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 선교사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방안

        박보경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9

        한국 여성 선교사들이 선교현장에서 매우 활발하게 다양한 사역에 참여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한국 선교사 공동체 안에서 여성 선교사의 역할은 항상 보조자로서의 역할에만 국한됨으로써 여성 선교사들이 선교사 공동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선교사 공동체 안에서 여성 선교사의 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본 소고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는데, 먼저 여성 선교사들이 한국 선교사 공동체 안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여성 선교사들은 선교인력의 부족이라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누구보다도 더 활발하게 선교현장에서 사역을 진행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선교사들은 한국인들로 구성된 선교사 공동체에 들어오게 되면 가부장적인 한국적 문화의 지배를 철저히 받게 된다. 국제적인 선교사 공동체와 선교현지 기독교 지도자들과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는 한국 선교사들의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 선교사 공동체 안에 있는 여성 차별적태도가 한국 선교의 국제적 위상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음을 진단해 보았다. 여성 선교사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에 있어서, 먼저 리더십 이론에서 대안적 리더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여성적 리더십을 접목하였다. 대안적 리더십으로서의 여성적 리더십은 기존의 남성 중심적이며, 과제 중심적이고, 위계적인 수직적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여성적 리더십은 선교사 공동체 안에서 여성 선교사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이어서 여성 선교사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선교신학적 근거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드러내야 할 교회 공동체의 건전한 회복이 또한 하나님의 선교로 이해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여성의 선교에로의 참여를 차단한다면 그 신앙공동체는 진정으로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는 교회가 될 수 없을 것이며, 이 교회의 선교는 결코 온전한 하나님의 선교로 드러날 수 없다. 그러므로 여성 선교사에게 리더십을 허락하려는 노력은 결국 하나님의 선교를 가시화하는 우리의 신앙적노력이 될 것이며, 더 온전하게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한 도구로 선교사 공동체가 변화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선교 신학적 과제가 된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근거 위에, 여성 선교사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여성 선교사들 간의 원활한 연대와 멘토링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 선교사들의 지도력 개발을 시도하는 방안이며, 둘째로 여성적리더십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여성의 특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며, 셋째로 다양한 방식으로 여성 선교사의 인력을 개발하고 여성 선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재교육과 연구소 설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여성선교사의 교육선교

        박보경(Bo Kyoung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본 연구는 한국 여성선교사들의 교육 선교에서 주목할 만한 사역의 결과를 거둔 세 명의 여성선교사의 사역을 조명하여 그들의 사역 성공의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세 명 여성선교사의 회심 경험이 실제로 사역 성공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세 명의 사례는 모두 25년 이상의 교육 사역 경험을 가진 여성선교사들로서 본인이 세운 학교에서 장기간 최고의 리더십을 발휘하였고, 그 결과 대단한 구체적 성과를 이룩하였다. 무엇이 이들의 구체적 성과를 가능하게 하였는지 요인을 살피면서 필자는 먼저 회심의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였다. 전통적으로 회심을 급격하고 순간적인 종교적 변화를 가져오는 경험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 글에서는 보다 장기적이며, 심화한 깨달음의 단계로 들어가는 ‘강화’의 경험을 회심의 경험 안에 포함하였다. 이글은 이러한 형태의 회심을 ‘장기적, 점진적 회심’ 경험으로 규정한다. 이에 본 글은 세 명의 선교사 이야기에서 발견되는 장기적이며 점진적인 회심 경험이 실제 이들의 사역에 어떻게 공헌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세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여성선교사들의 사역 성공의 요인인 ‘장기적이며 점진적인 회심’ 경험은 이들이 역경과 장애물을 극복하고 지속해서 교육 사역을 수행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둘째, 여성선교사의 사역이 성공한 또 다른 요인은 이들의 과거 경험들이 현재의 교육행정업무와 서로 연관되어 긍정적으로 공헌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모두는 과거 자신들의 경험을 현재의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의미부여를 하였다. 이것은 과거의 경험을 무의미한 경험이 아니라 현재의 교육 사역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현재 사역의 효율적 태도뿐 아니라 더욱 깊은 차원의 확신을 제공하였다. 셋째, 이들의 교육 선교가 큰 성과를 이룬 것은 선교지에서의 교육 선교의 특성과 자신들의 여성적 접근이 서로 잘 조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어서 이글은 여성선교사들의 효율적 사역을 위하여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로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 여성선교사들이 확고한 회심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영성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선교사들이 자신들의 은사와 전문성이 충분히 발휘되는 선교사역으로 배치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로 여성선교사의 사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성의 삶의 여정을 충분히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선교사들은 자신의 과거의 행적을 하나님의 인도하심이라는 관점에서 성찰하고 현재의 삶의 자리에서 감당해야 할 소명을 적극적으로 연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성격 5요인과 여성선교사의 리더십 계발

