서 14일, 큰다닥냉이는 저단에서 7일 재배하여 수확하는 것이 좋으리라 판단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suitable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baby leafy vegetables (Agastsche rugosa O. Kuntze and Lepidium sativum L.) grown on rice seedling tray in a six-layered bench system at 30cm intervals in order to exploit the space during rice growing off-season. Seedlings were grown on the rice seedling tray for 10 days after sowing with coir substrate supplie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5 dS·m<SUP>-1</SUP> every 2 days prior to placing the tray on the bench, which were at 1<SUP>st</SUP> (Low) layer above 20㎝ and 6<SUP>th</SUP> (High) layer above 170㎝ apart from the ground.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s were measured at 7-day and 14-day harvest time. During the culture periods, daily average of integrated solar radiation and temperature were 9.3~9.6 MJ·m<SUP>-2</SUP>, 27.5℃ in the High layer and 5.1~6.2 MJ·m<SUP>-2</SUP> in average, and 26.5~26.6℃ in the Low layer, respectively. For A. rugosa, the highest growth was observed in the Low layer bench at a 14-day harvest time, while their plant height in the High layer was shorter and the leaf number was lower. For L. sativum,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width, leaf number and fresh weight were higher in the Low layer. For A. rugosa, a high yield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in integrated temperature and integrated solar radiation, while a higher yield of L. sativum was found with the increase in integrated temperature, but not with integrated solar radiation. For A. rugosa, both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High layer at a 14-day harvest time. For L. sativum,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High layer,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hocyanin and flavonoid contents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layer and harvest time.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t showed in Low layer at a 7-day harvest time in both A. rugose and L. sativum. All of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erms of growth and quality, it may be better growing in the high layer for 14 days after seedling in A. rugosa, and low layer for 7 days in L. sativum.

      • KCI등재

        고추냉이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EC 수준이 Allyl-isothiocyanate 함량과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최기영(Ki Young Choi),이용범(Yong-Beom Lee),조영열(Young Yeol Cho)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4

