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너지 수요전망모형 개발 기초연구

        전호철 ( Hochoel Jeon ),정예민 ( Yeimin Chu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8 No.-

        에너지 사용은 우리 생활 전반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함께 가지고 있다.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정부는 합리적인 에너지 공급 및 이용을 위해 『국가 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에너지이용 합리화계획』 등 다양한 국가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수요전망은 국가 계획 수립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전망자료를 토대로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정책 효과를 분석하기 때문이다.에너지 수요전망은 전망의 목적, 접근 방법론, 전망의 전제 등에 따라 세부 부문, 전망결과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국가 계획 수립에 이용되는 일부의 모형만이 구축·운용되고 있다. 다양한 수요전망 자료는 환경과 관련된 각종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다. 특히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문제에 에너지 부문의 연계성은 매우 높아 환경부문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전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대안적 에너지 수요전망모형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첫 출발로서 국내외의 전망 모형의 현황을 검토·분석하였다. 에너지 수요전망모형은 분석의 방법에 따라 상향식과 하향식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에는 주로 상향식 모형이 전력수급 및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에는 하향식 모형이 이용되고 있다.상향식 모형은 개별 기기 및 용도에 따른 에너지 사용에 대한 예측에서 시작해 상향식으로 합하여 총 수요를 도출하는 방식인데 세분화된 데이터(disaggregate data)를 이용하여 부문별, 에너지원별 등 세분화된 전망에 용이하여 배출계수 등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반면 모형 구축과 운용에 많은 데이터가 요구되는 단점이 존재한다.하향식 모형은 과거 실적데이터를 기반으로 계량경제학 모형을 적용해 에너지 수요를 전망하는 방법으로 합계 데이터(aggregate data)를 이용한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모형 운용이 용이하나 개별 기기의 도입이나 효율 변화 등을 반영하지는 못해 시나리오 분석 등에 활용되기는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일반적으로 현실에 부합하도록 모형을 구축할 경우 부문 간 세부화 수준이 높아지고 분석결과의 유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는 반면, 모형 구축과 운영상에 막대한 인력 및 재정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세분화된 에너지 수요전망모형에서 요구하는 각 주요 변수(에너지사용기기 종류, 효율, 활동도 등)에 대한 전망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모형이 도출하는 결과의 불확실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요전망모형을 구축 시점부터 모형 구축 후의 활용방안과 지속적인 운용 방안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수요전망모형 구축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축된 모형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서 모형 구축 과정부터 모형 개발 후 전망결과를 담은 연차보고서의 정기적인 발간을 통해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Energy use, in particular, fossil fuel use has a negative impact such as air pollutan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lthough it is essential for our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One of important tasks of the government is to plan for optimal energy supply and demand. Our government has been working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national plans such as the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Basic Plan of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Long-Term Natural Gas Supply and Demand Plan', 'National Climate Action Plan'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Use Rationalization '. Energy demand forecast is the first step for national plans on energy and climate change. Energy forecasting models vary with the purpose of the forecast, methodology, and the assumptions. In Korea, however, only few energy demand forecasting models are being used. Therefore, current energy demand forecasting models in Korea cannot meet various objectives. In particular, an alternative forecast model for national environment plans is needed since energy use is highly cor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and greenhouse gas emissions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energy demand forecasting models which are used in Korea,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general, the model which describes the real world more closely has an advantage to get more precise estimates and it makes the model more useful while it requires a lot of costs and experts to construct and operate the model. Moreover, the predicted values for each variable (diffusion of appliances, efficiency levels, activities, and etc.) are necessary. However, the more detailed estimates should precede the higher level of uncertainty in the forecas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continuously keep and improve the model when we build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Based on the realistic aspects, we propose a roadmap for building a forecasting model for energy and environment. Moreover, we suggest the publication of the “KEI Annual Environment Outlook” which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lanation of the model and forecasting result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forecasting model.

