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에듀테크, 그리고 ‘학교라 불리는 곳’

        서봉언(Seo Bonge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1 No.3

        본 연구는 교사가 경험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의 도입 및 학교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에듀테크가 교내외 요인들에 의해 학교에서 확산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에듀테크 활용 교육의 중심현상은 ‘에듀테크의 확산’과 ‘효과의 불확실성’이었다.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증적인 효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에듀테크 활용 교육 효과의 불확실성도 배태되어 있었다. 효과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에듀테크는 학교 전반에 빠른 속도로 확산하였고, 이는 환경 요인, 외 부 요인, 교내 요인들의 영향이 컸다. 이러한 에듀테크의 확산에는 기반 조성이라는 충분조건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또한, 교사 간 협력적인 분위기는 심리적 여유와 안정을 토대로 형성되었고, 시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은 시교육청과 학교 간 신뢰를 형성하게 하여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함양이 중요해지고 있었다. 초기 핵심요원을 따라가며 에듀테크 활용 교육을 접하고 친숙해지면서 점차 교사 개인마다 다채로운 수업설계 능력을 요구받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에듀테크 활용 교육은 ‘기본 기기의 격차 해소’와 ‘다양한 수업’ 등과 같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고, 더불어 보급된 기기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이라는 과 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에듀테크에 관한 학술적 논의가 시작되는 시기에 현장의 경험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school change using EduTech experienced by teachers. As a result, EduTech is spreading in school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central phenomena of education using EduTech in schools were spread of EduTech and the uncertain effect . Although education using EduTech is actively conducted, there is still a lack of information on empirical effects, and uncertainties i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EduTech are implied. Despite the uncertainty in the effect, EduTech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school, which was large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external factors, and in-school factors. This spread of EduTech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sufficient condition of fully equipped facilities. In addition, the cooperative atmosphere between teachers was formed based on psychological relaxation and stability. Active support and help from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formed trust between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and it promote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for education using EduTech. Ultimately, the cultivation of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was becoming important. As teachers became familiar with education using EduTech while following ‘the core teachers’, each teacher was gradually required to have a variety of instructional design skills. Finally, education using EduTech has provided new possibilities such as binding the gap with basic devices and various classes and has the task of efficient management of allocated de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field experience at the beginning of academic discussions on EduTech.

      • KCI등재

        에듀테크: 뉴스 기사 토픽모델 분석

        박윤현,김대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뉴스 기사를 통해 에듀테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듀테크를 포함하고 있는 뉴스 기사의 연도별 빈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에듀테크와 연관된 단어, 그리고 토픽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1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에듀테크를 포함하고 있는 뉴스 기사 10,714건을 분석하였다. 뉴스 기사 분석은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에듀테크를 포함하고있는 뉴스 기사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에듀테크 뉴스 기사는 열개의 토픽을 담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열 개의 토픽을 정부의 에듀테크 기업 지원, 정부의 에듀테크 산업 활성화, 교육기관의 에듀테크 활용, 교육기관의 에듀테크 도입, 사교육기관의 에듀테크 도입, 에듀테크의 발전, 교육기관의 에듀테크 지원, 에듀테크의 성장 및 확장, 정부의 에듀테크 제도 구축, 에듀테크의 맞춤형 교육 개발 및 제공(미래교육)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에듀테크, 교육기관과 에듀테크, 에듀테크의 방향이라는 대주제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에듀테크의 미래 교육적 가치가 높고 팬데믹 상황에서의 교육적 대응 방법으로 도움을 줄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서향희(HyangHee Seo),박주희(JuHe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의 질적 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인터뷰는 2020년 3월 5일부터 2020년 5월 3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전사 작업, 추가자료 수집과 분석은 2020년 3월 15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 활용은 실감형 교육으로서 불편한 수업상황의 개선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낮은 인식의 형성은 에듀테크 활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지 않는 학교풍토와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부족, 에듀테크 활용 수업 평가기준의 부재가 에듀테크 활용의 걸림돌로 작용하였음을 말하였다. 학교교육의 목표를 위해 에듀테크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에듀테크 활용과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전담인력으로서 테크매니저 제도가 필요하며 콘텐츠의 질적 전환을 통해 교육과 기술의 융합, 콘텐츠의 다양화,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혁신을 위한 교육적 에듀테크를 지향해야함을 인식하였다. 결론 에듀테크 활용 교육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실제적인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에듀테크 활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논의와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use of Edu Tech in school setting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focus group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use of Edu Tech in school setting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5, 2020 to May 31, 2020, and the company work, addition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March 15, 2020 to October 31, 2020. Result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use of Edu Tech in the school settings as a tool for improving the uncomfortable classroom situation as a realistic type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teachers low perception of the use of Edu Tech was from the fact that school climate that does not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Edu Tech, lack of devices that can be used in class, and the absence of evaluation criteria for Edu Tech utilization class acted as a stumbling block for Edu Tech utilization. For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expertise on the Edu Tech, they perceived that a tech manager system is needed as dedicated manpower that can support the use and management of Edu Tech, and through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contents, they perceived that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technology, diversification of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Edu Tech should be pursued for innov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actua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 education using Edu Tech,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scussion and support for vitalizing education using Edu Tech.

