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협소설의 `협객`과 『탄샹싱(檀香刑)』의 `협객`이 구성하는 역사 - 「쟁점」에 대한 토론, 그리고 무협소설과 역사소설에 관한 논의

        유경철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5 No.-

        武俠小說與歷史小說本來是異種的文學類型. 但是, 大多數武俠小說從歷史上的人物和事件上取材, 歷史小說還失去其古典的意義而漸漸將其範疇擴大起來以後, 這兩種小說的差別是似乎越來越?糊, 其關係越來越複雜的. 這篇文章作爲一種探索, 要判別出武俠小說與歷史小說的差異而再定立其兩種小說的關係. 這次探索是通過究明武俠小說上的俠與歷史小說上的俠之間的差異性進行的. 在莫言的 『檀香刑』上, 我們能看得出一個歷史小說造成的典型的俠客. 從筆者的觀點上, 武俠小說的俠是從在中國存在的關于俠的種種觀念上造成的, 而且本身也是一種俠的觀念, 可是武俠小說的俠是在中國社會上發揮了莫大的影響力, 因爲?依據其特有的想像力建構了想像的中國和想像的歷史. 歷史小說的俠則大都是從在民間上存在的眞實人物上造成的虛構人物, 他們只是具有些俠氣俠骨和些武打能力而耳, 可是他們就具有這種因素, 所以我們能?叫他們俠客. 『檀香刑』的主要人物孫丙是這種俠客之一. 他是個虛構人物, 可是他憑着其眞實性起了顯示出在過去中國歷史上隱藏的眞實的作用. 再說, 武俠小說上的俠是造成想像的歷史和想像的中國, 歷史小說上的俠則究明一些歷史的眞實而給讀者提供些反省歷史的機會.