      •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 이론에 기초한 에너지 및 기후경제 모형 방법론

        황인창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7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하계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경제모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에 관한 경제이론을 바탕으로 공공의 정책을 평가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의사결정뿐 아니라 공공의 의사결정에서 불확실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학계를 중심으로 에너지 및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하여 불확실성이 모형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강조되고 있으며, 몇몇 모형들에서는 불확실성을 명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및 기후경제 모형의 경우 대체로 결정론적인 분석 틀을 사용하고 있어 에너지 및 기후변화 문제가 갖고 있는 불확실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생 가능한 다양한 경우에 대해서도 견고한 의사결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측면에서도 불확실성 분석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불확실성 분석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고, 이론에 근거해 불확실성과 관련한 에너지 및 기후경제 모형의 최근 연구결과를 분석하며, 국내 모형들이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수치모형 응용으로서 FUND 모형을 불확실성을 반영해 수정한 후 국내 기후변화 피해비용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에너지 및 기후경제 모형과 관련하여 불확실성 분석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국내 모형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다. Uncertainty is central to energy and climate policy. A growing number of literature show that almost all components of energy and climate models are, to some extent, uncertain and that the effect of uncertainty on the model outputs, in turn policy recommendations, is significantly large. Most existing energy and climate-economy models developed and used in Korea, however, do not take uncertainty into account explicitly. Rather, many models conduct a deterministic analysis or do a simple (limited) sensitivity analysis. In order to help social planners to make more robust decisions (across various plausible situations) on energy and climate change issues, an uncertainty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As a first step, this paper reviews the theory of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and the method for addressing uncertainty of existing probabilistic energy and climate-economy models. In addition, the paper proposes a strategy to apply an uncertainty analysis to energy and climate-economy models used in Korea. Applying the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s, this paper revises the FUND model and investigate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Korea.

      • KCI등재

        혼합 MDCEV 모형을 이용한 발전사업자의 최적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성에 관한 연구

        조만석(Manseok Jo),허성윤(Sung-Yoon Huh),이용길(Yong-Gil Lee)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에너지경제연구 Vol.15 No.2

        신재생에너지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를 확충하고 친환경 산업을 선도하는 성장 동력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원이 존재하고, 각각의 기술적, 경제적 특성이 다르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따라 적정 신재생에너지 원별 포트폴리오를 마련하고 이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어떤 재생에너지원을 개발하여 각각으로부터 얼마나 많은 양의 발전을 하는 것이 각 발전사업자에게 유리한지 다중 이산-연속 모형 중 하나인 MDCEV(Multiple Discrete-Continuous Extreme Value) 모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풍력발전이 현재로서는 최적의 재생에너지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무할당제도의 시행이 태양광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태양광발전 확대가 유리해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재생에너지 기술개발로 인한 발전단가 하락 및 설치비용 하락 등 외부적 환경이 변화하였을 때를 대비한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해서도 고려하였으며, 태양광발전의 발전단가가 풍력보다 1.5배 정도로 높아도 기술투자만 풍력발전보다 20% 이상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발전사업자들에게 태양광발전이 풍력발전보다 유리해질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발전부문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발전사업자들에 특화된 결과를 제시한 선제적인 연구로서 향후 발전사업자들이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정량적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ew and renewable energy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because of not only its role to prevent climate change, but also its significance for energy security and green industry. There are various sources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with different technological and economic features. In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t feature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desirable and optimal portfolio of diverse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authors explore the quantitative solution of renewable energy portfolio in use of MDCEV (Multiple Discrete-Continuous Extreme Value) model. The result shows that wind power is optimal source for Korean power producers, but the presence of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works to advantage of solar power over other sources.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solar power can become the first choice of Korean power producers if the unit production cost of solar power decreased to 1.5 times that of wind power and the technology investment of solar power increased to 1.2 times that of wind power.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a pioneering work of quantitative approach for optimal new and renewable portfolio,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by electric power producers.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의 국내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김현제 ( Hyun Jae Kim ),조경엽 ( Gyeong Lyeob Cho )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201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9 No.4