        홍혜경(Hong, Hye Kyung)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2014 연세상담코칭연구 Vol.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특성이 여성의 리더십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고찰하면서 여성선교사의 리더십을 계발하기 위한 전략을 논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선교사들을 파송한 나라이며 전체 한국선교사들 중 53.7%는 여성선교사들이다. 선행연구들을 고찰하면서 해석학적 작업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편적 성격의 5요인이라고 불리는 Big Five는 외향성, 신경증 성향, 우호성, 성실성, 개방성이다. Big Five를 리더십과 관련지어 볼 때 남성과 여성은 리더십능력에 있어서 거의 차이가 없다. 다만 리더십을 발휘하는 유형이나 방법적인 면에서 다를 뿐이다. 따라서 여성선교사의 리더십과 관련하여서는 각자가 가진 성격적 특징을 잘 발휘하도록 격려하는 관점과 방법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는 유교문화적 전통에 따라 여성의 역할을 상대적으로 제한해 왔다. 따라서 여성선교사의 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한 실제적 전략이 필요하다. 우선, 여성선교사 스스로 자신의 성격특징의 강점과 약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수용하는 가운데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계발하여야 한다. 그리고 여성선교사 주변의 가까운 사람들을 비롯하여 선교단체와 파송교회에서, 또한 선교지에서 여성선교사들의 리더십 계발을 위해 함께 협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여성선교사는 하나님나라의 아름다운 열매들을 풍성하게 맺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women’s leadership and to discuss strategies to develop the leadership of female missionaries. Currently, South Korea comes second onl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number of missionaries it has sent abroad, 53.7% of whom are female. The results of the hermeneutics I applied after reviewing past studies are as follows. The so-called "Big Five" factors that comprise personalities universally are extraversion, neuroticism,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When relating the Big Five to leadershi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ability to exercise leadership. The only differences are in the form or the method in which this leadership is exercised.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when it comes to the leadership of female missionaries, it is important to have a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at encourages female missionaries to exercise their personality traits in effective ways. Up to the current day, Korean society has followed the Confucian tradition in limiting the roles of women. Thus, practical strategie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the leadership of women. First of all, the female missionary must perceive and accept full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her personality trait, and undergo personal development so that her strengths may be fully activated. In addition, the people around the female missionary, along with the missionary organization, the sending church, and the mission field, must cooperate to develop the leadership of female missionaries. The leadership that is thus developed will be contribute to bearing rich fruit for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미국 남장로회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와 삶 - 미국 남장로회 연례 선교회의록에 수록된 여성 선교사 추도문을 중심으로 -