        본 연구는 고추냉이 ‘달마’ 품종을 배양액의 EC 수준을 달리하여 수경재배하였을 때, 기능성 성분인 AITC의 조직별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생리적 반응들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배양액의 EC는 Yamasaki 배양액 EC 0.5dS?m<SUP>-1</SUP>를 기준으로 1N-NaCl로 조절한 5수준(EC 0.5, 1, 2, 3, 5dS?m<SUP>-1</SUP>)으로 5주간 담액 수경재배하였다. 고추냉이의 총 AITC 함량은 처리 1주에는 EC 5dS?m<SUP>-1</SUP>에서, 처리 5주에는 EC 3dS?m<SUP>-1</SUP>에서 가장 높았다. 처리 5주 후 고추냉이 AITC 함량은 처리 1주에 비하여 EC 0.5-2dS?m<SUP>-1</SUP>에서 1.2-1.4배 증가하였으나, EC 3dS?m<SUP>-1</SUP>에서는 6%, EC 5dS?m<SUP>-1</SUP>에서는 56% 감소하였다. AITC의 상대적 비율이 EC 0.5-2dS?m<SUP>-1</SUP>에서는 처리 1주와 처리 5주 모두 엽신과 뿌리에 비해 엽병(평균 53.4%, 49.5-61.1%)에서 높았다. 그러나 EC 3과 EC 5dS?m<SUP>-1</SUP>에서 뿌리의 AITC 상대적 비율이 처리 1주에는 평균 45.1%(43.7-46.1%)로 엽신과 엽병에 비해 높은 반면 처리 5주에는 평균 16.6%(16.0-17.1%)로 낮아져, 엽신에서는 5배, 뿌리에서는 6.8배의 AITC 함량이 감소하였다. 처리 1주 비타민 C 함량은 83.7-107㎎?100g-1FW로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 5주 후, EC 0.5-2dS?m<SUP>-1</SUP>에서는 117.8-137.5㎎?100g<SUP>-1</SUP>FW로 27% 증가하였다. 고추냉이잎 전해질 유출은 EC 5dS?m<SUP>-1</SUP>에서 EC 0.5-2dS?m<SUP>-1</SUP>에 비해 3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엽록소 함량, 광합성 및 증산율은 EC 2dS?m<SUP>-1</SUP> 이상에서, 수분함량과 비엽면적은 EC 5dS?m<SUP>-1</SUP>에서 감소하였다. 처리 5주 후 고추냉이 생육은 EC 3과 5dS?m<SUP>-1</SUP>에서 엽수와 지상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기능성 채소로서 고추냉이 수경재배시 품질과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배양액의 EC는 3dS?m<SUP>-1</SUP> 이하가 적합하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EC (electrical conductivity) levels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culture on allyl-isothiocyanate (AITC) content within plant tissues, Vitamin C cont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wasabi plant (Wasabia japonica M. ‘Darma’). The ‘Darma’ was grown for 5 weeks with a deep flow technique (DFT) system controlled at 5 different EC levels, including 0.5, 1, 2, 3, and 5 dS?m<SUP>-1</SUP>. In result, the highest total content of AITC showed at EC level 5 and 3 dS?m<SUP>-1</SUP> for 1 or 5- week, respectively. The total content of AITC increased about 1.2-1.4 times when the plants were grown in the EC levels between 0.5 and 2 dS?m<SUP>-1</SUP>, whereas the content decreased about 6 and 56 % in the EC level 3 and 5 dS?m<SUP>-1</SUP>, respectively. The content of AITC was relatively higher in petiole tissue, about 53 %, taken from 1 week-grown plants when the EC was controlled between 0.5 and 2 dS?m<SUP>-1</SUP>. Root tissue also had relatively higher content of AITC, about 45.1 %, when the EC was controlled at 3 and 5 dS?m<SUP>-1</SUP>. However, a 5-fold decrease in the AITC content was found in blade tissue and a 6.8-fold decrease in root when the EC was controlled at 5 dS?m<SUP>-1</SUP> for 5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tamin C content in 1-week grown leaf tissues under the different EC level treatments; but, the content increased about 27% in 5-week grown plants at the EC level between 0.5 and 2 dS?m<SUP>-1</SUP>, compared to the 1 week-grown leaf tissue. Electrolyte leakage of leaf tissue taken from 3-week grown plant was 3-fold higher at the EC level 5 dS?m<SUP>-1</SUP>, compared to the EC level between 0.5 and 2 dS?m<SUP>-1</SUP>. Chlorophyll content, photosynthesis rate and transpiration rate were decreased when the EC was controlled at higher than 2 dS?m<SUP>-1</SUP>. Leaf water content, specific leaf area and growth were decreased when the EC was controlled at 5 dS?m<SUP>-1</SUP> for 5 weeks. All the integrated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C level of nutrient solution should be maintained at lower than 3 dS?m<SUP>-1</SUP> in order to improve nutritional value and quantity required for hydroponically grown wasabi as functional vegetable.

      • KCI등재

        피음처리에 따른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생리반응

        이경철(Kyeong-Cheol Lee),노희선(Hee-sun Noh),김종환(Jongh-wan Kim),한상섭(Sang-Sup Ha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1 No.2