      • KCI등재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박광렬(Gwang-ryeol Park)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를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가지는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에듀테크 기업의 제품을 공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수행한 실증 사업에 참여하는 교사들이었으며 실증 과정에 대한 만족도, 적절성 그리고 수업 적용 단계, 중요 요소, 교사의 역할, 변화 여부, 학생 참여도, 개선점 등의 문항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원하는 에듀테크를 적용할 교과와 수업 단계를 선택하여 실증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적절성에 대한 응답은 매우 긍정적이였다. 둘째, 에듀테크 교구나 앱을 수업에 활용하는 이유는 흥미로운 상호작용이 많다는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자신의 에듀테크 적용 단계에서는 수업 전후보다 수업 과정에 적용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향후에는 학습 평가 및 피드백 단계와 수업 후 복습 및 학습자료 제공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최근의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디지털 전환과 효율적인 에듀테크 적용 수업을 위해서는 교사 및 교육 전문가의 에듀테크 개발 참여 방안과 에듀테크의 다양한 접근과 관련된 콘텐츠 개발과 실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가 관련된 후속 연구에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edtech in school classrooms. The subjects comprised teachers participating in a demonstration project aimed at applying products from edtech companies to public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demonstration process, appropriateness, the stage of applying edtech in class,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the role of the teacher, observed changes, student participation, and areas needing improvement. Teachers' responses to related question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s regarding satisfaction and appropriateness of the process for selecting the subjects and the class stages for applying the Edutech products and conducting the verification proc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Second, the abundance of engaging interactions emerged as the primary motivation behind incorporating edtech materials or apps in classrooms. Third, teachers preferred to integrate Edutech during the class process itself rather than before or after the class. Moreover, they indicated a future preference for using it for learning evaluation and feedback, post-class review, and providing the learning materials. Lately, there has been much anticipation around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edtech-powered classes in educational settings. To this end, continued research is crucial, exploring how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dtech development and identify effective approaches and verific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various edtech solutions in schools.