        김지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6

        This study examines the eulogies titled “In Memoriam” of the 49 women missionaries who were among the 75 eulogies in the Minute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from 1892 to 1938. Earlier studies on Western Missionaries have focused on male missionaries,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about the Southern Presbyterian Women Missionaries of the U. S. The fellow missionaries have recorded the work and life of 49 women missionaries who were their contemporaries. These are almost two times more than the male missionaries’ eulogies. This study analyzes the eulogies statistically and traces their works and live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It also focuses on the features and common points of women missionaries mentioned in eulogies and not on their achievements or personal history. In the given plethora of information about the missionaries what stands out in their stories is their Christlike character of faithfulness amid their missionary liv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ir Christlike character was revealed in their personal lives and translated into their mission work. This study pres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ir eulogies and attempts to illuminate the lives of these women missionaries and their Christlike character and the way they displayed their love for Korean people and in return how they had been loved. 이 논문은 미국 남장로회 내한 선교사들의 선교기록물들 가운데 연례 선교회의록에 수록된 75건의 추도문 중에서 1892년부터 1938년까지 46년간 수록된 여성 선교사 49명의 추도문을 연구한 것이다. 추도문은 동료 선교사가 고인이 된 선교사를 추억하며 작성한 것이다. 그동안 여성 선교사들은 남성 선교사들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고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다. 여성 선교사 중에서도 미국 남장로회 내한 여성 선교사에 대한 연구는 몇몇 선교사에 한정되어 있어 상당히 미진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이 선교사에 대한 개별 연구이다. 여성 선교사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에 비해, 동료 선교사들이 작성한 추도문은 여성 선교사가 49건으로 26건인 남성 선교사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기존의 여성 선교사 연구가 개별 연구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추도문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여성 선교사들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추도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와 삶을 추적했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또한 추도문은 선교의 성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고인이 된 선교사의 삶을 추억하기 위해 쓰여졌기 때문에 읽는 이로 하여금 해당 선교사의 인간적인 면모, 성품, 선교 방식 등을 추정해보고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추도문을 통해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해보고, 선교사로 일평생 살았던 그들의 삶속에서 복음전파의 사명이 어떻게 표출되고 실천되었는지, 한국을 사랑했던 그들의 헌신과 예수님을 닮고자 애썼던 그들의 삶을 조명하였다.

      • 「한국학휘보」(The Korean Repository)에 수록된 외국인 여성 선교사들의 글 연구

        이현주(Hyun-Ju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3

        1892년에 발간된 「한국학휘보」(The Korean Repository)는 2년 간(1893-94)의 휴간 기간을 거쳐 1898년까지 약 5년간 발간된 조선 최초의 선교지이다. 월간지 형식으로 발간된 「한국학휘보」에는 조선에 파송된 외국인 선교사들이 선교지 조선을 소개하고, 선교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글을 실었다. 이들 가운데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는 글 중 하나가 초기 개신교 여성 선교사들의 글이다. 19세기 말 조선을 방문했던 대부분의 초기 개신교 여성 선교사들은 정치․·사회·종교적 분야에서 남성과 동등한 조건 및 지위를 획득하려는 제1세대 페미니즘 운동 가운데서 교육받은 여성들이다. 대학 전문 교육을 받는 동시에 이 당시 서구에서 한창 꽃피웠던 복음주의 영향을 받아 조선에 파송된 초기 개신교 여성 선교사들은 조선 여성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선교사역을 펼쳤다. 하지만 이들의 글이 조선 여성 교육의 목표가 정치·사회·종교적 분야에서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인간을 양성하기보다는 시어머니와 남편의 사랑을 받는 여성이라는 측면에서, 또 주부선교사의 경우 이들이 남성과 동등한 선교사 자격으로 파송된 선교사임에도 불구하고, 가정일과 육아일을 오로지 자신들의 일로 주장한다는 점에서 이들의 여성주의 시각은 전근대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본 논문은 「한국학휘보」에 실린 여성 선교사들의 글을 중심으로 이들의 여성의식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초기 개신교 여성 선교사들이 행한 교육사역, 의료사역, 전도사역을 알아보는 것이 필수이므로 이를 선행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The Korean Repository is the first monthly periodicals for foreign mission work in Korea. It had been published for five years from 1892 to 1898 including a two-year break from 1893 to 1894. As effective periodicals for giving and taking information for the mission work, The Korean Repository had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late period of the 19th century in Korean mission fields. In recent women studies, the articles written by female missionaries in The Korean Repository have been studied a lot focusing on their women consciousness as feminists. As female missionary who grew up and were educated with the first feminist movement in the Western countries, they came to Korea, the unknown mission field, in order to spread their dream as female missionaries and feminists. Nevertheless, they have been devaluated as passive feminist missionary workers in recent women studies in Korea. This thesis re-examinates their missionary works and women consciousness as feminists by analyzing their articles written in The Korean Repository.