        미국과 일부 EU 국가처럼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해 시장기능을 강화하는 제도로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2012년 이후 도입할 예정이다. RPS의 도입을 통해 에너지 사업자에게 일정비율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의무화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의 도입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일반연산균형모형(CGE)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불완전 경쟁시장 가정 하에 내생적 성장모형(endogenous growth theory)에 기초한 CGE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PS 제도는 물량을 규제하기 때문에 목표량을 오차 없이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목표량이 정확히 달성됨에 따라 보다 큰 기술 확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함에 따라 투자비용이 상승하여 중단기적으로 GDP가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결국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고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RPS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orea also plans to introduc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for strengthening market functions after 2012 as United States and several members of EU countries di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RPS, it requires energy industry to supply new and renewable energy at fixed rate.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distribu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is paper analyzed the economic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RPS using CGE. The summary of the paper on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 based on endogenous growth theory under imperfect market competition by using CGE is as follows; Since RPS possibly regulates the amou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t can achieve the target amou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ithout fail. As achieving the target amount accurately, the distribution of more advanced skills can be expected. However, GDP reduction can occur because investment cost increases due to the requir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Therefore, in the long run, it is appropriate to introduce RPS because it contributes to the distribu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can be utilized as a new growth engine to encourage economic growth.

      • KCI등재

        국가경쟁력과 에너지 선택 -VBN(Value-Belief-Norm) 모형의 적용을 통한 에너지 수요-공급정책수용성 인과구조 분석-

        최용선 ( Yong-Seon Choi ),김서용 ( Seoyong Kim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본 연구는 Stern(2000)의 VBN(Value-Belief-Norm) 모형을 적용하여 에너지 정책에 대한 수용성의 인과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들은 에너지 정책 수용성의 결과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이를 결정하는 심층적 인과구조를 간과하고 있었다. 국내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중들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에 초점을 둔 에너지 공급정책에 우호적 태도를 보였지만 세금, 비용부담을 통한 수요억제에 초점을 둔 에너지 수요정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용성을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에 대한 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VBN 모형의 변수들, 즉 가치(values), 신념(beliefs), 개인적 규범(personal norms), 그리고 에너지 정책 수용성(acceptability) 변수 간에 구조적 인과관계와 경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차원에서 Stern(2000)의 VBN 모형이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 수용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한 틀임을 보여준다. 아울러 VBN 모형에서 채택된 개념과 경로에 대한 수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al structure of acceptance for energy policy by applying Stern(2000)’s VBN(Value-Belief-Norm) Model. Our study bases on the fact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heavily focus on the consequential side, disregarding the deep causal structure of acceptance for policy. Based survey data (N=1500), we find that not only socio-demographic variables but also the variables in VB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cceptance of energy policy. Second, in the course of causal process, the fundamental value and norm variable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form the sequential chain in causal process. Third, the results from mediating effec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nd paths within VBN. Our analysis implies that in terms of theory, VBN is usefu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acceptance of energy. Second, in practical terms, it gives information how to make PR and communicate with public to enhance the acceptance of energy policy.

      • KCI등재후보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기술교과 ‘신ㆍ 재생 에너지’ 단원 수업 설계 방안 및 효과