        피음처리에 의한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광합성 및 생장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이용하여 전광처리구(0%), 약피음처리구(45~55%), 중간피음처리구(65~75%), 강피음처리구(88~92%) 설치하고 엽록소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광합성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고려엉겅퀴와 누룩치 모두 피음처리 수준에 따라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반응, 순양자효율 등이 증가하여 빛의 흡수와 광합성 반응에 대한 효율을 높이는 내음성 적응 반응을 나타냈으며, 엽면적 SLA 역시 증가하여 부족한 광환경에서 수광량을 늘리기 위해 엽면적은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지는 형태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전광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 엽록소형광반응, 순양자효율, 기공전도도 및 기공증산속도가 비교적 낮았으며, 이는 강한 광으로 광저해 현상이 일어나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엉겅퀴의 강피음 처리구는 엽록소 함량도 높으며, 엽면적이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져 광을 수집하기 위한 형태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으나 광선요구도보다 적은 광 환경에서 계속 생장함으로서 엽육내 CO₂를 효율적으로 소비하지 못하고, 수분이용효율 역시 감소되어 광합성 능력을 점점 상실해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려엉겅퀴는 약광처리구(전광의 45~55%)에서 최대광합성속도와 순양자효율이 가장 높고, 기공개폐 반응과 광화학반응 효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누룩치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중간피음처리구에서 최대광합성속도, 순양자수율, 기공개폐반응 및광화학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피음처리를 통해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려엉겅퀴의 경우 전광을 약 45~55% 차단하고, 누룩치는 약 65~75% 차단시킨 광환경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lorophyll contents,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Cirsium setidens and Pleurospermum camtschaticum by shading treatment. Two species were grown under non-treated (full sunlight) and three different shading condition (88~93%, 65~75% and 45%~55% of full sunlight) for the experiment. Total chlorophyll content, photochemical efficiency (Fv/Fm), specific leaf area (SLA), and net apparent quantum yield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but decreased dark respiration under the low light intensity. Therefore, light absorption and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were improved under the low light intensity. 45~55% of full sunlight in C. setidens and 65~75% of full sunlight in P. camtschaticum showed best maximum photosynthetic rate, net apparent quantum yield and photochemical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non-treated showed lower maximum photosynthetic rate, photochemical efficiency, and chlorophyll content than treated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wth of P. camtschaticum adapted to 65~75% of full sunlight and C. setidens adapted to 45~55% of full sunlight.

      • KCI등재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생육 및 장유함량에 미치는 양액농도의 효과

        강호민,나철욱,박권우,Kang, Ho-Min,Na, Cheol-Wook,Park, Kuen-Woo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2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adequate strength of nuttient solution in production of marjoram and oregano by hydroponicsl Two herbs were grown for 40days with the strength of 0.5, 1.0, 2.0, and 3.0 dS${\cdot}m^{-1}$ in herb's nutrient solution developed by European Vegetable R & D Center, Belgium. the growth, vitamin C,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marjormam were higher in the treatment of 0.5 dS${\cdot}m^{-1}$ than the other treatments tested. But marjoram growtn with the sstrength of 20. and 3.0 dS${\cdot}m^{-1}$ had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and essential oil content, respectively. Elevated strength of nutirent solution decreased chlorophyll content. In oregano, the growth was vest in the stength of 0.5, but withered in the strength of 3.0 The chlorophyll content was the lowest in the strength of 0.2dS${\cdot}m^{-1}$, while vitamin C contents had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Oregano grown with 1.0 dS${\cdot}m^{-1}$had the highest mineral and essential oil content, but the oil yield washighest in the treatment of 0.5 dS ${\cdot}m^{-1}$. In conclusion, the strength of 0.5 dS${\cdot}m^{-1}$ herb's nutrient solution was adequated in production of marjorma and oregano in hydroponicc system. 본 실험은 수경재배시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알맞은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배양액은 유럽채소연구센터 허브액을 사용했다. 처리농도는 0.5, 1.0, 2.0, 3.0배액 등 4수준이었고 재배기간은 40일이었다. 마죠람은 지상부 생육, 지하부 생육, 비타민 C,총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가정 조았다. 그러나 무기물함량은 20.배액에서, 정유함량은 3배액에서 좋았으며 엽록소 함량은 고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오래가노의 생육 0.5배야ㅐㄱ에서 조았으며, 3.0배액에서는 고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2.0배액에서 낮았으나 비타민 C는 이온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무기물과 정유함량은 1.0배액에서 높았으나,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높았다. 이사의 결과로 볼 때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 적절한 배양액 농도는 허브 배야액 0.5배인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NaCl 스트레스를 받은 토마토의 생육 향상을 위한 $\textrm{Ca}({NO_3})_2$ 및 $\textrm{CaCl}_2$ 처리 효과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1 No.3

