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행 공간에 따른 판소리의 변화양상 연구

        이명진(Lee, Myung-ji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4 民俗硏究 Vol.0 No.29

        본 논문은 연행 공간의 변화가 판소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판소리가 지향해야 할 연행 공간의 모습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필자는 판소리의 ‘판’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연행 공간을 지목하였다. 연행 공간의 테두리 속에는 연행을 위한 장소, 예술 자체로서의 판소리, 그리고 이를 연행하는 주체(창자, 고수, 청중)이라는 모든 요소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즉, 연행 공간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것 하나가 변화해도 판의 느낌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였다. 판소리는 근대 이후 공연장이라는 닫힌 공간에서 주로 연행되고 있지만, 과거에는 광장이나 집, 방안 등의 열린 공간에서 연행되었다. 그리고 오늘날의 판소리 연행은 공연장이라는 닫힌 공간에서 벗어나 한옥 등의 열린 공간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를 필자는 ‘열린 구조(조선후기) → 닫힌 구조(근대) → 열린 구조로의 회귀(현대)’로 해석하였고, 연행 공간이 변화해가는 원인과 각 연행 장소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현대 판소리가 당면한 과제를 짚어보고, 오늘날 전통문화가 추구하는 대중성과 소통을 위해 판소리가 지향해야 할 연행 공간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필자가 제안하는 것은 판소리 연행 공간을 구성할 때 연행자와 청중 간 쌍방향 소통의 열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과거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던 판소리는 그것을 향유하는 대중과 소통하는 예술이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전통문화의 입지가 축소되고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없게 되면서, 판소리 역시 대중에게서 점차 멀어져 소통이 단절되고 있다. 과거 흥겨웠던 판소리의 판을 부흥시키고자 한다면 대중과의 소통을 우선적인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판소리 공연의 상시화, 한옥 등을 활용한 연행 무대의 확장, 창작판소리의 확대와 거리 소리판의 부활, 전통문화에서의 스타배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erforming spaces" transition to pansori, and finds out the preparable performing space for pansori.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performing space of pansori as an important aspect to compose the pan (stage) of pansori. Categories of the performing space are comprehensive of the space for performance, pansori as the performing art, and the main agents who perform pansori such as changja (vocalist), gosu (drummer), and cheongjung (audience). Therefore, aspects of the performing space are connected organically thus the transition of single aspect can effect the whole atmosphere of pan dramatically. Traditionally pansori was performed outdoor spaces such as squares, houses, and inside the room, but currently pansori is performed indoor such as theaters and concert halls. Thus the performance of pansori is being played in open spaces such as hanhok, it shows a tendency that transfers from the closed space to the open space. I understood this tendency as open structure (late Joseon Dynasty) → closed structure (modern period) → return to the open structure (contemporary period),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performing spaces" transition as well as features of each performing spaces. Moreover, I scope on urgent problems of comtemporary pansori, and suggest preferable performing spaces for the popularity and communication in which the traditional culture seeks currently. As a result, I propose a suggestion to formate the open structure for bilateral communication of performers and audiences while establishing performing spaces. In the past, beloved pansori was the art that communicates with audiences who enjoy pansori itself. Since the reduction of traditional culture"s ground makes difficult for approaching to the audiences by the change of period, pansori is being estranged from the audiences. In order to revive the festiveness of pansori what it has been before, I suggest permanent pansori performances, extension of the performing space using hanok, expansion of newly creative pansori, revival of street soripan (song stage), and the birth of star artists in the traditional culture.