      • KCI등재

        <임진록>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의 초월성 연구

        황병홍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이 논문은 역사소설 <임진록> 중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초월성의 기능과 의미를 考究한 것이다. 문학작품에서 환상성과 초월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90년대 이후 상당히 진척되었으나 역사소설만은 장르의 속성 때문에 의도적으로 제외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의 연구 결과 역사소설은 ‘역사’가 아닌 ‘소설’이 중심이므 로 미메시스와 더불어 환상성이 결부되어 있다. 특히 역사소설에서 환상성을 유발하는 초월성은 우리 고소설 에서 빈번히 표출되어 더 이상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는 이유로 환상성과 초월성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을 꺼 릴 필요는 없다고 본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환상성과 초월성이라는 용어가 연구자들에 의해 개별적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을 불러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두 용어들을 변별적으로 사용하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초월성은 현실계를 넘 어선 공간, 흔히 異界로 지칭되는 공간에 속한 존재들로 인해 발생하는 성격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초월성이 현실계에 발현될 때 서술자, 인물, (내포)독자들이 느끼는 인식의 성격을 환상성으로 보았다. 이는 기존의 서양 에서 출발한 환상성에 대한 규정을 기반으로 하지만 동양적 상황을 고려하여 차이성을 둔 것이다. 이렇게 본다 면 초월성은 공간과 존재의 개념으로, 환상성은 심리적으로 발생하는 인식의 문제로 분화되어 작품을 분석할 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임진록>은 이본의 수가 매우 많아 60종에 이른다. 게다가 작품의 내용 및 성격이 판이한 경우가 다수여서 이 를 같은 작품으로 보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임진록> 이본군 전체에 나타나는 성격이 초월 성인 점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는 <임진록> 중에서도 초월적 성격이 약하고 역사적 성격이 강해 연구자들에 의해 역사소설로 인정받은 이본들을 선별하였는데, 역사계열과 역사계열(변)이 바로 이에 해당된다. 검토 결과 역사계열은 천문과 이변, 신이한 존재의 도움이라는 초월성이 주로 표출되었고, 역사계열(변)은 그에 더해 영웅성의 표출과 관련된 초 월성이 추가되었다. 이렇게 역사소설에서도 초월성은 서사의 진행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작용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초월성이 역사성 자체를 무화시키지는 않는다. 초월성은 서사에 개입하여 인물들을 도와 통쾌한 승리를 이끌어내지만 어디까지나 임진왜란 전체의 사건 내에서 작용할 뿐이다. 이처럼 초월성은 허구를 통해 서사를 한계까지 밀어 붙여 현실을 심문하고 전복시키지만 역설적으로 현실을 완전히 전복하지는 못한다. 이것이 역사소설의 성격을 무화시키지 않는 서사적 한계지점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임진록>은 초월성이라는 소설적 상상력을 통해 위로와 위안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역사소설에서 상 상력의 한계점을 보여주었다는 데서도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ranscendence in the works corresponding to historical series and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in the different variations of the historical novel Imjinrok. Research that deals with fantasy and transcendence in literary work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the 1990s, but historical novels have been excluded due to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However, according to our analysis, historical novels are more “novel” than “history,” and thus relate to both mimesis and fantasy. Besides, we can find a similar type of transcendence, in the form of fantasy, in both historical and classic novels. Thus, given their depiction of actual historic events, we should no longer be reluctant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historical novels transcend the reality of their subject matter and make use of supernatural embellishments. In advanced research, the terms fantasy and transcendence have often caused confusion, as researchers have used them arbitrarily. To avoid this confusion, we attempt to use them discriminately. First of all, transcendence can be defined as something produced by beings from a space often referred to as another world beyond this one. On the other hand, fantasy is seen as the awareness thatthe narrator, characters, and (implied) readers have when such transcendence is manifested in the real world.This is based on the Western definition of fantasy, but is quite different from its consideration in the East. In this sense, transcendence isthe concept of space and existence, while fantasy is divided into the matter of recognition that occurs psychologically; thus, they can be used discriminately in analyzing works. There are as many as 60 different versions of Imjinrok, many of which differ greatly in terms of content and character. Thus, we must establish the criteria by which they can be seen as the same work. This study proceeds by observing that all editions of Imjinrok share the element of transcendence. Among the different editions of Imjinrok, this study looks at those that researchers have recognized as historical novels, since they display more historical elements than fictitious ones, understood as both historical series and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According to this analysis, historical series express transcendence mainly in the form of astronomical and extraordinary events or superhuman beings, while historical series (variations) add transcendence 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heroism. In such a manner, transcendence is an essential factor for developing the narratives of historical novel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ranscendence overrules historicity. Although it intervenes within the narration and leads to a thrilling victory for the protagonists, it is confined to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means that transcendence pushes the narration into fiction, interrogating and overturning reality, but paradoxically does not completely overturn reality. This is the limit at which the novels can remain historical. In fact, Imjinrokis meaningful in that it pursues comfort and consolation through the fictitious imagination of transcendence,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the limitation of the imagination in historical novels.

      • KCI등재

        훈민정음 창제를 배경으로 한 역사추리소설 연구

        김효진(Kim, Hyo-ji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고는 역사추리소설 『뿌리 깊은 나무』와 『훈민정음의 비밀』의 추리서사를 분석하고 두 소설에 드러난 지배이데올로기와 숨겨진 대중의 욕망을 고찰하였다. 두 소설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공백의 역사’를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복원하여 숨겨진 역사를 드러내고자 한 역사추리소설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전 7일 동안 벌어지는 집현전 학자들의 연쇄살인사건을 다룬다. 이 소설 전반부는 범죄의 서사가 생략되고 그 공백을 재현하기 위한 조사의 서사가 전경화된 미스터리 소설의 구조를 따르지만 중반부 이후에는 탐정이 범죄의 서사에 참여하고 희생자가 중심이 되는 서스펜스 소설로 변모한다. 이는 알려지지 않은 훈민정음 창제까지의 역사적 공백의 시간을 복원하여 창제 과정의 긴박함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리서사는 독자들이 긴장감을 갖고 더욱 사건에 몰입하게 한다. 『훈민정음의 비밀』은 미스터리 소설과 범죄소설의 특성을 잘 결합한 소설이다. 이 소설은 폐위된 세자빈 봉씨에 얽힌 역사적 비밀을 쫓으면서 훈민정음의 확산을 막으려는 기득권 세력과, 왕권을 노리는 정치적 음모를 밝혀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공백을 그리고자 했다. 독특한 서간체 소설 형식은 각 인물들의 내밀한 생각과 욕망을 드러나게 하여 독자들이 수많은 인물들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독자들이 탐정보다 더 우위에 있는 구조로 독자들이 더욱 능동적으로 각 사건에 참여하도록 하여 능동적 독서를 유도한다, 역사추리소설에서 탐정과 범인의 대립 구조는 선악의 대립 구조로 치환된다. 이는 탐정의 승리, 곧 선의 승리를 보여줌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에 순응한다. 두 소설은 모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그것을 확산시키려는 세종이 선, 기득권을 지키고 권력을 빼앗길 원하는 반대 세력이 악이 되는 구조로 이는 모두 민족주의 거대담론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세종을 완벽한 영웅이 아닌 고난과 갈등 속에서 역사적 사명을 수행하는 인간적인 지도자로 그려냄으로 이전의 세종과는 변별성을 보인다. 또 이름 없는 민중들을 소설의 전면에 내세움으로 역사의 주변자가 아니라 역사를 이끌어가는 주체가 되고 싶은 대중의 욕망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배계층의 거대담론에 억눌려 있는 여인들의 삶에 관심과 연민을 드러낸다.