      • KCI등재

        개화기 서양 여성 선교사들이 개화기 여성의 외모에 미친 영향

        김향숙 ( Kim Hyang So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40 No.-

        본 연구는 한국의 개화기에 서양 여성선교사들이 조선여성들의 외모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게 될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개화기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로서 서양 여성선교사들이 은둔해 있던 조선여성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 밝히게 될 것이다. 당시 내한한 많은 서양 여성선교사들은 남성선교사들의 아내로서 주일학교와 부녀자들을 위한 여성 성경공부 반을 지도하거나 전도부인과 함께 부녀자들 심방을 맡아 전도에 힘을 썼다. 무엇보다도 당시 생각하기 어려운 여성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여학교를 설립하여 여성 교육에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서양 여성선교사들이 조선여성들과의 잦은 접촉으로 조선여성들의 의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지만 그들의 외모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여성들의 의복은 조선여성들이 서양 여성선교사들과의 접촉함에 따라 변화를 받게 된 것이다. 조선여성들은 의복에 대한 인식이 서서히 변화하였지만 서양 여성선교사들이 조선여성들에게 여성 의복의 실질적 기능에 관한 인식변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었음이 분명하다. 서양여성선교사들은 쓰개치마를 제거하고 보다 긴 기장의 저고리 길이와 보다 짧은 소매길이를 한 여학교 교복과 조끼허리를 위시 하여 달리기, 야구, 테니스 등 스포츠에 적합한 의복을 소개하는 등 조선여성의 의복변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본 연구는 당대의 실질적인 논의를 전개하기 위하여 여성 선교사들의 일지를 포함한 문서, 자료와 사진을 제시할 것이다. This article will talk about the change of Korean women’s costume influenced by western women missionaries in Late-Chosen Dynasty. During the temporal background of this study, ranged from the late 1880s to the first half of the 1930s, this will show how western women missionaries enlightened reclusive Chosen women. At that time as male missionary’s wife, western women missionaries spent their time teaching Sunday school classes and guiding the Bible studies to korean women, visiting women in trouble with Bible women. Most of all, they established girls’ school and undertook women education, which was extremely difficult job to think under the male-centered society at that time. Consequently, Chosen women naturally got to understand as well as receive Christian idea inherent due to frequent contact with women missionaries. The Western women missionaries greatly influenced on the changes of appearances as well as the awakening of Chosen women. Contact with western women missionary laid the groundwork which directly influenced the change in Chosen women’s dress. Western women missionary played a crucial role in forming the social perception for practical function of women’s costume even if the change in the women’s way of thinking was processed gradually for the changes in dress. Chosen women who had an opportunity to come face to face with western women missionaries became acquainted with western women’s clothes and they took a leading role in modifying current fashions such as longer Jegori and shorter Chima of girls school uniform, Chochihurry, sports wears for running, baseball, tennis etc. Consequently,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discussion, this paper presents documents, data and photos of the time including western women missionaries’dairies.