      • 김수영 시에 나타난 공간 연구

        김원경(Kim Won-Kyung) 慶熙大學校 大學院 2020 高凰論集 Vol.66 No.-

        시에서 공간은 시에 내재된 정황이나 사건 등이 성립되는 장소로서 시와 시인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공간은 사적 장소이든 공적 장소이든 존재의 의식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시인이 시를 쓰는 순간에 공간에서 발현되는 심층 의식이 매개됨으로써 공간의 의미가 전유되기 때문에 실존의식이 관여될 수밖에 없다. 이때 ‘전유’는 사회적 경험을 통해 무의식적이고 원초적으로 주어진 공간을 ‘특별한 장소’로 맥락화하는 행위와 관련된다. 그런 의미에서 시에서 공간에 대한 고찰은 시인의 사유구조와 내적 정념을 탐색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 나아가 시인의 사유가 공간과 만나 공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공간은 물적 토대를 이루는 대상이라기보다는 사회 문화적 공간 활동을 통해 심리 경험적 관계로 인식해야 한다. 시의 공간 의식에 대한 고찰은 시인의 내적 정념과 사유구조, 대상을 열린 존재로 인식하고 형상화하는 방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논의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공간을 중심으로 시적 주체가 인지하고 있는 공간의 양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수영 시에서 ‘방‘이라는 닫힌공간은 자궁이미지를 가짐으로써 근원적 실존을 탐색하게 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거리’라는 열린공간을 통해 세계를 인식하며 각성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재인식하는데 이때 닫힌 공간과 열린공간은 대립적 의미 관계를 가지지 않고 존재를 재인식하는 변증법적 의미를 지닌다. 더 나아가 ‘마당’으로 대변되는 사이의 공간을 통해 ‘다른 공간’을 향한 헤테로토피아를 탐색해 볼 수 있다. 생활 속에서도 각성된 상태로 세계와 대적하는 김수영은 생명이 탄생하는 공간인 ‘마당’을 통해 회복과 정화로서의 ‘다른 공간’을 모색한다. 마당은 비어있는 공간으로 자신의 의지대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마당’이라는 공간은 문제에 직면한 자아가 탈자적(脫自的) 관점에서 자기 자신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게 만드는 무의식의 장이다. 따라서 마당은 자유의지대로 욕망이 움트고 자유를 꿈꿀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주체가 회복되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자기를 다시 응시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는 시적 주체의 성장을 도모한다. 이로써 실존을 회복하고자 하는 공간으로써 헤테로토피아의 의미를 탐색하며 김수영 시세계가 지닌 공간적 특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오장환 시의 공간과 분열의 문제

        조현아(Cho, Hyun-Ah)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본고는 오장환 시인의 공간 인식을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이러한 공간적 구분이 그의 시적 의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한다. 오장환의 시에서 ‘닫힌 공간’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곳은 주로 ‘집ㆍ가족ㆍ가문’, 나아가 ‘전통’이다. 이는 주로 부정적이고 타파되어야 할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체성의 혼란을 넘어 명백한 거부의식으로 표출된다. 시인의 시에서 집에서의 ‘탈출의지’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오장환 시의 화자는 ‘닫힌 공간’에서 탈출하여 ‘열린 공간’으로 나아오게 된다. 시의 화자가 이르게 된 곳은 주로 해항도시이고, 특히 그 속 배경으로 많이 사용된 제재가 바로 ‘항구’와 ‘역’이다. ‘항구’는 바다로 난 육지의 문이고 ‘역’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해 주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문을 통하여 시인은 기존에 겪지 못했던 새로운 체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에서 나타난 항구의 모습은 퇴폐적인 식민사회의 면면을 집약해 놓은 모습이다. 이는 시인이 묘사해 놓은 항구도시의 모습들이 희망이 없고 음습한 분위기로 그려진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더구나 화자가 처하는 공간은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한 ‘문’의 역할을 하는 곳이지만, 다른 공간으로 향하려는 의지를 보여 주지 않는다. 즉, 열린 공간으로 여겨졌던 대상도 결국은 외부로 나아가지 못하는 왜곡된 공간이었던 것이다. 화자는 그 공간에 머물면서 좌절과 비애를 경험하고, 유랑민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면서 분열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전통에 대한 거부와 자유를 향한 열망을 품었던 오장환은 이렇듯 근대 문명의 양면성 앞에서 좌절과 실망을 갖게 된 것이다. 이렇게 청춘도 추억도 절망과 좌절로 인식된 비애의식은 자연히 ‘자기파탄’과 ‘죽음’의 탐색에 이를 수밖에 없다. 결국 왜곡된 개방 공간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미래의 전망까지 상실하게 된 화자는 새로운 ‘고향’으로서의 모색이 필요하게 된다. 어떤 공간에서도 시인이 원하는 진정한 의미의 ‘열림’이나 ‘개방’은 존재하지 않았고, 또 다른 공간으로의 탐색으로 행보를 전개해 나간다. 치열한 삶의 고찰이나 이데올로기적 지향이 있었다기보다는 끝없는 탐색의 결과로 그의 지난한 시적 여정이 전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nables us to reveal appropriate distinctions between open-space and closed-space issues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by depicting some certain changes in the space aspect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such specific social phenomenons, more known as institutions of “House” and “Family” are shown as a closed-space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being, likewise, a traditional subject. Besides, this contains the idea and image of destruction as well as confusion in self-identity. The poet of Oh Jang-hwan is attempting in his poems to disclose an aspiration of an individual to escape from the “House” (leaving a closed-space). Narrator, as described in the poems, is making hard efforts to get rid of the closed-space fleeing in the direction of open-space. However, in most cases, a place where narrator is on the way of proceeding is a sea-port city, a background of which are, mainly, “sea port” and “station”. This sea port is exhibited in the form of a “door to the land”, whereas “station” is regarded to be a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ity and road. Passing through this “door” the poet reaches some places he had never been to, by having specific experiences, as given below. In the meantime, it is quite possible to observe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a scene of the port as a collapse of colonial society. The poet is trying to demonstrate hopeless state of the sea port. Particularly, in the connection of a distortion of the closed-space narrator’s all efforts that are based on the attempts to pass on the open-space, are deeply unsuccessful. As a result of this fact, narrator is feeling a sense of great despondency and sorrow as experiencing a life of “homeless one”. A wish to be exempt from a conservatism causes a sense of disappointment from the century of newly civilization. Likewise, narrator, as given in the poems of Oh Jang-hwan, is experiencing some sense of profound grief, self-torture, being in permanent search for the death that leads to a status of forfeiting the youth. Ultimately, it becomes quite necessary for the narrator to commence actions of looking for the new “fatherland”, as in the process of making attempts to be released from the distorted space he loses appropriate hopes, plans and relevant dreams for future. As poet is trying to deliver to a reader, getting free from the closed-space is demonstrated as unfeasible, notwithstanding this fact any efforts to search for the different space are highly necessary. The output of infinite quest for the ideology and study of the hard life allowed us to comprehend a challenging lyrical route of narrator, as shown in the poems of the poet.