      • KCI등재

        역사 기술과 역사소설의 관계 탐색을 위한 서설 : 『三國志演義』의 경우

        김진곤 한국중국소설학회 2003 中國小說論叢 Vol.17 No.-

        有些硏究人員以爲中國小說的誕生過程正好是擺脫歷史的束縛而走向虛構的過程. 他們說歷史要寫實際事件, 小說要寫作家所想像出來的事件. 按照他們的說法歷史小說是上當於歷史和小說的中間, 虛實相半, 歷史小說家基於歷史記載的實際事件, 可以參考利用民間傳說, 發揮自己想像力量. 他們一直主張歷史記錄實際事件, 歷史小說寫經過作家的想像和藝術化的藝術虛構. 但是, 歷史家也在許多資料當中選擇自己要寫的內容, 把那些內容通過歷史敍述所需要的結構化而敍述的. 記錄在歷史不等於事實或眞實, 只不過是歷史敍述的事件. 歷史追求事實, 歷史小說追求虛構和想像的那種說法再不能成立的. 那마, 歷史和歷史小說的差異到底在나兒? 題材和結構上的差別니, 描寫的重點和看法的不同니, 對於通俗的看法上的不同니, 讀者的性向和階層上的不同니? 也許這些種種因素都緊緊聯在一起影響着歷史和歷史小說的分岐. 但是, 我們更進一步地分析出來在這些種種因素裏存在着主要和次要的分別, 如果存在的話, 甚마是主要, 甚마是次要. 筆者要準備回答這些問題, 而這回答要等下次的論文.