      • KCI등재후보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김진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2 實科敎育硏究 Vol.28 No.1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 of edutech and support requests for Edutech softlabs and analyzes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Edutech and the request for support of Edutech Soft Lab were investigated among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Jeollanam-do. It was confirm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level of domestic Edutech technology and mainly used Edutech in areas such as software education, image/video content, curriculum design,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As opinions for revitalizing Edu-Tech, the expansion of Edu-Tech training opportunities and securing a purchase budget were recognized as urgent support tasks, and it was found that system improvement to simplify Edu-Tech purchases was reques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for Edutech support for practical class activities was highly recognized through the Edutech Soft La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pecific support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Edutech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education using Edutech that can solve educational problems at school sites with customized support according to field demand. In addition, the Edutech Soft Lab should be able to play a role that can link the Edutech demand of the school field with the corporate Edutech industry. 이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인식과 에듀테크 소프트랩에 대한 지원 요구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에듀테크 활용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주‧전남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근무 중인 현직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인식과 에듀테크 소프트랩의 지원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연구는 온라인 설문 도구(Google forms)를 이용하여 2022년 1월 10일부터 1월 26일까지 수행되었다. 초등교사들은 국내의 에듀테크 기술 수준에 대한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소프트웨어 교육, 이미지/영상 콘텐츠, 교육과정 설계, 행정 관리 등의 영역에서 에듀테크를 주로 활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에듀테크 활성화를 위한 의견으로 에듀테크 연수 기회의 확대와 구입 예산의 확보를 시급한 지원 과제로 인식하였으며 에듀테크 구입 간소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듀테크 소프트랩을 통하여 실제적인 수업 활동을 위한 에듀테크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의 에듀테크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장 수요에 따른 맞춤형 지원으로 학교 현장의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듀테크 활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에듀테크 소프트랩이 학교 현장의 에듀테크 수요와 기업의 에듀테크 산업을 연계해 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 국내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김승혜,이재경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3 No.11

        본 연구는 에듀테크 및 에듀테크 활용 가능성이 높은 누리과정 영역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의 성공적인 정착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유아교사 100명, 유아교육과 재학 중인 예비교사 100명, 총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에듀테크에 대한 이해도는 낮으나 활용역량의 중요도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예비교사는 에듀테크의 교육적 효과성은 교사의 활용역량에 기반한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에듀테크 기술 중 ‘인공지능’의 개발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가상현실’의 개발 필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유아의 미래사회 역량 증진’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학부모와의 정보 공유’를 위한 필요성은 비교적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에듀테크 활용과 관련하여 교사는 예비교사보다 ‘에듀테크 활용으로 인한 추가 업무 부담’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반면, 예비교사는 교사보다 ‘개인정보 침해 및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누리과정 중 의사소통 영역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관하여,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언어를 학습하고 말하기 능력을 기르는 용도로 에듀테크를 활용하기보다 언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자연탐구 영역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관해서는 유아가 주변 환경 및 도구에 관심과 호기심을 느끼는 용도로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유아의 인지적 수준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물체의 특성과 변화, 기준에 따른 분류에 있어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교육방식보다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에듀테크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기반으로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효과성을 실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중국 에듀테크 산업 분석 및 시사점

        백수은(BAEK, Sueun),한나(HAN, Na)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중국 에듀테크 산업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에듀테크 산업육성 방안과 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 거시환경분석을 위해 PEST기법을 적용하여 중국 에듀테크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정책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측면을 분석하였고, AI 관련 기술개발과 교육 프로젝트 및 사업, 사회공헌 활동 측면에서 우수한 기업으로 꼽히는 好未來(TAL),松鼠AI(Squirrel AI),商汤教育(Sensetime Edu)를 선정하여 구체적 기업 사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교육 시스템 현대화를 위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하며 에듀테크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으며, 시장 및 투자규모 면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며 많은 수의 에듀테크 기업이 생겨나고 있다. 치열한 입시경쟁에 따른 교육열과 코로나에 따른 온라인 교육 확대는 에듀테크 산업 발전의 또다른 촉매제로 작용하였으며, 공교육과의 협업 및 적극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에듀테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였다. 또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의 용이성 및 적극적인 인재유치, 글로벌 지향의 국제협력연구 진행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에듀테크 관련 개인정보보호 법률은 최근 뒤늦게 제정되었고, 교육적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윤리적 가이드라인의 마련되지 않았으며, 고급 연구인력의 부족과 미국의 기술적 견제 및 후속 경쟁기업의 등장은 산업 발전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결론] 우리나라 에듀테크 산업육성 방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의 방향성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기반으로 교육적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명확하고 국가적 비전 제시를 통해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공교육 도입 및 활용에 있어 적극적인 민관 협력을 통해 에듀테크 산업 생태계의 역동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에듀테크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장려하여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게 해야한다. [Purpose]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ina’s Edu-tech industry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 [Method]For macro-level analysis, PEST technique was applied divided in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ical aspects. Also, leading Edu-Tech companies like ’TAL, Squirrel AI, and Sensetime Edu’ were selected for micro-level analysis. [Results]A number of Edu-Tech companies in China are emerging with reasons followed: expanding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the education fever from entrance exams and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following Covid-19,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Edu-Tech via cooperations with public educ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and a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ease of large-scale data collection.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still some challenges such as ethical guidelines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lack of advanced research personnel, and follow-up competitors as well as the U.S. as a threat to industrial development. [Conclusion]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for Korea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sensus on the direction of Edu-Tech should be made in advance with the presentation of a clear national vi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dynamics of Edu-Tech ecosystem through active public-private sector cooperation in public education system. Thir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Edu-tech companies should be consistently encouraged for resolving the educational gap.