      • KCI등재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환경 요인 분석-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

        조윤진,박재욱,이동근 대한부동산학회 202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한 복합적 환경 요인의 아파트 가격 영향을 실거래가에 기반 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3가지 환경 요인인 열린 공간(근린공원및 자연 산지) 노출, 기피시설(축사) 노출 및 교통 소음 노출의 영향이 모두 내재된 경상남도○○시 △△ 지구 내 4개 단지의 아파트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각 요인의 영향을 세 짝의 2개동 상관관계 분석과 헤도닉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2개 동 세 짝은 전용면적, 건축년수, 건설회사, 향 등의 물리적 요인이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만, 열린 공간 노출만이 서로 다른 2개 동 한 짝, 기피시설 노출 만이 서로 다른 2개 동 한 짝, 그리고 열린 공간 및 교통 소음에 동시에 노출되는 동과 노출되지 않는 동의 2개 동 한 짝이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선택되었다. 헤도닉 모형을 통해 열린 공간 노출, 기피시설 노출 및 교통 소음 노출에 의한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4개 단지 300개 아파트 실거래가를 조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기피시설 노출로 인한 영향은 –6.7%, 열린 공간 노출에 의한 영향은 +5.0%, 그리고 교통 소음 노출에 의한 영향은 –11.2%로 나타났으며, 헤도닉 모형 실행 결과 열린 공간 노출에 의한 영향은 182,357원/m 2 , 기피시설 노출에 의한 영향은 –170,437원/m 2 , 그리고 소음의 영향은 – 195,141원/m 2 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가격에 교통 소음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지만, 열린 공간 노출에 의한 영향과 기피시설 노출로 인한 영향 분석 크기가 상관 관계 분석과 헤도닉 모형 분석에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열린 공간을 자연 경관인 산지 및 하천과 인공 경관인 근린공원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향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omplex environmental factors on apartment price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actual transaction prices. For this, based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s of apartments in four complexes within △△ district in ○○-si, Gyeongsangnam-do, which are all affected by three environmental factors: exposure to open spaces (neighborhood parks and natural mountainous areas), exposure to Nimby facility (livestock barn), and exposure to traffic noise.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was estimated through three-pair two-apart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hedonic modeling. Three pairs of two apartments were selected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they have the same or similar physical factors such as exclusive use area, construction year, construction company, and orientation. However, the first pair of two apartments differs only in exposure to open space. The second pair of two apartments differs only in exposure to Nimby facilities. and the final pair of two apartments differs in simultaneous exposure to both open space and traffic noise. In additi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s of 300 apartments in 4 complexes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exposure to open space, to Nimby facility, and to traffic noise through a hedonic model.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impact due to exposure to avoided facilities was -6.7%, the impact due to exposure to open space was +5.0%, and the impact due to noise exposure was –11.2%. From the results of the hedonic modelling, the impacts due to exposure to open space, Nimby facility and traffic noise were estimated to be 182,357 won/m 2 , -170,437 won/m 2 , and –195,141 won/m 2 , respectively. Although it was confirmed that traffic noise has the greatest impact on apartment prices,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size of the analysis of the impact due to exposure to open space and exposure to nimby facilities was derived differently from correlation analysis and hedonic model analysis.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open spaces by further subdividing them into natural landscapes such as mountains and rivers and artificial landscapes such as neighborhood parks.