      • KCI등재

        이병주 역사소설 『바람과 구름과 비』에 나타난 대중성

        강은모(Kang, Eun Mo)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61

        역사소설은 신문사의 상업적 전략과 함께 발달해왔다. 따라서 역사소설에 대한 대중의 기대지평을 만족시키기 위한 서사전략이 기획단계부터 적용되었다. 그리고 여기에 추가하여 이병주는 역사성을 전달하고자 하는 작가의 기대지평을 드러내며 독특한 서사전략을 구사한다. 따라서 『바람과 구름과 비(碑)』에서 역사소설의 공식과 변주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병주만의 독특한 서사전략은 대중성과 어떤 접점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 대중들이 원하는 영웅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는 토포스적 인물형상화에 해당한다. 토포스는 대중소설의 문학적 관습에 해당하며, 독자들이 익숙하고 편안하게 느끼는 전형적인 공식을 의미한다. 영웅들은 태생적 측면에서 비범함을 지니고 있어서 영웅의 전형성을 지니고 있다. 무협적 요소, 의적 모티프도 현실 세계의 어려움을 잊고자 하는 대중들의 지지를 받는 강력한 공식의 하나였다. 영웅의 무절제한 여성편력에 대한 묘사는 현실 세계에서 금기시되는 성에 대한 호기심을 채울 수 있는 소설적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했다. 남성중심적 성애묘사 역시 30년대 이후의 역사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종의 공식이었다. 한편, 영웅형 인물이라는 도식성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이 인물들에게 종래의 역사소설에서 볼 수 없는 개성있는 성격을 부여하고자 하는 공식의 변주도 나타난다. 소설 속 영웅형 인물들은 힘없는 백성을 보호하는 의로움을 지녔지만, 완벽하게 윤리적인 인간을 지향하는 인물들은 아니라는 점이 이런 맥락에서의 시도로 보인다. 이렇듯 이 소설의 대중성은 대중의 역사소설에 대한 기대지평을 만족시키는 토포스적 형상화에 있었다. 또한 역사소설의 공식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인물에 개성을 부여하여 대중소설의 예술적 가능성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계몽성의 측면에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과 비평이라는 사관적 서술전략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대중들의 지적 욕망을 충족시켰다. 그러나 지나친 서술자의 개입은 루카치 식의 역사소설에 대한 비평적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독자로 하여금 작가의 주관적 판단을 절대적 진리로 받아들이는 오류를 범하게 한다. 그리고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 있어야 하는 역사 소설의 본질을 망각하게 하여 소설적 재미를 반감시킨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병주는 조선 멸망의 원인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기대지평을 갖고 계몽적 서사전략을 활용했다. 문학의 계몽성은 미학적 견지에서 부정적 요소를 함의한다. 그러나 대중의 입장에서 느끼는 적절한 계몽성은 오히려 독서에서 얻을 수 있는 지적 즐거움의 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대중성 확보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시(漢詩), 가야금, 판소리, 시조창 등에 관한 묘사는 대중들로 하여금 상상적으로나마 문화적 즐거움을 향유토록 함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했다. 결과적으로 이병주 소설의 계몽성은 미학적 견지에서는 소설적 완성도를 저해하는 요소가 되었지만, 대중성의 측면에서는 대중들의 기대지평을 반영하는 작가의 서술전략의 일환이었다. Byeng-Ju Lee"s novels has both features of the popularity and the historicality. In our literary history, popularity have been understood as a vulgar cultural. So his novel"s popularity has also received negative evaluations. As popular literature started to be actively discussed recently, the popularity of literature began to be revaluated as the way of writer which communicates with readers in those days. In this regard, to expand the scope of the studies of his literature, which is one-sided in 『Jirisan』, I contemplated the popularity of 『The wind and cloud and tombstone』, the historical novel. In 1970s to 1980s, when 『The wind and cloud and tombstone』 was written, it was the era which critical expectation of historical novel in Lukács"s style - It has to be history and it also has to be meaningful fiction - and expectation of the public who want "fun and enlightening historical novel" were well-matched. I could confirmed he also tried such an attempt in this novel. First, in terms of amusingness, he created heroic characters. These heroes ensured the popularity because they had awaken familiar sentiment which has been felt in the classic novel. Moreover, the heroes in the novel fulfilled the desire that is unrealizable to the public through their activities, such as having an action, a chivalrous robber, unethical behavior, sexuality. In terms of enlightenment, it has fulfilled the intellectual desire of the public by using a narrative strategy like records and critique. This is positive because it plays a role of annotation that helps reader"s understading. However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authorial narrator increases negative enlightenment. As a result, Byeng-Ju Lee"s novels has aesthetic limits of form and enlightenment. But on the part of the reader, it has familiarity and comfort. At this point, the popularity of Byeng-Ju Lee"s novels contains an undertone of positive meaning.