        이동수,윤지아,허혜연,함형인,김기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 지식과 수행의 연계를 중시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 하는 백워드(Backward) 설계 모형에 기반한 기술 교과 ‘신ㆍ재생 에너지’ 단원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준비-개발-검증-개선의 단계를 거쳐 ‘신ㆍ재생 에너지’ 단원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12종 ‘기술ㆍ가정’ 교과서를 분석하고, 백워드 설계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단원 구성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는 백워드 설계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신ㆍ재생 에너지’ 단원을 설계하였다. 1단 계인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단계에서는 기술적 지식, 기술적 사고, 기술적 능력으로 나누어 바라는 결 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2단계인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단계에서는 ‘GRASPS’요소를 활용 하여 두 가지의 수행 과제(신ㆍ재생 에너지 홍보 브로셔 제작하기, 우리 지역에 적합한 신ㆍ재생 에너지 활용 방안 제안하기)를 개발하고, 각 수행 과제에 대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3단계인 ‘학습 경험과 수업 계획하기’ 단계에서는 ‘WHERETO’ 요소를 활용하여 ‘신ㆍ재생 에너지’ 단원의 수업(총 10차시)를 계 획하였다. 셋째, 검증 단계에서는 ‘신ㆍ재생 에너지’ 설계안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 및 G광역시 A중학교 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여 현장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개선 단계에서는 검증 단계에서 이루어진 시범 적용 결과와 전문가 타당도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 ‘신ㆍ재생 에너지’ 단원 수업 설계안과 학생용 자료를 수정ㆍ보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renewable energy’ chapter of technology subject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that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subject knowledge and performance, which also manages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learner’s understand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newable energy’ unit was designed throughout the stages of preparation – development – verification -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2 types of 'technology /home-economics' textbooks, studieds related ‘Backward Design’ were analyzed. Secon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Renewable energy’ chapter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of backward design. First-step(Confirming the desired result), desired results were presented by sparating them into technical knowledge, technical thinking, and technical ability. Second-step(Determining acceptable evidence), ‘GRASPS’ elements were applied to develop task and presented a rubric for such as 'produce renewable energy promotional brochures' and 'proposal of suitable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for our region'. Third-step(planning for learning experiences and lessons), total 10 lessons were planned by utilizing the ‘WHERETO’ element. Third, in the verification stage, based on the ‘renewable energy’ design plan, the implications for the program were derive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experts and applying it on a pilot basis to students of G city A middle school. Fourth, in the improvement stage, based on the pilot application results and expert validity results made in the verification stage, lesson design plan and student materials were completed.

      • KCI등재

        동적 패널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정책의 OECD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효과 분석

        김은성,허은녕 한국환경경제학회 2016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0 No.2

        To achieve the socially optimum level of renewable generation, governments should design renewable policies to induce renewable technologies competitive with conventional generation technologies. And to do that, it is needed to understand how each policy has been effective in promoting renewables for power sector. In most of the literatures, there are two key limitations that they did not considered autocorrelation problem using the amount of generation from renewable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echnology innovation which needs to be preceded technology adoption. In this study, I try to overcome these two problems by using dynamic panel model and adding an additional variable for technology inno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IT has been effective rather than RPS in promoting renewables for generation and I found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terintuitive results which commonly appeared in existing studies might be due to the two limitations mentioned above.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정책이 재생에너지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는 종속변수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사용하고 있는데 자기상관(autocorrelation) 문제의 발생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정태적 모형을 쓰고 있다는 점, 기술채택에 선행되어야 하는 기술혁신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패널 모형(dynamic panel model)을 이용하고 기술혁신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위의 두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FIT가 RPS보다 재생에너지 보급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고, 재생에너지 기술혁신 또한 재생에너지 확대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직관과 어긋난 결과를 도출한 데에는 위의 두 한계점이 원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수요체계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1차 에너지 수요 추정 연구

        김지환,김윤경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24 에너지경제연구 Vol.23 No.1