      • KCI등재

        해석수준이론의 공간적 거리 개념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습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열린교육 초등학교 계획안

        전병준,최동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lternative to educational space to achieve the goal of primary education. The planning concepts proposed in this study are the spatial distance concept and the cognitive approach of the analytical level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and analyzed the theory of open education as the basis of the current curriculum. Also, th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applicable to educational space planning for open education were extracted by conceptualizing the cognitive approach and analytical level theory and proposed as an open education elementary school plan. The contents of the plan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apply the spatial concept of analytical level theory to the plan for the educational space plan that can accommodate the concept of open education. Second, it is proposed an education cluster composed of basic unit modules and combinations that can flexibly cope with the physical and emotional differences of learners. Third, it is proposed the cluster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basic unit modules planned by applying the spatial distance concept of the analytical level theory.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교육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공간의 형식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개념은 해석수준이론의 공간적 거리 개념과 인지적 접근법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교육의 역사와 특성, 그리고 그 개선방안을 고찰하였고 현재 교육과정의 기반인 열린교육 이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공간계획에 적용 가능한 건축계획요소를 인지적 접근법과 해석수준이론을 개념화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를 열린교육 초등학교 계획안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획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식인 열린교육의 개념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공간계획을 위하여 해석수준이론의 공간개념을 계획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학습자의 신체적, 정서적 차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본 단위모듈과 그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교육 클러스터를 제안한다. 셋째, 기본 단위모듈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클러스터의 규모를 해석수준이론의 공간적 거리개념을 적용하여 계획함으로써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공간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다양성, 유연성, 자율성을 확보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 KCI등재

        『청록집』의 공간 상상력

        심재휘 ( Jae Hui Shim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청록집』은 오랫동안 ``자연과의 친연성``이라는 주제어로 각인되어 왔다. 그러나 세 시인의 시에 들어있는 자연공간의 활용은 동일한 것이 아니다. 목월은 수세적인 세계관에서 유발되는 그리움의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해 열린 공간을 도입한다. 너머의 세계를 상정하고 그 먼 곳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드러내기 위해서 열려 있는 들판과 머언 산을 배경으로 삼는다. 여러 시에 등장하는 길의 면모가 좁고, 멀며, 끝이 보이지 않는 것도 유폐적 상상력의 결과라 하겠다. 이에 비해 지훈은 닫혀 있는 공간을 애용한다. 밤의 누대나 적막한 궁궐 등이 그러한 예이다. 자연 공간을 활용할 때에도 집 밖의 열린 공간보다는 집 안의 화자를 강조한다. 지훈의 시에도 목월의 것처럼 산과 들, 그리고 하늘과 길이 등장한다. 하지만 목월과 달리 지훈 시의 자연공간은 유폐된 화자를 강조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원경으로 멀어졌다가 다시 근경으로, 그리고 화자의 공간으로 돌아오는 시선의 수렴은 은둔하는 선비의 고뇌를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 목월과 지훈 시의 차이는 그 둘과 비교되는 혜산과의 차이에 비해 크지 않다. 혜산의 시에는 매우 큰 규모의 산과 들이 등장한다. 생명의 원천인 자연과의 교감이 대자연이라는 공간을 통해 호방하게 이루어진 결과이다. 게다가 그의 시는 지금 여기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이를테면 인간의 탐욕에 의해 자행되는 다양한 분쟁들을 고발하고, 상생하는 자연의 질서를 강하게 염원한다. 이러한 시 의식으로 말미암아 혜산의 시에 나타나는 공간은 현실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문제적 현실 경험에 밀착한 그의 시작은 자연공간을 운용함에 있어서도 열망의 현실적 실현 가능성을 늘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의 흐름을 잇는 목월과 지훈과는 달리, 혜산의 시는 전통을 벗어나 새로운 시 의식과 시 형식을 실험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a poetic works 『Cheongnokgip』 based on a special method of study named space imagination. This collection is well known as ``close association with the nature``. However, Three poets, Mokwol, Jihoon, Hyeshan applied a space of nature on their poems differently each other. The space on Mokwol`s poem is open and wide. He desired to show a traditional emotion from a defensive attitude eagerly. So, a wide and open space has an effect on showing a traditional sorrow. On the other hand, Jihoon used a closed space on his poem more often. Because, he tried to reveal a sprit or a mind of a classical schola. A closed space works to emphasis a situation of a speaker who is in confined well. Against the two poets Mokwol and Jihoon, Hyeshan`s poems are unlike with those of them. Most of all, his perception concerned with the poem was much more realistic as compare with the other two person. He wanted to expose a hope such as making peace, maintaining harmony on the poems. For that reason, Hyeshan used to describe a huge spase like a huge mountains, field and the great outdoors.