      • KCI등재

        미국 남장로교의 첫 한국 입국 선교사 리니 데이비스 해리슨 부인(Mrs. Linnie F. Davis Harrison)의 선교 활동 연구

        임희모(Hee-Mo Y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5 No.-

        데이비스(Miss Linnie Fulkerson Davis, 1862-1892-1903) 선교사는 미국남장로교 총회의 해외선교실행위원회가 1892년 한국에 파송한 7인의 개척선교사들 중 1인이다. 그녀는 한국입국 첫 선교사로서 10년 후 첫 순직자가 되었다. 본 글은 첫 여성선교사를 연구하는 만큼 먼저 미국남장로교의 해외선교정책과 여성선교사의 위치, 더 나아가 이러한 정책들을 적용한 한국선교회의 1897년 헌법과 규정의 여성선교사 관련 내용을 분석한다. 뒤이어 본 글은 데이비스의 신앙과 교육과 선교사 지원 배경을 간략히 검토하고, 그녀가 헌신적으로 행한 서울과 군산과 전주의 선교활동을 분석한다. 여기에서 본 글은 그녀의 선교활동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일화 선교 관점을 활용한다. 첫째, 데이비스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통달하였다. 둘째, 그녀가 가진 특유의 온유와 겸손으로 인해 한국인에 대한 우월의식을 갖지 않았고, 이로 인해 수많은 한국인이 그녀를 친구로 여기고 신뢰하여 복음을 수용했다. 셋째, 그녀는 미신적 신앙과 희망을 주지 못하는 보수적 종교에 심취한 한국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희망의 복음을 전하였다. 또한 그녀는 ‘여성을 위한 여성 사역’을 행하는 선교사로서 자기희생적 섬김을 통해 여성들과 소녀와 소년들에게 기독교적 사랑과 섬김을 교육하였다. 넷째, 영적 교회세우기와 영혼구원 선교 이외에도 그녀는 성경에 내포된 정의와 평화를 행하는 자들을 수용하고 이들을 복음전도에 활용하여 교회설립 선교를 활성화하였다. 선교사 동료들은 이러한 데이비스를 ‘최고의 선교사’(ne plus ultra as missionary)로 불렀고 한국인들은 ‘선교사들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사람’으로 찬사를 보냈다. 결론으로 본 글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타문화권 선교가 그녀의 이러한 선교적 접근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그 함의를 논의한다. Miss Linnie Fulkerson Davis(1862-1892-1903), a female missionary, is one of the seven pioneering missionaries sent to Korea in 1892 b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SPUS). She became the first missionary to enter Korea and died 10 years later. She also did excellent missionary work, but little research was done on her compared to the other six. In this sense,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her entry into Korea and missionary work. Since this article studies the first female missionary of the SPUS, it first analyzes the foreign mission policy of the SPUS, the location of female missionaries,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SPMK)"s Constitution, Rules and By-Laws of 1897. Subsequently,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Davis" faith, education, and background of application for missionary, and analyzes the missionary activities in Seoul, Kunsan and Chunju that she devotedly conducted. This article uses the view of the identification miss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r missionary work. First, Davis mastered Korean and Korean culture. Second, she did not have a sense of superiority over Koreans due to her unique warmth and humility, and because of this, many Koreans regarded her as a friend and trusted her to accept the gospel. Third, she preached the gospel of Jesus Christ"s hope to Koreans who lost hope due to being immersed in superstitious faith and conservative religion. As a missionary who conducts ‘Women"s Work for Women,’ she also educated women, girls, and boys with Christian love and service through self-sacrifice service. Fourth, in add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spiritual church and the mission of soul salvation, she accepted those who practiced justice and peace contained in the Bible and used it for evangelism to promote church establishment mission. Missionary colleagues called Davis the "ne plus ultra as missionary," and Koreans praised her as "the most beautiful person among missionaries."In conclus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how cross-cultural missionaries of the Korean church today will apply her missionary approach.

      • KCI등재

        1919년 3.1 여성 독립만세운동과 미국여성선교사의 연관성

        김향숙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3 로고스경영연구 Vol.21 No.1

        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re were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as a background for Korean wom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3.1 Manse Movement in 1919.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established the first girls' school in Korea and awakened female students by introducing them to modern higher education including the Bible,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Girls who were educated by female missionaries were the central force in the March 1st Women's Movement, and they gathered together with male Christian students to prepare for the movement equally, and were detained and tortured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shows how much the education conducted by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at the time affected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female students,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re was only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boys called Seodang before the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came to Korea, and there was no educational institution for girls.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becam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way women looked at women in Joseon society, which was conservative by being immersed in Confucianism.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women's roles, which were limited in the private realm, can participate in the male public realm of nation, and politics. Materials to prove this include The Journals of Mattie Wilcox Noble 1892-1934, which contains a diary of American female missionary Mattie Noble’s life in Korea for 42 years, and female school histories established by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Ewha 80 Years History(1974), Ehwa Hundred Years History(1994), Jeong Shinshin Girls' School 75 Years History(1962), Shinmyung 100 Years History(2008), and other newspapers published at the time are reference. 본 연구는 1919년 기미년 3.1 만세운동에 한국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으로 미국여성선교사들이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 미국여성선교사들은 한국에서 최초로 여학교를 설립하여 여학생들에게 성경, 음악, 체육을 포함한 근대 고등교육을 접하게 하여 여학생들을 각성시켰다. 여성선교사로부터 교육받은 여학생들이 바로 3.1 여성만세운동에서 중심세력이며 이들은 기독 남학생들과 결집하여 동등하게 만세운동을 준비하고 일제에 항거하여 구금과 고문을 받았다. 이는 미국여성선교사가 내한하기 전까지 서당이라는 남아 전용교육기관만 있었고 여아를 위한 교육기관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비교해 볼 때 당시 미국여성선교사가 실시한 교육이 여학생들의 의식과 행동에 얼마나 크게 영향을 끼쳤는지 짐작하게 한다. 1919년 여성독립만세운동은 유교사상에 심취하여 보수적이던 조선사회에서 여성을 보는 눈이 달라지는 계기가 되었다. 즉 사적영역 내에 제한되었던 여성의 역할이 국가와 민족 그리고 정치라는 남성의 공적영역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그 결과가 있기까지 미국여성선교사의 교육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기 위한 자료로는 미국여성선교사 매티 노블이 42년간 한국에서의 생활을 일지로 담은『노블일지 1892-1934』를 비롯하여, 미국여성선교사들이 설립한 여학교 교사(校史)인『이화 80년사』(1974),『이화 백 년 사』(1994),『정신여학교 75년사』(1962),『신명 100년사』(2008)를 중심으로 기타 당대발간 신문 등을 참고로 한다.