      • KCI등재

        초·중등학교 에듀테크 팀 역량 도출

        이은상(Lee, Eunsang),김동건(Kim, Donggeon),이동국(Lee,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s, competencies and relative important behavioral indicators of members of the edutech team in K-12 schools. In order to derive the concept and competencies of edutech, prior literature review, behavior event interview, and two-step review by expert validity were conducted. An expert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t behavioral indicators of members of edutec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ncept of edutech team would be: a team which designs, executes and manages edutech 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cooperation with various members based on their expertise in education to realize the goals of K-12 school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four categorized clusters of competencies of edutech team and finalized 13 competencies and 36 behavioral indicators. edutech team’s competencies include 1) competency to understand the school curriculum; 2) competency to desig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3) competency to explore future education; 4) competency to explore edutech; 5) competency to design and build edutech environment; 6) competency to use edutech; 7) competency to manage edutech; 8) competency to establish and evaluate school edutech policies; 9) competency to draw and execute edutech budgets 10) competency to comply edutech legal systems and ethics 11) competency to share school’s visions 12) Competency to facilitate edutech utilization 13) collaboration competency. The relative important behavioral indicators of the members showed that teachers wer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dedicated personnel wer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edutech. This study c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support edutech s on-site settlement in the promotion of future education and edutech policy.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에듀테크 팀의 개념, 역량, 구성원의 상대적 중요 행동지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듀테크 팀의 개념과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검토, 행동사건인터뷰,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그리고 에듀테크 팀 구성원의 상대적 중요 행동지표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에듀테크 팀의 개념은 ‘초·중등학교의 목표 실현을 위하여 교육과 에듀테크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구성원들과 협력하여 에듀테크 기반 학습환경을 설계, 실행, 관리하고 학교 구성원의 활용을 촉진하는 팀’으로 도출되었다.에듀테크 팀의 역량은 4개 역량군으로 유목화하여 총 13개의 역량과 38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에듀테크 팀의 역량은 1) 학교 교육과정 이해 역량, 2) 교수학습평가 설계 역량, 3) 미래교육 탐색 역량, 4) 에듀테크 탐색 역량, 5) 에듀테크 환경설계 및 구축 역량), 6) 에듀테크 활용 역량, 7) 에듀테크 관리 역량, 8) 학교 에듀테크정책 수립 및 평가 역량, 9) 에듀테크 예산 편성 및 집행 역량, 10) 에듀테크 법제도 및 윤리 준수 역량, 11) 학교 비전 공유 역량, 12) 에듀테크 활용 촉진 역량, 13) 협업역량이다. 에듀테크 팀 구성원의 상대적 중요 행동지표로 교원은 교육과정 관련 행동지표, 전담인력은 에듀테크 관련 행동지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과 에듀테크 정책 추진에서 에듀테크의 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에듀테크 시대에서의 기독교교육: 연결과 공유, 개별 맞춤형, 체험과 실감을 중심으로