      • KCI등재

        현대건축 중정(中庭)공간에 나타난 유형적 특성 연구

        허범팔,이정민,김선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5

        A courtyard, in modern architecture, is a part of exterior space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a courtyard has an important meaning in architectural space design. In conventional architecture, an exterior space and an interior space were clearly divided, but a courtyard is an interface between the exterior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and it reflects the tendency of ex-typical expression and incorporation of two spaces in modern architecture.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buildings with courtyards, including residential buildings, school buildings, office buildings, galleries, museums, a factory, a hospital, a shopping mall and a research center building, are investigated and the shap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courtyards are analyzed and compared.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courtyards are divided into an exterior type, an interior type, space-connecting type, a labyrinthine type and an open type in terms of location, and are divided into a courtyard as a public place, a courtyard as a place with system and a courtyard as an interface between an exterior space and an interior space in terms of function. And in terms of shape, courtyards are divided into a square type, a circle type, a dot type, a bar type and a free type, and in terms of mode of openness, they are divided into a patio type and a garden type. The division of courtyard by structural features also shows that a courtyard has more functions than a garden, and it is an independent space where nature and modern ideas are incorporated into each other and it provides various meanings to a place it belongs to. In conclusion,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of help in understanding courtyards and their meanings to space design. 현대건축 형태에서 나타나는 중정(中庭)은 외부 공간으로서의 일부분을 이루어 왔으며 건축공간으로 둘러싸여 있는 중정의 공간구성은 건축공간 설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정의 형태는 과거 내·외부 공간이 서로 폐쇄적인 관계였던 것에서 탈피하여, 점차적으로 공간의 형태가 탈 정형적, 혹은 비경계적으로 변화되어감에 따라 공간의 내·외부의 접합면이 개방된 형태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건축물에서 중정이 있는 작품 중 주거, 교육기관, 사무건물, 미술관, 박물관, 공장, 병원, 쇼핑센터, 연구소 등을 선정하여 중정의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들을 평면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정의 위치에 따라, 내부형, 외부형, 공간 연결형, 미로형, 개방형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중정의 기능에 따라, 열려있는 공공장소로써의 중정, 체계를 갖춘 장소로써의 중정, 내․외부의 공간소통 장소로써의 중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중정의 형태에 따라, ‘ㅁ’자형, ‘원’형, ‘점’형, ‘ㅡ’형, ‘자유’형 등으로 나타났으며, 개방유형에 따라서도 내부공간에 관입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혹은 외부공간에 마당의 형태로 존재하며 공간의 개방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중정의 유형적 특성 분류’를 통하여, 중정이 사용된 공간이 마당의 역할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자연의 법칙과 기존의 질서를 부여 받아 다양한 유형으로 건물 내·외부의 공간에 자리하며, 그 유형에 따라 공간적 의미가 다양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은 현대 공간에 나타나고 있는 중정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로 앞으로 중정 공간이 사용된 공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해양의 시적 공간 구성과 초현실적 이미지의 상징