      • KCI등재

        식민지 초기 여성선교사의 교육 활동

        이윤미 ( Yoon Mi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2

        이 논문은 식민지 초기 여성선교사들의 교육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국내 선교사연합 잡지인 『The Korea Mission Field』의 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여성선교사들은 1885년 개신교가 한국에 들어온 시점부터 남성들과 더불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고 여성을 대상으로 한 활동을 담당하였다. 여성선교사들은 크게 기혼여성과 미혼여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의 수는 남성을 훨씬 상회할 정도로 다수였다. 여성선교사들의 교육활동은 주로 현재까지 존속하는 중등수준의 여학교들을 중심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들의 여성대상 교육활동은 훨씬 포괄적이었다. 그들의 활동은 한국여성들에게 신앙 뿐 아니라 문해력과 자의식 각성 기회를 제공하여 기독교적 교육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였다. 한편, 여성선교사들의 여성 교육활동은 당시의 서구 기독교 가부장 이념의 기초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종교적 범주안에서 이루어진 활동으로서의 기본적인 한계도 있었다. 이 논문은 식민지 초기 여성선교사들의 존재 형태, 교육관 및 여성관, 그리고 구체적 교육활동의 내용 등을 살펴봄으로써 식민지시기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 여성교육이 지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missionaries in the structuring of women`s education during the earlier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1910s. Up to the earlier decades of the colonial period, Christianity played a pivotal role in enhancing not only literacy but raising consciousness of Korean women by means of constructing girls` schools and expanding classes and institutes for bible studies all over the country.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by the women missionaries especially in the earlier part of the colonial period, when the nascent state of Christian education saw its peak in the enthusiasm. Establishing missionary Stations over the country, the Protestant missions vigorously expanded not only churches but also schools in various locations.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greatly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modern education for women. Christianity, in the early modern Korea was more than a religion, not only for reform-minded males, but also for women long suppressed under the Confucian patriarchal norms. Christianity often represented "modern" or "Western" civilization, for those who sought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social order. Christian education for women in the early modern period was thus nuanced as "modern" as opposed to "traditional". In analyzing the status and roles of the women missionaries, the paper discusses the position of the women missionarie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der and western modernity. The women missionaries outnumbered men in the Korean mission field but assumed a subsidiary position. While many of them actively engaged in missionary activities, their position remained ambivalent, especially for those who were in the field as married women. The typical way that their influence was featured was in their managing of the "missionary home". Based on the idea of the "cult of domesticity", prevalent among the nineteenth century Christians, the missionaries focused on educating Korean women for future mothers and wives of Christian homes. This idea of gender was reflected in their aims of education for women in Korea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Their evangelistic aims were complexly mixed with ethnocentric views on Korean traditional patriarchal ideas based on Confucianism. The missionaries` activities were often considered "modern", yet their focus was centered on conservative social movements such as mobilizing women for the cause of temperance movement. They often symbolized "Western modernity", yet in a much limited sense, not only by the Western standard of the time but also by the nascent feminism of Korea. It is of note that despite the educational agenda of the women missionaries which remained largely conservative, some of them actively called for higher education for Korean women,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The changes which appear in the goals for women`s education over time are evidences of the interaction and accommodation between the evangelistic goal of the mission and the growing needs for women`s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캠벨(J. P. Campbell) 선교사의 교육선교사상과 교육사업