      • KCI등재

        소설과 영화에 재현된 영국의 인도 식민 지배 - E. M. 포스터의 소설 『인도로 가는 길』과 동명의 영화를 중심으로 -

        노진서(Rho, Jin Seo)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6 No.-

        이 논문의 목적은 소설 『인도로 가는 길』과 영화 <인도로 가는 길>에 재현된 영국의 인도 식민 지배와 그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살펴보고 나아가 소설과 영화를 역사교육에 활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소설 『인도로 가는 길』의 작가 E. M. 포스터는 작품 속에서 영국 사람과 인도 사람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도 사람이 영국 왕의 신민이 될 수 없으며, 또한 인도와 영국이 하나의 국가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이것은 소설의 마무리 부분에서 ‘아니야, 아직은 아니야’라는 표현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는 영국인들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즉 오리엔탈리즘에서 비롯된 차별과 멸시에 대한 인도 사람들의 항변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터가 이 소설을 집필하던 시기에 인도인들과 영국인들 사이의 대립은 소설 속에 드러난 것보다 훨씬 더 심했을 것이다. 따라서 두 민족과 국가 사이에 격화되고 있었던 대립 관계를 개인 간의 친교 관계로 미화시켜 다룬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뿐만 아니라 포스터는 인도를 식민 통치하는 영국인 관리들의 사고와 언행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지만, 한편으로는 인도의 문화가 미개하다는 식으로 묘사함으로써 영국인들이 주장하는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합리화한다. 또한, 원작 소설을 토대로 만든 영화 <인도로 가는 길> 역시 감독인 데이비드 린에 의해 각색되면서 역사적 사실이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즉, 영국 제국은 선하고 문명화된 세계로, 인도는 악하고 야만적인 세계로 재현되어 있어서 영국과 인도가 다르다는 단순한 사실이 편견으로 바뀌어 각인된다. 따라서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여 문명화시키는 것이 당연하며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말하자면, 소설과 영화가 제국주의의 의도를 뒷받침해 주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영국 민족의 우월성은 도덕성을 갖추게 되고 그것을 근거로 영국은 식민 지배의 당위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렇듯 소설과 영화는 작가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독자나 관객들에게 왜곡된 역사적 사실을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소설이나 또 이미지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알려 주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대로, 소설가나 영화감독은 역사 전문가가 아니므로 소설과 영화에서 다룬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신뢰성을 담보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역사교육 현장에서는 교육 효과를 위하여 소설이나 영화를 활용할 수는 있으나, 역사적 사실의 확인과 비교를 포함한 효과적 활용방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facts about British colonial rule in India reproduced in the novel A Passage to India and the movie A Passage to India, and further seek ways to utilize novels and films for history education. E. M. Foster, author of the novel A Passage to India, said in the work that, because British and Indians are different, Indians cannot become subjects of the British king, nor can India and England become one n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protest of the Indians against the discrimination and contempt stemming from the British imperialist ideology, that is, Orientalism. At the time Foster was writing this novel,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Indians and the British must have been far more intense than was revealed in the novel. Therefore, the historical fact is highly likely to be distorted by beautify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at was intensifying between the two peoples and the state into a reduced personal friendship relationship. Not only that, Foster criticizes the thoughts, words and actions of British officials who colonized India, but on the other hand, it rationalizes the imperial ideology of the British by portraying Indians living in a savage culture. In addition, the film A Passage to India, which was made based on the original novel, was also adapted by director David Lin, and historical fact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British Empire is represented as a good and civilized world, and India as an evil and barbaric world. Thus, it creates an ideology that it is natural for Britain to dominate and civilize India. As such, novels and films may deliver distorted historical facts to readers or audiences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f the writer or producer. Nevertheless, novels that arouse interest through storytelling or films that convey messages through images are very effective means to inform historical fact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since novelists and film directors are not historical experts, they can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historical facts covered in novels and fil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novels or movies for educational effec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bu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including confirmation and comparison of historical facts will continue.