        2021년 기준으로 94.8%의 에너지수입의존도를 갖는 우리나라는 과거 30여년간 계속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에너지에 대한 수요 양상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1차 에너지원을 대상으로 2단계 수요체계 모형을 이용해 석탄, 원유, 천연가스를 포함한 에너지원과 노동, 기타투입재 간의 수요체계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1998년 이전 기간에서는 모든 재화에 대해 자기가격탄력성이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총산출에 대해서도 모두 양의 값을 보였다. 1999년 이후 기간에서는 모든 재화의 자기가격 탄력성이 음의 값을 보이며, 총산출에 대해서는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에너지원에 대한 추정 결과를 보면, 연료용 석유를 전력으로 대체하면서 기저전원을 담당하는 석탄과 원유간의 교차가격탄력성이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전력이나 석유제품과 같은 전환에너지를 대상으로 하므로 전환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1차 에너지의 가격 변동을 체감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나라와 같이 에너지수입의존도가 높은 나라에게 1차 에너지의 가격 변동은 정부의 정책 노력으로 완화시키기 어려우므로 더 큰 위험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시기에 따라서 바뀌고 있는 1차 에너지에 대한 수요체계를 검토하면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Korea’s energy import dependency is 94.8% as of 2021, has maintained this level for the past 30 years. In this study, the demand system between energy sources including coal, crude oil, and natural gas, labor, and other inputs was estimated using a two-stage demand system model to reveal that the demand pattern for primary energy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in the period before 1998, self-price elasticity was a positive value for all goods. All of them showed positive values for total output. In the period after 1999, the self-price elasticity of all goods showed negative values.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value for the total output.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for the primary energy, the cross-price elasticity between coal and crude oil, which are in charge of base power while substitute fuel oil with electricit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ositive value. It is not very often to experience price change of primary energy to produce conversion energy because the price of electricity and petroleum products are regulated in Korea. However, for countries with a high energy import dependency, such as Korea, price change of primary energy are exposed to greater risks because they are induced from international energy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emand response to primary energy that is changing over time.

      •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로드맵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김한집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At this point in time when active participation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is required, basic information on growth engines and substantial promotion strategies for participation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is needed. According to the this study tri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vitalizing participation in the renewable energy busines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new energy business participation roadmap using the multi-layered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new energy business participation roadmap,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business participation factors by industry.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such as the leading organization of the project, profit distribution method, green industry financial support,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power plant location, and comprehensive long-term strategy, and there is an institutional approach tha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found to be necessary. Above all, it suggested that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new energy project participation roadmap, an institutional approach is needed that can expand the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le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national econom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신재생 에너지에 관한 적극적 사업 참여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의 성장동력과 내실있는 추진전략에 대한 기초정보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로드맵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효성있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요소의 재정립이 필요함을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업의 주도 단체, 이익배분 방식, 녹색산업 금융지원, 사업 시행 방식, 발전소 위치, 포괄적 장기전략 등의 적절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고, 관련 산업의 육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접근이 필요할 것임을 발견하였다. 무엇보다 실효성있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 참여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경제에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의 육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신재생 에너지 도입행태 분석

        배준희(Junhee Bae),최이중(Ie-jung Choi),이종수(Jongsu Lee),신정우(Jungwoo Shin)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에너지경제연구 Vol.13 No.1

        환경 문제와 에너지고갈 문제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가속화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의 환경적 측면에서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효율성과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기술수준에 적합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방향 제시가 중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이산-연속 극한(Multiple discrete continuous extreme value, MDCEV)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수준에 따른 OECD 국가의 신재생 에너지원 도입 행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선진국의 신재생 에너지원 도입과정을 살펴보고, 신재생 에너지원 도입에 국가의 기술수준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정량적 모형을 이용하여 개발도상국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The interes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as been accelerated in all over the world due to exhaustion of fossil fuel and excess emissions carbon dioxide.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has strength in perspective of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because of high price and low efficiency. In such situation, making policy based on accurate forecasting and evalu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market has significant economical, political meaning. In this paper, we derive and formulate quantitative analysis model of new and renewable energy based on a technological level of country using multiple discrete continuous extreme value model.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expect we can review the introduction proces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developed countries and check how technological level influenced to adop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lso, we will suggest efficient way to develop new and renewable energy in developing country based on this quantitativ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