        황미숙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8 No.-

        조세핀 캠벨(Josephine Eaton Peel Campbell, 姜婦人, 姜慕仁)선교사는 1897년에서 1920년까지 한국여성들을 위해 선교에 헌신했던 미국 남감리회 여성해외선교부(Woman’s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의 선교사다. 1898년 배화여자대학의 전신인 ‘배화학당’을 설립하였다. 본고는 캠벨 선교사의 교육선교사상과 교육사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캠벨의 교육선교사상은 내한하자마자 쓴 첫 보고 서 서두에 잘 나타나 있다. 세상이 복음을 위해 준비된 것이 아니라 복음이 이 세상을 위해 준비되어 있다고 하신 하나님의 말씀이 이 먼 지구의 구석진 곳에 있는 우리에게 얼마나 신실한지요? 어둠속에 머물고 있는 이 사람들을 위해 준비된 복음을 전하는 것을 나는 이것을 기쁘게 생각하고 있으며, 우리의 축복이요 특권입니다.(J. P. Campbell, "Communication from Mrs. Campbell," the korea Missi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1897), 15). 캠벨의 교육선교사상에 따른 선교 목적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한국 교회를 위한 여성 지도자를 배출할 학교 설립, 또 하나는 전도사업을 통해 특히 여성들을 위한 교회를 설립하는 일이었다. 한말 일제기 기독교계 여학교는 역사·문화·전통·풍속의 기반 위에 서 있는 ‘한국적 여성’, 초월적 영성을 가진 ‘기독교적 여성’, 민족의 암울한 현실을 자각하고 실천하는 ‘민족적 여성’이라는 세 가지의 주된 과제를 가지고 교육해야하는 과업을 안고 있었다. 배화의 교육을 담당했던 캠벨과 선교사들 및 교사들은 교육 과정 속에서 위의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교육사업을 전개해 나갔다. 캠벨의 그리스도적인 인류애를 품고 조선 땅으로 왔다. “소외된 자에게 물 한 그릇 대접하라”는 예수의 명령에 따라 혼신(渾身)으로 선교사라는 ‘도구’ 가 되어 조선의 여성을 끝까지 사랑하며, 대접하며 살다가 1920년 11월 12일 68세를 일기로, 사랑하는 한국 땅에서 별세했다. Josephine Eaton Peel Campbell(姜婦人, 姜慕仁) was a missionary of the Woman’s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She devoted herself to the mission of Korean women from 1897 to 1920. She established ‘Baewha School’, the predecessor of, Baewha Women's University, The main focus of this article is on Campbell's Philosophy of Missionary Education and Her Educational Work. Campbell's Philosophy of Missionary was well ref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report she wrote right after her first visit to Korea. “How true are the words to us in this far off corner of the earth, “God did not say that the world was prepared for the gospel, but that the gospel was prepared for the world.” I rejoice that it is so, that it is already for these people dwelling in darkness, and that it is our blessed privilege to carry it to them.” J. P. Campbell, "Communication from Mrs. Campbell,” the korea Missi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1897), 15. According to Campbell's Philosophy of Missionary, there were two main mission objectives. One is to build a school to train female leaders for the Korean church, and the other is to build a church dedicated to women through evangelism. There were three types of women’s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women" based on history, culture, traditions and customs, "Christian women" with transcendent spirituality, and "Ethnic women" who realized and practiced the depressed situation of the country. Her mission had to be educated as the main purpose. Campbell, who was in charge of Baewha's education, as well as missionaries and teachers had achieved the above three goals in the curriculum. She came to Korea with the Christian love of mankind. In accordance with Jesus' command to "Give even a cup of cold water to one of these little ones" she became a "tool" for missionaries, and She always loved and treated Korean women until November 12, 1920, when She was 68 years old. Passed away on beloved Korean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