        시설토양내 Na나 Cl이온의 과다집적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물의 생육에 장해를 준다 따라서 본 실험은 플라스틱 포트재배에서 NaCl에 의해 생육이 억제된 작물에 Ca을 토양에 시용함으로써 치유효과를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토마토(하우스 모모타로)를 공시하여 80 mM NaCl를 처리하고 Ca(NO$_3$)$_2$과 CaCl$_2$을 각각 0, 10, 20mM을 토마토 재배용 야마자키 표준양액에 첨가하여 공급하였다. NaCl집적토양에 Ca을 시용함으로써 모두 초장,생체중,건물중,착과수,과중의 생육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Ca의 농도가 높을수록 좋았고 Ca(NO$_3$)$_2$이 CaCl$_2$보다 좋았다 수량은 NaCl 집적+Ca(NO$_3$)$_2$ 20mM 처리구에서 대조구를 제외한 여타 처리구보다 많았다. 광합성 속도는 Ca 처리구가 NaCl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Ca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Ca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많았으며, 새로운 잎이 오래된 잎보다 많았으나 Ca의 농도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Ca(NO$_3$)$_2$이나 CaCl$_2$을 처리함으로써 식물체의 Na함량은 감소하였고 N, K및 Ca함량은 증가하였다. 특히 K/Na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Cl함량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NaCl의 스트레스를 받은 작물에 Ca(NO$_3$)$_2$및 Cac12을 처리함으로써 생육이 촉진되고 수량이 증가되나 대조구보다는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Enhanced supply of $Ca^{2+}$ as well as NO$_3$$^{[-10]}$ is known to restrict the uptake of the Na$^{+}$ and Cl$^{[-10]}$ ion and ameliorate growth under saline conditions. This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 effects of Ca(NO$_3$)$_2$ or CaCl$_2$ on the growth and yield of NaCl-stressed tomato plants grown in plastic pot filled with soil. All treatments except for the control were supplied with 80 mM NaCl fur two weeks after transporting. The saline solutions with nutrient were supplemented with either 0, 10 or 20 mM Ca(NO$_3$)$_2$ and either 0, 10 or 20 mM CaCl$_2$ during harvesting time from two weeks after transporting. Ca(NO$_3$)$_2$ or CaCl$_2$ application enhanced the growth such as plant height, fresh weight, dry weight, fruit number, and fruit weight, and yield of NaCl-stressed tomato, and also their effects increased greater as concentration of supplemented Ca(NO$_3$)$_2$ or CaCl$_2$increased. Yield increased in 20 mM Ca(NO$_3$)$_2$ compared with the others except fur the control. Photosynthetic rate in Ca treatme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ut higher than that of NaCl treatment. Leaf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r in Ca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others, especially in younger leaf, while that was not affected by concentration of supplemented Ca. Ca(NO$_3$)$_2$ or CaCl$_2$ supply increased the $K^{+}$ and $C^{2+}$ concentration of tomato plants, whereas the Na$^{+}$ transport to the leaves was inhibited. There was a strong increase in the $K^{+}$/Na$^{+}$ ratio in plants treated Ca(NO$_3$)$_2$, or CaCl$_2$. Cl$^{[-10]}$ content of plants was decreased by supplemental Ca(NO$_3$)$_2$ but Cl$^{[-10]}$ was increased in plants with CaCl$_2$compared with Ca(NO$_3$)$_2$. N concentration in plants of tomato increased with enhanced Ca(NO$_3$)$_2$ or CaCl$_2$supply, In conclusion, our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Ca(NO$_3$)$_2$ or CaCl$_2$to alleviate NaCl-induced growth reductions in toma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