        양성진(Sung-Jin Y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1

        본 논문은 교육과 기술이 융합된 에듀테크(EduTech)의 특성과 방향을 규명하며, 에듀테크 시대에서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언할 것이다. 연구자는 에듀테크의 특성을 세 가지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분석한다. 첫째,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과 지능형 에듀테크 플랫폼은 연결과 공유의 가치를 지닌 에듀테크이다. 둘째, 학습 분석과 학습 지원 시스템은 학습자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대안을 제안하는 개별화 맞춤형 에듀테크이다. 셋째, 가상․증강현실과 메타버스의 기술은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더욱 실감나게 체험하는 에듀테크이다. 연구자는 에듀테크의 특성에 따라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언한다. 첫째, 연결과 공유의 가치를 가진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거시적인 접근에서 연결과 공유의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가정, 학교, 신앙공동체, 지역사회, 가상세계가 연결과 공유하여 하나님 나라 백성을 양성한다. 둘째, 개별화 맞춤형 교육을 추구하는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미시적인 접근에서 개별 맞춤화 돌봄 교육이다. 지식과 정보의 단순한 가르침을 넘어서서 목회적 돌봄으로 양육하는 것이다. 셋째, 체험과 실감의 시스템을 갖춘 에듀테크에서의 기독교교육은 체험과 실감의 이야기 교육이다. 이야기는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서로 연결하고 공유한다. 특별히 이야기 교육의 변증법적 해석과 상상력은 개인의 이야기, 신앙공동체의 이야기, 경전의 이야기를 서로 연결하고, 공유하며, 생생하게 체험하게 한다. This article articulat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EduTech, which combines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EduTech in three technical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at EduTech has the value of connecting and sharing based on technology of cloud-based platforms and intelligent EduTech platforms. Secondly, Edutech enables the learners to experience an individualized customized learning that proposes alternatives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learners with learning analytics and learning support system. Lastly, EduTech allows learners to engage in real and virtual worlds more realistically based on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nd Metaverse. It suggests the direc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duTech. First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needs to form a Christian education ecosystem that entails connection and sharing in a macroscopic approach. Families, schools, faith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and the virtual worlds connect and share with each other to nurture the people of God. Second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enables learners to experience personalized care education in a microscopic approach. It means nurturing with pastoral care which goes beyond teaching. Lastly, Christian education in the EduTech era, pursuing vivid experience and realization, needs to approaches it with narrative pedagogies. Stories connect and bulid the Christian educational ecosystem. In particular, dialectical interpretation and imagination in narrative pedagogies connect individual stories, stories of a faith community, and stories of scriptures, allowing them to connect, share, and experience each other vividly.

      • KCI등재

        초・중등학교 에듀테크 운영에서 테크매니저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분석

        이은상,이동국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1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에듀테크 운영에서 테크매니저의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에 배치된 테크매니저와 에듀테크 담당 교원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 초기 테크매니저의 역할이 정립되지 않아 업무 수행에서의 어려움과 구성원과의 갈등이 발생하였다. 둘째, 에듀테크에 대한 지원 체계 부족과 불안정한 고용은 안정적 업무 수행에 제약이 되고 있다. 셋째, 학교 구성원의 다양한 차원의 동시다발적 지원 요청은 신속한 대처를 곤란하게 하였다. 넷째, 테크매니저 의 전문성을 길러 줄 수 있는 역량 개발 체계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에듀테크 활성화를 위한 지원 인력 의 배치와 운영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difficulties of tech manager for managementing EduTech in K-12 schools. For this,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f 6 members which consist of tech managers and teachers in K-12 school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the difficulty in EduTech work and the conflict between EduTech members because of the unstable distributing works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Second, the unstable employment and the lack of supporting system to the EduTech result in the limitation to the job performance. Third, different-simultaneous support requests from the members of school make the fast handling more difficult. Fourth, the system of the professionalism developing programs for tech managers is insufficient. This research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upport personnel for activating EduTech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