        정남모(JUNG Nam-Mo)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1 No.-

        L'espace poétique ne saurait se définir tout seul, car il implique nécessairement un espace dans lequel il s’inscrit: la mer ‘imaginaire’ pour le bateau dans 「Le Bateau Ivre」. Plus ou moins clairement délimité au début de chaque oeuvre de Rimbaud, l’espace est l’objet que la présente étude aura pour but d’éclairer davantage. Dans 「Le Bateau Ivre」, on retrouve la thématique de l’ouverture à laquelle se rattachent les motifs du mouvement, de l’infini et de la liberté qui sont présents dans le texte sous la forme d’un récit d’exploration. S’il est le voyage d’un personnage poétique, il est aussi le voyage de son auteur, en ce sens que Rimbaud progresse en même temps qu’il fait progresser tout le long d’un itinéraire son protagoniste qui n’est pas ici le corps humain, mais celui du ‘moi-bateau’. Notre première analyse ne s’étend pas sur les diverses significations allégoriques de l’espace, mais se focalise plutôt sur un seul thème principal: ‘l'espace clos’, ‘l'espace ouvert’ et ‘l'espace demi-clos’ ou ‘l'espace demi-ouvert’. L'objectif de notre étude est de répondre à cette question et révéler la métaphore poétique dans 「Le Bateau Ivre」. Pour traiter cette question, nous avons choisi d'adopter un plan en trois chapitres : (1) l'espace clos et le symbole poétique, (2) La narration poétique et l'espace demi-clos' ou 'l'espace demi-ouvert, (3) l'espace ouvert et le symbole poétique. En effet, l'espace n’est pas un décor extérieur, mais un milieu ambiant qui influe sur les sentiments aventureux du jeune poète. Cet élément est directement lié à un espoir: celui d’un espace type où le bonheur pourrait enfin éclore et se concrétiser, d’où l’importance considérable de l’“ailleurs”, de l’espace sur l’être. Cet ailleurs est lié avec “l'inconnu” qui est une nouvelle vision poétique, un autre monde surréel que le ‘voyant’ voudrait arriver à voir. Par cette étude nous connaîtrons mieux la métaphore de l'espace poétique et la métaphore maritime, dans l'aventure poétique rimbaldienne dans 「Le Bateau Ivre」.

      • 『조정래』한강에 나타난 기억의 의미변주와 공간의 상관성 연구

        전영의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5 한어문교육 Vol.32 No.-

        The article start from curiosity that I want to know changed space’s meaning from National Violence through Jo Jeong Rae’s Han River. I’m using a concept ‘the heterotopia of narrative space’ for define about the space’s remember and re-construct, changed space, Identity of space on text. Parallel and divisive space is a dynamic life form that generate new meaning and control human by human’s social movements. Seoul become democratic space for justice on 19.April.1960. but characters’ space become different space like experience fear, shyness, mortified oneself, cowardice. Character’s remember become carving remember by suppress, beating, torture on their body. Past pain reappear present experience in blind panopticon that is created remember Panopticon automate power, de-individuation and leave person under the field of visibility, characters recognize relation of power by oneself and come in boundary. They think that they were being watched or not, they were locked the obedience principle by discipline mechanism. but they try to overcome boundary with care for the self’s eyes in the points of support about authority. They insist that the resistance about national violence is justified sovereignty action and recognize new meaning of spaces as ethical identity. They make identity space through remember’s restructure, build life’s field in ‘the heterotopia of narrative space’ Character break fantastic image of space and make identity space in seoul. They let loose of the past as reconstruct their remembers and go to the new world and make identity space. Ilmin and Ilphyo brothers can’t take their positions as the involvement guilty system but they can take their position as use power of a capitalistic. Han Ingon who i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he want to go to right path but feel limits and recognize that the first how is settle about pro-japanese, he publish a pro-japanese biographical dictionary. Lee GyuBack who is a survivor on 19.April.1960. was ashamed and feel about shyness, helplessness, sense of shame in front of national authority as a public prosecutor and become a people lawyer. Characters make a rescue theirselves in violence space through care for the self’s eyes. These eyes start resistant about political authority. The violence space become de-obedience space, that is a open and real identity space. Character re-construct the past painful remember through new experience and take a position on open space. It is a active movement and has a identity space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