      • KCI등재후보

        역사소설의 발흥과 그 문법의 탄생

        김종수(Kim Jong Soo)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1 No.-

        이 글은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역사소설의 기원과 발생과정에 관한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역사소설을 대중서사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1930년대 신문연재 역사소설 중 『端宗哀史』, 『젊은 그들』, 『大盜傳』, 『錦衫의 피』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역사소설을 둘러싸고 전개된 신문매체-작가-독자의 이해요구가 호응하는 양상을 논구하였다. 신문매체-작가-독자의 표면적인 요구는 ‘민족의식 고취’라는 역사소설의 주제 의식에서 합치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대중독자들이 신문연재 역사소설을 탐독한 데에는 역사소설이 구축하고 있는 서사관습의 흥미요소 때문이었다. 허구적 현재로 소환된 역사적 시공간에서 주인공이 벌이는 격투의 박진감과 남여주인공이 펼치는 연애장애의 애상정조, 복수의 통쾌감과 관능적 성애 묘사가 제공하는 흥미진진한 사건은 제한된 분량으로 연재되는 신문의 일회성과 결합되어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었다.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현실에서 힘을 소유하지 못한 대중독자들은 허구화된 역사적 공간에서나마 영웅의 복수 활극으로 감정의 해방감을 경험했다. 역사소설에 등장하는 의적 영웅상은 강력한 존재에 대한 대중의 강렬한 희구를 반영한 것이었고, 역사소설의 공간은 이성의 원칙이 지배하지 않고, 야성과 감정이 결합된 열망의 세계였던 것이다. 또한 ‘성’ 문제를 둘러싸고 개인적인 호기심과 사회적인 금기가 상충되었던 1930년대 사회적 상황에서 역사소설은 윤리적 갈등에서 벗어나 작중인물의 여성편력과 여성 육체의 관능을 향유할 수 있는 소설적 공간을 마련했기 때문에 유행할 수 있었다. 1930년대 신문연재 역사소설의 서사관습은 신문매체의 산업적 요구에 부응하고 대중독자들의 이질적이고 모순적인 요구과 기대를 충족시키며 한국 근대 역사 소설의 대중서사적 성격을 구성하였다. 1930년대 신문연재 역사소설이 보여준 다종다기한 흥미요소들은 이후 역사소설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유행하고 있는 역사영화, 사극드라마 등 역사허구물의 서사관습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변용과정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hat historical novels would be analyzed in relationship to media-writer-readers with popular-narrative approach for widened understanding historical novels serialized in newspapers in the 1930s that have been transfigured as an original works in changed genre, like historical T.V. dramas and films, until nowadays. It is argued that historical novels have been made good use of action movie style, revenge of heroes as well as melodramatic situation, sexual depictions through studying them, for exemple The Sad Story of King Danjong[Danjong- Aesa], Young Guys[Jeoleun Geudeul], the Story of Great Chivalrous Robber [Daedojeon], The Blood on Silk Sleeve[GeumsameuiPi]. As cultural commodities, historical novels serialized in newspapers in the 1930s responded to demand and expectation in relationship to media-writer-readers, were provided with morals and amusements to readers at that times.

      • KCI등재

        역사와 문학을 보는 관점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본 연구는 그 동안 소설가들이 창작한 장보고 관련 역사소설을 분석과 성찰의 대상으로 삼아서 그들이 한 시대의 역사 인물을 오늘날 삶의 지평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하고 재구성했느냐, 또한 그들이 텍스트의 담론을 생성하고 텍스트 상호간에 대한 비평적인 의미망을 연결시키고 있었느냐 하는 점을 고찰하고, 규명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 좀 더 섬세한 통찰 속에서 역사문학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문학의 역사성, 문학의 반(反)역사성, 문학의 탈(脫)역사성으로 개념을 세분화하였다. 정한숙의 「바다의 왕자」는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장보고의 인간됨을 묘사하고 있다. 민중주의의 시각에서 그 인물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대목에선 그가 민족의 영웅이 아닌 민중지도자의 인간상에 해당한다. 이 말은 그가 민족주의와 민중주의 가운데 어느 한 곳에도 편벽되지 않겠다는 의도를 보여준 것이라고 할 것이다. 홍명희의 『임꺽정』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라고 하겠다. 홍명희 경우처럼, 정한숙의 장보고는 계급적으로 상하층을 아우르며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저히 중도적이다. 그런데 유현종의 『해왕』은 장보고의 왜구 소탕 과정을 다룬 소설로 사실과 합치되지 않거나 성실하지 않는 역사 고증의 문제로 역사소설로서는 신뢰성이 없는 경우라고 해야 할 것이다. 역사를 포장한 반역사의 성격이 드러나 있는 이 같은 유의 역사소설은 우리 주변에 흔하게 발견되고 있어서 비평적인 옥석의 구분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중원의 역사소설 『장보고』(2004)도 역사성의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지향하고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 작품이다.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역사소설 중에서 문학의 역사성이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있다면 가장 전형적인 경우가 최인호의 『해신』(2003)이다. 이 작품은 통일 신라 시대의 해상왕으로 잘 알려진 진취적인 인물 장보고의 일대기를 서술한 것. TV드라마로도 제작이 되어 일반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이 작품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민족주의적인 정조를 자극시키는 데 있다. 역사소설과 민족주의의 상관관계는 가장 익숙한 문학적인 컨벤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인호의 『해신』은 진일보한 역사소설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인호의 『해신』에는 역사성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탈(脫)역사성도 존재하고 있다. 이 소설의 문학적인 특성이 강조될 때 부각될 수 있는 이 개념은 역사성과 반(反)역사성 중간 지점에 놓이고는 한다. 이 대목에서 거론한 이른바 탈역사의 개념이 수면에 떠오르게 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작품이다. This paper is about ‘A viewpoi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Comparison of and Prospect for historical Novels with the Jangbogo-subject’. They already had discussed many years of relation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There are three points of view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First, there is a history of literature. Second, there is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And third, there is an ex-history of literature. Literature has a historic nature. This is well represented by the Clio who is one of the Muses in Greek mythology. Northrop Fyre, a Canadian literary critic, stated that, “History includes a general concept of Art.” Korean modern novels have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Most Korean novelists think that the purpose of a novel is to pursue a better life. But, some novelists think that literature does not have a historic nature or must never have had a historic nature. All in one, critics who support a formalism and structuralism have this position. They insist that a novelist use history as a means because they want to remedy a grievance of reality. The novelist sinks into pseudo-history, lack of historic truth, or imaginary history that reveal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Recently, Korean historical novel have formed a new trend. It is a growing trend that opposes the existing historical novel such as; group consciousness, ideology, and mega discourse. These days, historical novels which, important factions, rather than fact, is popular. It seems that ‘post-histories’- a new historical view of post-modernists, affects this kind of historical novel. This is in relation to the changed desire of readers who want to over a boundary of reality and imaginary. Jung Han-sook's historical novel, 「King of the Sea : Jangbogo」, is hardly looking up a description of Jangbogo's heroic behavi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thing. Lukacs said, “His work is a historical novel which is shunning excess of Hero and Villain, People and The people.” In between characters is a classical feature of a historical novel.

      • KCI등재후보

        역사 소설의 서사 양상과 미의식 연구 -류주현,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조동범 픽션과 논픽션학회 2023 픽션과논픽션 Vol.5 No.1

        류주현은 1948년 단편 「번거롭고 요란스러운 거리」를 『백민(白民)』에 발표하며 등단한 이래 역사 소설과 신문 연재소설에 큰 성과를 냈다. 특히 역사 소설에 매진하여 『조선총독부』, 『대한제국』, 『대원군』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이중에서도 『조선총독부』는 방대한 한국 근대사를 치밀하게 재현한 역작이다. 하지만 그는 역사 소설가라는 제한된 범주에 갇힘으로써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했다. 심지어 역사 소설에 대한 평가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국문학사를 기술한 저작 중 그의 활동을 상세하게 기술한 책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류주현 문학을 대상으로 한 학술 연구 역시 미진하다. 역사 소설을 비롯한 류주현 문학 전반에 대한 평가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역사 소설이 갖는 가치는 공적 담론을 만들고 그것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데 있다. 역사적 사실을 작가의 의도에 따라 치밀하게 조직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은 더 강력한 의미와 효용을 갖는다. 역사 소설의 소설적 허구는 역사적 사실과 중첩되며 실재성을 부여받는다. 『조선총독부』는 치밀한 자료 조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의 실체에 가까이 다가서고자 한다. 물론 객관적 사실 이외의 부분은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기술될 수밖에 없지만 역사적 사건이 작품을 이끈다. 류주현은 역사 소설이 갖는 실제와 진실을 재현하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조선총독부』는 역사 기록으로 유효한 가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류주현의 역사 소설에 대한 문제는 남는다. 역사적 사실의 진위 여부와 작가의 사상적, 정치적 입장에 따라 작품의 내용과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류주현이 역사적 사실을 정교하게 파악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소설이라는 특성상 작가의 사견이 개입되기 마련이고 이때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건에 대한 판단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다. 『조선총독부』는 작가의 집요한 취재와 끈기 있는 집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일제강점기 모두를 아우르고 있으며 사건의 방대함 역시 돋보인다. 1,700여 명에 이르는 등장인물에 주요 인물만도 백 명이 넘는다. 그만큼 복잡한 사건과 구조를 띨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류주현은 이렇게 방대한 작업을 치밀하게 구조화했다. 역사 소설에 천착해 온 류주현의 작품은 역사의 사실과 소설의 허구라는 경계를 오가며 빼어난 문학적 결과물을 내놓았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류주현은 왕성한 집필 활동과 당대 독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았음에도 문학사에서 소외된 작가다. 더구나 역사 소설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장르에 대한 평가 역시 인색한 형편이다. 역사 소설 이외에도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는 점에서 류주현에 대한 평가는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가운데 류주현의 소설은 비로소 제대로 된 의미를 부여받게 될 것이다. Since debuting in 1948 with the short story A Troublesome and Noisy Street, published in Baekmin (白民), Ryu Joo-hyun's has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in historical novels and serialized newspaper novels. Particularly devoted to historical novels, he has left behind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Chosen Governor-General, Great Korean Empire, and Daewongun. Among them, Chosen Governor-General stands out as a monumental work meticulously reproducing the extensive modern history of Korea. However, confined to the restricted category of a historical novelist, he has not received proper evaluation. Furthermore, even the assessment of his historical novels has not been conducted thoroughly. In works detail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re is a complete lack of detailed descriptions of his activities. Additionally, research focused on Ryu Joo-hyun's literature is also lacking. There is a need for a fresh establishment of evaluations for Ryu Joo-hyun's historical novels. The value of historical novels lies in creating public discourse and allowing it to be shared. By meticulously organizing historical facts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ntion, historical facts gain stronger meaning and utility. The fictional elements of historical novels overlap with historical facts and gain authenticity. Chosen Governor-General aims to approach the essence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careful research. While parts outside objective facts are inevitably described through the author's imagination, historical events guide the work. Ryu Joo-hyun's wanted to recreate the reality and truth inherent in historical novels. In that regard, Chosen Governor-General possesses valid value as a historical record. However, issues remain regarding Ryu Joo-hyun's historical novels. The accuracy of historical fac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content may vary depending on ideolog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Although Ryu Joo-hyun's clearly understood historical facts, the nature of the novel allows the author's opinions to influence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events, leading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Chosen Governor-General is a work that highlights the author's thorough research and persistent writing. It encompasses the entir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vastness of the events is also prominent. With over 1,700 characters, including more than a hundred main characters, it is a complex work with intricate events and structure. Ryu Joo-hyun's meticulously structured such a massive undertaking. His works, traversing the boundary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fictional elements, stand out as outstanding literary achievements. Despite receiving attention from contemporary readers and having prolific writing activities, Ryu Joo-hyun's was marginalized in literary history. Moreover, despite his exceptional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historical novels, evaluations of this genre are also sparse. Considering his numerous works beyond historical novels, the assessment of Ryu Joo-hyun's should be comprehensive. In this context, Ryu Joo-hyun's novels will finally receive proper significance.

      • KCI등재

        역사소설의 시원(始原) ― 《오월춘추(吳越春秋)》의 소설화(小說化) 기도(企圖)에 관하여

        김영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6 No.-

        一般的來說人們把《吳越春秋》稱爲歷史書, 但是有人認爲?是小說書. 這些看法的差異主要由於歷史書與歷史小說的境界有時候不淸楚. 因爲歷史書也包括神話, 民間傳說, 和虛構的因素. 小說硏究家通常說, 唐代的傳奇小說與以前小說的最大差異就是作家的有意創作與否. 我以爲, 根據這個認識來分析《吳越春秋》, 那就可以區別歷史與歷史小說的境界. 所以我本來願意, 根據有意創作與否來分析《吳越春秋》, 而判斷?是歷史還是小說. 如果我們可以說?是小說, 那就在中國小說史上可能有?大的意思. 那?我們可以說?是長篇歷史小說的始原, 換句話說《三國演義》是?完美的歷史演義小說而《吳越春秋》是歷史演義小說的始原. 根據有意創作與否來硏究?了, 結果我到達了如此的結論. 第一, 作者在歷史和傳說的斷片記錄上, 運用小說家的想像來一邊敷衍一邊擴大, 使故事成爲歷史小說. 第二, 作者卽使歪曲歷史的事實, 顯示了更加重視文學的眞實, 就是故事的又興趣又完美的結末. 這是由於作者本來願寫小說的意圖. 第三, 爲了使讀者感到讀書的快樂, 作者把故事巧妙地盡力構成了. 這是一個來自作者願寫小說的態度的結果. 總之, 吳越春秋的作者憑借寫歷史, 其實企圖寫歷史小說, 實際上到達了値得注目的小說的成就. 所以我們可以說, 《吳越春秋》是一篇宣告中國的歷史長篇小說的開始的作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